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정길(Han, Jeong-gil)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5 다산과현대 Vol.8 No.-
이 글은 위당 정인보의 다산 이해의 특징과 의의를 규명하려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글의 주요 논지는 정인보의 양명학적 관점이 다산 이해의 기반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인보는 강화학파 양명학의 중심인물인 난곡 이건방으로부터 양명학의 대의(大義)에 대한 가르침을 받는다. 그것은 양명학을 실심(實心)에 기반을 둔 실학(實學)으로 이해한 점, 양명학을 통하여 사회의 병폐를 치유하려고 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정인보는 이것을 지적 배경으로 하여 양명학의 관점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판단하게 된다. 정인보 양명학 이해의 특징은 우리의 본심이 타인의 아픔을 자기의 아픔으로 느끼는 ‘감통(感通)"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본 점이다. 정인보에 따르면 이 본심은 조선의 민중과 나라에 감통하여 그들을 애틋하게 여기는 데서 그 참모습이 나타난다. 어떤 학술이 실학인지의 여부는 본심이 민중과 나라에 감통하여 그들을 애틋하게 여기는지에 달려 있다. 정인보는 이러한 관점에서 정약용의 인물과 학설을 조명한다. 정인보는 다산의 학문 동기를 백성과 국가를 구제하고자 하는 정성스러운 마음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 마음이 다산의 모든 저술에 표현되었다고 본다. 다산의 저술 속에 양명학의 정신인 ‘백성을 애틋하게 여기는 마음’이 흐르고 있다고 본 것이다. 그는 다산의 학문 목적을 국가와 민생의 실리 · 실익을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찾는다. 이것은 다산 학문의 핵심을 백성과 국가를 구제하려는 경세사상에 있다고 본 것이다. 그는 다산의 경학(經學)까지도 경세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와 같이 정인보는 다산실학이 실심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이것은 다산이 ‘국가와 민생의 실리실용’을 중시했다는 점에만 초점을 맞추어 다산 실학을 공리(功利)를 중시하는 실용실학(實用實學)으로 이해한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그동안의 실학 연구는 결과적인 공리를 중시하는 실용실학의 측면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정인보가 구상한 실심에 기반한 실학은 이제는 그 명맥을 찾아보기 어렵다. 앞으로의 과제 가운데 하나는 정인보가 제창했던 실심실학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 하는 점이다. This thesis aims at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understandings of Dasan accomplished by Jung In Bo. The main theme is that the standpoint of Jung In Bo’s Yang-ming Studies has become the basis of understanding Dasan Studies. Jung In Bo learned the grand idea of Yang-ming Studies from Lee Gun Bang who was the main figure of the Yang-ming Studies of Ganghwa school. That Yang-ming Studies could be understood as a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and that it is possible to heal the social issues through Yang-ming Studies. The main characteristic of understanding Jung In Bo’s Yang-ming Studies is that it is said that our Original mind has the ability of ‘being acted upon and penetrating things’ that feels the pain of others as one’s own pain. According to Jung In Bo, this original mind shows its true self by being acted upon and penetrating the people and country of Chosun and caring for them. Whether a certain academy is an authentic Practical learning or not totally depends on Sincere mind by which acts upon and penetrates the people and country. At such point, Jung In Bo looks into the character and academics of Jung Yak Yong. Jung In Bo finds the core motive of Dasan Studies in terms of the mind of sincerity to save the people and country. Also, that mind is said to be have been expressed in all books of Dasan, especially in his Confucian classical studies. It is said that in the books of Dasan, the ‘heart of caring people’ which is the spirit of Yang-ming studies flows within. He finds the purpose of Dasan’s studies in pursuing the true interest and welfare of the country and people. This means that the core of Dasan’s academics lies in the spirit of saving the world which saves its people and country. It is understood that he thinks Dasan’s Confucian classical studies pursues the spirit of ‘saving the world’. As such, Jung In Bo sees the Practical learning of Dasan as the basis of the Sincere mind. This shows its eminent difference among other Practical academies of Chosun dynasty in its standpoint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Owing to influence of Sincere mind inherited from Yang-ming studies, Dasan produced hundreds of books for Practical learning (실학) focused only on the ‘real interest and welfare of the country and people’
윤석호(Yoon, Suk-ho)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0 다산과현대 Vol.13 No.-
다산에게 강진은 유배지이자 학문과 삶의 공간이었다. 그리고 강진에서 다산은 지역의 문화와 풍광, 사람, 아픔과 함께 호흡하는 이웃이었다. 서로가 동행했던 18년 동안 많은 성과와 자취, 그리고 스토리가 쌓여갔다. 또한 여기에는 다산이 ‘죄인’으로서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구조, 그리고 강진의 연혁과 사회경제적 위상이 배경으로 자리한다. 이로써 이들이 엮어낸 유·무형의 문화를 강진의 ‘다산문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일찍부터 강진군과 다산박물관, 그리고 연세대학교 부설 강진다산실학연구원은 강진의 다산문화를 진작 및 활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해왔다. 유적지의 복원에서부터, 전시 및 체험의 강화, 컨텐츠의 개발, 교육 및 문화사업의 다변화 등이 그러하다. 이와 같은 성과를 토대로 하되, 앞으로의 강진 ‘다산문화’ 활용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전환의 시기에 부응해야 한다. 기술적 진보가 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수록, 역설적이게도 인간의 삶은 더욱 단절, 소외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본다면 인간과 사회에 대한 공감과 치유는 우리 사회에 던져진 중요한 과제이다. For Dasan, Gangjin was a place of exile and also a place of study and life. For Gangjin, Dasan was a neighbor who breathed with local culture, scenery, people, and their pain. During the 18 years that they accompanied each other, many achievements, traces, and stories had been accumulated. It is also set in the background of the structure of the time when Dasan was forced to come down as a "sinner," and the history and socio-economic status of Gangjin. This allows us to defin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e that they had woven as ‘Dasan culture’ in Gangjin. Gangjin-gun, Dasan Museum, and Gangjin Institute of Dasan Studies attached to Yonsei University have made great efforts to promote and utilize Dasan culture of Gangjin. This includes the restoration of historical sites, strengthening exhibitions and experience programs, development of contents, and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and cultural projects. Based on such achievements, the future use of ‘Dasan Culture’ in Gangjin should meet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more technological advances overcome the physical limitations of space, ironically, human life is being cut off and alienated. In this regard, empathy and healing for humans and society is an important task for our society.
강진에서 보낸 정약용의 18년 : 그 기록된 경험의 일면을 중심으로
윤석호(Yoon Suk-ho)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4 다산과현대 Vol.17 No.-
본고는 다산의 경세 저작과 강진 경험의 질적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착수되었다. 이에 다산의 시문 및 『경세유표』·『목민심서』를 대상으로 하여 강진에서 그가 경험한 경로와 방식, 그리고 그것이 그의 저술에 반영된 양상을 확인했다.<BR/> 다산은 곳곳을 거닐고 탐방하며 강진의 풍속과 행정의 실상을 예리하게 관찰했다. 그리고 이서, 승려, 향촌 및 중앙의 사족 등 다양한 범주의 인물들과 넓고 지속적으로 교류했으며, 이를 통해 지역의 내밀한 사정을 청취하고 정보를 수집했다. 나아가 그는 이로써 축적된 경험을 모아서 경세서 집필을 위한 자료집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원천 자료는 다산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되었고, 이를 통해 저술의 실효성과 현장성을 강화했다.<BR/> 이로써 본다면 다산의 강진 경험은 그의 경세 저술을 질적·내용적으로 지지하는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특히 현실에 대한 다산의 분석·진단·처방은 비단 강진이라는 공간을 넘어 전국적·체제적인 범위에 이르고 있었다. 이는 강진에서의 경험이 서남 해안의 외진 고을을 벗어날 수 없었던 그에게 조선 체제를 바라보는 창이 되어주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BR/> 이상의 분석에도 불구하고 본고는 지면과 역량의 제한으로 인해 다산의 저술에 담긴 강진 경험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차후의 과제로 삼을 것을 기약하며, 금번의 발표가 단초가 되어서 다산의 학술 전반에 있어 강진의 경험이 끼친 학술적 영향이 구체적으로 점검되기를 희망한다. As part of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a qualitative link between Dasan's writings about Governance and his experience in Gangjin(康津), this paper focuses on Dasan Jeong Yak-yong's poetry, 『Gyeongseyupyo(經世遺表)』, 『Mokminsimseo(牧民心書)』 to identify the routes and modes of his experience in Gangjin and the ways in which it is reflected in his writings.<BR/> Dasan walked and explored everywhere, keenly observing the custons and administrative realities of Gangjin, and interacted extensively and continuously with various categories of people, such as Hyang-Ri(鄕吏), monks and yangban(兩班), through which he listened to and gathered information about local affairs. Furthermore, he compiled his accumulated experience into a collection of sources for the compilation of the writings about Governance. These source materials were used as evidence to support Dasan's arguments, thus strengthening the effectiveness and authenticity of his writings.<BR/> In his way, Dasan's experience as a Gangjin became an important resource to support his writings qualitatively and content-wise. In particular, his analyses, diagnoses, and prescriptions of reality went beyond the space of Gangjin to national and systematic scope, showing that his experience in Gangjin provided him with a window into the whole of Joseon, as he was unable to leave his remote village on the southwest coast.<BR/> Despite the above analysis, due to space and capacity limitations, this paper has not reached the stage of a detailed analysis of Gangjin's experience in Dasan's writings. It is hoped that the present presentation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future, and that the scholarly impact of Gangjin's experience on Dasan's scholarship will be examined in detail.
허원영(Heo, Won-Young)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2 다산과현대 Vol.15 No.-
강진 고문헌은 지역학으로서의 강진학 뿐만 아니라 한국학의 제 분야 연구에 의미가 있는 자료이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알려진 강진의 고문헌을 개괄하고, 그 연구 성과를 간단히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주요 문화재로 지정된 강진의 문화재를 중심으로 강진 고문헌과 그 관련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들은 강진을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강진 고문헌과 연구의 성격을 살펴 볼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둘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주요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강진 고문헌의 현황과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들 고문헌은 강진이란 지역적 제한을 벗어난 것으로, 강진 내의 고문헌과는 다른 성격의 주요 정보들을 제공한다. 강진 고문헌과 강진학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중요자료라 할 수 있다. 셋째, 국사편찬위원회의 강진 지역의 사료 조사성과를 검토하였다. 이는 조선후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개인과 문중, 마을 등 강진의 여러 주체들에 의해 생산, 전래된 것들로, 강진 고문헌에 대한 가장 폭넓은 사례를 보여준다. 넷째, 호남권한국학자료센터(http://hnkostma.org/)에 탑재된 강진 고문서를 대상으로 강진 고문서의 현황과 성격을 검토하였다. 강진의 고문서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며, 호남권한국학자료센터에 탑재된 강진 고문서의 현황과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그 이유를 검토하였다. 강진에는 개인과 문중, 마을 등 다양한 주체들이 조선후기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문헌들을 소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량 소장처가 없고, 자료의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조선후기로부터 현재까지의 연속성을 지닌 자료군이 존재한다는 점과 특히 마을과 지역에 밀접한 자료가 다수 존재한다는 점은 강진 고문헌의 뚜렷한 특징이자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강진의 고문헌은 지역사와 마을사 연구에 중요하며, 활용성과 확장성은 충분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강진 지역 내 고문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조사와 지역 외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지역 내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하게 요청된다. 또한 강진 외부에 존재하는 강진 고문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조사와 정리도 필요하다.
다산(茶山)과 문산(文山)의 강토(講討): 행사(行事)와 본원(本源)의 두 길
전성건(Jeon, Sung-k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1 다산과현대 Vol.14 No.-
이 글은 다산 정약용과 문산 이재의의 학문적 토론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들이 지향하는 지점이 각각 어디를 향하고 있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작성한 것이다. 다산박물관에서 제공한 자료[『다죽문답』·『잡록』·『다산시첩』]를 대상으로 정리하였지만, 관련 자료가 빠져있어, 《여유당전서》와 『문산집』 등을 추가하여 살펴보았다. 문산 이재의는 무신가문에서 성장하였지만 학문적 자질이 있어 학자의 길로 들어선 인물이고, 조선후기 집권세력인 노론의 호론과 낙론 계열의 스승 모두에게 수업하였지만, 다산 정약용은 성호학파 계열로 천주학과 관련하여 18년 이상을 유배지에서 생활했던 근기남인이었다. 그들의 성장과 수학이 달랐던 만큼, 그들의 철학과 사상도 다를 수밖에 없었다. 다행인 것은 그나마 당시의 교유가 이전 시대만큼 당색으로 상대를 폄하하는 시대가 아니었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다산과 문산의 학문적 지향점을 각각 행사와 본원으로 정리하였다. 그들의 학문적 토론은 본성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문산은 주자학자로서 마음속에 내재하는 인의 예지를 본성으로 이해하였고, 이것은 본원을 함양하여 덕성을 기르는 주자학의 공부법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에 비해 다산은 주자학을 비판하면서 인의예지는 행사를 통해 성취되는 것으로 마음속에 내재하는 이치가 아니라, 행사 이후에 지칭되는 명칭이라고 하였다. 그들의 토론 현장은 매우 격렬하였는데, 문산은 다산을 향해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병, 이른바 태양증에 걸린 것은 아니냐며 다산의 호승심 가득한 마음가짐을 비판하였으며, 다산 또한 문산에게 당파의식을 가지고 아랫사람을 나무라는 식으로 토론을 전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언급을 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그들의 토론은 매우 격렬하였지만, 그들이 죽을 때까지 안부를 묻기도 하고, 서로의 가족에 대한 안부를 묻기도 하는 등 친밀한 관계를 유지한 것도 사실이다. 전근대 유학자들이 갖고 있는 선비정신의 이면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면, 바로 이러한 부분에서 찾아질 수 있을 듯하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examine the academic discussion process between Tasan Jeong Yak-yong and Moonsan Lee Jae-ui and to confirm where they were aiming. The materials provided by the Dasan Museum[Dajukmundap, Japrok, and DasanSichup] were organized, but related materials were missing, so we added Yeodangjeonseo and Munsanjip to examine them. Moonsan grew up in the military family, but he entered the path of a scholar due to his academic qualities, and taught both teachers of Noron, a ruling pow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Dasan was a man who lived in exile for more than 18 years. As their growth and study were different, their philosophy and ideas were inevitably different. Fortunately, the relationship at that time was not an era where people disparaged their opponents with political party as much as they did in the previous era. In this article, the academic orientations of Tasan and Moonsan are summarized as events and headquarters, respectively.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their academic discussions diverge from their understanding of nature. Moonsan, as a runner-up scholar, understood the art of humanity inherent in his mind as his nature, and this corresponds to the study method of runner-up who fostered virtue by cultivating his original purpose. On the other hand, Tasan criticized neo-confucianism and said that the prediction of humanity is achieved through events, not a reason inherent in the mind, but a name referred to after the event. Their discussion site was very intense, and Moonsan criticized Tasan"s fierce mindset, saying that he had a disease that could not control his anger toward Tasan, so-called solar syndrome, and Tasan also expressed his comment that he was blaming his subordinates with a sense of partisanship. As such, their discussions were very intense, but it is also true that they maintained a relationship that said hello and talked about the world until they died. If there is a place where you can see the backside of the scholar spirit of pre-modern Confucian scholars, we should find it in this area.
1894년 강진지역 동학농민전쟁과 다산 정약용의 『경세유표』
홍동현(Hong, Dong Hy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5 다산과현대 Vol.8 No.-
강진은 1894년 강진읍성 전투, 강진병영성 전투 등 동학농민군과 관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지역이다. 특히 1890년대를 전후해서 동학이 전파된 이후 이 지역 출신 동학교도들은 1893년 교조신원운동과 1894년 1차 봉기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전주성 철수 이후 강진 동학농민군의 독자적인 활동보다는 장흥 동학농민군과의 합세 속에서 도소를 설치한다든지 또는 이후 전투를 치루고 있었다. 이는 강진지역이 갖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강진지역은 동학이 전파되던 초기부터 관과 유생들이 향약을 통해 동학의 확산에 대응해 왔으며, 이는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이들 반(反)동학농민군의 조직적인 대응은 강진동학농민군의 독자적인 활동을 제약했으며, 결국 장흥동학농민군과 합세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한 배경 속에서 강진병영에는 반농민군이 동학교도를 내세워 ‘가짜 도소’를 설치했던 것이며, 이를 통해 타지역 동학농민군의 진입을 막을 수 있었다. 또 한가지 특징은 강진에는 해남 윤씨 집안의 동학농민전쟁 참여가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서 다산이 18여년간 유배생활을 한 곳이 강진이며, 외가인 해남 윤씨 집안과의 학문적 교류가 활발했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특히 다산 정약용의 대표적 저서인 『경세유표』가 전봉준 등에게 전해졌다고 하는데, 윤세현이라는 인물이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강진읍지』는 전하고 있다. 윤세현은 강진 대구 출신의 대표적인 동학농민군으로 강진동학농민군을 이끌었던 인물이다. 이는 결국 다산의 개혁사상이 해남 윤씨 집안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학문적 배경이 그들로 하여금 동학농민전쟁에 참여토록 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그동안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배경을 실학사상에서 찾고자 했던 맥락에서 실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를 좀 더 실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Gangjin is the region where fierce battles including the Gangjin fortress battle and the Gangjin barracks battle took place between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the government troops. Specifically, since the transmission of Donghak during the 1890s, the Donghak followers from this region participated in the 1893 Movement to vindicate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and the first uprising. However, after the withdrawal from Jeonju castle, they built Dosos or fought subsequent battles by joining forces with Donghak peasant troops from Jangheung rather than act independently. This may be referred to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angjin, In other words, the Gangjin region, authorities or Confucian scholars responded to the spread of Donghak through the Hyangyak from the beginning of the transmission of Donghak in the Gangjin region, and this extended in to 1894. The organized response of the anti-Donghak peasant troops restricted the independent activity of the Gangjin Donghak peasant troops, and ultimately they had no choice but to join forces with the Jangheung Donghak peasant troops. Against such a background, the anti-peasant troops installed a ‘fake Doso’ by putting up Donghak followers, which prevented the entry of Donghak peasant troops from other regions.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 household of the Haenam Yoons in Gangjin noticeably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War. In regards to this,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place Dasan was exiled to was Gangjin, and also that he actively interacted in academics with the Haenam Yoon household. In particular, Dasan Jeong Yak yong‘s representative book 『Gyeongseyupyo』 is said to have been delivered to Jeon Bong-jun, and the 『Gangjin Town Chronicle』 says that a figure named Yoon Sae-hyeon deeply participated in this affair. Yoon Sae-hyeon was the representative Donghak Peasant troop to hav hailed from Gangjin Daegu and was a figure leading the Gangjin peasant troops. This means that ultimately the reformative thought of Dasan greatly influenced the household of the Haenam Yoons, and such a scholastic background may have enabl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Donghak Peasant War. This seems to be the basis for a more positive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ilhak and the Donghak Peasant War within the context of attempting to fi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Silhak thought.
정일균(Jeong, Il-gy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본고에서는 1950/60년대 및 그 이후 남 ? 북한에서 각각 출현했던 ‘두 개의 다산 호출’의 구체적 내용과 특징을, 특히 당시 ‘실학 담론의 지형’과 ‘다산 연구의 동향’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다산 호출’은 당시의 분단상황 하에서 남 ? 북한이 각자 지향했던바 ‘두 개의 근대화 기획’, 즉 ‘자본주의적 근대화 기획’과 ‘사회주의적 근대화 기획’이라는 시대적 과제와 조응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물론 이러한 ‘다산 호출’은 해방 이후, 보다 소급해서는 1930년대의 ‘조선학 운동’ 이래 조선후기 사회변동 및 사상사 연구에 있어 실로 중요하고도 다대한 성과로 구체화되었다. 그럼에도 동시에 남 ? 북한의 ‘다산 호출’은 공히 각 체제에 봉사하는 ‘관학적 성격’을 다분히 내포하는 가운데, 일련의 문제점 또한 공통적으로 노정하였던바, 즉 ① ‘서구 중심주의’, ② 실학에 대한 ‘본질론’의 관점이 가진 약점, ③ 실학의 구성적 타자로서 조선주자학을 지목하는 인식틀이 내포한 난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끝으로 이를 토대로 ‘21세기의 다산 호출’, 즉 차후의 다산학 및 나아가 실학연구의 발전과 심화를 위해 요청되는 과제를 연구방법론의 측면에 유의하면서 몇 가지 단상을 제기해보았다. In this paper, I roughly survey the past trends of Practical learning(實學) studies and Tasan(茶山) studies achieved in the 1950"s and the 1960"s of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tents and the features of "th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丁若鏞)" developed i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respectively. Th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Th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 developed in south and north Korea at that time may be laid down as a general rule that they were really academic reflections and a sort of justification instrument of "the then two different modernization projects", i.e., the "capitalistic modernization project" of South Korea and the "socialist modernization project" of North Korea. ②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s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 in south and north Korea had produced a great quantity of and very important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social conditions and changes and the world of thought in the late Chosun(朝鮮) dynasty consequently. ③ Nevertheless, thes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 in south and north Korea involved some common theoretical deformities, that is, the shadow of Eurocentrism, the weaknesses of "a essence-centered viewpoint" of Practical learning, and some logical difficulties implied in the standpoint of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which recognized that as an unpractical learning and so forth.
김덕진(Kim, Deok-Ji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5 다산과현대 Vol.8 No.-
조선 안에서 호남(湖南) 사람들의 해상활동이 활발했는데, 그 안에서도 강진(康津) 사람들이 가장 돋보였다. 그것은 좋은 조건의 포구, 제주도(濟州道)와의 가까운 거리, 부속 도서의 보유, 그리고 청해진(淸海鎭) 경영과 같은 역사적 경험 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강진의 포구는 서남해 도서를 오가는 유배객 · 지방관 · 사신이 거처 가는 곳이었다. 이들은 바람을 기다리느라 심지어 한 달 이상을 체류하는 경우도 있었다. 자연히 상품의 소비나 공급이 활발할 수밖에 없었다. 무엇보다 남당포(南塘浦)는 제주도의 문호로써 제주 특산품의 집산지였다. 강진 상인은 제주에 없는 면포와 담배 및 누룩 등을 가지고 제주에 들어가서 양대(凉臺)와 귤 및 미역 등 제주 특산품을 사가지고 나왔다. 강진과 제주를 오가는 선박은 매일 줄을 잇고 있었다. 그래서 강진 상인들은 손쉽게 제주를 드나들며 제주 물건을 사와 강진에서 직접 팔거나 아니면 다시 각지로 다니며 판매하였다. 나오는 제주 상인에 의해서도 제주 특산품은 강진에 집산되었다. 이를 매입하기 위해 서울이나 개성(開城) 기타 지역 상인들이 강진에 운집했고, 그들 중에는 아예 제주로 들어가 매입해 나오기도 했다. 이래저래 강진땅에는 제주 물산뿐만 아니라 전국 특산품이 넘쳐났다. 이것을 강진 상인들은 다시 가지고 경상도 지역으로 나가서 팔고 대신 어물과 소금 등을 가지고 왔다. 결국 조선 상업에서 강진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았다. 남북으로 제주와 서울을 연결하고, 동서로 서남해와 동남해를 연결하는 매개처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In Joseon dynasty, merchants from Honam area were active in seaborne commerce, and particularly their commercial activities were most prominent at Gangjin, Honam. They could be active in commerce thanks to good conditions like ports suitable for commercial activities, geographical location near Jeju-do, annexed islands, an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operating Cheonghaejin. Exiles, local governors, and envoys could not help visiting a port at Gangjin to go to islands in the southwestern sea, and sometimes they stayed at Gangjin more than 30 days to wait till the wind calmed down. Accordingly, the consumption and supply of goods had increased at Gangjin. First of all, Namdangpo (a port at Gangjin) was a collecting and distributing center for Jeju-do"s local specialities, while it took a role in opening the door to Jeju-do. In Jeju-do, Gangjin merchants had sold cotton, tobacco, and Nuruk (Korean rice-wine starter), which were not produced in Jeju-do, and they had bought Jeju-do"s local specialities like Yangdae, tangerine, and sea mustard. Ships from Gangjin to Jeju-do were lined up everyday, so it was easy for Gangjin merchants to buy the goods in Jeju-do and then to sell them at Gangjin or in all parts of the country. Jeju-do"s local specialities were also collected at Gangjin by Jeju merchants. To buy Jeju-do"s local specialities, many merchants came to Gangjin from Seoul, Gaeseong, and other regions. Among them, some merchants went to Jeju-do to buy the goods directly there, and then came back to Gangjin. Anyway, Gangjing was full of the whole country"s specialities as well as Jeju-do"s goods. Gangjin merchants had sold the goods in Gyeongsang-do and had bought fishes and salt there. In conclusion, Gangjin had played a major role for commerce in Joseon dynasty, because it acted as an intermediary between Seoul and Jeju from north to south and the one between the southeastern sea and the southwestern sea from east to west.
김선희(Kim, Seonhee)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7 다산과현대 Vol.10 No.-
다산의 사상은 자주 근대성의 맥락에서 해석된다. 서학을 일부 수용했음에도 다산이 자신의 사상적 작업에서 직접 서구적 근대성 혹은 근대화를 목표로 삼지 않았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동시에 다산이 우리 사회가 조선 후기 새로운 학풍으로서 실학에 기대하고 또 추구하고자 하는 모종의 근대성과 연결된 철학자라는 점 역시 부인할 수 없다. 지금도 우리 사회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다산과 근대성의 연결은 다산을 읽고 출판하고 지적으로 위상을 부여하던 20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지적 실천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글은 다산의 사상이 조선학 운동을 통해 근대 지식장에 등록되던 상황과 맥락, 논리를 검토함으로써 다산에 연결된 근대성의 기원을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Dasan Jeong Yak-yong’s thoughts have often been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modernity. Despite his acceptance of Western Learning of the Jesuits, it is certain that Dasan’s direct aim of his theoretical work was not Western modernity or moderniz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Dasan is a philosopher who has been associated with a kind of modernity that is expected and pursued by practical learning(實學) as a new academic approach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nnection between Dasan and modernity, which still exerts influence on our time, has come from the intellectual practice of the 20th century Joseon’s intellectuals who provided an intellectual status to Dasan while reading and publishing his thoughts and works. This article examines the origin of modernity connected with Dasan by examining the situation, context, and logic in which Dasan’s thoughts were registered in the modern knowledge field through the Joseon-hak(朝鮮學) movement.
홍유빈(Hong, you-bi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9 다산과현대 Vol.12 No.-
본고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성과를 검토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전망하고자 작성되었다. ‘다산학 전승 연구’의 모체(母體)는 역시 ‘다산학(茶山學)’이라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다산학’연구는 근‧현대의 실학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선학들에 의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가 심화 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다산의 학문적 업적의 조력자였던 그의 제자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총론적인 연구 성과의 경우, 다산학단 구성원을 그 시기와 특징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다산학단의 전모(全貌)를 파악하는데 용이한 밑그림을 그려주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러한 시야 속에서 현재 다산학단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의 대강을 살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정리를 마치면서 관찰되는 것은 다산학(茶山學)이 다산학단에 의해 줄기가 가지로 뻗어 나가듯이 계승 ‧ 발전되는 것과 같이, 이에 대한 연구 역시 다산학에 대한 연구에서 다산학단에 대한 연구로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다산학단 연구 전반에 대한 향후 방향의 차원에서의 제언으로는 그 이전에 ‘다산학(茶山學) 연구’로 해왔던 연구 및 자료정리 순서를 참조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산학단 연구의 추동력이 더해진다면 다산학(茶山學)의 연장(延長)으로서의 다산학단(茶山學團)의 특징적 면모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대중서도 함께 출간된다면 다산학단에 대한 관심을 대중들과도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utcome of “Dasan transmission studies” and prospect of the future directions for it. The beginning of “Dasan transmission studies” was also “Dasan studies.” As we all know, the research of “Dasan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y various scholars as the part of Realism research in modern times and today. However, in the process of intensify the studies, there had been more interest by Dasan’s disciples who had been helpers of Dasan. In the case of the general outcome in “Dasan transmission studies”, the classification by the times and characteristics of Dasan school members was helpful for drawing rough sketch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whole story. And we could scan the present Dasan studies by the continued following studies with given perspective. What we observe in the end of organization is Dasan studies have been continued from Dasan studies to Dasan school studies as Dasan studies have been transmitted and continued by Dasan school. On the other hand, the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Dasan School studies is to refer to study of the Dasan studies research and material sequence. And if the impetus of the present Dasan school studies has been added to the given resources, it would show more characteristic features of Dasan school studies as the continuation of Dasan studies. And if the public books have been published, it would be so meaningful to share the interest about Dasan School studies with the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