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개인상담 성과의 측정 및 평가에 대한 분석: 학술지 '상담학연구'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왕은자,유정이,김선경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Scientific and concrete evaluation of counseling outcomes is a foundation of the effective counseling. This study analyzed 76 studies published 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o investigate measurement tools, measurement areas, and other trends in evalua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surement tools used to measure individual counseling outcomes, SEQ(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CSQ(Counsel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 CRF(Counseling Rating Form), WAI(Working Alliance Inventory),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 were mainly used. Most of the measurement tools measured clients’ emotional changes rather than specific symptoms or functional improvements after the counseling session or after counseling. Second, the measurement areas do not come under major areas like general stress, specific symptoms, health and functional level. Finally, the analysis of other trends related to the measurement tools and measurement areas was divided into measurement development, individual counseling effectiveness index,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counseling outcomes, and other trend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counseling outcomes, the level of measurement and measurement area, and methods for assessing alternative effects. 상담 성과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측정 및 평가는 상담학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양대 학회지인 <상담학연구>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개인상담 성과를 측정 및 평가하거나 탐색한 76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성과 측정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빈도 및 특징, 측정영역, 측정 및 평가의 기타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상담 성과의 측정도구 사용빈도는 회기평가질문지(SEQ), 상담만족도질문지(CSQ), 상담 성과질문지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SEQ와 CSQ가 압도적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를 Orlinsky, Grawe와 Parks(1994)가 구분한 측정수준으로 분석했을 때 대부분 회기 직후의 성과와 여러 회기 후의 상담 성과를 내담자 관점에서 리커트 방식으로 측정하고 있었다. 둘째, 측정도구의 측정영역을 일반적 스트레스, 특정증상, 건강과 기능수준, 기타로 구분하였을 때 도구들은 주로 기타에 해당되는 영역, 즉 즉시적 성과나 과정 성과 등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상담 효과의 측정 및 평가와 관련된 기타 동향을 분석한 결과, 성과 측정도구 개발, 개인상담 효과의 지수 및 준거 탐색, 상담 효과 경험 관련 질적 연구 및 기타 동향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실제 상담의 효과를 측정 및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상담 효과의 개념, 측정수준 및 측정영역, 대안적인 효과 평가의 방법 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업상담 성과준거에 관한 델파이 연구

        이승미,고은혜,이민아,양햇살,김봉환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draw an agreement from the professionals on the outcome criteria of workplace counseling and to present the outcome criteria of workplace counseling that reflects their special features. The respondent panel consisting of 21 workplace counseling professionals responded to the Delphi survey and the fin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data from 19 professionals who participated in the last third round of the survey. The internal validity formula developed by Lawshe (1975) was used in calculating the CVR(Content Validity Ratio) of different domains. Data was treated using the SPSS 22.0, Excel 2013 statistics progra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6 major domains - with a total of 33 sub domains - were identified: the objective of workplace counseling; accomplishments of workplace counseling on an individual level; accomplishments of workplace counseling on an organizational level; accomplishments of workplace counseling on other levels; distinctive accomplishments of workplace counseling; criteria for assessing the presence of accomplishments when evaluating workplace counseling. The major sub domains include: helping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manage stress; alleviating work-related stress and assuring stability of life; strengthening bond among team member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teamwork through team building; carrying out counselor's role as supporting resources(counseling and provision of various professional training); early intervention and danger prevention with diagnosis on hazardous elements to the mental health of the executive and staff in the workplace; positive attitude of the members towards the counseling room with increased trust and the need for counseling; enhanced visits of the members to the counseling room based on word-of-mouth. The outcome criteria of workplace counseling identified in this research presented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outcome criteria different from general counse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chieving consensus on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presence of accomplishments when evaluating workplace counseling. Based on the findings of research, their possible applications in the actual workplace counseling field and in the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업상담 성과준거의 내용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고 기업상담의 특성을 반영한 기업상담 성과 준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기업상담 전문가 21명을 본 연구의 전문가 패널로 구성하였으며, 최종 3차 델파이 연구에 참여한 1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역별 CVR (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하고자 Lawshe(1975)가 개발한 내적타당도 산출 공식을 적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2.0, Excel 2013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기업상담 성과준거의 6개 주요 영역은 ‘기업상담의 목표’, ‘개인적 차원의 기업상담의 성과’, ‘조직적 차원의 기업상담의 성과’, ‘기타 차원의 기업상담의 성과’, ‘기업상담만의 독특한 성과’, ‘기업상담 평가 시 성과 유무에 관한 평가기준’이며, 영역 별 하위요소로 총 33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각 영역별 대표적인 하위요소는 ‘조직원의 스트레스 관리 조력’, ‘직무스트레스 개선 및 삶의 안정감 확보’, ‘팀빌딩 등을 통해 응집력을 높이고 팀웍 향상에 기여’, ‘지지자원(상담, 다양한 전문교육 지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임직원의 정신건강과 조직의 위해요인 진단을 통한 조기 개입 및 위험 예방’, ‘상담실에 대한 조직원의 신뢰도, 긍정적 인식 및 상담 필요성 증가’, ‘입소문을 통해 조직원들의 상담실 이용률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기업상담의 성과 준거는 일반 상담과 구별되는 기업상담만의 독특한 성과 특성을 제시하였고, 기업상담 평가 시 성과 유무에 관한 평가기준을 합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상담 현장과 후속연구에 관한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1990-2014)

        최한나,권윤주,강귀옥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 through meta-analysis and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evaluator of the working alliance, the age of the clients, and the type of measurements. 39 Korean studies of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 were selected for this meta-analysis, which were conducted in 1990-2014. These data sets included a total of 8,262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working allianc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unseling outcome(r=.573). Furthermore, in the subgroup analyses, the effect size of counselors' ratings was .603 and that of clients' ratings was .572. In the analyses for measurement types of working alliance, the effect size of WAI, WAI-s, and TAS was .531, .608, and .281 respectively. In the analyses for cliental age groups, the effect size of adults was and .587 and that of adolescents was .431. Lastly, in the analyses for measurement types for counseling outcome, the effect size of session evaluation, counseling satisfaction, and outcome questionnaire was .587, .634, and .495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four moderators. The implication,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작업동맹과 상담성과 간의 관계를 보고한 연구들을 메타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뿐만 아니라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와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절변인들(측정도구의 평정자, 내담자 연령대,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측정도구)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와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5편의 논문(39개의 개별분석)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표본 크기는 총 8,262명이었다. 메타분석 결과 작업동맹과 상담성과는 중간크기의 유의한 상관(r=.573)이 있음을 확인했다. 조절변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위집단별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담자가 평가한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와는 .603, 내담자가 평가한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와는 .572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사용된 척도별로 보면 WAI와 상담성과와는 .531, WAI-S와 상담 성과와는 .608, TAS와 상담성과와는 .281의 상관을 나타냈다. 상담 대상자별로 살펴볼 때,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는 .587,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는 .431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상담성과 척도별로 구분하였을 때, 작업동맹과 회기평가 간에는 .587, 상담만족도와는 .634, 그리고 성과질문지와는 .494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변인에 따라 구분된 하위집단의 효과크기는 통계적 추정치를 고려할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제한점과 함께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집단상담 과정-성과 준거에 관한 델파이 연구

        서미나,권경인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This study was aimed to present the group counseling process and outcome criteria to develop its criteria model. To identify the major categories and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process-outcome criteria,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four experts on group counseling were interviewed. Thus, a basic plan was developed. To derive experts' agreement on the validity of group counseling process-outcome criteria contents, the Dephi method was used three times in surveying 30 experts on group counseling. Data were treated using the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and to prove the importance and validity of individual items, the internal validity formula, developed by Lawshe, was used in calculating the CVR(Content Validity Ratio) of individual items. As a result, 55 questions were derived as the group counseling process-outcome categories and 8 categories were identified for the group counseling outcome- promotion of social function skill, emotional sense of stability, the understanding of family and others by group members, reduction of subjective discomfort, multiple self-understanding, the promotion of problem-solving, existential factors and the promotion of interpersonal. The five categories for group counseling processes were evaluated as important process which were feedback, observation, experiment, numerous people's sympathy, and inter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multiple self-understanding and the promotion of problem-solving through feedback, the understanding of family and others, multiple self-understanding through observation, the promo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experimentation, emotional sense of stability and multiple self-understanding by numerous people's sympathy, the promotion of interpersonal through interaction were evaluated for major group counseling process-outcome. Thus, the major group counseling process- confirmed in the group counseling - outcome category, unlike individual counseling,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counseling, to which attention needs to be drawn. Finally, a model was presented by integrating Dephi survey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of research, follow-up research and implications in the counseling field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집단상담의 특성을 반영한 집단상담 과정-성과의 준거를 제시함으로써 집단상담 과정-성과준거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집단상담 과정-성과준거의 주요 범주와 요소를 찾기 위해 성과와 관련된 문헌검토 및 4명의 집단상담 숙련 전문가 면담을 통해 초안을 개발하였다. 집단상담 과정-성과준거의 내용타당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과정을 도출하기 위해 30명의 집단상담 전문가에게 3차에 걸쳐 델파이 방법(Delphi method)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항목별 중요도와 내용타당도를 Lawshe가 개발한 내적 타당도 산출 공식을 적용하여 항목별 CVR(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55개 문항으로 구성된 집단상담 과정-성과 항목을 찾아냈고, 총 8개의 집단상담 성과범주로 ‘사회적 기능수준 증진’, ‘정서적 안정감’, ‘집단원들에 의한 가족 및 타인이해’, ‘주관적 불편감 감소’, ‘다각적 자기이해’, ‘문제 해결능력 증진’, ‘실존적 요인들’, ‘대인관계 능력 증진’ 등이 확인되었다. 주요 집단상담 과정범주로는 ‘피드백’, ‘관찰’, ‘실험’, ‘다수의 공감’, ‘상호작용’ 등 5개가 추출되었다. 주요 과정-성과는 ‘피드백을 통한 다각적 자기이해와 문제 해결능력 증진’, ‘관찰을 통한 가족 및 타인이해와 다각적 자기이해’, ‘실험을 통한 문제 해결능력 증진’, ‘다수의 공감을 통한 정서적 안정감과 다각적 자기이해’, ‘상호작용을 통한 대인관계 능력 증진’으로 확인되었다. 집단상담 과정-성과 항목에서 도출된 주요 집단상담 과정과 성과는 개인상담과는 차별적인 집단상담 성과의 특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최종 델파이 결과를 통합하여 집단상담 과정-성과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상담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상담에서 진로결정수준 향상을 위한 상담성과의 구조적 관계

        조명기,이주희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self-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achieve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for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190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the scales of counseling achievement, employment stress,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21.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th analysis, the counseling achievemen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elf-identity, and so did the self-identity with the career decision level. Employment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both career decision level and self-identity. Second, i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employment stress showe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achieve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self-identity was found to be a perfect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achieve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no direc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from counseling achievement, but it can indirectly influence career decision level setting self-identity through career counseling. Although employment stress through counseling achievement is currently inaccessible, if counseling achievement can indirectly approach employment stress through various follow-up studies, the counseling achievement that solved the problem of employment stress can indirectly approach the career decision level. This is a new study on the intervention direction and approach of counseling achievement in the state of little research on counseling achievement. Finally, discus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상담의 상담성과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상담성과, 취업스트레스,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AMOS 21.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분석에서 상담성과는 자아정체감에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자아정체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는 진로결정수준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에서 모두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분석에서 취업스트레스는 상담성과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정체감은 상담성과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상담성과에서 진로결정수준으로는 직접적 영향이 없지만 진로상담을 통하여 내담자의 자아정체감을 정립해 주면 진로결정수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담성과를 통한 취업스트레스에 현재는 접근할 수 없지만,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상담성과가 취업스트레스에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면, 상담성과를 통하여 취업스트레스의 문제를 해결하여 진로결정수준에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담성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태에서 상담성과의 개입 방향과 접근법에 대한 새로운 연구라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내적자원 중심 상담성과 척도(IRECOS)의 개발 및 타당화

        이성욱,김수임 한국상담학회 2024 상담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내담자의 증상 또는 기능 수준의 개선에 주목하였던 기존 상담성과 연구들의 관점을 보완하여 내적자원 중심의 상담성과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먼저, 상담성과의 구성요인 탐색을 위해 내담자가 경험․보고한 상담성과에 대해 탐색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 상담전문가 33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하고 있는 상담성과를 탐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담성과에 관한 개념 단위 121개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생성하였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런 다음, 상담을 받았거나 현재 받고 있는 성인 내담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35명의 응답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이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대우도법을 적용하여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직접 오블리민 방법을 적용하여 요인회전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 이해’, ‘주체성’, ‘자기 존중’, ‘적용 및 대처’, ‘회복탄력성’, ‘대인관계 유능성’으로 상담성과 6요인이 도출되었다. 그 뒤, 상담성과 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510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가 RMSEA= .066, SRMR= .050, CFI= .905, TLI= .891로 양호하였으며 각 문항의 표준화된 요인 계수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그리고 준거관련타당도 검증 결과도 적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담성과에 대한 국내 내담자 및 상담전문가의 경험적 자료를 통해 성과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상담현장에 보다 적합한 척도를 개발한 점, 그리고 ‘긍정 변화 지속을 위한 내담자의 노력 유무’를 상담성과 요인으로 도출함으로써 상담성과 개념을 확장할 수 있었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ternal resource based counseling outcomes scale by complementing the perspective of existing studies that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lients' symptoms or functioning levels. To explore the factors of counseling outcom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that explored counseling outcomes experienced and reported by clients. In addition, 33 Korean counseling professionals were surveyed to explore their perceived counseling outcom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121 concepts of counseling outcomes were derived. Based on those results, preliminary items were generated,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items was verified through a delphi survey. The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among adult clients who have been counseled or are currently in counseling. A total of 33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actors were extracted by apply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factor rotation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direct oblimin method. As a result, the factors of counseling outcome were derived as ‘Self-knowledge’, ‘Autonomy’, ‘Self-regard’, ‘Application and coping’,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unseling outcome factor structur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510 responses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fit indices were good with RMSEA= .066, SRMR= .050, CFI= .905, and TLI= .891, and the standardized factor coefficients of each item were also good.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also adequat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veloped a scale more suitable for the Korean counseling field by exploring performance factors through empirical data of Korean clients and counseling professionals on counseling outcome, and it was possible to expand the concept of counseling outcome by deriving ‘client's effort to sustain positive change’ as a factor of counseling outcome.

      • KCI등재

        재무상담사의 역량이 고객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금융소비자 투자성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최성윤 ( Chei Sung-yoon ),김문명 ( Kim Moon Myoung ),서민교 ( Seo Min Gyo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5

        국내 금융환경의 급격한 변화, 노동시장 변동, 저금리, 저성장의 경제 환경은 자연스럽게 금융소비자의 재무상담에 대한 니즈를 증가시켰다. 재무상담과 재무상담사는 늘어나고 있지만 재무상담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이에 소비자의 상담 만족도를 높이는 상담사의 역량을 확인하고 상담 재구매에 영향을 주는 만족도 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무상담사의 역량이 상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상담 만족도는 고객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상담 재구매의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지 탐색해 보는 것이다. 최근 2년간 재무상담 전문회사에서 연간 1회 이상 재무상담을 받고, 연구조사에 동의한 고객을 모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조사의 대상이 되는 고객들은 구조화된 설문에 대해 이메일, 문자를 통한 온라인 및 담당 재무상담사와 직접 대면하여 설문에 답하였으며 대상자 3520명 중 247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이중 답변 오류와 이상치를 보인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19부의 답안지를 채택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담사의 역량에 해당하는 지식역량과 능력역량은 고객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고객 만족도는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는 상담 재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금융소비자의 투자성향은 상담사의 역량이 상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담 만족도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 효과를 가진다. 투자성향이 높은 고객은 재무성과가 좋을수록 상담에 대한 재구매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재무상담사의 지식과 능력 역량을 중점적으로 기를 수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한 재고가 관련 업계에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재무상담을 재의뢰하는 충성도 높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와 재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The rapid economic changes in the domestic financial environment, labor market fluctuations, low interest rates, and low growth have naturally increased the need for financial consulting for financial consumers. Financial counseling and financial counselors are increasing,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measure the satisfaction of financial counsel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ompetence of the counselor to enhance the counselor's satisfaction with the counselor and to identify the factors of satisfaction that affect the counselor's repurc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financial counselor's ability to positive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counseling,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unselo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aptitude, I see. For the past two years, the financial consulting company has received financial counseling more than once a year and made up the population who agreed to the research. The survey respondents answe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online by e-mail, text, and financial counselors in person, and collected 247 questionnaires out of the 3,520 respondents. And 219 copies of the answer sheet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firstly, the competence of knowledge and competence corresponding to the competency of counselor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rd,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counseling repurchase intention. Fourth, the investment propensity of financial consumers confirms that the influence of counselor's competence on counselor satisfaction and counselor satisfaction is a factor to control 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higher the financial performanc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repurchase of consult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industry needs to reconsider the training methods that can focus on the knowledge and ability of financial counselors. We propose a follow-up study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o secure loyal customers who renew consultation.

      • KCI등재

        낮은 성과를 보인 상담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한영주,권경인,유성경,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what counselors and clients experience in counseling process with low effects and to suggest substantial theory on counseling process with low effects. Among 350 counseling dyads who participated in the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counseling outcome, 20 dyads which showed the lowest rate of change were selected. 9 Counselors from selected dyads who agreed t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interviewed. The trained interviewers of doctoral level in counseling psychology interviewed participants about their counseling experiences the recalled within sessions. Grounded theory method within hermeneutical framework was us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creating 64 themes, 24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of counseling process with low effects were “Discrepancy, from which results uncomfortable and flat process, and loose termination without dealing with the feeling from discrepancy”. Implications for PHTs research and guidelines preventing PHTs(Potential Harmful Treatments) were discussed based on findings from the perspective of counselors and clients. 본 연구는 낮은 성과의 상담에서 상담자들이 무엇을 경험했는지를 탐색하여 낮은 성과의 상담과정에 관한 실체이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현장 상담성과에 대한 대단위 종단 연구에 참여한 350명의 내담자들을 상담한 44명의 상담자 중에서, 가장 낮은 성과를 보인 하위 20명의 내담자를 상담한 상담자 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010년 12월에서 2011년 9월까지 2차에 걸쳐 비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 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하여 최종 64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4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낮은 성과의 상담과정에서 핵심범주는 ‘불일치로 인한 불편감, 밋밋함을 상담과정에서 다루지 않고 미진한 상태로 종결함’이었다. 낮은 성과의 상담에서 상담자들은 ‘표면적으로 괜찮아 보이지만 실상은 무겁고 깊은 문제를 가진 내담자’, ‘초기 평가의 오류’라는 맥락과 인과조건하에서 ‘밋밋하고 미진함’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였다. ‘역전이’와 ‘여력이 없는 상황’ 등의 중재조건의 영향 하에서 중심현상을 ‘상담의 한계’로 여기거나, ‘직접 다루지 않고 표면적이고 소극적 역할’을 하면서 나름의 성과가 있지만 미진한 종결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내담자들의 경험과 관련하여 논의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낮은 성과와 잠재적 유해성을 관리할 실무자들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 발달수준 및 역전이 활용과 상담성과

        임고운,김지현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unselor development level and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on the counseling outcome. For the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185 counselors and the clients aged older than or the same as old as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at least five counseling sessions. Only 160 cases of them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counselors were given demographic questions,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questions,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questions, and the counseling outcome questions. The clients were given demographic questions and the counseling outcome question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Counselor development level increased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ability. (2)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ability increased the counseling outcome assessed by the counselors. (3) For intermediate counselors regarding experiences,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was more related to the counseling outcome than for other level counselors. (4)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abi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and the counseling outcome. These results implied that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unseling outcome.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counselors needed to use countertransference actively, and the use of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should be included in counselor'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 발달수준과 역전이 활용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이상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5회 이상 진행된 상담 사례의 상담자와 내담자 각 185명에게 질문지가 주어졌으며 이중 160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상담자들은 인구학적 문항,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 역전이 활용 척도, 상담성과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내담자들은 인구학적 문항과 상담성과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의 통계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담자 발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역전이 활용 능력이 증가하였다. (2) 역전이 활용 능력이 증가할수록 상담자가 평가한 상담성과도 증가하였다. (3) 상담자 경력과 관련하여 중급 이상의 상담자들의 경우, 역전이 활용 능력과 상담성과와의 관계가 크게 나타났다. (4) 역전이 활용 능력은 상담자 발달수준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자의 역전이 활용이 상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상담자가 역전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와 함께 역전이 활용이 상담자 교육과정에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진로상담의 성과준거에 관한 델파이 연구

        유현실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greements on the content domains of outcome criteria of career counseling from the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and to explore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e outcome criteria that differ according to the career development tasks of clients. Based on the organizational schemes proposed by Whiston(2001), a conceptual model on the outcome criteria contents of career counseling was devised and drafts of criteria model were developed through five experts interviews and open-question survey from the 26 incumbent career counselors. Three-way delphi survey was performed for reviewing and revising the outcome criteria contents by 32 delphi panels. In addition, a Analytic Hierarchy Processing method was applied to rate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e outcome criteria for three delphi panel subgroups (adolescent, college student, adult professionals). As results, three domains and 15 outcome criteria factors was developed. In addition, ‘increase in understanding of self and environments’ wa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outcome, ‘commitment to the career action planning’ was the second, and ‘shaping of positive self-concept’ was the third.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상담 성과준거의 내용영역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고, 내담자의 진로발달 과업수준에 따라 진로상담 성과준거의 상대적 중요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Whiston(2001)의 방식에 따라 진로상담 성과준거 내용에 대한 개념모형을 구축하고 5명의 전문가 면접조사와 26명의 현직 진로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진로상담 성과준거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성과준거의 내용타당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32명의 전문가 델파이 패널을 구성하였으며, 3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통해 성과준거의 내용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절차를 거쳤다. 최종 확정된 진로상담 성과준거의 각 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정하기 위하여 계층화분석법(AHP)을 통한 추가적인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총 3개 영역의 15개 진로상담 성과준거가 도출되었으며, 청소년 진로상담전문가들은 진로지식과 기술을 중요시하는 반면, 성인전문가들은 진로행동을 중요시하였다. 15개 성과준거의 상대적 가중치를 모두 고려하는 복합가중치에서는 세 집단 모두 ‘자기 이해 및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이해 향상’이 1순위, ‘진로목표 실현을 위한 진로실행계획의 실천’이 2순위, ‘긍정적 자기개념 형성’이 3순위로 가중치를 평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진로상담 성과준거들이 진로상담의 현장과 연구에 적용되기 위한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