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지역 전통상인의 경영특성과 역사적 의의 및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김홍섭(Kim Hong Seop) 한국경영사학회 2017 經營史學 Vol.84 No.-

        오랜 역사를 갖는 우리나라는 다양한 형태의 경제제도가 있었고, 경제활동 참가자들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우리나라는 시대에 맞는 경제, 상업 정책 그리고 농업, 공업 등으로 나라의 살림살이를 유지, 발전 시켜왔다. 우리나라에는 여러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경제활동과 상업활동이 발전되어 왔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도 각기 지역을 기반으로 상업활동이 발전해 왔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지역기반의 상업활동은 더 발전되었고 조선의 중, 후기에 이르러 지역상인들은 독자적인 조직과 체계를 유지하며 발전했다. 대표적인 지역상인으로 북쪽의 개성상인, 의주상인 중부의 경강상인과 남쪽에 병영상인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북쪽의 개성상인과 남쪽의 병영상인 두 상인 집단의 활동과 경영특성과 경영사상 등에 대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성상인의 활동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개성상인의 경영원리(사상)으로 근검 절약주의, 인화 단결 협동심, 도전과 신념, 한 우물파기/창의 개척정신, 신용 성실, 사회봉사로 정리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병영상인들의 상업활동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병영상인의 경영원리를 요약하면 도전정신, 통찰력, 신뢰경영, 효율과 근검 절약, 사회공헌 등을 핵심 경영원리(사상)으로 정리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런 경영원리들을 정리하여 현대 경영환경과 핵심 이슈들과의 관계에서 적용가능성과 한계 및 관련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적 경영의 전통과 이론들이 새롭게 조망되고 모색되기를 바란다. 다만 본 연구가 문헌적 조사, 분석에 머물고, 두 지역만을 대상으로 한 점에 한계가 있고, 더 구체적인 실증 자료와 폭넓은 사료들에 기초하지 못한 점은 추후 연구에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Our country Korea has had various economic systems and many participants of economic activities during its long history. With the appropriate economic and commercial systems and agricultural and industrial policy, this country has improved its national wealth and the life condition of its people. On the basis of regional background the economic and commercial activities have been progressed in this country and it has been same in the age of Samkook and Korea Dynasty. In the age of Chosun Dynasty the regional based commercial activities have been more enhanced. And in the mid-last half age of Chosun Dynasty regional merchants have their original organizations and systems. The typical regional merchants are in northern area, GaesungsangIn(songsang) and EyjusangIn(mansang), in central area KyungkangsangIn(Kyungsang) and in southern area ByungyoungsangIn(Byungsang). In this paper, GaesungsangIn and ByungyoungsangIn are investigated on their activities, management characteristics, management thoughts and principles. After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activities of GaesungsangIn, we can classify the management principles of GaesungsangIn as diligence and frugality, human harmony and collaboration, challenge and conviction, digging of one well/ frontier sprit, trust and fidelity and social service. After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activities of ByungyoungsangIn, we can summarise them as challenge spirit, insight, trust management, effectiveness and frugality and social service. On this modern management conditions, this paper reviewed and suggested the applicable possibilities and their limits of these principles of two merchants. With this analysis and review this paper expects that the new traditional theories of Korean management and perspectives are proposed. New further researches are expected with more practical data and more widened historical materials.

      • KCI등재

        개성상인과 정치권력

        양정필(Yang, Jeong-pil)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8 No.-

        조선시대 상인집단 가운데 현재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상인으로 개성상인을 꼽을 수 있다. 현재 몇몇 대기업은 자신들이 개성상인의 후예임을 내걸고 활동하고 있다. 개성상인의 생명력은 그들의 상업 전통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그럼 개성상인이 독특한 상업전통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계기는 어떻게 마련되었는가.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개성상인의 정치권력에 대한 자세를 주목하였다. 기존 개성상인 연구는 개성상인, 특히 개성의 市廛이 官에 대해 일정한 역을 부담하고 그 대가로 특혜를 얻는 특권 조직이었으며, 이로 볼 때 개성상인은 정치권력과 결탁하여 성장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본고는 개성 시전을 근거로 개성상인이 정치권력과의 협력 하에 성장했다는 이해 방식이 적절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개성 시전의 실체와 성격을 설명한 글을 통해 개성 시전을 새롭게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 글에 의하면 개성 시전은 官府와는 관련이 없는 개성상인 고유의 상인 조직이었다. 禁難廛權과 같은 개성 시전의 특권도 관에 의해 부여된 것이 아니라 개성상인이 스스로 상업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부여한 것이었다. 개성 시전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개성상인과 정치권력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할 필요를 제기하였다. 개성상인과 정치권력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개성상인의 기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개성상인은 조선 건국과 한양 천도 이후 개성에 남은 사람들, 즉 개성 遺民과 그 후손들이 상업을 생업으로 선택하면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개성 유민은 조선의 건국을 인정하지 않고 고려에 대한 節義를 지킨 사람들이었다. 조선 건국을 부정한 개성 유민에 대해 조선 정부는 과거 금지로 대응하였다. 이런 조건 속에서 개성상인은 초기부터 조선 정부에 대해 반감을 갖고 있었고 따라서 정치권력과 결탁하여 상업적 성공을 기대하는 일은 생각하지 않았다. 초기 개성상인의 이러한 자세는 杜門洞 故事를 통해 그 후손들에게 전승되었고, 개성상인의 정치권력에 대한 자세를 규정하였다. 그것은 정치권력과 거리두기, 상업활동 과정에서 정치권력과의 결탁 배제였다. 정치권력의 협조를 처음부터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개성상인은 독자적으로 생존능력을 키워야 했고, 실제로 그들은 독특하고 수준 높은 상업전통을 발전시켰다. 근대 이후에도 정치권력에 대한 개성상인의 전통적인 자세는 지속되었다. 다만 반감의 대상이었던 조선이 사라지고, 또 상업과 상인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일부 개성상인은 정치권력과 결탁하여 경제적 이득을 도모하기도 하였다. 근대 이후 전통적인 입장과 다른 자세를 취하는 개성상인들이 등장하였지만, 이를 일반화시켜 정치권력에 대한 개성상인의 자세가 변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개성상인은 그 내부에 다양한 유형의 상인이 공존하고 그 數도 수천 명을 헤아리는 데, 정치권력과 결탁한 이들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개성상인은 근대 이후에도 정치권력에 대해 전통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던 것이다. 정치권력에 대한 개성상인의 자세를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인은 정치권력의 후원을 받음으로써 짧은 기간에 경제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정치권력의 후원은 영원하지 않다. 정치적 후원이 사라졌을 때 그 상인의 경쟁력은 한계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정치권력에 의존하지 않고 상업적 능력을 발전시킨 상인은 정치권력의 변동에 관계없이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생존해 갈 수 있다. 개성상인이 바로 그런 존재로, 그들은 상업적 능력을 발전시켜 경쟁력을 강화해 온 결과 현재까지도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상인은 어떻게 사랑을 얻고 재산을 일구는가 : 삼언 작가가 상인을 묘사하는 방식

        金震坤(Kim Jingon)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6 No.-

        삼언에는 상인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는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상인은 주요 인물로 작품에 등장하여 자기가 장사하러 떠난 동안 바람피운 아내와 이혼했다가 나중에 재결합하는 남편 역할,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돈을 모으는 기름 장수 역할, 재산을 모으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는 소상공인 역할, 타인을 위해 부를 축적해주는 충직한 하인 역할 등을 맡는다. 이 글의 목적은 삼언에 등장하는 상인 인물이 얼마나 다양하며, 그들이 얼마나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고, 얼마나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는지, 또 얼마나 다양한 형태로 상업 활동을 전개하는지를 밝혀내는 데 있지 않다. 이 글은 삼언 작품을 당시 사회상을 밝혀내는 자료로 읽어내고자 하지는 않는다. 이 글의 목적은 삼언의 작가가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의 직업을 상인으로 설정했다면, 삼언이 창작되었을 당시 상인이란 직업인의 어떤 속성이 작가의 어떤 창작 의도를 구현하는 데 가장 잘 맞아떨어졌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삼언의 작가가 창작 의도를 구현해내기 위해 상인을 등장인물로 설정했을 때 그 등장인물이 어떤 사건들을 겪게 되며, 작가는 또 그 사건들을 어떤 식으로 연결해내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이 글의 두 번째 목적이다. 이 두 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글은 <장흥가가 진주적삼을 다시 찾다>, <기름 장수가 최고 기녀를 독차지하다>, <시윤택이 탄궐에서 친구를 만나다>, <서 씨네 늙은 하인이 분연히 일어나 집안의 재물을 이루다> 이렇게 네 작품을 주 대상으로 삼아 분석을 시도했고 더 나아가 삼언의 다른 작품들을 폭넓게 예증하면서 논의를 전개했다. 이상의 논의 결과, 삼언의 작가는 상인의 상업 활동 자체에 관심을 기울이기보다는 상인이 상업 활동으로 말미암아 겪는 인간적 고뇌와 갈등, 선행과 악행, 충성과 의리 그리고 그에 따른 보답을 보여주는 것에 훨씬 큰 관심을 기울였음이 밝혀졌다. 삼언에는 상인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는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기는 하나 상업 활동 자체를 상세하게 묘사해낸 작품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 작품들에 등장하는 상인은 상인의 직업적 속성을 충실히 구현한 인물이 아니라 당시 사회에서 인간이라면 모름지기 갖춰야 한다고 인정되었던 보편적 품성을 구현한 인물이다. 삼언에 수록된 다수의 상인 인물 소설은 당시에 상업을 포함한 경제활동이 인간사회의 주요 요소임을 자각하기 시작하였음을 보여주는 징표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그 상인이 소설 작품에서 제기되는 갈등과 위기를 해결하는 주체로 묘사되지 않는 것은 상인이 당시 사회의 제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 인정받는 단계로는 나아가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징표이기도 하다. Sanyan contains many works in which the merchant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The merchant who appears in the work as the main character, takes on the role of a husband who divorces and later reunites with his wife whom he cheated on while he was away for business, the role of an oil peddler who collects money for the woman he loves, the role of a small business owner who works tirelessly to accumulate wealth; such as the role of a loyal servant the who accumulates wealth for his mistres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not to reveal how diverse the merchant figures appearing in Sanyan are, how many different items they handle, and how many different forms of commercial activity they carry out. This article does not intend to read Sanyan"s works as data that reveals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what attributes of a merchant at the time Sanyan"s work was best suited to realizing the author"s writing intentions, if the writer of Sanyan set the occupation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work as a merchant. The second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what events the character experiences when the writer of Sanyan sets a merchant as a character to realize his creative intention, and how the writer connects those events. To achieve these two goals, I tried to analyze these four works as main subjects, <Jiang Xingge Reencounters His Pearl Shirt>, <The Oil-Peddler Wins the Queen of Flowers>, <Shi Runze Encounters a Friend at Tanque>, and <In Righteous Wrath, Old Servant Xu Builds Up a Family Fortune>, and furthermore, I developed a discussion by demonstrating Sanyan"s other works extensively. As a result of the above discussion, I could make a tentative conclusion that Sanyan"s writer was much more interested in showing the human agony and conflict, good and evil deeds, loyalty and obligation, and the rewards that a merchant suffers from commercial activities,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the merchant"s commercial activity itself. Although there are many works in which the merchant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in Sanyan, there are few works that describe the commercial activities in detail. The merchant appearing in those works is not a person who faithfully embodies the professional attributes of a merchant, but a person who embodies the universal character that was recognized as essential to a human being in the society at the time. It is clear that the many works of merchant characters included in Sanyan are a sign that at that time, people began to realize that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commerce, were the main elements of human society. However, the fact that the merchant is not portrayed as the main agent in resolving the conflicts and crises raised in the work is also a sign that the merchant has not progressed to the stage where he is recognized as the agent to solve the problems of society at that time.

      • KCI등재

        조선후기 고소설에 나타난 상인 형상과 그 의미

        탁원정(Tak Won jo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30

        본 연구는 국문장편소설 <보은기우록>을 대상으로 그 상인 형상을 분석함으로써, 조선후기 화폐 경제와 상업의 활성화라는 사회, 경제적 변동의 문학적 형상화를 확인하고 나아가 조선의 상인 소설로서 자리매김해 보고자 한 것이다. <보은기우록>의 첫 번째 상인 형상은 '몰락 양반의 푸줏간 운영'이다. 주인공 위지덕은 양반이지만 5대째 벼슬을 못하여 궁핍에 시달리자 돈을 벌 수 있는 일이라면 닥치지 않고 하다가 푸줏간을 직접 운영하기까지 한다. 이는 후에 아들 위연청의 극심한 반대로 이웃 점방에 위탁하는 것으로 정리된다. 두 번째 상인 형상은 '관원과 결탁한 대규모 고리대금업자'이다. 위연청의 간청에 의해 푸주업의 직접 운영을 양보한 위지덕은 이후 소작농이나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작은 규모부터 소항주(蘇杭州)의 점주와 상인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에 이르는 고리대금업에 몰입한다. 이 고리대금업에 장지휘라는 관원이 결탁하여 '관위(官威)'로 빈민들의 고리대를 폭력적으로 환수하는 과정이 드러난다. <보은기우록> 속 상인 형상의 첫 번째 의미는 '본격 상인 소설의 등장-상인 생활상에 대한 포착과 이상적 상인상 모색'이다. 푸주업이나 고리대금업 화소를 통해 생활인으로서의 상인의 모습과 실제 상업 양상이 생생하게 그려지는 것과 더불어 상인의 윤리나 경영 지침이 드러나기도 한다. 또한 상인은 아니지만 아들 위연청에 의해 덕 있는 상인의 형상이 드러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상인의 모습을 모색하는 측면도 있다. 두 번째 의미는 '부자간 새로운 갈등의 설정- 사(士)와 상(商)의 정체성 갈등'이다. 양반의 본분인 글읽기에 대해 지나친 혐오감을 내보이는 아버지와 여전히 사족임을 강조하는 아들 간의 정체성 갈등에 더하여, 상행위나 치부에 대해서는 사족의 정체성과는 거리 있는 인식을 하는 아들의 내적인 갈등까지 중층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보은기우록>은 18세기 중후반 이후 상업이나 상인에 주목한 작품들이 빈번하게 출현하는 흐름 속에서 창작되고 향유된 작품으로, 푸주업이나 고리대금업을 하는 상인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설정되고 그 생활상이나 경영 방침 등이 구체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본격 상인 소설이라는 독자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사(士)와 상(商)의 정체성 갈등을 통해 신분 갈등이라는 가문소설의 새로운 부자 갈등을 설정함으로써 가문주의를 표방하는, 사(士) 지향의 국문장편소설의 변화 지점을 드러내고 있다. 나아가 같은 시기 동아시아 상인 소설과의 관계에서도 장편 양식 속에서 상인의 상행위와 삶이 전면화되는 상인 주인공 소설의 면모를 공유하면서도, 상인이라는 신분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성애와의 밀착 양상 등에서 차이를 보이면서 조선 상인 소설만의 독자성을 드러내고 있다. The study intended to identify literary image of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uch as activation of money economy and commerce in the late Joseon, in addition, to let Boeungiurok establish itself as novel of merchant in Joseon. To this end, the author analyzed images of the merchant shown on <Boeungiurok> which is a long novel written in Korean. The first image of merchant on <Boeungiurok> is 'running of butcher's shop by ruined Yangban'. The second image of merchant is 'large usury man connected with an official'. The first meaning of merchant image on <Boeungiurok> is that 'appearing of authentic merchant novel-catching of lives of merchant and exploring of ideal merchant image'. Through stories related to butcher's shop or usury, activity of merchant in the midst of daily lives and actual commercial business are vividly described. Furthermore, ethic of merchant or management guideline are disclosed. Although Wi Yeon-cheong is not a merchant, image of merchant with virtue is disclosed through him. This shows that there is an aspect to explore image of desirable merchant. The second meaning is 'setting of new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conflict in identity between scholar(士) and merchant(商)'. There is conflict between a father and a son - the father shows excessive hatred about reading a book which is a duty of Yangban while the son still emphasizes his class as a scholar. In addition, there is inner conflict of the son - the son has recognition about commercial activity or making money that shows some distance from identity of scholar class.

      • KCI등재

        판례를 통해 본 자연인 및 법인인 회사의 보조적 상행위

        김광록 한국상사법학회 2018 商事法硏究 Vol.37 No.1

        우리나라 상법은 기업에 관한 특별사법으로서 기업의 생활관계에서 나타나는 권리의무관계를 제대로 처리하기 위해서 그 적용대상을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즉, 상법이 상인과 상행위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고, 이에 대한 해석이 판례를 통하여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 상법이 제46조에서 기본적 상행위를 규정하고 있는 것 이외에 제47조에서 보조적 상행위의 개념을 규정하고 있는 사정에서는 상행위 개념의 올바른 이해는 더욱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제47조는 원칙적으로 상인이 영업을 위하여 하는 행위는 상행위로 본다고 하면서, 상인의 행위는 영업을 위하여 하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상인이 하는 행위는 영업을 위하여 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행위는 상행위가 되는 것이다. 즉, 상인의 그 어떠한 행위도 결과적으로 상행위가 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자연인이 상인자격을 취득하는 시기와 맞물려서 더욱 의미있게 다가온다. 자연인은 생존하는 동안 민법상 권리능력과 상법상 상인능력을 가지므로 별도의 절차나 자격이 없이도 상법 제4조 또는 제5조의 영업행위를 개시한 때에 상인자격을 취득한다. 그런데 이때 영업행위에는 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 자체뿐만 아니라 이를 준비하는 행위, 즉 영업준비행위 또는 개업준비행위를 의미한다. 결국 자연인은 영업을 위하여 필요한 준비행위를 하는 때에 상인자격을 취득하게 되는데 이때 영업을 위하여 필요한 준비행위인 영업준비행위 또는 개업준비행위는 상법 제47조에서 정하고 있는 보조적 상행위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인이 아닌 자연인이 보조적 상행위인 이러한 영업준비행위 또는 개업준비행위를 하게 되면 바로 상인의 자격을 취득하게 되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행위의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는 가는 결국 행위자가 이미 상인자격을 취득한 자인지 아니면 상인자격을 취득하지 않은 자인지를 불문하고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행위자가 이미 상인이지 아닌지를 불문하고 상행위성이 인정되는 순간 행위자는 결국 상인자격을 취득하게 되어 상인이 되는 결과가 도출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연인이 아닌 회사의 경우에는 개업준비행위를 인정할 것인지, 개업준비행위를 인정하여 회사의 보조적 상행위성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 논의가 많지 않다. 특히 회사의 개업준비행위를 인정하는 경우 그 행위를 직접 수행한 자가 상인이 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사정에서 이 글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대법원 판례 중에서 상행위성이 인정되는 판례를 찾아 상법상 상행위의 범위에 대하여 법원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판례가 상인의 지위를 취득하게 되는 자연인의 보조적 상행위성을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그 상행위의 범위를 결정한 것인데 반하여 이 글에서 살펴보게 되는 판례는 회사의 개업준비행위와 그 보조적 상행위성에 대한 판단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우리나라 상법상 상인과 상행위의 개념에 대한 기초를 바탕으로 특정한 거래행위에 있어 상법이 적용되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법원에서 상행위의 범위를 인정하는 태도... Korean Commercial Act, which is a representative act belonging to the private law system, basically regulates person’s living relationship as well as Korean Civil Act does. However, while Korean Civil Act directly regulates a private person’s living life, Korean Commercial Act regulates a legal person or corporation’s living life. In that Korean Commercial Act has the special status to Korean Civil Act. Thus, Korean Commercial Act is regulating the corporation’s living life as the special private act regarding enterpris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how Korean Commercial Act regulates merchants and commercial activities in order to clarify the scope of merchants and commercial activities. If some trade relationships belong to the scope, Korean Commercial Act regulates those trade relationships, but if it is not belonging to the scope, the Korean Civil Act regulates those relationships. Korean Commercial Act Article 4 regulates the “Merchant by Nature of Business” and Article 5 regulates the “Merchant by Legal Construction.” Merchant by nature of business is any person who engages in commercial activities under his/her own name. Merchant by legal construction is any person, including a company, who engages in any business in the same manner as a merchant through a store or similar facility shall be deemed a merchant, even if he/she does not carry out commercial activities. In the mean while Korean Commercial Act Article 46 regulates “Basic Commercial Activities” and Article 47 regulates “Appendage Commercial Activities.” As a result, according to Korean Commercial Act all merchant’s activities could be commercial activities. This Article analyzes the Korean Supreme Court’s case regarding the scope of commercial activities in order to understand a clear border in the practice between the fields of Commercial Act and Civil Act in Korea. Through this analyz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mercial Ac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Korean Civil Act and gives some schemes for the argument between Chinese Commercial Law and Civil Law.

      • 병영상인 박세정의 기업경영과 상인정신

        주희춘(Hi Chun Ju)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7 다산과현대 Vol.10 No.-

        병영상인은 전남 강진 지역에서 태동한 상인들이다. 통일신라시대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면서 출현하기 시작해 고려시대 고려청자 생산과 유통 기능을 담당하며 활동해 오다가 조선시대 전라병영의 설치와 함께 꽃을 피웠다. 박세정은(1917-2001)은 1958년 (주)대선제분을 창업했다. 대선제분은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곡분회사다. 2017년 창립 59주년을 맞았고 밀가루에서부터 쌀 가공식품 등 곡분과 관련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박세정의 삶은 전남 강진군 작천면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 당시에는 생소했던 제분회사를 창업하기까지 개척정신과 도전정신에 충실했던 병영상인의 전형을 이룬다. 또 오랜 세월을 거쳐 형성된 병영상인의 전통이 근세들어 어떤 형태로 변화 발전했는가를 보여주는 한 모델이라는 점에서 강진 관련 인물을 통해 조선후기에서 근대에 이르는 강진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는데 좋은 사례다. 병영상인이 강진에서 탄생한 이유는 강진군의 지리적 조건과 큰 관련이 있었다. 강진군은 한반도 서남해안 끝 지역에 위치한 지역으로 서해안과 남해안이 만나는 곳이고, 중국과 일본의 중간지점의 항로에 위치해 오래전부터 국제무역의 중심지에 있었다. 병영상인들은 14세기 들어 청자의 쇠퇴와 함께 조선왕조의 설립이라는 커다란 역사적 변혁기를 겪으며 또 한 번 생사의 갈림길에 섰지만 조선전기 전라병영성이 강진군 고군면(지금의 병영면)에 설치되면서 다시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박세정은 일제강점기인 1917년 강진군 작천면 용상리 구상마을에서 태어나 어릴적 부친과 함께 행상에 뛰어 들었고, 명태 도매업을 하면서 해방을 맞은 후, 6.25 발발과 함께 부산으로 건너가 계동산업을 창업했다. 또 종전 후 1958년 대선제분을 창업해 60, 70년대 경제 성장기 경영 일선에서 온몸을 바쳐 기업경영에 헌신 하는등 격변기 병영상인의 활동과정을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기업인이다. 박세정은 기업경영 과정에서 신용을 목숨보다 중시하는 마음과 어려운 상황을 돌파하며 새로운 분야에 뛰어드는 도전정신을 잃지 않았다. 또 기업과 종업원, 지점과 본사가 함께 살아간다는 상생주의, 기업가로서 늘 겸손한 마음을 유지하고 근검절약하는 모습을 일관적으로 유지했다. 이같은 박세정의 상인정신은 기업문화에도 그대로 이어져 오늘날의 대선재분을 있게 했다. 박세정의 도전정신은 힘들 때 오히려 기회를 찾아 나서고 위험을 감당하는 투자에 나서라는 경종을 울리고 있다. 박세정의 신용제일주의는 기업이 사회와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으려면 대외적인 신용 확보가 중요하고, 무엇보다 기업내부의 신뢰기반이 높은 수준으로 축적되어야 한다는 통찰력을 제시하고 있다. 박세정의 상생주의는 기업이 주주이익의 극대화에 머물지 않고 종업원과 협력업체, 지역사회, 국가 등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까지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박세정의 근검절약정신과 겸손함은 기업인들이 정치 사회적 상황에 기업이 휘말리지 않기 위해서는 스스로 겸손하고 주변관리를 잘 해야 하며,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종업원의 결속을 위해서는 CEO가 생활 속에서 근검절약하고 겸손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다. 오늘날 기업들에게 거세게 요구되고 있는 윤리경영, 신뢰경영, 공유가치경영 등에 대한 방법도 신용제일주의와 상생주의로 연결되는 박세정의 상인정신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Byeongyeong merchant originated from Gangjin area, Jeolla Province. During the unified Shilla dynasty, General Jang Bogo established a naval facility, Cheonghaejin, in Gangjin where after, Byeongyeong mercha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oryeo celadon in Goryeo dynasty and their business became flourish in Joseon dynasty because of installation of Jeolla Byeongyeong, military headquarters of Jeolla. Park Sejeong(1917-2001) established Daesun flour mill company in 1958. Daesun flour mill company was the first total grain flour company in Korea. Daesun flour mill company celebrated the golden jubilee of its founding in 2017 and the company products various grain flour such as wheat flour and rice flour. Like other Byeongyeong merchant, the life of Park Sejeong presents pioneer spirit and challenge spirit to people. The life of Park Sejeong also shows an example of inherit of traditional spirit of Byeongyeong merchant and reveals historic background of Byeongyeong merchant. The beginning of Byeongyeong merchant is related to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Gangjin Gun area. Gangjin Gun area is located i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peninsula where the south coast and the west coast meet. Gangjin area is also located in the mid-way between China and Japan so Gangjin has served as the central of international trad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during Joseon dynasty, Byeongyeong merchant became declined because of falling popularity of Goryeo celadon, but they revived after installation of Jeolla Byeongyeong. Park Sejong born in 1917 under Japanese colonial rules where Yongsang Ri, Jackcheon Myeon, Gangjin Gun area. He started peddling with his parents, became a Pollack wholesaler after Korea’s liberation and found Kyedong company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After the Korean War, he found Daesun flour mill company and devoted to his passion to the company. Park Sejeong shows historic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merchant during radical economic change in Korea. He valued credibility above life and emphasized on challenge spirit to overcome obstacles. Park Sejeong also highlighted win-win principle that company and employee grows altogether and saving resources. His merchant spirit was inherited in Daesun flour mill company. Park Sejeong’s challenge spirit gives a lesson to find an opportunity and take a chance. He suggests insight that gain credibility and accumulate it. His win-win principle means that company does not only focus on profit of shareholders but also focus on the profit of stakeholders such as employees, suppliers, communities, or countries. His frugal mind give us advices that humility is important and CEOs shows a good example to employees. Park Sejoeng’s merchant spirit connects between traditional credibility and win-win principal and ethical management, trust based management and creating shared value of today.

      • KCI등재

        개성상인과 일본 오미[近江] 상인의 비교 연구 - 그 기원과 정치권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양정필(Yang, Jeong Pil)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9 No.-

        개성상인의 특징을 또 다른 측면에서 확인하기 위해서 일본의 오미 상인과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행상을 본령으로 하고, 각지에 점포를 내고, 또 자체적으로 상인을 키우는 제도를 갖고 있는 등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그에 못지않게,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그 기원과 관련해서 오미 상인은 권력과 연결되지 않을 수 없었다. 반면 개성상인은 권력과 무관하게 활동하였다. 다음으로 오미 상인으로 자수성가하면 그 경제력을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이는 그 자손도 대대로 상인으로 활동할 것을 전제로 하였다. 반면 개성상인은 성공하더라도 그 자손이 상인으로 남기를 바라지 않았다. 공부를 시키거나 과거를 준비시켰다. 이러한 차이는 그들이 속한 사회의 운영원리의 차이에서 비롯된 면이 강했다. We compared Gaesong merchants and Omi merchants based on their origi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olitical power. The two merchants have similar aspects, such as using peddlers as their headquarters and opening stores in the area they enter and training their own merchants. However, there were as many differences as he did. First of all, his attitude toward political power was different. Omi Merchant was naturally forced to form a relationship with political power. And some Omi merchants were protected and supported by political power in the process of growing up as merchants As a result, they have been passive in developing their own commercial institutions. This limited them to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and led to those who could not adapt well to the modern economic environment. The Gaesong merchant has been independent of political power since its origin. Since then, he has not resorted to political power even in commercial activities. They had to achieve economic success with their own abilities, and created various commercial systems. By the systems, they were able to increase their self-sufficiency. Gaesong merchants were a group of merchants who shared a single commercial style with a single origin. On the other hand, the Omi merchant, by its general name, may be called the Omi merchant, but inside there were merchants in lower categories with slightly different personalities. The sub-category merchants had slight differences in their background, commercial style, and so on. In some cases, we can identify cases in which we compete against each other. The Kaesong merchant, on the other hand, shared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political discrimination. This has driven them to have the same identity and strong unity.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affection for home. When the ban on Daimyo’s relocation was lifted, Omi merchants moved their home to another area where they were doing business in large numbers. This shows that they were not very attached to their hometown. On the other hand, Gaesong merchants rarely changed their home base, even if they went to other areas to do business. He always left his wife and children in Kaesong, and if he succeeds economically, he returned to his hometown. As such, Omi merchants and Gaesong merchants can find similarities in peddlers, store management and merchant training, bu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Comparing the differences, we found that Gaesong merchants have great characteristics such as distance from political power, developing commercial systems, enhancing self-sustaining power, strong internal solidarity, and attachment to their hometown.

      • KCI등재

        강진 병영상인에 관한 역사적 재조명

        주희춘(Hi-Chun Ju),이희정(Hee-Jung Lee),김태준(Tae-Jun Kim),박성수(Sung-Soo Park) 한국경영사학회 2010 經營史學 Vol.56 No.-

        본 연구는 강진 병영상인에 관한 역사를 재조명함에 있어 통일신라시대부터 해방 이후 근현대사까지 이어온 병영상인의 형성과정을 연구함으로써 한국에도 개성상인 못지 않은 병영상인이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을 두었다. ‘북에는 개성상인, 남에는 병영상인’이라는 구전처럼 개성상인과 동등하게 거론되어온 병영상인은 타 지역과 다른 나라의 상인연구에 비해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런 현상황을 인식하여 뜻있는 지역 사학자들과 지역 언론 등 병영상인정신의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려는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병영상인의 형성을 연구하여 역사속에 희미한 병영상인을 재조명하는 한편, 한국의 대표 상인정신 중 하나로 정립하고 나아가 한국의 기업가 정신 모델을 개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북송상(北松商) 남병상(南兵商)’으로 불리우는 병영상인을 소개하고 그 역사적 형성과정을 연구함으로써 개성상인과 더불어 한국을 대표하는 상인을 발굴해 냈다는데의의가 있다. 병영상인의 역사는 시대별로 제 1기를 전라 병영성 이전의 시기, 제 2기를 전라 병영성 시기, 제 3기를 전라병영성 폐영 이후의 시기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성과로는 통일신라시대에 중국, 일본, 아라비아 등과의 해상무역의 거점인 청해진이 조선후기 1895년까지 강진현이였다는 것을 볼 때 병영상인도 해상왕장보고의 상인정신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점을 연구하였다. 또한 강진 지역은 통일신라시대 이전부터 상인이 출현할 수 밖에 없었고, 조선기대에 축성된 병영성과 함께 명실상부한 병영상인이 탄생함으로써 오늘날 병영상인의 맥이 끊이지 않고 계승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강진 병영상인 형성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기대되는 성과와 활용방안을 찾을 수 있다. 먼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상인정신을 역사적으로 재조명함으로서 우리나라의 다양한 상인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즉, 병영상인이 우리나라전통 상인 정신의 하나로 정립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병영상인 연구가 더 나아가상인정신을 계승한 후손들의 기업가정신, 경영철학, 경영사상 등을 연구하는데 새로운지침과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서 연구를 확장하고자 한다. The research is about retracing the history of ‘ByeongYeong merchants in Gangjin’ and it focuses on the fact that ‘ByeongYeong merchants’ exist in South Korea as much as ‘Gaeseong merchants’ by studying of formation procedure of ‘ByeongYeong merchants’ which has been going on from Unified Silla till modern times right after liberation in 1945. Like the old saying “Gaeseong merchants in North, ByeongYeong merchants in South,” there is no research about ‘ByeongYeong merchants’ who were treated as much as Gaeseong merchants equally compare to the study of other countries’ merchants or other region in Korea. In this reality, local historians and local presses in the region study about the formation of ‘ByeongYeong merchants’ and shed new light on ‘ByeongYeong merchants’ in history and set up one of the typical business spirit of Korea and furthermore they want to develop “ByeongYeong merchants’ as the model of Korean entrepreneurial spirit. Also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to introduce ‘ByeongYeong merchants’ was called “Gaeseong merchants in North, ByeongYeong merchants in South” and to discover “ByeongYeong merchants” as the representative merchants of Korea along with Gaeseong merchant by researching historical formation procedure of ‘ByeongYeong merchants’. The history of ‘ByeongYeong merchants’ is divided into 3 periods by historical and the first period is period of before ‘ByeongYeong in Jeolla province’ and the second period is ‘ByeongYeong in Jeonla province’ and the third period is after closing ByeongYeong in Jeolla province’. This research shows the fact that ‘the ByeongYeong merchants’ had to be appeared before ‘King of Sea, Jang bogo’ to see that Cheonghaejin which was the hub of ocean trading with Arabia, Japan and China in Unified Silla was Gangjinhyeun till 1895 and finally ‘ByeongYeong merchants’ was truly born with the ByeongYeong was built in Chosun dynasty and it is continued still. There are several expectations and utilizations from this research for formation of ‘ByeongYeong merchants in Gangjin’ like below. Firs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of various merchants by shedding new light on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the best Korean merchants historically.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made an opportunity to set up the traditional entrepreneurial spirit of Korea by ‘ByeongYeong merchants’. Also this research can be provided itself as new guide lines and basic information to study entrepreneurial spirit, business philosophy and business management of descendents who succeeded to entrepreneurial spirit and try to expand th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expand the range of this theme.

      • KCI등재

        상인에서 기술상인으로 : 구술생애사 연구를 통해 본 세운상가 상인의 기술상인 되기

        송지영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6 No.4

        상인은 상품을 매개로 소비자와 생산자를 중개하면서 영리를 추구하는 존재로 간주된다. 하지만 상인에 대한 이러한 인식과 이해는 다양한 상행위 과정에서 드러나는 상인들의 다층적이면서 역동적인 상인의 활동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무엇보다 상인됨이 주어지거나고정되어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다 보니,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본주의적 질서 하에서주변적인 존재로 묘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세운상가 상인들의 구술생애사를통해 개별 상인들이 변화하는 노동환경, 사회적·경제적 조건뿐만 아니라 판매하는 제품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긴밀하게 조응하며 상인의 역할을 끊임없이 재규정하는 과정을 탐색한다. 특히, 세운상가 상인들에게 '전통적으로' 요구되는 중간 판매자로서의 상인 역할에 머물지 않고, 변화하는 제품과 판매 환경에 조응하면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고 익히고 체화하면서 전문상인으로 거듭나는 과정에 주목한다. 여기에서는 이를 ‘기술상인 되기’로 새롭게 규정하였으며, ‘기술상인’으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상인됨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나아가 세운상가 상인들이 단순히 변화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존재가 아니라, 변화하는 세운상가의 일상을 구성하고 또 만들어 가는 핵심 구성원임을 밝혔다. The common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merchants as profit-seeking beings who mediate between consumers and producers through goods has been limited in explaining the multilayered and dynamic activities of merchants in the course of their everyday commercial activities. Moreover, by considering merchanting as a given, fixed, and unchanging phenomenon, merchants have been often portrayed as inevitable to be discarded or left behind in the ever-changing capitalist order. Through oral life histories of merchants in Sewoon Shopping Street, Seoul, this study explores how individual merchants constantly reconstruct and redefine the role of a merchant in close coordination with the changing working environment,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as well a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they sell.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process of becoming a professional trader by learning, acquiring, and embodying new knowledge and skills in response to changing product and sales environments, rather than remaining in the role of an intermediary seller as was 'traditionally' required of merchants in Sewoon Shopping Street. Here, this study re-defines this process as 'becoming a techno-merchant'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merchant who creates a new identity as a 'techno-merchant'. Furthermore, it reveals that Sewoon Shopping Street merchants are not merely passive recipients of change, but key members of the changing and making everyday life of Sewoon Shopping Street.

      • KCI등재

        청말민국기(淸末民國期) 호남(湖南)의 물가(物價)와 상인(商人)

        전형권 중국사학회 2016 中國史硏究 Vol.101 No.-

        淸末民國期, 貨幣濫發引起通貨膨脹是湖南物价上漲的最大原因. 省政府充當了因各種新政改革所需費用和調拔巨大軍備財源而濫發貨幣的角色. 淸末的官錢局和大淸銀行, 民國時期的湖南銀行, 裕湘銀行, 湖南通商銀行的功能只是單純的紙幣印刷机關. 民國時期的顯著特点是銀元票, 銅元票等各種紙幣的濫發. 不可能兌換的紙幣的濫發明顯會導致物价暴漲. 其次, 物价上漲的령一個原因是商業稅的增加. 淸末實施的厘金是代表性的商業稅, 直到1931年廢除時, 這種商業稅對湖南商人來說, 負擔흔大. 爲了征收厘金, 局잡日益增加, 幷且在有關檢査站實施了額外的非正規剝削. 爲解決厘金弊端而實施的統稅反而使稅金負擔更重. 除了厘金之外, 牙稅, 屠宰稅, 烟酒稅, 印花稅, 營業牌照稅等各種雜稅也給商人增添了過度的負擔. 雖然從淸代以土地稅爲中心轉變爲以商業稅爲中心的財政結構是和這段時間的工商業發展同出一轍, 但是在産業發展處于低迷狀態時期, 過度的商業稅征收阻碍工商業發展. 령外, 當時的人們也認識到了商業稅的征收已經轉向了物价. 需求的增大也是物价上漲的一個原因. 淸末民國時期, 需求的激增首先是因爲人口增加. 從民國元年(1912)到民國21年(1932), 湖南省的人口增加了約262万人. 除了自然人口增加以外, 對商品的購買能力的有效需求也增加了. 在日常生活中, 酒和肉的消費量增加, 奢侈品的需求也增加. 最重要的是, 由于對外開放和通商擴大, 和海外市場進行溝通, 以出口爲主的農産品, 茶或者桐油等的栽培也擴大了. 相反, 對外國洋貨的需求也巨增了. 這樣的需求增加和物价上漲不无關系. 商人不足以被認爲是物价上漲的主要原因. 商人在這樣的物价暴漲的局面里, 該如何應對니? 人們經常提到‘奸商’主導物价上漲. 所謂‘奸商’的商人活動之中, 引人關注的是: 第一被稱爲‘돈積居奇’的買占賣惜. 在物价上漲或上漲預期時, 經常發現돈積居奇米谷的例子. 從長沙總商會和米業商人間的連席會議內容來看, 돈積居奇不是米价飛漲的原因, 而是根本就供應不足. 但是根据湖南省經濟調査所的調査得知, 到20世紀30年代爲止, 奸商的買占儲藏一直都在進行. 第二是違反米禁的米谷商的走私行爲. 在米禁期間, 米谷商人通過與關所的官吏或者軍隊私通, 持續進行着大規模的走私. 根据湖南省經濟調査所的調査顯示, 隨時下達的米禁幷不是以調査爲基礎的禁令, 幷且湖南省內的米谷剩余地區反而由于不能出口, 導致農村經濟遇到衰落. 在現實中, 不遵守禁令, 走私橫行, 湖南地區內的供求也不會發生調整. 使得米谷走私的商人最終向价格更高的地方運輸貨物. 第三是商人操縱价格. 商人爲了得到最大的利潤, 在醴陵縣的磁器業中出現了价格操作地實例. 不出意料, 在其他資料里, 具體例子不多. 在金融領域里, 銀商的操作被看做是個흔大的問題. 在초票泛濫和現金缺乏的情況之下, 省政府强制了法价. 由于不符合現實情況, 所以銀商适用暗盤(暗時勢). 這時他們操縱匯率, 獲得利益. 其次是空盤買賣. 以實物商品爲前提, 發行漢票的銀商在沒有産品之下, 濫發空頭支票就是空盤買賣. 其次, 違反省政府的布告, 把銅元偸運到外部. 商人爲了利益而進行商業活動. 法价的强制是以政治力量壓制市場. 商人忠實地遵循着市場規律. 物价調査是對物价的合理與否進行的一種應對方式. 民國10年前后, 商會在湖南進行了有系統的ㆍ有組織的物价調査. 我認爲從淸末各種行會的「行規」里的价格告示來看, 他們已經有了自己的物价調査. 從醴陵縣來看, 到民國10年以前, 商人自己做了物价帳簿. 民國15年以后, 變爲依고商會進行調査. 從實際事例來看, 商人爲了避免受中介人价格欺騙進行着物价調査. 我認爲依고商會進行的物价調査, 不僅對銷수商相互之間, 而且對購買者也帶來公平机會的保障.從商人的物价調整方面來看, 首先可以提出采買平조. 在省城ㆍ地方等地, 由于米谷供不應求而引起米价暴漲的時候, 商人派人購買粮食, 然后以低廉的价格出수. 商人們自己把這個看成是公益活動. 령外, 爲了對煤ㆍ鹽ㆍ米ㆍ油等的日常必需品的物价進行調整, 商會隨時擧行物价調整會議. 省政府也强調商會對市面物价暴漲應采取的措施及應負的責任. 령外, 在金融方面, 초票濫發和通貨膨脹也被看作是物价暴漲的罪魁禍首, 他們隨時向省政府要求兌換維持, 拒絶惡性초票的接受. 幷且反對省政府或者各種机構發行的流通券ㆍ軍用票等類似貨幣, 努力控制物价. 通過以上來看, 淸末民國時期, 在湖南的商人, 以商會爲中心, 對省政府的腐敗和无能抵抗, 希望走向市場經濟. 他們在通貨膨脹和物价暴漲的局面中, 補充省政府行政力的缺乏, 對物价穩定做出了貢獻.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