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유전독성 발암물질의 검색에 관한 연구(Ⅱ)

        김종원,한의식,박미선,엄미옥,전혜승,정해관,오혜영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의약품등록의 국제적합의를 위한 협의체(IC딨 . Interna금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of TecHnological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fharrnaceuticats for Human Use)에서 제시하는 유전폭성시험법에서 검색되지 않는 비유전독성 발암물질을 위한 새로운 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1차년도 연구에서 이러찬 물질에 대한 검색 가능성을 나타낸 '생체외 소핵.시험'과 최근 환경변이원학계에서 새로이 그 유용성이 퍼두되고 있는 'Syrian hamster embryo (SHE) 세포형질전환 시험법'을 이용하여 알려진 두가지 좋류의 비유전독성 발암물질의 반응을 연구하였다. 생체외 소핵시험에서는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fTCDD)를 모델화합물로 선정하고, 사람유방 유래의 MCF-7, MCF-lOA,MDA-MB-231 세포를 사용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ERf 존재여부와 세포의 유형에 파른 소핵형성을 연구하였으며, 등시에 에스트로젠 길항제인 타목시펜에 대한 영향을 보았다. 또한 TCDD가 MCF극 세포의 세포주기예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소핵형성을 니-타렌 농도에서 flow cytometer를 이용한 세포주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TCDD는 MCF-lOA세포 (ER negative)와 MDA-MB-231세포 (ER negative)에서는 소핵형성이 디미하거나 전혀 증가하지 않았으나, 뽀Cf-7세포 (ER positive)에서 재현성있는 소핵형성을 유발하였으며, 타목시펜 (10 nUt)은 TCDD (IpM)에 의한 소핵형성을 최고 47.3% 까지 억제하였다. 근또글 세포주기분석결과 TCDD, tamoxi(on 단독처리군은 읍성대조군과 유사하몄으나,병용처리군에서는 GO#'Gl arrest를 유의성있게 유발하였다. SHE 세포 형질전환시험법에서는 1차년도 연구에서 생체외 소핵시험에서 양성의 결과를 나타낸 bisphenoB A을 모델화합물로 하여 연구하였다. 시험조건하에서 blsphenol A(31.2SfM, 48시간 연속처리)는 세포혈질전찬을 유발하였다. 상기 연구결과로부터 비유전독성발암물질은 기존의 유전독성시험법중 생체왹 소핵시험(에스트로젠 수용체 양성인 세포주)과 세포형질전환#·1험(Syrian hamster 배자 초대배양세포)에서 시험계의 선택 여부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전독성 지표를 검색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에서 양성을 나타낸 세포의 세포주기 관련인자의 발현변확 등에 대한 작용기전 연구가 진행되어 새로운 생체지표를 이용한 시험법의 개발이 될 것이다 To identify nongenotoxic carcinogens which are not indentified by ICH (Internation Harmonization of I'echnological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guideline-recommended standard genotoricfty test battery, two endpoints were chosen. They are in vitro micronilcleus 3ss3y which was useful to indentify for bisphenol Aand DEHP last year's study and in vitro 51'rian hamster embryo (SHE) ceBl transformationassay which was recently recognized as a useful tool to detect nongenotoxic carcinogen as wellas genotoxic carcnogen by Environmetal Mutagen Society. In the in vitro micronucleus assayusing MCF-7 cells, TCBD is all negative in standard genotoxicity test battery; Ames test,chromosome abem·ation assay, mouse 3ymphoma tk+/- assay, in vivo micronuclelts assay.therefore TCDD if picked up as a model compound- TCDD atso induced micronucleusformatio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N formation and estrogen receptor (ER),TCDO, BPA, and DEHP were studied using hfCF-7 cells (ER positive) and in MCF-tOfL cells(ER negative), MDA-MB-231'ce31s (ER negative). TCDD induced MN formation in bfCF-7celts (ER positive) but not or little induced MN fornlation in MCF-lOA cells (ER negative) andMDA-MB-231 (ER negative). BPA and DEHP didn't induced MN formation in MCF-lOA cells(ER negative). NP didn't induce MN formation in CHt cells but induced MN formation inMCF-7 cells, We also have included the effect of estrogen inhibitors, tamoxifen, against TCDDinduced MN formation. Tamoxifen inhihited TCDD-induced UtN formation up to 4f.3% in,4fCF-7 cells. in cell cycle analysis using flow cytorneter, 1'CDD (1 pM), tamcrifen (10 nM)didn't change cell cycle phase compared with that of negative control but, tamoxifen (10 nhf)with TCDD (1 pM) induced GO/Gl arrest significant]y. Inferring for the result above 4compounds (BPA, EIEHP, TCDD, NP), we concluded the in vitro micronucleus assay vsingMCF-7 cells is a good test method for detecting nongenotoxic carcinogen and identifying thegenotoxicity of endocrine distruptors. In the in vitro SHE celt transformation assay, bisphenol Ais picked up as a model compound. Treated for 48 hr, Bisphenol A induced morphotogicaltransformation significantly.'Strategy and methological approach for identification ofnonBenotoxic cartifogen in vitro'That to identify nongenotcxic carcinogens wllich are notidentified by standard genetic toxicology test battery should be included with additive endpointsIs convincing.

      • KCI등재

        당귀용회환의 抗癌作用에 關한 實驗的 硏究

        문종진,李昌炫,李光揆 대한동의병리학회 1999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3 No.2

        당귀용회환(DYHE)의 抗癌作用을 確認하기 위하여 人體 癌細胞株인 MOLT-4, K562, HL-60, Jurkat, HeLa, Hep-G2, 생쥐 癌細胞株인 L1210, P815, S180, Yac-1에 對한 細胞毒性에 미치는 影響을 測定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DYHE는 Hep-G2 細胞를 除外한 모든 癌細胞株에 對해 細胞毒性을 나타내었으며, 免疫細胞인 胸線細胞 및 脾臟細胞, 纖維芽細胞인 3T3 細胞株에 對해서도 細胞毒性을 나타내었다. 2. DYHE 構成 藥材 中 黃連이 癌細胞株에 對해 가장 强力한 細胞毒性을 나타냈으며, 黃柏 및 木香은 모든 癌細胞株에 對해 弱한 細胞毒性을 나타냈다. 3. 황령, 梔子, 龍膽草, 靑黛, 노회, 大黃, 麝香 및 當歸는 癌細胞株에 對해 弱한 細胞毒性을 나타냈으며, 一般 癌細胞株에 對해서는 오히려 增殖을 促進시켰다. 以上의 實驗結果 당귀용회환은 癌細胞株에 對한 直接的인 細胞毒性작용을 나타내므로 抗癌作用이 있는 것으로 思料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ytotoxicity of Dangkwi-Yonghoe-Hwan extract (DYHE) on tumor cells. DYHE consists of Coptidis Rhizoma, Scutellariae Radix, Phellodendri Cortex, Gardeniae Fructus, Gentianae scabrae Radix, lndigo pulverata Levis, Aloe, Rhei Rhizoma, Moschus, Saussureae Radix and Angelicae Gigantis Radix. The cytotoxicity was determined by MTT method. DYHE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MOLT-4, K562, HL-60n, Jurkat, L1210, P815, S180, Yac-1, thymocyte, splenocyte and 3T3 cells. The cytotoxicity of Coptidis Rhizoma on the cancer cells was the most potent in the constitutive crude drugs. The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was partly inhibited and part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with Scutellariae Radix, Gardeniae Fructus, Gentianae scabrae Radix, lndigo pulverata Levis, Aloe, Rhei Rhizoma, Moschus and Angelicae Gigantis Radix. The proliferation of the cancer cells was weakly inhibited by the treatment with Phellodendri Cortex and Saussureae Radix. The proliferation of thymocytes, splenocytes and 3T3 cells was inhibited by the treatment with Coptidis Rhizoma and Phellodendri Cortex.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tumor activity of DYHE is due to a direct cytotoxicity on tumor cells.

      • KCI등재

        PC12 세포에서 β-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의한 세포독성에 향정신성 약물이 미치는 영향

        김태석,이철,이수정,도규영,김정진,백인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흰쥐의 PC12 세포를 이용하여 향정신성 약물이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β-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의한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PC12 세포를 배양한 후, 10μM 농도의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처리한 세포군에 항정신병 약물인chlorpromazin, haloperidol, risperidone과 항우울제인 amitriptyline, fluoxetine, moclobemide를0.1∼10μM 의 농도로 투여한 다음,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1)β-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처리한 세포군에서 chlorpromazin, haloperidol, risperidone은 PC12 세포에 대한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세포독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처리한 세포군에서 amitriptyline, fluoxetine, moclobemide는 PC12 세포에 대한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세포독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항정신병 약물인 chlorpromazine, haloperidol, risperidone과 항우울제인amitriptyline, fluoxetine, moclobemide는 PC12 세포에서 β-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의한 세포독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 대한 향정신성 약물의 효과가 신경전달물질의 생화학적 조절뿐만 아니라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하여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심단어:향정신성 약물·β-아밀로이드 단백질·세포독성·PC12세포. Objective: Amyloid βprotein(Aβ) has been regarded to be toxic to neurons in vitro. However, the mechanism of action leading to neuronal death remains unknown. In this study, we report the effects of psychotropic drugs, that are often prescribed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tic and depressive symptoms in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on the β-amyloid-induced cytotoxicity in rat pheochromocytoma(PC12) cells. Method: We treated antipsychotics(chlorpromazine, haloperidol, and risperidone) and antidepressants(amitriptyline, fluoxetine, and moclobemide) at 0.1 ∼10μM concentrations before application of Aβ(10μM), and compared with control in the absence of psychotropic drugs in cultured PC12 cells. Results: 1) Chlorpromazine, haloperidol and risperidone significantly reduced Aβ-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2) Amitriptyline, fluoxetine, and moclobemide significantly reduced Aβ-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sychotropic drugs in the treatment of dementia of Alzheimer's type may protect the neural cells as well as control neurotransmitter activites. KEY WORDS:Psychotropic drug·β-amyloid protein·Cytotoxicity·PC12 cell.

      • 한천중층시험법을 이용한 다양한 세포주의 티타늄 세포독성 비교

        노태희,이명화,이승연,정문진 대한구강해부학회 2017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38 No.1

        치과치료 시 다양한 합금과 레진 등의 재료들이 수복재, 보철재, 임플란트 식립 및 교정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 중 티타늄은 탁월한 물리적 특성과 생체적합성으로 인해 골유착률이 높아 임플란트 매식체와 교정용 미니스크류로 사용되고 있다. 치과재료는 ISO에서 제시한 한천중층시험법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생물학적 적합성 평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임플란트 매식체는 ISO 조항에 명시된 섬유모세포와 상피세포뿐만 아니라 뼈모세포와 시멘트질모세포 등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과 접촉할 수 있어 이러한 주변세포들에 대한 독성평가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ISO에서 제시한 섬유모세포(L-929)를 포함하여 뼈모세포(MC3T3-E1), 치은유래 섬유모세포(HGF-1), 시멘트질모세포(OCCM-30)를 이용하여 티타늄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고 비교 평가함으로써 구강 내 생체적합 재료에 적용할 수 있는 각 세포주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티타늄은 연마된 순티타늄 디스크를 사용하였으며, 음성 및 양성 대조군은 ISO에서 제시한 폴리에틸렌과 폴리우레탄 필름을 각각 디스크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한천 위에 각 디스크를 평균 간격 20㎜로 위치시킨 후 세포독성을 관찰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모든 세포에서 탈색지수(Decolorization Index; DI)와 용해지수(Lysis Index; LI)가 0이었다. 그러나, 양성 대조군의 DI는 L-929, HGF-1세포에서 2, MC3T3-E1, OCCM-30세포에서 3이었으며, LI는 모든 세포에서 5였다. 티타늄 디스크에서의 DI와 LI는 L-929, HGF-1, MC3T3-E1 그리고 OCCM-30세포에서 모두 0이었다. 본 실험 결과, 음성 대조군의 모든 세포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반면 양성 대조군에서는 세포독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티타늄 디스크군의 L-929, HGF-1, MC3T3-E1 그리고 OCCM-30세포는 모두 세포독성이 없었다. 따라서 ISO에서 제시한 L-929세포를 비롯하여 본 실험에서 사용한 HGF-1, MC3T3-E1 그리고 OCCM-30세포 모두 치과재료에 대한 세포독성 시험에서 표준 세포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창훈,김인령,김규천,김성식,순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6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는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교정치료를 하는 동안 치주조직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가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 이를 전통적인 접착법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와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시편은 임상에서 브라켓 접착 시 사용하는 Transbond XT Adhesive (3M Unitek, Monrovia, CA, USA)를 각각 Transbond XT Primer (3M Unitek, Monrovia, CA, USA), Clearfil SE bond (Kuraray, Osaka, Japan), Transbond Plus Self Etching Primer, Adper Prompt L-Pop (3M Unitek, Monrovia, CA, USA)과 혼합한 후 광중합하여 제작하였고, Transbond XT Adhesive를 중합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이를 배양된 HGF-1 (Human Gingiva Fibroblast),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RHEK (immortalized Human Epidermal Keratinocyte)에 노출시킨 후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고, MTT assay를 시행하여 세포독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72시간 후 HGF-1, HaCaT, RHEK를 이용한 실험에서 모든 프라이머의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나 세포 돌기의 위축, 세포 형태의 변화, 세포 수의 감소, 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다. MTT assay실험 시 HGF-1을 이용한 실험에서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Transbond Plus SEP, Adper Prompt L-Pop의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고, HaCaT를 이용한 실험에서 Clearfil SE Bond, Adper Prompt L-Pop, Transbond Plus SEP, Transbond XT Primer의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RHEK를 이용한 실험에서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Adper Prompt L-Pop, Transbond Plus SEP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는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프라이머와 마찬가지로 세포독성이 유의하게 높으므로 구강내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Objective: Several ions and components are released from self-etching primers in the oral cavity. This may cause injury to the periodontal tissues throughout orthodontic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ytotoxicity of self-etching primers to HGF-1 , HaCaT, and RHEK cells. Method: Transbond XT Primer (3M Unitek, Monrovia, CA, USA), and self-etching primers, Clearfil SE Bond (Kuraray, Osaka, Japan), Transbond Plus SEP (3M Unitek, Monrovia, CA, USA), and Adper Prompt L-Pop (3M Unitek, Monrovia, CA, USA), were evaluated by MTT assay, and cellular changes were also observed, Results: In all cells after 72 hours with all primers, severe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atrophy and necrosis were observed. In the MTT assay using HGF-1,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Transbond Plus SEP, and Adper Prompt L-Pop were lined up in order of ascending cytotoxicity. When using HaCaT, Clearfil SE Bond, Adper Prompt L-Pop, Transbond Plus SEP, and Transbond XT Primer were lined up in order of ascending cytotoxicity. When using RHEK,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Adper Prompt L-Pop, and Transbond Plus SEP were lined up in order of ascending cytotoxicity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are is needed because self-etching primers show cytotoxic properties similar to conventional primers.

      • KCI등재후보

        수종 치과 교정요 밴드 시멘트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원철,박수병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4

        고정식 교정 치료시 교정용 밴드가 장착된 치아의 치주조직 손상은 접착된 치아에서 보다 자주 발생한다. 일반 치과치료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세포독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치주조직과 직접 접촉하거나 구강 내에서 밴드시멘트의 성분들이 용출되는 교정용 밴드 시멘트는 치주조직의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정용밴드 시멘트의 생체 친화성은 재료의 물성과 함께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용 밴드 시멘트의 세포독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현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zinc phosphate cement (ZPC), glass ionomer (GI),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RMGI), compomer의 생체 친화성을 평가하기 위해 human gingiva fibroblast를 배양하고 이 세포에 대한 세포수 산정 및 세포 형태관찰,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한천중층시험 등의 세포독성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세포수 산정 및 형태관찰 시험에서 GI > ZPC, RMGI, RMGI24, GI24 > compomer24, ZPC24, compomer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2. MTT assay 에서는 GI > ZPC, RMGI > GI24 > ZPC24, compomer, RMGI24, compomer24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3. 한천중층시험에서는 GI > GI24, ZPC, ZPC24, RMGI > RMGI24, compomer, compomer24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Orthodontic band cements are widely used in the fields of orthodontics, but they are commonly known as cytotoxic material. Within an oral cavity several ions and components are released from orthodontic band cements, thus causing inflammation or injury to the periodontal tissu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the biocompatibility of orthodontic band c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ytotoxic effect of orthodontic band cements to HGF cells. A zinc phosphate cement, a glass ionomer, a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and compomer were used to evaluate three cytotoxicity assays: cell proliferation assay, MTT assay, and agar ovelay ass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ell proliferation assay, GI > ZPC, RMGI, RMGI24, GI24 > compomer24, ZPC24, compomer> metal ring lined up in order of cytotoxicity. 2. In the MTT assay, GI > ZPC, RMGI > GI24> ZPC24, compomer, metal ring, RMGI24, compomer24 lined up in order of cytotoxicity. 3. In the agar overlay test, GI > GI24, ZPC, ZPC24, RMGI > RMGI24, compomer, compomer24, metal ring lined up in order of cytotoxicity.

      • KCI등재

        Glucose Oxidase에 의(依)하여 손상(損傷)된 배양척수감각신경절세포(培養脊髓感覺神經節細胞)에 대(對)한 음양곽(淫羊藿)의 효과(效果)

        박승택,이호섭,윤용갑,박병림,Park Seung-Taeck,Lee Ho-Sub,Yun Yong-Gap,Park Byung-Rim 대한한의학방제학회 1999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7 No.1

        척수감각신경절세포에 대한 산소자유기의 신경독성효과에 대한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Glucose Oxidase(GO)를 배양 척수 감각신경절세포에 처리한 후 GO의 독성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GO에 의하여 유발된 신경독성에 대한 음양곽(Epimedium Koreanum Nakai)의 방어효과를 MTT assay법에 의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GO는 신경세포에 처리한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또한 음양곽이 GO의 독성효과를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소자유기인 GO는 생쥐의 배양 척수감각신경절세포에 독성을 나타냈으며 음양곽과 같은 한약추출물이 GO의 독성을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o evaluate the neurotoxic effect of oxygen radicals in cultured mouse spinal dorsal root ganglion(DRG) neurons, cytotoxic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after cultured DRG neurons were grown in the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glucose oxidase(GO). In addition, neuroprotective effect of herb extract, Epimedium Koreanum Nakai was examined by MTT assay in cultured DRG neurons. Cell viability of cultured DRG neurons was remarkably decreased by GO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nd Epimedium Koreanum Nakai protected remarkably GO-induced neurotoxicity in these culture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oxygen radicals is toxic in cultured mouse DRG neurons, and herb extracts such as Epimedium Koreanum Nakai are effective in prevention of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oxygen radicals in cultured mouse DRG neur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신경세포성장인자로서 척수운동신경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한약재의 약류별 효능 및 기전에 관한 연구

        鄭遇悅,朴承澤,成彊慶,李星根 대한동의병리학회 1998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2 No.2

        산소자유기가 흰쥐의 배양 운동신경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에 대한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산소자유기를 배양 신경세포에 처리한 후 산소자유기의 신경독성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산소자유기에 의하여 유발된 신경독성에 대한 한약재중 보혈약류와 보기약류의 대표적인 처방인 사군자탕과 사물탕의 신경세포독성의 방어효과를 MTT assay법에 의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Xanthine oxidase(XO)와 hypoxanthine(HX)은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배양 신경세포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또한 사물탕과 사군자탕이 XO/HX의 독성효과를 유의있게 방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소자유기는 배양 소의 희소돌기아교세포에 독성을 나타냈으며 사군자탕과 사물탕등의 한약추출물이 산소자유기의 독성을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Sagunjatang and Samultang on oxidant-induced neurotoxicity in cultured rat spinal motor neurons, the colorimetric assay such as MTT assay was performed and light microscopic study was also carried out after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from neonatal rat were treated with the medium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xanthine oxidase(XO) and hypoxanthine(HX) for 3 hours. In addition, protective effect of herb extracts on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oxygen radicals was examined in these cul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Cell viability of cultured rat spinal motor neurons which were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30mU/ml XO and 0.1mM HX for 3 hours, was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MTT50 value was 30mU/ml XO and 0.1mM HX after motor neurons were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XO/HX for 3 hours.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showed degenerative changes such as the decrease of cell number and loss of cell processes when neurons were cultured in the medium containing 30mU/ml X0 and 0.1mM HX for 3 hours. Oxygen radicals were toxic on cultured rat spinal motor neurons by the decrease of cell viability. Herb extracts, Sagunjatang and Samultang prevented the oxidant-induced neurotoxicity significantly after spinal motor neurons were preincubated with herb extractions for 2 hours before exposure of oxygen radic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xygen radicals have neurotoxic effect on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derived from neonatal rat, and selective herb extracts such as Sagunjatang and Samultang are very effective in protecting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oxygen radicals.

      • KCI등재

        생쥐의 運動神經細胞에 대한 납의 毒性效果

        朴承澤,禹元洪,金仁淑,金渶鉉,鄭遇悅,徐銀俄,崔英子 대한동의병리학회 1999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3 No.1

        생쥐의 배양 척수운동신경세포에 대한 납의 신경독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lead acetate에서 신경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분석법에 의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lead acesate는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감소시켰다. 또한 5μM lead nitrate가 포함된 배양액에서 생쥐의 척수운동신경세포를 6∼48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처리한 시간에 따라 유의한 세포생존율의 감소를 보였으며, 또한 MTT50 값이 24시간에서 나타났다. lead acetate는 Borenfreund등(1988)의 독성판정기준에 의하여 생쥐의 배양 척수운동신경세포에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lead acetate가 생쥐의 배양 척수운동신경세포에 강한 신경독성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o examine the cytotoxic effect of lead acetate(LA) on the cultured mouse spinal motor neurons,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fter mouse spinal motor neurons were incubated with media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LA for 24 hours. LA decreased cell viability of mouse spinal motor neur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MTT50 value was at 5μM LA after spinal motor neurons were cultured for 24 hours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MMC. LA was heighly toxic on the cultured motor neurons by the toxic criteria of Borenfreund et al.(1988).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LA shows severe neurotoxicity by the decrease of cell viability in cultured mouse spinal motor neurons, and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are effective in screening the putative ag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