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세 관련 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비교 분석

        왕은자,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2

        This study further analyzed research data of Wang & Kim(2009) and more data were coll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ree stakeholder(clients, managers, counselors)' perspective about effectiveness of workplace counseling. For this purpose, elaborated concept mapping methodology was used and mor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s completed. 22 compan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tegorized by workplace counseling models, 19 kinds of in-house counseling models, 2 external EAP models, 2 EAP companies, and 6 eclectic models were in the sample group. The total participants were 69, comprising of 24 counsellors, 23 clients, and 22 managers of concerned companies. After analyzing which dimension i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ll targets such as counselors, clients and managers answered that counseling infra vs impact focus dimension is the most important. However, when comparing each group’s statement relatively, individual vs organizational focus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for client, counseling infra vs impact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for manager and both of them are the most important for counselor. Among 6 hierarchical clusters, individual problem solving & self growth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factor for client and counselor. However, ‘revisit and recommendation’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factor for manager. Furthermore, each target has distinctive perspective due to its own interest and sense of values for the effectiveness of workplace counseling.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specific triangle structure being comprised of counselors, clients and organization impacts positively on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workplace counseling study. 기업상담이 상담학의 하위 전문영역으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기업상담의 효과는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지 체계적이고 경험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기업상담은 일반상담과는 다른 독특한 특징이 있으며 이를 고려한 효과 평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상담의 효과를 평가하는 유용하고 실행가능한 평가 모형을 세우기 위한 기초 연구로 주요 이해관계자이자 관련 주체인 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인식을 심도있게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상담 효과를 나타내는 진술문 목록을 개발하고 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에게 평정자극으로 제시하여 각 진술문의 유사성을 평가하도록 한 왕은자, 김계현(2009)의 자료를 재분석하였으며, 여기에 진술문 목록을 설문지 형태로 제작하여 세 관련 주체가 기업상담 효과로써의 중요도와 실행가능성 정도를 평가하도록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 관리자, 상담자는 기업상담의 효과를 인식하는 차원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다르게 고려하고 있었으며, 기업상담 효과를 나타내는 군집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가능성도 다르게 인식하였다. 기업상담 효과 개념도를 비교하였을 때도 세 관련 주체는 관점에 따라 효과를 세분화하는 양상이 달랐다.

      • KCI등재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및 기업상담의 연구동향 분석: 효과연구를 중심으로

        왕은자,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4

        Since 1990s when a few major companies fist set up counseling office within workplace and started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 for employees, there has been steady growth in the number of companies making use of this service. Recently, this was followed by launch of foreign affiliated and local EAP providers. Henc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ffectiveness studies of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s, but the domestic research has been far short of the demand. Moreover, it is not only the responsibility of the counselor but of the company bearing the cost, to provide clients with consultation service based on empirical evidence.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reviews and analyzes the advanced foreign researches on effectiveness of EAP & workplace counseling in order to give insights to domestic researchers in carrying out effectiveness analyses. Main references are 55 effectiveness studies of EAP and workplace counseling, found through literature survey of foreign cases, and online search on domestic cases. The three parties of EAP: enterprise(purchaser), clients(service user), and EAP provider or counselors(service provider) have different ways of analyzing effectiveness of EAP, and therefore different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examined, the analyses can be categorized into overall satisfaction evaluations, cost-benefit analyses, psycho-social outcome studies, and case studies. Then the character of each research was analyzed and classified by institution, program, research design, study time, and variables examined. Finall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Key words : EAP, workplace counseling, Effectivenesss, satisfaction, outcome, cost-benefit analysis, case study 1990년대 초반 대기업이 상담실을 설치하여 임직원에게 상담전문가에 의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이래, 지난 10여 년 동안 상담서비스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외국계 EAP 회사의 국내진출 및 국내 EAP 회사의 설립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상담에 대한 효과연구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의 연구결과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경험적 증거에 기초한 상담은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책무이면서 비용을 지불하는 기업에 대한 책무라는 측면에서 필요성이 대두되며 또한 전문적 위상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보다 앞선 외국의 효과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에서 효과연구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국외의 경우는 문헌연구를, 국내의 경우는 온라인 검색을 통해 총 55편의 기업상담 효과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 효과연구를 기업상담 장면에서 독특한 삼각구도를 이루고 있는 구매자인 기업, 서비스 이용자인 내담자, 서비스 제공자인 EAP회사 혹은 상담가가 ‘효과를 무엇으로 보는가?’ 에 해당하는 효과변인에 대하여 내담자, 조직, 상담자의 수준에 따라 ① 전반적인 만족도 연구(14편), ② 비용-이익연구(12편), ③ 심리-사회적 성과연구(24편), ④ 사례연구(5편)로 분류하였다. 그 다음으로 효과연구 결과의 타당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어떻게 측정하는가?’에 해당하는 연구방법의 특징들을 기관, 프로그램, 연구설계, 연구기간, 측정변인 등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국내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주요어 : EAP, 기업상담, 효과연구, 만족도, 성과연구, 비용-이익연구, 사례연구

      • ㈜이랜드리테일의 상담운영 전개과정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왕은자,김영숙,홍희정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3 No.2

        Despite recent growth in the field of corporate counseling and employee support programs (EAP), case studies of counseling management on how to maintain roles and functions in an organization through some interactions within an organization of enterprise are very rare. In this study, the Exploratory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to get a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from the starting up of counseling system of E-Land Retail Co., Ltd. to the development of E-Land Retail trade-off type compromise model as a professional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how counseling interacted with the organization how this development process occurred. Research has shown that the company has developed an E-Land Retail trade-off model by piloting an in-house counseling services led by a counselor since 2011 and combining external EAP model later, since then, the company has extended the counseling services so the rel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counseling and utilization rates continue to be maintained until 2015. Observing the company’s counseling history, since 2005 when the counseling system was created and operated within the organization, the system has been specialized. This was based on the CEO's management philosophy, which emphasize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holistic health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pirit of E-Land. E-Land Retail's counseling operation has created its own unique counseling operation system by combining strategic positioning of internal counselor who internalized the company's organizational culture, a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ystems, and external EAPs that ensure confidentiality and diverse expertis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a proposal to gain insight into the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counseling system suitable for the corporate culture and reveale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최근 기업상담 및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분야가 성장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상담이 기업이라는 조직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여 조직 내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유지하는지에 대한 상담운영 사례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다. 본 연구는 ㈜이랜드리테일이라는 기업에서 상담제도가 시작되고 전문적인 상담으로 도약하여 이랜드리테일식 절충모형으로 발전되기까지의 과정과 상담이 조직과 어떻게 상호작용하였기에 이러한 전개과정이 일어났는가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하고자 탐색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해당 기업은 2011년부터 상담전문가가 주도하는 사내 상담제도를 시범적으로 운영하다가 외부 EAP모형을 혼합하여 이랜드리테일식 절충모형을 만들었고 이후 상담서비스를 확대하여 비교적 높은 수준의 상담만족도와 상담 이용률을 2015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 기업의 상담 역사를 살펴보면 2005년부터 조직 내에서 상담제도가 만들어지고 운영되면서 전문화되어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는 조직구성원의 전인적인 건강을 위한 인식과 실천을 강조하는 CEO의 경영철학과 이랜드정신이라는 조직문화가 토대가 되고 있었다. 이랜드리테일의 상담운영은 해당 기업의 조직문화를 내면화한 내부 상담자의 상담운영에 대한 전략적 포지셔닝과 적극적 의사소통 및 협력체계 마련, 비밀유지와 다양한 전문성을 갖춘 외부 EAP가 조합되어 이랜드리테일만의 독특한 상담운영 체계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조직문화에 적합한 상담제도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시사점에 대한 통찰을 얻고자 제언을 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밝혔다.

      • KCI등재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세 관련 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왕은자,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Since 20000s there has been steady growth in the number of companies making use of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 for employees. Henc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ffectiveness studies on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s, but the domestic research has been far short of the demand. This study analyzed three stakeholder(clients, managers, counselors)' perspective about effectiveness of workplace counseling. For this purpose, elaborated concept mapping methodology was used. 22 compan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tegorized by workplace counseling models, 19 kinds of in-house counseling models, 2 external EAP models, 2 EAP companies, and 6 eclectic models were in the sample group. The total participants were 69, comprising of 24 counsellors, 23 clients, and 22 managers of concerned companies. Only those who have served in professional counseling for at least one year have been qualified for the sample. As the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ing, 2 dimensions were brought. The dimensions were interpreted as ‘individual vs. organizational focus’ and ‘counseling infra vs. impact’. As the result of hierarchical clustering(ward method), 6 clusters were classified: ‘individual problem solving & self grow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nhancement’, ‘counsel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dividual performance enhancement & career development’, ‘organizational counseling system’. The previous research mainly focused on counselor’s perception in terms of paradigm of counseling psychology, wherea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pectives of counselors, clients and manage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specific triangle structure forming counselors, clients and organization impacts positively on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workplace counseling study. 2000년대에 들어 기업상담을 도입하는 사ㆍ공기업이 증가 추세에 있고 학문적인 측면에서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상담의 양적인 성장에 발맞추어 질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질적인 성장의 핵심은 기업상담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기업상담은 일반상담과는 다른 독특한 특징이 있으며 이를 고려한 효과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상담의 독특한 특징을 네 가지-맥락에 대한 민감성, 내담자, 조직, 상담자로 이루어진 삼각구도 관계, 긴장과 갈등의 삼각구도 관계의 역동, 효과 수준의 다양성-로 설정하였다.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결과 기존의 기업상담 효과 연구는 이러한 독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상담의 독특성을 바탕으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내담자, 관리자, 상담자가 무엇을 효과로 보고 있는지 세 관련 주체의 인식을 경험적으로 조사하였다. 개념도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세 관련 주체 전체의 관점에서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인식 차원을 알아본 결과 기업상담 효과의 개인-조직 초점 차원과 상담 인프라-영향 차원이 확인되었다. 기업상담 효과는 크게 6개의 군집인 ‘개인 문제해결 및 자기성장’, ‘조직 효과성 증진’, ‘상담서비스 질 향상’, ‘조직적 상담제도 마련’, ‘개인 업무성과 향상 및 경력개발’, ‘재방문 및 추천’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업상담 효과의 두 인식차원 위에 6개의 군집을 위치시켜서 개념도를 그리고 분석하였다.

      • KCI등재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왕은자,전민아,홍희정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study synthesiz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selecting 34 articles that verified the effects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in the domestic workplac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meta-analysis was used. The investigation of the 212 effect sizes calculated in the study summarizes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argeting workers is 0.921, which is significantly large. The effect size of stress management program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way to proceed, and programming structure. When classifying the program into the counseling and the psychoeducational program versus the allopathic approach, the effect size of the allopathic approach was significantly large. Additionally, when the counseling and the psychoeducational program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the effect size differed significantly.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stresso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reaction, self-evaluation, and mediation variables showed a large effect size, the attitude toward job showed a medium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at work with regard to the enhancement factors (the coping styles and the resources,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job, self-evaluation) and the diminution factors (stress response, stressor,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job), the effect size of the enhancement factors is 0.820, and that of the diminution factors is 0.954. Also, to analyze the heterogeneity of effect sizes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he moderating effect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eta-ANOVA. The result is meaningful in the fact that it provides informations to develop stress management programs and improve the operation proces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further research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34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하였다. 논문에서 산출한 212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한 결과 직장인 대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는 0.921로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참여자 특성, 프로그램 진행방식 및 프로그램 구성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프로그램의 구성논리에서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보다 대증적 접근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접근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종속변인인 스트레스원, 생리적 및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 자기평가, 대처방식 및 자원, 매개변인 등에서는 높은 효과크기를 직무관련 태도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종속변인을 증진요인(대처방식 및 자원, 직무관련 긍정적 태도, 자기평가)과 감소요인(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원, 직무관련 부정적 태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증진요인에서의 효과크기는 0.820, 감소요인에서의 효과크기는 0.954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증진요인과 감소요인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분석하기 위해 메타 ANOVA를 활용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과정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제공기관의 상담 운영 실태 및 쟁점 탐색

        왕은자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1 No.2

        EAP (Employee Assistance Program) service providers have been increased along with the deveopment of EAP, which provides professional counseling and workplace counseling to organizations since 2010. Thus,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have increasingly requested more information about current status of domestic EAP operation.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present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choosing appropriate EAP services to potential customers of EAP, and to investigate the issues of managing EAP providers systematically to activate work place counselling and EAP services. There were not sufficient data that showed current status of EAP providers in South Korea, so we performed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figure out how many providers exist approximatively. With this outcome, we conducted detailed research. 24 EAP providers were found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14 of them agreed to participate, but only 7 EAP providers main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EAP providers includes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EAP service area, issues and solution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terviewing the heads of EAP providers in person or through phone call. We found that the form of EAP providers varies with their size, most providers hire full-time, part-time and cooperative counselors, and some have contracted with other counseling centers to cooperate in case they have nationwide projects. The number of clients distinctly depends on the providers’ size, and the contracts are made on yearly basis as turnkey contract. The minimum requirement to work as counselors is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although sometimes certificates or work experiences are required. EAP programs are typically evaluated by the number of consultations, number of clients, and client satisfaction. The main issues of EAP providers include insufficient market(breadth), competitive environment, lack of acknowledge of companies and their employees, expertise of work place counselors, and needs of network among EAP providers. Lastly,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offered. 기업에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는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및 기업상담이 2010년 이후로 활성화되면서 EAP 제공기관이 증가하고 있으며, EAP를 도입하고자 하는 사기업 및 공기업이 국내 EAP 운영 전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EAP 제공기관의 운영 실태와 쟁점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기업이 조직의 요구에 적합한 EAP 제공방식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EAP 및 기업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국내에는 EAP 제공기관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어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제공기관의 현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고 본조사의 조사항목을 설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비조사에는 14개 EAP 제공기관이 연구에 동의하고 참여하였으며 이 중 본조사에는 7개의 EAP 제공기관이 참여하였다. EAP 제공기관의 운영 실태는 기관 운영 현황, EAP 서비스, 쟁점 및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기관의 운영책임자와 개별 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EAP 제공기관의 조직 구조는 기관의 규모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대부분의 기관에서 전문상담인력은 전일제/시간제 상담자와 협약 상담자로 구성되어 있었고 고객사 수는 기관 규모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는 양상이었고 고객사와는 주로 일 년 단위로 턴키계약을 하고 있었다. 고객사인 기업에서는 EAP 관련 업무를 주로 인사 부서가 담당하였으며, 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EAP 홍보는 인트라넷을 이용한 상담 안내, 상담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통해 이루어졌다. EAP 상담자의 최소 채용기준은 공통적으로 상담 전공 석사이상이었으며 이외에도 학회 자격증과 상담 경력을 요구하였다. 제공되는 EAP 서비스는 주로 개인상담 형태였으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주요 주제는 직무스트레스 관리나 집단 심리검사 및 진단이었다. EAP 평가방식은 이용건수, 이용자수 및 이용 만족도가 전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EAP 제공기관의 운영상 주요 쟁점은 아직은 작은 EAP 시장 규모, 제공기관간의 경쟁 심화, 기업과 직원의 상담에 대한 인식 부족, 기업상담자 전문성 확보 및 EAP 제공기관의 네트워킹 필요성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국내 개인상담 성과의 측정 및 평가에 대한 분석: 학술지 '상담학연구'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왕은자,유정이,김선경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Scientific and concrete evaluation of counseling outcomes is a foundation of the effective counseling. This study analyzed 76 studies published 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o investigate measurement tools, measurement areas, and other trends in evalua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surement tools used to measure individual counseling outcomes, SEQ(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CSQ(Counsel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 CRF(Counseling Rating Form), WAI(Working Alliance Inventory),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 were mainly used. Most of the measurement tools measured clients’ emotional changes rather than specific symptoms or functional improvements after the counseling session or after counseling. Second, the measurement areas do not come under major areas like general stress, specific symptoms, health and functional level. Finally, the analysis of other trends related to the measurement tools and measurement areas was divided into measurement development, individual counseling effectiveness index,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counseling outcomes, and other trend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counseling outcomes, the level of measurement and measurement area, and methods for assessing alternative effects. 상담 성과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측정 및 평가는 상담학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양대 학회지인 <상담학연구>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개인상담 성과를 측정 및 평가하거나 탐색한 76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성과 측정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빈도 및 특징, 측정영역, 측정 및 평가의 기타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상담 성과의 측정도구 사용빈도는 회기평가질문지(SEQ), 상담만족도질문지(CSQ), 상담 성과질문지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SEQ와 CSQ가 압도적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를 Orlinsky, Grawe와 Parks(1994)가 구분한 측정수준으로 분석했을 때 대부분 회기 직후의 성과와 여러 회기 후의 상담 성과를 내담자 관점에서 리커트 방식으로 측정하고 있었다. 둘째, 측정도구의 측정영역을 일반적 스트레스, 특정증상, 건강과 기능수준, 기타로 구분하였을 때 도구들은 주로 기타에 해당되는 영역, 즉 즉시적 성과나 과정 성과 등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상담 효과의 측정 및 평가와 관련된 기타 동향을 분석한 결과, 성과 측정도구 개발, 개인상담 효과의 지수 및 준거 탐색, 상담 효과 경험 관련 질적 연구 및 기타 동향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실제 상담의 효과를 측정 및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상담 효과의 개념, 측정수준 및 측정영역, 대안적인 효과 평가의 방법 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성과 평가와 신뢰할 수 있고 임상적으로 의의있는 지수의 활용가능성

        왕은자,김선경,박경희,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3

        As the needs and interests of counseling grows, an acceptable and standardized brief outcome measure to assess an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is critical.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the Reliable and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RCSC) in several Korean counseling settings. Using pre and post-test the CORE-OM(Clinical Outcomes in Routine Evaluation-Outcome Measure), we measured changes in voluntary clients visiting to workplace counseling centers and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RCSC was calculated with pre and post data using CORE-OM.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evaluating counseling based on RCSC derived from CORE-OM. 상담의 영역과 대상이 확대되고 상담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는 만큼 현장에서는 상담이 어떤 효과를 내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라는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담의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신뢰할 수 있고 임상적으로 의의있는 변화(Reliable and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 RCSC) 지수를 국내 실제 상담사례에 적용하여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 동의한 대학상담센터 및 기업체 상담실을 자발적으로 방문한 내담자를 대상으로 상담의 사전과 사후에 핵심 상담성과도구(CORE-OM)를 사용하여 내담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핵심 상담성과도구의 사전, 사후 점수를 가지고 신뢰할 수 있고 임상적으로 의의있는 변화 지수를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 상담성과도구를 사용하여 신뢰할 수 있고 임상적으로 의의있는 변화 지수를 기초로 현장에서 상담을 평가할 때의 유의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