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론봇의 윤리적 편향성 방지를 위한 고려 요인

        류지헌,김국현,정무석 한국인터넷윤리학회 2019 The Digital Ethics(디지털 윤리) Vol.3 No.2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ttempts to use chatbot in education are increasing. Debate Bot wit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can communicate naturally with user by recognizing users' Intentions and context. Debate Bot can be used for debate education. Learning debate can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data analysis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t is difficult to conduct the debate at the school site due to time limitation and participation issues. Debate Bot can solve these problems by providing users with automated responses. However, various ethical issue such as data bias can arise because what chatbot say is provided by algorithm based on collected data.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ed principle for developing debate chatbot. As result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was to eliminate designer’s bias on collecting data. And inhuman like conversation needs to be removed for make the communication be more human like.

      • KCI등재

        소대전술 교수를 위한 하이퍼텍스트 설계에 대한 연구

        류지헌 陸軍士官學校 1995 한국군사학논집 Vol.49 No.-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sign and develop the courseware that is based on structured hypertext technique. Courseware development in Korea has been developed after PLATO project performed by KIST in 1981. But courseware implementation is not active in the reason that use of the machine(computer) is not proper to the educational situation. The negative opinion on the application of computer in learning environment is related to the functional limitation of courseware. Also this point of view means that the courseware has a limitation to promote the acquisition of advanced knowledge. But hypertext is a new learning system which allows the learner to access a large body of information and to acquire an advanced knowledge. Hypertext is based on the constructivism, especially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The learner of a hypertext can modigy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ir interest, motivation and cognitive style. This learner control permitted by the informational navigation makes the learner to construct their knowledge. The courseware designed in this study in named [PLATOON TACTICS]. In this courseware, main function of the general hypertext theory is compiled. And hypertext shell is developed to append item and modify data of learning content.

      • KCI등재후보

        과제수행에 대한 사전지식 및 인지부하요인의 경로분석

        류지헌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4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과 같은 학습자의 전문성 수준을 고려하여 인지부하요인과 학습수행에 대한 경로모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217명(남학생: 52명, 여학생: 165명)이었으며,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섯 요인(신체적 노력, 정신적 노력, 과제 난이도, 자기평가, 자료설계)으로 구성된 인지부하모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에 대한 경로모형을 설정하였다. 자기평가와 과제 난이도는 사전검사(학습자의 전문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경로를 구성했으며, 정신적 노력, 자료의 설계, 신체적 노력은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상관없는 요인으로 경로를 구성했다. 초기의 모형적합도 지수는 CMIN=27.94, df=10, p<.05, GFI=.97, IFI=.96, CFI=.96, TLI=.91, RMSEA=.09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제곱 및 RMSEA의 지수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초기경로모형에 대한 수정을 실시하였다. 신체적 노력과 과제 난이도 사이에 오차 공변량을 설정함으로써 모형을 수정했으며, 모든 적합도 지수가 수용수준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CMIN=11.28, df=9, p=.26, GFI=.99, IFI=.99, CFI=.99, TLI=.99, RMSEA=.03). 또한 경로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경로의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의 경로모형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로는 사전검사 → 사후검사(전체효과=.61)였으며, 자기평가가 과제난이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전체효과=-.54). 이 연구를 통하여 1) 다차원적 관점에서의 인지부하요인을 설정할 수 있었으며, 2) 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서 종합적인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3) 학습자 중심의 적응적 인지부하이론이 개발될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전문성 역전효과와 같이 학습자의 전문성 정도에 따라서 인지부하이론의 적용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한 교수설계전략이 필요하다. 인지부하이론을 위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계량화된 형태의 타당화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인지부하의 결과를 객관화함으로써 교수과정에서의 효율성을 측정하거나 비교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학습자의 사전지식이나 전문성을 반영한 인지부하이론을 구성함으로써 인지과정을 역동성과 학습맥락을 고려한 설계이론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동기요인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re have been critical debates around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nd the framework for the cognitive load theory. First, the discussions have brought some key them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formance and cognitive load constructs. Second, there are some ways to reflect on the purpose of using a cognitive structure course for the cognitive load theory. Third, there are multidimensional aspects to measure cognitive loads. Along with the tenets of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load theory, a path model was tested. The total number of the participants in this project was 217 (male: 52 - 24.0%. female: 165 - 76%). Five multidimensional constructs (mental efforts, physical effort, material design, self-evaluation, and task difficulty) and pre- and post-tests were analyzed. In order to build a path model, the pre-test scores were linked to self-evaluation and task-difficulty; however, other constructs were not linked according to the pre-test scores. The initial analysis suggested that a modification in the model. Then a covariance link was added. The overall goodness of fit for indices indicted satisfying the path analysis. All indices of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to meet the acceptable criterion. The indices were revealed as CMIN=11.28, df=9, p=.26, GFI=.99, IFI=.99, CFI=.99, TLI=.99, RMSEA=.03.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a multidimensional aspect of cognitive load is acceptable and applicable to building a path model. Consideration of learners activities was required to build an adaptive cognitive load theory for various instructional settings. Specifically,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more reflected to explain certain concepts such as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 KCI등재

        실감형 가상현실에서 Head Mounted Display가 과제수행시간 및 가상실재감 요인에 미치는 영향

        류지헌,유승범 한국감성과학회 2016 감성과학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play on time on tasks and virtual presence in the immersive virtual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monitor conditions were compared whe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navigation tasks in a virtual classroom. Time on tasks and virtual presence were measured. Three factors of the virtual presence were applied as dependent variables such as 1) spatial presence, 2) involvement, and 3) realness. The results showed that HMD condition took longer time to finish tasks than monitor conditions. HMD condi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from all of the virtual presence factors. Interestingly,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display conditions and presence fa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lay types and virtual presence factors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y.

      •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걷기동작을 적용한 내비게이션이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류지헌,김선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이 연구는 가상현실 학습환경에서 내비게이션 방법에 따라서 사용자가 지각하는 가상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걷기동작을 반영하기 위해서 트레드밀과 가상현실을 접목해서 구현했다. 2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석굴암을 학습내용으로 구성했으며, 일제강점기에 진행된 복원 이전의 모습과 복원공사 이후의 석굴암 모습을 가상현실로 구현했다. 총 24명의 대학생이 실험에 참가했다. 가상현실로 구현된 석굴암을 돌아다니면서 관련된 내용을 오디오 정보로 청취했으며, 트레드밀을 활용해서 걷기모드를 구현한 조건과 조이스틱을 사용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이 연구의 종속 변수는 가상실재감이며, 공간실재감, 몰입감, 사실감으로 구성되었다. 두 가지 가상현실 장면에서도 가상실재감에 대하여 유사한 반응이 나올 것인지를 검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두 조건 (과거 석굴암 장면과 복원 후 현재 석굴암 장면)에서 유사한 패턴이 나타났다. 트레드밀을 사용한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조이스틱을 사용하는 것보다 가상실재감을 유발하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트레드밀을 사용하면 조이스틱을 사용할 때보다 가상실재감 요인 중에서 공간실재감과 사실감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과거 석굴암 장면과 복원 후의 현재 석굴암 장면에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몰입감 요인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는데, 트레드밀을 사용하면 조이스틱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높은 가상실재감을 지각했다. 그렇지만 현재의 석굴암 모습을 재현한 장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과거 석굴암 장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공간이동이 필요한 가상현실 학습장면에서는 트레드밀을 사용하는 것이 학습자의 가상실재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성별에 따라서 사전지식과 ICT활용능력이 디지털교과서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류지헌,변호승,서정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사전지식 및 ICT활용능력이 디지털교과서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컴퓨터기반의 학습환경에서는 성차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교과서가 적용되는 학습환경에서도 이러한 성차문제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기반 학습환경에서는 학습자가 갖고 있는 컴퓨터활용능력이 학업성취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수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차와 컴퓨터활용능력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도시권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이며, 남학생 297명(51.74%)과 여학생 277명(48.26%)이었다. 구조방정식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형태동일성과 측정동일성 가정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에 따르면 다집단분석을 위한 기본가정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구성한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 판정에서 대체로 양호한 수준의 적합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학업성취에서 사전지식에 의한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CT활용능력에 따른 효과는 여학생집단과 남학생집단 사이에서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여학생집단에서는 ICT활용능력이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 고 있지 않았지만, 남학생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성차효과가 존재한다고 볼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ICT활용→사후성적 경로에 대한 여학생집단과 남학생집단의 모수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교과서 적용연구에서는 성차효과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것은 노트북효과(laptop effect)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ICT competency and gender have affected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settings. The literature reviews on computer assisted learning consistently show gender gaps in various aspects. These gender gaps was based on some of the following reasons, comfortableness of using computers, computer accessibility, ICT competency, and computer efficacy rather than on biological factors. Additionally,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se gender gap factors may not only come from school factors but also from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these literature reviews, it is worth identifying if there is a gender gap effect on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The analysis focused on testing how ICT competency and gender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CT competency level mediating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was also significant for mal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perhaps because of the laptop effect of applying digital textbook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use laptops, therefore, may decrease the gender gap.

      • KCI등재

        그림과 텍스트 자료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학습자의 인지부하 및 마인드맵 작성에 미치는 효과

        류지헌,정효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교수방법을 적용할 때, 학습유형(개별학습 vs. 협력학습)과 자료유형(텍스트 vs. 그림+텍스트)에 따라서 인지부하 및 마인드맵 작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대학생 61명이었으며 학습활동에 대한 측면과 마인드맵 작성의 측면을 분석했다. 협력학습은 다중작업기억 모형에 근거하여 개별학습을 수행할 때보다 학습자의 인지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협력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쉽게 공유인지를 형성할 수 있는 학습자료의 활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그림+텍스트 유형의 자료와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자료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인지부하요인에서는 자기평가에 서 유의미한 주효과가 나타났는데, 협력학습을 수행할 때 학습자의 자기평가 지각이 높아졌다. 또한 그림+텍스트 자료를 활용한 집단에서 더 높은 과제몰입이 나타났다. 협력학습 과정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서도 그림+텍스트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마인드맵의 평가에 대한 분석에서는 학습유형과 자료유형에 의한 상호작용이 유의미했다. 단순주효과 분석에 의하면 협력학습을 하면서 그림+텍스트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림+텍스트 자료를 개별학습에 적용하면 오히려 마인드맵의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학습을 위한 운영전략과 마인드맵을 사용한 교수방법의 운영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al material formats (visual and text vs. text only) and types of learning (individual learning vs. collaborative learning) on cognitive load, task flow, satisfaction of collaboration, and mindmap. Based on the cognitive load theory, multiple working memory perspective was proposed to enhance learning result by facilitate collaboration. Moreover, visual information is very effective to help learners to share their cognition with peers. In this study, there was a main effect by a collaborative learning on increasing learners' self-evaluation. However, visual and text information was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e task flow than text only information. Furthermore, the visual and tex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on collaboration proces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or the mindmap evaluation. It indicated that the visual and text information combined with collaboration is a more effective way to enhance learners' shared cognition.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collaborative learning and use of mindmap.

      • 방송대 전자교재 시범개발

        류지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정책과제 Vol.12 No.-

        스마트 기기의 확산에 따라 스마트 교육 서비스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 연구는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는 하나의 노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방송대의 전자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수립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특히, 이 보고서는 전자교재와 관련된 방송대학교 최초의 연구로서 향후 방송대 교육매체 및 교재개발과 관련된 정책 수립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 세 가지 방법이 적용되었다. 첫째, 방송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요구조사를 실시했다. 요구조사를 통해서 스마트패드에 대한 사용비율이나 기대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자료수집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서 초점집단을 활용한 심층조사가 함께 진행되었다. 요구조사의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현재 스마트패드의 활용빈도는 높지 않은 상황이지만, 학생들의 관심은 상당히 높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령 및 성별에 따라서 전자교재에 대한 인식의 수준이 매우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전자교재를 개발한다고 했을 때, 학습자들의 가독성이나 편리성 이외에도 교재의 실질적인 활용의도가 분명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전자교재에 대한 학생들의 사용의도를 조사했다. 이것은 기술수용모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전자교재가 개발될 경우에 실제로 그것을 사용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시범개발 뿐만 아니라 향후 전자교재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정책수립에 매우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함의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20대, 30대, 40대, 50대로 구분하여 연령대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대에 따라 사용의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20대에서는 매체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태도가 사용의도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런 매체의 용이성 지각은 사용의도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20대의 매체활용 비율이 높기 때문에 매체의 속성에 대하여 오히려 부정적인 기대를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30대에서는 자아효능감과 태도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다른 부정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요인은 없었다. 40대에서의 반응은 30대에서의 반응과 비슷한 점이 많았지만,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30대에서는 매체유용성이 태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40대에서는 아무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50대 이상이 되면 태도만이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매체의 실제적 활용경험에 근거하기보다는 당위적으로 사용해야한다는 생각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방송대에서 전자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연령대의 특징과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전자교재를 적용 및 확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과에서의 시범사업을 통해서 전자교재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먼저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연령대에 따른 기술수용모형의 변화에 따르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태도에 의해 사용의도가 결정되는 추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전자교재에 대한 개념이나 역할에 대한 충분한 공감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태도에 의해서만 사용의도가 결정되는 경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것은 구체적인 사용경험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지만으로 사용의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남학생들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사용의도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들은 사용의도에 대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은 매체사용 자체에 대한 인식이 남학생과 여학생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세 번째 연구방법은 전자교재 개발을 위한 프로토타입을 다양화하는 방법을 적용했다. 스마트패드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전자교재의 개발방법을 다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스마트패드의 운영환경이 다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프로토타입을 다양화하기 위해서 개발용 저작도구에 따른 개발유형을 다르게 구성하였고, 추후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성 평가 및 학습자 만족도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전자교재의 개발은 향후 방송대학교의 교재운영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디지털기기는 휴대성과 편리성에서 장점이 많으며, 사회전반에서의 디지털장비에 대한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를 고려한다면 방송대학교에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전자교재의 활용은 자연스러운 전환과정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쇄교재의 장점 및 기능이 확실하게 자리 잡고

      • KCI등재후보

        충전선로를 이용한 Damped Sinusoidal 전자기펄스 발생장치

        류지헌,Ryu, Ji-Heo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6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9 No.2

        A damped sinusoidal electromagnetic pulse generator was designed, fabricated and tested. The pulse generator consisted of an oscillator(a spark gap switch and an initially charged low impedance line) and a high impedance antenna. This generator was capable of producing damped sinusoidal pulses at closure of the spark gap switch. A Marx generator was employed to supply the Pulse generator with high voltage pulses. While the pulse generator was provided with the high voltage pulses of 200kV from the Marx generator, its output power was maximized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gas contained in the spark gap switch. The output power of the damped sinusoidal electromagnetic pulse oscillator was 1.3GW and the amplitude of electric field radiated from the pulse generator was 4kV/m at the range of 25m.

      • KCI등재

        학부모 상담을 위한 온라인 시뮬레이션에서 시나리오 단계에 따른 교사와 예비교사의 주의집중 및 정서변화 대한 차이 분석

        류지헌,김국현,양은별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2

        This study aims to design a virtual reality-based parent-teacher conference simulation for improving the conference skill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motion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to suggest counseling support for a parent-teacher conference. Parent-teacher conferences could evoke teachers’ emotional tension. Therefore teachers need to enhance their counseling skills for facilitating parent-teacher conferences. The experiment participants are total 42 people: in-service teachers(n=21) and pre-service teachers(n=21).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attention and emotional change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during interacting with the parent avatar. The emotional changes refer to emotional engagement and valence during parent-teacher conference simulation experience. Facial expression analysis(FEA) was used to identify the emotions. Four steps were included in the parent-teacher conference simulation: step 1: creating a cooperative atmosphere → step 2: recognizing problem behaviors → step 3: discussing solutions → step 4: requesting cooperation and finishing off.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ention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nd both groups,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had experienced negative valence during the parent-teacher conference simulation. There, however,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four steps. This study suggested the conference guidelines for parent-teacher conference simulation training. 이 연구는 교사와 예비교사의 학부모 상담 역량 증진을 위한 시뮬레이션 설계를 위한 것이다. 학부모 상담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는 교사와 예비교사의 정서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학부모 상담을 위한 수업 지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학교현장에서 학부모 상담은 교사들에게 긴장을 유발하는 상황이 된다. 따라서 학부모와의 상담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대응역량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현직교사 21명과 예비교사 21명이었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학부모 아바타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예비교사의 주의집중 및 정서변화이다. 정서변화는 상담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참여 및 정서가이다. 정서 분석은 시뮬레이션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의 얼굴표정을 수집해서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학부모 시뮬레이션은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①단계:협력적 분위기 조성→②단계:문제행동 인지하기→③단계:해결방안 논의→④단계:협조 요청 및 마무리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부모 시뮬레이션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주의집중 정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학부모 상담 과정에서 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부정적인 정서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와 예비교사는 상담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모 상담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한 수업지침의 제시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