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구조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비관성의 조절효과

        염연옥,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hich are psychologic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ucture(single parent family or both parents family)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Furthermor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student's optimism/pessimism,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is mediating pass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981 high school students(476 males, 505 females; 888 both parents family, 93 single parent family) who completed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Life Orientation Test. For analy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goodness of fit and multiple sample analysis, which allows testing whether a pattern of relationship is invariant across different samples, were used. The results follow. First, it was revealed that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 in the process which family structure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This shows that family structure affects achievement motiv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ffects academic self-efficacy, and finally academic self-efficacy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ile optimism did not have any moderating effects, pessimism moderated only the pathway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preventing the decline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one parent families, it is needed to enhance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to reduce their pessimism as risk variable through educational counseling. 본 연구는 가족구조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전 연구들에서 다루어 왔던 환경 및 부모 변인 대신에 자녀의 개인 특성변인에 주목하여 매개와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가족구조 → 성취동 기 → 학업적 자기효능감 → 학업성취의 경로모형을 구성하여 성취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 증하고, 나아가 이 모형의 성취동기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낙관성/비관성의 조절효과를 검 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소재한 8개 고교 총 981명(남학생 476명, 여학생 505명)에게 성취동기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삶의 지향성 검사를 실시한 다음,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구조와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성취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 역 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양부모 한부모가정의 여부는 자녀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쳐 한부모가정의 자녀일 수록 성취동기가 낮고, 성취동기가 낮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고, 이는 결국 학업성취 저하를 가져오게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비관성은 성취동기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학생의 성취동기수준이 높을 때, 높은 수준의 비관성을 갖게 되면 낮은 수준에 비해 훨씬 더 크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떨어뜨려, 높은 성취동기에도 불구하고 상응하는 학업성취를 얻지 못하게 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한부모 가정 자녀의 학업성취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한부모가정 자녀의 성취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을 증진시키고 비관성이 주는 부정적 영향을 낮출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아동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성취압력과 성취동기 차이 연구

        길경숙,양연숙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9 自然科學 Vol.20 No.-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성취동기 간에 차이가 나타나며,부모의 성취압력에 따라 아동의 성취동기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 5, 6 학년 203명을 대상으로 성취동기와 부모의 성취압력에 대한 질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성취압력은 여아보다 남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 성취동기 또한 여아보다 남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성취압력과 성취동기의 상관관계에서 남아는 책임감만이 부모의 성취압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여아의 경우 모험심과 책임감이 부모의 성취압력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부모의 성취압력은 아동 자신의 발전과 사회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는 성차가 존재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및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성취동기 사이의 종단적 관계

        황희봉,주은선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identity, achievement motivatio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ed on developmental change by finding longitudinal effects of national identity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achievement motivation,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4th one (1st grade in middle school) in 2014 to the 9th one (3rd grade in high school) in 2019 among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urveyed by the Korea Adolescents Policy Institute. The analysis cases was 1,072 people who responded to all surveys during the perio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5 and Mplus8, an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initial value(in 1st grade of middle school) of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achievement motivation increases. Second, the initial value(in 1st grade of middle school) of national identity did not a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achievement motivation. Third, the higher the rate of change of national identity as age increase, achievement motivation become higher. Fourth, the rate of change in achievement motivation of male student become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s age increases. Fifth, the higher the initial value(in 1st grade of middle school) of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increases. Sixth, the initial value(in 1st grade of middle school) of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oesn’t have no effects on he rate of change in achievement motivation, Seventh, as the rate of change in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creases, the rate of change in achievement motivation also become higher. The rate of change is more important that the initial value in national identity and in the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in increasing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result shows active support is needed to promote steady development of national identity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prevent the decline in the rate of increase in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growing into late adolescence.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및 이중문화수용태도가 성취동기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이 두 요인과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 사이의 관계를 변화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다문화청소년패널 중 2014년 4차(중1) 자료부터 2019년 9차(고3) 자료까지를 활용하였으며, 해당 기간 조사에 모두 응답한 1,072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Statistics25와 Mplus8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1 시기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이 높을수록 성취동기도 높았다. 둘째, 중1 시기 국가정체성 수준은 성취동기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연령 증가에 따른 국가정체성 증가 폭이 클수록 성취동기가 높았다. 넷째, 연령 증가에 따라 남학생의 성취동기가 증가 폭이 더 크며, 여학생의 성취동기 증가 폭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1 시기 이중문화수용태도 초기값이 높을수록 성취동기도 높았다. 여섯째, 중1 시기 이중문화수용태도 수준은 성취동기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연령 증가에 따른 이중문화수용태도 증가 폭이 클수록 성취동기 변화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중고교 시기 성취동기는 해당 시기 국가정체성과 이중문화수용태도 초기값보다는 발달 속도와 관련되므로 이러한 사회정체성 관련 요인의 변화를 촉진하는 꾸준한 개입이 필요하다. 더불어 청소년기 후기로 갈수록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성취동기 증가 속도 저하를 막기 위한 관심이 필요하다.

      • KCI등재

        유아 성취동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두연,김덕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mprove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young children by seeing if it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an appropriate program of achievement motivation for young children. In order to perform this purpose, I analyzed literatures and previous studies on achievement motivation programs and extracted appropriate contents for achievement motiv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collecting opinions of education experts. The subjects consisted of 37 young children aged 5 from H kindergarten (experimental group:20) and M kindergarten(comparison group:17) in Gwangju city, treated 16 times over 16 weeks to identify effects of the program on achievement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t post-test1, which had immediate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than the comparison group2, and the comparison group1 had significantly higher confidence, a factor of the components of achievement motivation, than comparison group2. At post-test2, which had delayed effects, it was also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than the comparison group 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gram provides the desirable direction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oretical base and implications for specifically applicable methods in young children's education field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chievement motiv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e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achievement motivation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들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유아들에게 적절한 성취동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성취동기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성취동기 프로그램에 대한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유아교육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유아의 성취동기 프로그램에 적합한 구성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H유치원(실험집단: 20명)과 M유치원(비교집단: 17명) 만 5세 유아 37명을 선정하여 16주간 16차시를 적용하였으며, 유아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성취동기에 대해 즉시효과를 본 사후검사1과 사후검사2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성취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동기 구성요인 과제지향, 자신감, 흥미․즐거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성취동기의 방향과 구체적인 적용방법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 성취동기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의 차이

        방희원(Bang, Hui-Won),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8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에 대한 설 문을 실시하였으며, 성취동기 수준을 구분하기 위해 성취동기 총점을 기준으로 상,하 수준을 각 50%로 범주화한다음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몰입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몰입이 낮다. 둘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업적 정서조절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낮다. 셋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전략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전략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전략이 낮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을 학습상황에 맞게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데 중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성취동기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를 위한 학습-상담-진로-취업의 연계프로그램 등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863 undergraduate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Busan were sampled for the study.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Learning Flow Scal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cale, Learning Strategy Scale were used. To distinguish achievement motivation levels,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4.0 program, categorizing the upper and lower levels into 50% of each based on the total score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flow. Seco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differ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motivation level of achievement, the high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e low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low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depending on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strategy.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strate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ary and active control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integrated and systematic programs such as learning-counseling-career-employment linkage for learners.

      • KCI등재

        e-Learning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성취동기 요인 규명

        하영자 ( Young Ja H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e-Learning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성취동기의 영향을 살펴보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성취동기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성인학습자의 e-Learning 학습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동기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연령, 근속년수, 직군 및 직급, 학력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성취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성취동기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개인지향 성취동기가 유의수준 .001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지향 성취동기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e-Learning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취동기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성취동기 중 학습자의 개인지향 성취동기가 학업성취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강화할 수 있는 조직환경과 학습문화의 조성, 학습형태 및 방법, 평가 등에 대한 고민과 실행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에 대한 구체적 전략을 간단히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impa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mong adult learners in e-Learning environment and consequently to come up with strategies on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for adult learner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achievement motivation due to demographic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e-way ANOVA was performed. At significance level .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chievement motivation by age, years of employment, job category, job class, and level of edu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To examine the impact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motivation has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with significance level .001 but does not affect learners` satisfaction. Further analysis into the sub categories of motivation shows that individual-oriented motivation has impact on learners` achievement with significance level of .001 while social-oriented motivation does not. This analysis result indicates that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of adult learners in e-Learning environment, strategies to boost motivation have to be developed. In other words, ways to boost individual-oriented motivation will have to be studied and executed in various aspect of e-Learning including environment, learning culture, learning mode and methods, and evaluation.

      • KCI등재

        중학생의 성취 목적과 학업 동기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안도희,이유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4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goals,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291 junior-high school students, 276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 yielding a total response rate of 94.85%. They were enrolled in Grade 1 at six junior-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ir average age was 12.92 years (SD=.34). Measures of the achievement goals(mastery,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cademic motivation(intrinsic, extrinsic, amotivation), and school achievement were obtain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were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students'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s affected their achievement via amotivation; their performance-approach goals affected their achievement via extrinsic motivation; and students with mastery goals can facilitate them to lessen the degree of amotivation and to eventually improve their achievement. Students with performance-approach goals can facilitate them to increase the degree of extrinsic motivation and to eventually improve their achievement. Moreover, students with performance-avoidance goals can facilitate them to pursue the degree of amotivation and to eventually undermine their achievement.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취 목적(숙달, 수행접근, 수행회피), 학업 동기(내재적, 외재적, 무동기) 및 학업 성취가 어떠한 상호 관련을 갖고 있는지, 성취 목적이 학업 동기를 거쳐 학업 성취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시 5개 구에 소재한 5개 중학교 1학년 학생 291명이었으며, 이들 중 응답이 불성실한 학생들을 제외한 나머지 276명(회수율: 94.85%)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12.92세였다(SD=.34). 본 연구 결과, 학업 성취는 성취 목적 중 '수행접근' 요인 및 학업 동기의 '외재적'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학업 동기의 '무동기' 요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성취 목적이 학업 동기와 학업 성취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성취 목적 중 '숙달' 요인과 '수행회피' 요인이 학업 동기의 '무동기' 요인을 거쳐 학업 성취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 목적의 '수행접근' 요인은 학업 동기의 '외재적' 요인을 거쳐 학업 성취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 목적의 '숙달' 요인과 '수행접근' 요인 모두 학업 성취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반해, 성취 목적의 '수행회피' 요인은 학업 성취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청소년들이 숙달 지향적인 성취 목적을 지닐수록 학업에 대한 무관심의 정도가 낮아지는데 반해, 이들이 수행회피 지향적인 성취 목적을 지닐수록 학업에 대한 무관심의 정도가 높아지며, 이들의 학업에 대한 무관심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학업 성취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수행접근 지향적인 성취 목적을 지닐수록 외재적 동기가 높아지며, 이는 곧 학업 성취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수학 내재적 동기 수준에 따른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이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정희선 한국학교수학회 201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과 수학 내재적동기의 영향력과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내재적동기의 수준에 따라, 수학 내재적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사의 성취압력은 수학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학 내재적동기 중·하집단에서는 교사의 성취압력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수학 내재적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수학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수학 내재적동기가 중·상인 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수학 학업성취도에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을 통해 수학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and par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in mathematics.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was meaningfu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in the analysis including the interaction of intrinsic motivation in mathematics. The students with high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influenced in a negative manner. Meanwhile the students with middle or low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influenced in a positive manner. The result implie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consider the level of mathematical intrinsic motivation, when teachers accomplish an achievement pressure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On the analysis including the interaction of intrinsic motivation of mathematics,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showed positive effect in gener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students with high or middle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highly influenced in a positive manner than the students with low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 implies the necessity of the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accomplishing pressure on students as the high degree of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leads to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 KCI등재

        노인 휴대폰활용교육 대학생 봉사자들의 자원봉사 참여동기, 성취, 만족도

        한정란(Han, Jungran)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봉사자들이 어떤 동기에서 봉사에 참여하며, 활동을 통하여 무엇을 얻는지, 그리고 이러한 참여동기 및 성취가 봉사활동 만족도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1년 3월 21일부터 2012년 2월 29일까지 총 11개월에 걸쳐 전국 58개 노인복지관에서 진행된 노인 휴대폰활용교육에 참여했던 대학생 봉사자 615명(남자 245명, 여자 367명)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참여동기, 성취,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로는 Clary & Snyder(1999)의 VFI(Volunteer Functions Inventory)를 활용하였는데, 참여동기 30문항, 성취 12문항, 만족도 5문항이었으며, 동기와 성취는 각각 경력, 가치, 이해, 강화, 방어, 사회성의 6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 봉사자들에게서 봉사활동을 통해 심리적으로 성장하거나 자기계발을 추구하고자 하는 '강화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이해동기', '가치동기', '경력동기', '방어동기', '사회성 동기의 순이었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을 마친 후 대학생 봉사자들이 얻은 성취는 '사회성 성취'가 가장 높았고, '강화성취', '경력성취', '이해성취', '가치성취', '방어성취' 순이었다. 셋째, 참여동기와 성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성, 경력, 강화, 가치, 방어, 이해의 순으로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가치 영역은 유일하게 동기보다 성취가 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참여동기와 성취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고동기ㆍ고성취, 고동기ㆍ저성취, 저동기ㆍ고성취, 저동기ㆍ저성취의 4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봉사활동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고동기ㆍ고성취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저동기ㆍ저성취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참여동기보다 성취가 봉사만족도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생의 노인 대상 자원봉사정책 및 관련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tivations, benefits, and satisfactions of the college student volunteers. We carry out the pre-to-post survey with 615 college student volunteers (male 245, female 367)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mobil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funded by a Telecom. The instruments consist of VFI (Volunteer Functions Inventory) developed by Clary & Snyder (1999), including 30 items for motivations, 12 items for achievements, and 5 items for satisfactions of volunteering. The items for motivations and achievements are comprised of 6 subcategories: career, value, understanding, protective, enhancement, and soc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Enhancement motivation is the highest, followed by understanding, value, career, protective, and social motivation. ② Social benefit is the highest, followed enhancement, career, understanding, value, protective benefit. ③ The difference between motivation and benefit in social category is the largest, followed by career, enhancement, value, protective, and understanding category. While benefit is higher than motivation in all other categories, motivation is higher than benefit just in value category. ④ High motivation-high benefit, high motivation-low benefit, low motivation-high benefit, and low motivation-low benefit groups are dichotomized by the median of each motivation and benefit. In all six categories, high motivation-high benefit group shows the highest satisfaction, but low motivation-low benefit group shows the lowest. In short, benefit shows stronger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than motivation does. Finally, we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of college students' volunteering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요인이 인지전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검증

        류지헌,임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요인, 인지전략, 학업성취에 대한 인과관계의 검증이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7개 초등학교의 4, 5, 6 학년이었다. G시를 대상으로 7개 초등학교에 대한 무선표집을 실시하였고, 각 학교별로 4, 5, 6학년을 대상으로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학생은 1,374명으로 4학년 446명, 5학년 439명, 6학년 438명이었다. 자기결정성 동기요인은 외적 조절, 부과된 조절, 확인된 조절, 내적 조절로 구분되었으며, 인지전략은 정교화, 조직화, 초인지 전략으로 구분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학년별로 연구모형이 구성되었으며, 모형적합도 지수는 각 학년별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4학년의 모형적합도지수: χ2=14.897, df=10, p=.136, RMSEA=.033, GFI=.992, 5학년의 모형적합도 지수: χ2=14.240,df=10, p=.162, RMSEA=.031, GFI=.992, 6학년의 모형적합도 지수: χ2=11.517, df=10, p=.319,RMSEA=.019, GFI=.993).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지전략은 4, 5, 6학년 모두에서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자기결정성 동기요인 중에서 외적 조절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도인지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자기결정성 동기요인이 직접적으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즉, 4학년에서는 자기결정성 동기요인은 학업성취에대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 않았으나, 5학년에서는 자기결정성 동기유형 중에서 확인된 조절과 내적 조절이 학업성취에 대한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는데, 확인된 조절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내적 조절은 부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6학년에서는 자기결정성동기유형 중에서 외적 조절과 내적 조절이 학업성취에 대하여 부적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내적 조절이 가장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유형임에도 불구하고 부적 영향력을 보인 것은 학업성취평가를 전제로 하고 있는 학교학습 환경에 의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이 밖에도 이 연구를 통하여인지전략에 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결정성 동기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인지전략이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주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기결정성 동기요인도인지전략의 촉진을 위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alfactor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cognitive strategy, and acdemic achievement for elementar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or 4th, 5th, 6th graders. The structuralequation model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with Amos 7.0. The goodness of model-fit was evaluated to meet the recommended criterion of χ2 test, RMSR, RMSEA, CFI, and AGFI.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use of cognitive strategy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able variables for learning achievement. In addition, the motivational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had positive impacts on the use of cognitive strategies. These result supported previous studies arguing that motivational factors were key variables to predict the power of cognitive use. However, some unpredicted results were revealed.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direct effect of motivational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for the 4th grader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the intrinsic regulation had negative impa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re were mediated effects between motivational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further stud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 levels of knowledge and/or cognitive aspects is affecting the effect of motivation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