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영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9 No.3
Backgrou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strongly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and inflammation. Ferritin, which acts as an acute phase reactant,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can be considered a marker of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nea-hypopnea index (AHI) and serum ferritin as an inflammatory marker in male snorers. Methods Study subjects included 114 male adults with histories of snoring who visited a university-based sleep clinic.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apnea-hypopnea index (AHI) following a polysomnography. Fasting levels of serum iron, TIBC, ferritin, CRP, and TNF-a were measured from venous blood. Results Age and BMI were similar among the 3 groups. However, waist circumference tend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AHI-based group. After adjusting for waist circumference, serum ferrit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3 groups. Levels of CRP and TNF-a were similar among the group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RP, ferritin, BMI, waist circumference, and AHI in the study subjec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independent predictors of AHI and CRP, waist circumference, and ferriti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AHI. Conclusions Serum ferritin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HI in Korean male snorers. This finding supports that ferritin may have a crucial role in OSA-associated diseases. 연구배경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서는 CRP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급성반응성물질로 알려져 있는 페리틴이 수면 무호흡정도와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은 모 병원에 코골이로 방문하여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성인 남성 114명이었고 혈중 hs-CRP, TNF-α, 페리틴을 측정하였다. 대상군은 수면다원 검사로 측정된 수면 무호흡-저호흡 지수 (AHI)에 따라 각각 AHI <5 인 단순 코골이군, AHI 5-14.9의 경도 코골이군, AHI 15 이상의 증등도 이상 무호흡군으로 나누었다. 결 과 : 1) 각 군간의 나이와 BMI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허리둘레는 AHI가 높은 군일수록 컸다(P<0.05). 2) hs-CRP, TNF-α, 페리틴을 로그변환 후 허리둘레로 보정하여 각 군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페리틴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3) 염증지표와 연령, BMI 및 AHI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hs-CRP와 페리틴은 각각 BMI, 허리둘레, AHI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4)회귀분석결과 AHI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변수는 허리둘레와 hs-CRP 및 페리틴 이었다. 결 론 : 이상의 연구결과 남성 성인 코골이환자에서 AHI는 허리둘레 뿐만아니라 급성 반응성 물질인 CRP와 페리틴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전위 소성과 크기 종속 파손을 고려한 SiC<sub>p</sub>/Al2124-T4 복합재의 계층적 유한요소 모델링
서영성,김용배,Suh, Yeong-Sung,Kim, Yong-Bae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6 No.2
일반적으로 복합재의 강도에 대한 크기 효과는 입자강화 알루미늄 복합재 제조시, 입자와 기지재를 압밀한 후 냉각할 때 입자와 기지재 사이의 열팽창계수 차에 의하여 기지재에 펀칭되는 기하적 필수 전위와, 변형 중 입자와 기지재사이의 탄소성 강성도 차로 인해 발생하는 변형률 구배 소성으로 인한 기하적 필수 전위가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종류의 기하적 필수 전위를 전위 소성 이론에 입각하여 강도로 환산한 후 계층적으로 입자 주위 유한요소 영역에 할당하여 동일한 체적비에서 입자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복합재의 파손 거동을 효과적으로 예측하였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구형입자의 경우 간단한 축대칭 유한요소 모델링과 실험데이터를 연계하여 입자강화 복합재의 입자 크기 의존 강도 및 파손 효과를 수월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서로 다른 입자의 체적비 및 크기에 대하여SiC강화 알루미늄 2124-T4 복합재의 강도와 파손 거동이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보인다. The strength of particle-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s is, in general, known to be increased by the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s punched around a particle that form during cooling after consolidation because of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mismatch between the particle and the matrix. An additional strength increase may also be observed, since another type of geometrically necessary dislocation can be formed during extensive deformation as a result of the strain gradient plasticity due to the elastic-plastic mismatch between the particle and the matrix. In this paper, the magnitudes of these two types of dislocation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dislocation plasticity. The dislocations are then converted to the respective strengths and allocated hierarchically to the matrix around the particle in the axisymmetric finite-element unit cell model.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to be very effective by performing finite-element strength analysis of $SiC_p$/Al2124-T4 composites that included ductile failure in the matrix and particlematrix decohesion. The predicted results for different particle sizes and volume fractions show that the length scale effect of the particle size obviously affects the strength and failure behavior of the particle-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s.
서영성,김대현,신동학 대한비만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9 No.2
유아에서 신체활동도 및 생활 습관이 유아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1997년 9월 대구시내 소재하는 모 어린이집 원생 113명 (만 3 ~ 6세 유아) 을 대상으로 걸음 수를 기록하는 만보계를 이용하여 신체활동도를 측정하였고, 비만도의 판정은 키에 따른 표준체중에 현재체중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비만도를 추정하였고, 비만도의 판정은 키에 따른 표준체중에 현재체중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비만도를 추정하였고, 유아의 부모에게 설문지를 보내어 조부모 동거, 형제유무, 부모운동유무 등의 가정환경을 조사하였고, 생활습관은 총 수면시간, TV 및 비디오 시청시간, 과외활동 유무로 조사하였으며, 식사습관은 아침식사 유무, 간식유무, 음식남김여부, 식욕유무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아는 58명 (51.3%) 여아는 55명 (48.7%)이었고 평균 나이는 남아 4.4±0.72세 여아는 4.6±0.99세였다. 표준체중표에 의한 비만도 평균은 남아 6.4±8.60%였고 여아는 7.5±11.73%였다. 표준체중의 20% 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했을 때 비만한 유아는 6.2% (7명)였다. 2. 만보계로 측정된 신체활동도는 남아 2088.9±794.81보, 여아 2012.0±701.37보 였다. 나이, 비만도, 신체활동도에서 남녀 소아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식사습관과 비만도의 비교에서 식사시 음식을 남기지 않는 유아가 남기는 유아에 비해 유의하게 비만도가 높았으나 (P=0.008), 아침식사유무, 간식유무와 비만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비만도와 생활습관 및 식사습관간의 상관분석에서 비만도가 클수록 신체활동도는 유의하게 적었고 (P<0.01), 음식을 남기지 않았으며 (P<0.05), 편식하지 않았으며 (P<0.05), TV/Video 시청시간이 많았다 (p<0.05). 비만도와 총수면시간, 과외활동유무, 간식유무 및 아침 식사유무, 저녁식사 시간과는 무관하였다. 유아의 체중은 신체활동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식습관도 관련이 많으므로, 유아의 체중과 생활 습관이 소아 및 성인으로 이어진다고 가정할 때 일차진료의사들은 유아를 둔 부모들에게 유아의 신체활동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건전한 식습관을 가지도록 교육하여야 한다고 사료되어진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on body weight in preschool children. The 3 ~ 6 year-old physically healthy 113 early childhood in one children day care hous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body weight, height and physical activity were measured. Measurement of physical activity was walking number by accelerometer (electronic motion sensor, manbogi) during day care house (for 6 hours). Other daily living behavior data for subjects were gathered by parent's questionnaire. Subjects with overweight for age were 35.4%, obesity with early childhood were 6.2%. Walking number for overweight subjects by accelerometer were less than other preschool children's that (P=0.013). Also, subjects with overweight were correlated with eating behavior, especially more left over of food and favorite food intake than normal weight subjects. Early childhood with overweight had more TV/video viewing time than standard weight subject's that. But sleeping time, snack frequency, breakfast, dinner time were not correlated with body weight. We suspect early childhood body weight is closely correlated with daily physical activity, eating behavior, and TV/Video viewing time. We recommend primary care physicians may be educate to parent with overweight preschool children about physical activity, eating behavior and daily living habits.
서영성,김대현,안병훈,조용원,황병윤,이건호,황상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6 No.3
BackgroundObstuctive sleep apnea(OSA) is a relatively common disorder that the prevalence is 1%-4% in adult men. It was previously assumed that this occurred because of the related obesity, however, recent data suggests that OSA may also be associated with a number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dependently of obesity, such as hypertension, insulin resistance,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dyslipidemia. We studied to fi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between OSA and cardiovascular disease by using Framingham risk score in Korean.MethodsWe enrolled 96 subjects in the three groups that group 1 was 28 who were snoring with AHI 〈 5. Group 2 was 35 subjects who were snoring with 5 ≤ AHI 〈 20, and group 3 was 33 who were snoring with AHI ≥ 20. We checked a basic questionnaire, physical examination, blood test, polysomnography, and searched cardiovascular 10-year risk of three groups by Framingham risk score.ResultsFasting blood glucos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adjustment for BMI, but lipid profiles and blood pressure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summing score of systolic blood pressure(P=0.021) and total score(P=0.013)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diovascular 10-year risk between groups. This study showed that 10-year cardiovascular risks by Framingham risk score estimated 2% in simple snoring subjects(group 1) and 6% in OSA subjects(group 2, 3).ConclusionsIn this study, OSA patients have high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comparing cardiovascular 10 year risk by Framingham risk score. Therefore, primary care physician should concern about underdiagnosed OSA and know various practical approach to improve the symptoms. 연구배경수면무호흡증은 성인남자 인구의 1-4%에서 나타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비만과 관계되어 나타나는 현상만으로 이해되었으나 최근 비만이외에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 내당 불내성, 이상 지질혈증과 같은 심혈관계 위험인자들과 수면무호흡증이 관계가 있다는 자료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에게서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고혈압, 공복시 혈당, 혈청 지질 수치 등의 일반적인 특성 및 Framingham 위험 점수를 이용하여 수면무호흡증과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대상군은 모두 96명으로 수면 무호흡증이 의심되어 본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받은 남성환자 중 수면무호흡지수(AHI)가 5미만인 군 28명, 5에서 20미만인 군 35명, 20이상인 군 33명을 이었다. 수면다원검사 결과, 음주 및 흡연력, 신체검사, 혈중지질, 공복혈당 및 혈압을 바탕으로 Framingham 위험점수를 계산하여 각 군의 심혈관 질환 10년 위험도를 알아보았다.결 과신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 군들 간에 혈압, 혈중지질, 공복혈당을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8). 각 군간 각각의 Framingham 위험점수를 체질량지수로 보정한 후 비교한 결과 AHI가 높은 군일수록 수축기혈압 점수(P=0.021)와 총 점수(P=0.013)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총점수에 따른 심혈관질환의 10년 위험도는 AHI 5미만인 단순 코골이 환자군에서 2%, AHI 5이상인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에서 6%였다.결 론수면무호흡증환자에서 단순코골이 환자보다 Framingham 위험점수가 높았고 심혈관 질환 10년 위험도도 높았다. 따라서 일차진료의는 과소 진단되는 수면무호흡증환자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적 접근법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