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무직 중년여성의 신체질량지수 차이에 따른 신체구성, 심폐기능 및 건강관련 체력의 비교분석

        조상우 ( S. W. Cho ),김수경 ( S. K. Kim ),최상범 ( S. B. Choi ),심승용 ( S. Y. Sh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1

        본 연구는 사무직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질량지수 차이에 따른 신체구성, 심폐기능, 건강관련 체력을 비교분석하여 사무직 중년여성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행정관리 업무에 종사하는 연령 40~49세의 사무직 중년여성공무원 119명 정상집단(18.5 kg~22.5 kg/㎡) 41명, 과체중집단(23~24.9 kg/㎡) 40명, 비만집단(25~29.9 kg/㎡) 38명으로 나누어 신체구성, 심폐기능, 건강관련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각 집단 간의 신체구성, 심폐기능, 건강관련 체력요인의 비교를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상관검증은 피어슨의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하였다. BMI 차이에 따라 신체구성에서 체중, 체지방률, WHR은 정상집단 과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과체중집단(p<.001), 비만집단(p<.001)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과체중집단과 비만집단 간에도 비만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p<.001). 심폐기능에서 FVC는 정상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과체중집단(p<.05), 비만집단( p<.01) 보다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련 체력에서 체중당 악력은 정상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과체중집단(p<.01), 비만집단(p<.0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VO2max는 정상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과체중집단(p<.05), 비만집단(p<.001) 보다 높게 나타났다. 앉아윗몸앞으로숙이기는 정상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과체중집단(p<.05), 비만집단( p<.01) 보다 높게 나타났다. BMI와 신체구성, 심폐기능, 건강관련 체력 과의 상관관계에서 체중(p<.001), 체지방률(p<.001), WHR(p<.001), DBP(p<.05), SBP( p<.05), 체중당 악력(p<.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FVC(p<.01), VO2max(p<.001), 앉아허리앞으로숙이기(p<.01)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BMI가 높을수록 체중, WHR, 체지방률, 체중당 악력은 높고, FVC, VO2max, 앉아윗몸앞으로숙이기는 낮게 나타나 BMI의 차이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관계는 지방과 관련된 신체구성 증가, 심폐기능 저하, 건강관련 체력의 기능 저하로 이어져 부정 적인 영향이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장기간 동안 신체활동이 제한되어 생활하는 사무직 여성종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더욱 클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on office worker of middle-age wom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9 females office workers who were 40-49 years old. They were separated normal(18.5~22.9 kg/㎡, n=41), overweight(23~24.9 kg/㎡, n=40), obesity group(25~29.9 kg/㎡, n=38) by BMI. They measured body weight, % body fat, WHR, FVC, SBP, DBP, rest heart rate, grip strength, sit-up, VO2max, and sit and reach test.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First, Normal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overweight(p<.001) and obesity group(p<.001), and overweight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obesity group(p<.001) for body weight, WHR, and % body fat. Second, Normal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overweight(p<.05) and obesity group(p<.01) for FVC. Third, Normal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overweight(p<.01) and obesity group(p<.01) for grip strength/body weight. Normal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overweight(p<.05) and obesity group(p<.001) for VO2max. Normal group was significant difference overweight(p<.05) and obesity group( p<.01) for sit and reach test. Fourth, BMI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dy weight(p<.001), % body fat(p<.001), WHR(p<.001), DBP(p<.05), SBP(p<.05), and grip strength/body weight(p<.001) and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VC(p<.01), VO2max(p<.001), and sit and reach test(p<.01) in correlation analysis.

      • KCI등재

        여자 초등학생의 신체활동과 심폐체력 및 신체구성 그리고 심혈관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강현식 ( Hyun Sick Kang ),하창덕 ( Chang Duck Ha ),홍혜련 ( Hye Ryun Hong ),권훈겸 ( Hun Kyeom Kwon ),김성희 ( Seong Hee Kim ),우상구 ( Sang Koo Woo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강현식, 하창덕, 홍혜련, 권훈겸, 김성희, 우상구. 여자 초등학생의 신체활동량 및 강도와 심폐체력, 신체구성, 심혈관 위험인자와의 상관성.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389-396,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횡단적 연구에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제시된 13,000보수의 적정보수를 목표로 12주간의 신체활동 중재를 실시한 후, 신체활동량 및 강도와 심폐체력, 비만지표, 심혈관 위험인자의 상관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초등학교 여학생24명(11.79±0.78세)으로 하였고, 12주 신체활동 중재 전과 후에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둘레, 최대산소섭취량,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혈당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12주간 1일 13,000보수의 신체활동을 하도록 권고하였다. 연구결과, 12주간의 신체활동 중재를 통해 신장, 체중, BMI, 심폐체력의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량과 신체구성, 심폐체력,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신체활동량은 최대산소섭취량과 수축기혈압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강도와 신체구성, 심폐체력,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신장과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이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여학생의 경우 심폐체력증진과 키 성장 자극 그리고 비만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효과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중등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을 포함하여 상당한 수준의 신체활동량(예, 1일 13,000보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Kang, H. S., Ha, C. D., Hong, H. R, Kwon, H. K., Kim, S. H., Woo, S. K. Correlations of physical activity with cardiorespiratory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girls. Exercise Science. 20(4): 389-396, 2011.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physical activity with cardiorespiratory fitness (CRF),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girls. A total of 24 girls (11.79±0.78 yea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stu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ll the participants underwent a series of measurements including body composition, obesity indices, CRF,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n each participant was invited to participate in a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targeting at 13,000 steps/day, which was predetermined in our preliminary study, for 12 weeks. All participants worn the Life-corder accelerometer to monitor their daily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its volume and intensity.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CRF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12-week PA intervention. PA volume was positively related to CRF and systolic blood pressure (SBP). Moderate and high PA intensities were positively relate to height growth.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substantial amount of physical activity (i.e., accumulated 13,000 steps per day) including regular exercise with moderate or higher intensities would be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s of in CRF, obesity indic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s well as height growth.

      • KCI등재

        정서억제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

        어유경,최지영,박수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3

        A majority of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ultures suggest that emotion suppression has a negative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However,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such negative effects may differ depending on one’s self-constru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suppression on physical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o determine if self-construal moderates this effect in a community adult sample in Korea. Results demonstrated that emotion suppression significantly affected participants’ physical as well as depressive symptoms. In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sup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Whereas previous studies conducted with Koreans failed to examine the significant effect of emotion suppression on individuals’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emotion suppression in Koreans. The results highlight the role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in explaining the effect of emotion suppression on physical health. 정서억제가 개인의 신체증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이 때에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성인 한국인(N=201, 여: 148, 남: 53)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정서억제, 신체증상, 자기구성개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서억제는 신체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높은 정서억제 경향은 신체증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기구성개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억제와 신체증상과의 관계에서 독립적 자기구성개념의 경우에만 유의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단술기울기 검증(slope analysis)을 통해 상호작용의 양상을 살펴 본 결과, 독립적 자기구성개념이 평균에서 1 표준편차 이상 높은 경우에만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이는 독립적 자기구성개념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에만, 정서억제를 할수록 더 많은 신체증상을 보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 결과는 정서억제에 대해 일관되지 않던 기존의 국내 연구결과와 달리, 한국인도 정서를 억제할수록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고, 특히 이 때 개인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자기구성개념의 종류나 그 패턴에 따라 정서억제가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PGC-1α유전자 다형성과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신체구성, 혈압, 심폐체력의 비교

        강현식 ( H. S Kang ),조진경 ( J. K Choi ),하창덕 ( C. D Ha ),이신호 ( S. H Le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20대 건강한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PGC-1α유전자 다형(유전적) 및 PGC-1α 유전자 다형과 신체활동 수준(상중하)(유전적+환경적)에 따른 신체구성, 혈압 및 심폐체력의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대의 건강한 남녀 대학생 총 1286명을 대상으로 신체구성(신장, 체중, BMI, BF%, muscle, waist, WHR), 혈압 및 심폐체력을 측정하였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PGC-1a Gly482Ser을 분석하였다. 총 1286명을 대상으로 관찰된 PGC-1α 유전자다형의 빈도를 이용한 Hardy-Weinberg 평형성을 검정한 결과, 관찰된 PGC-1α 유전자 형질의 빈도는 기대(예측)빈도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국 20대 건강한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에 따른 신체구성, 혈압 및 심폐체력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과 신체활동 수준(상중하)에 따른 신체구성과 혈압은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중간 수준의 신체활동을 하는 집단에서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에 따른 심폐체력은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건강한 대학생의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은 신체구성, 혈압 그리고 심폐체력의 차이를 결정짓는 유전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과 신체활동 수준은 신체 구성과 혈압의 차이를 결정짓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PGC-1a gene polymorphism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was associated with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CRF)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GC-1a gene were genotype in 1286 Korean college students by using the Real-Time Quantitative PCR with TaqMan detection chemistry, CRF was measured as the maximum volume of minute oxygen consumption during a graded treadmill testing, Body composition(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waist, WHR)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using our standardized protocols. Chi-square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Hardy-Weinberg equilibrium based on the genotype frequencies of the PGC-1a gene polymorphism in the study population, and its relative frequency were in the Hardy-Weinberg equilibrium.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 sample size(n=1286) of the current study represented the total population appropriately in terms of the PGC-1a genotype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 nd C RF was not s ignificantly d ifferent across the P G C-1a genotypes. Also,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ess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PGC-1a genotype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but CRF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PGC-1a genotypes and middl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PGC-1a genotype is not associated with th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CRF in the korean college s tudents. Also, PGC-1a genotype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s not associated with th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in the korea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복합 운동 참가가 생리적 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홍길동,허정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근저항성과 지구성 운동으로 구성된 복합 운동 프로그램 참가가 생리적 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주3회, 90분, 12주간의 복합 운동을 실시한 실험 집단 20명과 통제 집단 20명으로 구성되었다. 생리적 요인은 크게 신체 구성, 기초 체력, 심폐 기능을,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으로는 외모, 근력, 지구력, 유연성, 건강, 신체 활동, 체지방(체형), 스포츠 유능감, 신체 전반, 자기 존중감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집단간 독립표본 t-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은 운동 참가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복부 피지후은 통계적으로(p<.05)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 체력 요인에서는 배근력, 평형성, 민첩성,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과 심폐 기능 요인인 최대산소섭취량 요인에서 통계적으로(p<.05)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신체적 자기개념 하위 요인에서 자기 존중감, 건강, 외모 요인을 제외한 스포츠 유능감, 신체 활동, 근력, 심폐 지구력, 유연성, 체지방(체형), 신체 전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리적 요인 중 복부 피지후 요인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체지방(체형) 요인과 높은 부적 관계를, 배근력 요인은 근력, 신체 전반, 스포츠 유능감, 신체 활동 요인과 높은 정적 관계를, 민첩성과 근지구력 요인은 신체 전반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연성 요인은 신체 활동과 근력 요인과, 순발력 요인은 신체 전반, 근력, 체지방(체형) 요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최대산소섭취량은 심폐 지구력과 신체 활동 요인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복합 운동 참가는 생리적 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두 요인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 참가자들의 건강 증진 및 심리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stance and endurance combined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physical self-concep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2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mbined exercise consisting of 3 days a week and 90 minutes a day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0 students. Psychological factors wer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cardiopulmunary function.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were appearance, muscle strength, flexibility, health, physical activity, body fat, sports competence, overall body, and self-estee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s(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not in body weigh but in abdominal skinfold, abdominal strength, balance, agility,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sports competence, muscle strength, cardiopuimunary endurance, flexibility, body fat, and overall body(p.<05) except self-estcem, health, and appearance. Third, the Abdominal skinfold had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fat. The abdominal muscle enduranc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uscle endurance, overall body, sports competence, and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agili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body. Flexibility had positive correlatin with physical activity. Agili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body, muscle strength, and body fat. O₂ max had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diopulmunary endur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participating in combined exercise had positive influence on physi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concept. Furthermor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concept. Therefore, further studies and various program development will be needed to maximize health improvement and the positiv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in participants of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현행 체육교육과정의 분석

        김용환(Yong Whan K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3

        2009년에 개정된 신체활동 가치 중심의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 교육과정 개정의 이론적 근거가 불분명하여 인문학적 접근을 감상문 쓰기 등을 강조하고 생활중심 신체활동을 과거 문화적 유산의 기능 숙달로 잘못된 해석을 하고 있었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신체활동의 의미와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철학적 의미와, 역사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안내되지 않았다. 또한 신체활동가치적 측면에서 보면 건강과 여가는 외재적 가치를 도전, 경쟁, 표현은 내재적 가치를 추구하는 혼재적 가치로 구성되어 있었다. 체육교육은 신체활동에 대한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의 상호적 변화를 가져오는 과정이어야 한다. 교육과정 모형의 측면에서는 교육목적은 생태론적 개인의미모형, 기본기능이라는 점에서는 학문중심교육과정이며 정의적 가치를 관점에서 보면 인간중심 사회성 교육모형을 종합한 교육과정모형이다. 교육과정 구성틀은 “신체활동의 의미와 특성, 기본기능, 태도”로 구성되어져 있다. 신체활동의 의미와 특성은 신체활동의 가치에 대한 인지적 지식, 기본기능은 심동적 목표를 위한 기본기술, 태도는 정의적 목표를 개념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체육내용은 건강활동, 도전활동, 경쟁활동, 표현활동, 여가활동의 상위개념에서 하위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문서적 교육부 고시의 관점에서 보면 ‘의미와 특성’, ‘기본기능’은 개념적 용어로 정의적 개념은 용기, 끈기, 협동심등 구체적인 용어로 기술되어 있어 문서적 결함이 있었다. 의미와 특성과 기본기능도 구체적기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curriculum by analyzing teaching materials related with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and 2009. The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finding are following : First, the background curriculum theory about life skill in physical activity was loosely cunstrued and did not illuminate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ies. In a view of value orientations, physical education have been transferred interactly the external value to internal value. Second, the current curriculum design was shaped by the values upon the content and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Such as use of a conceptual top-down framework, the currnet curriculum was not concret in the key concepts ; ``meanings and characters``, basic skills. The key concepts was related to the objective domain ; ``meanings and characters`` to be cognitive domain, basic skills to be psychomotor domain, the concret social and psychologic word to be affective domain. Third, implications of curriculum for instruction were the instructional model of tactical games approaches on the based best practice.

      • KCI등재후보

        남자 대학생의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과 유ㆍ무산소 체력과의 관련성

        김형룡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강도별 수행시간에 따른 신체구성, 유산소운동능력 및 무 산소 운동능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학생들의 체력유지 및 건강개선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지방률과 BMI는 저강도 신체활동 수행시간과 통계적 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중강도 신체활동 수행시간은 무산소파워 변인 중 평균파워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고강도신체활동 수행시간은 최대파워도달시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 내었다. 셋째, 유산소운동능력은 중강도 신체활동 수행시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남자 대학생의 체형 및 체력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강도는 특정한 강도만을 중점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time with different performance intensity and body composition,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in male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raising awareness of necessity of staying fit and improving health for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dyfat and BMI demonstrated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ow intensive activity time. Second, mild intensive activity time showed positive statistic correlation with 평균 파워 among anaerobic power variables and high intensive activity time ha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ime to peak power. Lastly, aerobic exercise capac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y mild intensive activity time. With these results, male students are recommended to perform their physical activities not with only certain intensity but with each low, mild, intensity to stay physically fit and healthy.

      • KCI등재

        신체활동수준에 따른 젊은 성인 여성의 신체구성, 골밀도 및 건강관련체력 비교

        심수정,김성우,송종국,강효정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9 체육과학연구 Vol.3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difference of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health-related fitness by physical activity level in young women. [Methods] A total of 90 women aged 19-2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ow, middle, and high level)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level estimated by bone-specific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BPAQ). Body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Body composition parameters including four sites of bone mineral density(BMD) were estimated by DXA (Hologic, QDR-4500, USA). Health-related fitness tests was assessed using sit & reach, grip strength, sit-ups, and VO2max.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4. All data were presented in terms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ne-way ANOVA was applied to determine difference of dependent variables by physical activity level.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as a post-hoc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body weight(F=4.867, p=.01), body mass index(F=5.053, p=.008) and fat-free mass(F=8.364, p=.0001) among the thre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whole body BMD(F=16.730, p=.0001), lumbar BMD(F=11.480, p=.0001), femur BMD(F=42.182, p= .0001) and forearm BMD(F=5.560, p=.005)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on sit and reach(F=11.433, p=.0001), sit-ups(F=17.972, p=.0001), VO2max(F=3.106, p=.05) and duration of GXT(F=7.479, p=.001). [Conclusions] There were differences o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by physical activity levels. Nevertheles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not able to judge participation in various exercise types including aerobic exercise or resistance exercise. Therefore, in the future study, longitudinal study considering various types of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intake will be need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 성인 여성의 신체활동수준에 따라 신체구성, 골밀도 및 건강관련체력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만 19-29세의 여성 9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뼈 관련 신체활동 설문지(BPAQ)의 신체활동수준에 따라 세 그룹(낮은, 중간, 높은 신체활동그룹) 각 30명씩 나뉘었다. 신체구성과 골밀도는 DXA(Hologic, QDR-4500,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관련체력은 유연성(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근력(악력),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심폐지구력(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 9.4 버전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다. 신체활동수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 분석은 Duncan’ multiple range 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은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첫째, 제지방량(F=8.364, p=.0001)에서 신체활동량이 낮은 그룹은 중간 그룹과 높은 그룹의 여성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전신 골밀도(F=16.730, p=.0001), 요추 골밀도(F=11.480, p=.0001), 대퇴 골밀도(F=42.182, p=.0001), 전완 골밀도(F=5.560, p=.005)에서 세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건강관련체력의 경우 악력과 최대심박수에서 세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F=11.433, p=.0001), 윗몸일으키기(F=17.972, p=.0001), 최대산소섭취량(F=3.106, p=.05),운동시간(F= 7.479, p=.001)에서 신체활동이 높은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BPAQ를 이용한 신체활동 조사는 젊은 성인 여성의 골밀도와 건강관련체력의 차이를 규명할 수 있었으나, 체지방률, 체지방량과 WHR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유산소운동 혹은 저항성운동을 포함하는 다양한 운동유형에 참여 여부를 판단할 수 없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체활동 유형을 고려한 종단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미용성형 의도, 신체이미지와 신체가치관의 관계: 여성요가인과 여대생을 대상으로

        김완석,조옥경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0 No.4

        In this study we aimed to 1) compare a yoga group to a student group in terms of body-related values, self-objectification, body esteem and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and 2) examine the causal models in which objectification and self-esteem play mediatory roles between body-related values and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Two groups of women, 153 yoga teachers and 168 undergraduate stude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body-related values such as operability, inclination, and social instrumentality, objectification variables such as shame and surveillance, body esteem, and body-related behaviors including the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It was revealed that the yoga group had more conservative body values, lower surveillance and shame, higher body-esteem, and low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than the student group. Thes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still valid though the effects of age on those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the yoga group,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body-related values and self-objectification and body-esteem was low, and the body-esteem had no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the behavioral intension. In case of the college student group, the mediatory role of the self-objectification variable and the body-esteem in terms of the intension about plastic surgery was cleary demonstrat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전문여성요가인 153명과 여자대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신체가치관과 객체화 신체의식, 신체존중감, 성형수술의도 등을 비교하고 신체가치관이 성형수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객체화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이 매개하는 인과적 모형을 검증하였다. 요가인 집단은 여대생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신체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존중감이 더 높고 주관적 안녕감도 더 높으며 성형수술의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인과적 모형의 적합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요가인 집단과 여대생 집단에서 인과적 관계의 양상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의 함의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여대생의 신체구성,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의 차이

        박성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body composition,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PA) in female college students. 82 female students of the S university in C city were chosen.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composed of open questions about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as well as a short-version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IPAQ). Body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BMI or body fat(%) levels between the levels of PA. However, students with a moderate PA level had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and lower stress levels than students with a low PA leve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s, the higher the physical self-efficiency will be and that there will be lower stress levels.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신체구성,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신체활동량,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신체활동 수준 분류는 국제신체활동설문(IPAQ)을 통해 신체활동량을 점수화하여 저활동군, 중활동군, 고활동군으로 분류하였다. 신체활동량 분석 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들 중 53.6%는 중활동군으로 분류되었고, 46.4%는 저활동군으로분류되었다.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자기효능감 점수는 중활동군이 저활동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점수는 중활동군이 저활동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긍적적 영향을 주고, 스트레스 수준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