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 양상과 제도적 논리-사회학적 신제도주의를 활용하여-

        민윤경,홍경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9 사회복지정책 Vol.46 No.4

        This study explored organizational network experienced by workers of social cooperatives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institutional logic of new institutionalism. This study qualitatively studied what institutional logic is involved in the network of social cooperatives and how institutional logic relates to the network form of social cooperatives. Subject to the study, 10 workers in social cooperatives engaged in various regions and various industries were interviewed in depth on the social cooperatives' business overview, network aspects and business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ntry into the social cooperative network field resulted in institutional homogenization due to the birth of social cooperatives corporation, and the newly formed organization was forced to homogenize with the “dependence logic". Mature organizations were subject to normative homomorphism by 'democratic operation’ logic and ‘regional social contribution’ logic. Second, among the social cooperative operation networks, exchanges between the internal union members were promoted under the ‘cooperative’ logic between cooperatives and self-organization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the ‘between us’ transaction network and market network by ‘union member-centered’ logic. While internal procurement was activated by ‘union-centered’ logic and ‘community’ logic, network with parent corporations was reduced under ‘self-reliance’ logic and ‘democratic operation’ logic. Third, among external networks, the ‘cooperative among cooperatives’ logic was formed in the network of collective action and advocacy, and the user network due to the reputation of social cooperatives was activated by ‘local community contribution’ logic. Fourth, conflicts over the maintenance of membership in the field of social cooperatives resulted in network congestion, which was caused by conflicts between ‘dependence’ and ‘independence’ logic.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nstitutional logic related to the network of social cooperatives was presented and measures were proposed to activate the network. 본 연구는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 양상에 관계되는 제도적 논리들은 무엇이며, 이 제도적 논리들에 의한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 양상들은 어떠한지를 사회학적 신제도주의를 활용해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다양한 지역과 업종에서 종사하는 사회적협동조합 실무자 10명이며, 사례자들이 속한 사회적협동조합의 사업배경과 개요, 네트워크 양상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협동조합 네트워크 장(field)으로 진입은 사회적협동조합 법인 탄생으로 인한 제도적 동형화가 나타났으며, 신생 조합들은‘의존’논리에 의한 강제적 동형화가 나타났고, 조직 전환한 조합들은 ‘민주적 운영’논리, ‘지역사회기여’논리에 의한 규범적 동형화가 작용하였다. 둘째, 사회적협동조합 운영 네트워크 중 내부 네트워크인 조합원 간 교류는 ‘협동조합 간 협동’논리에 따라 조직간 합병이 추진되었으며, ‘조합원 중심’논리에 의한 ‘우리끼리’ 거래네트워크와 시장네트워크의 대안으로서 ‘자기조직화’가 나타났다. 자금조달네트워크는 ‘조합원 중심’논리에 의해 내부 조달이 활성화된 반면, ‘자립’논리와 ‘민주적 운영’논리에 따라 모(母)법인과의 네트워크는 감소되었다. 셋째, 외부네트워크 중 제도 변화 및 옹호네트워크는 ‘협동조합간 협동’, ‘조합원 중심’논리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용자 네트워크는 ‘지역사회기여’논리에 의해 평판을 통해 활성화되었다. 넷째, 사회적협동조합 장에서의 네트워크 정체는 ‘의존’논리와 ‘자립’논리 간 충돌로 사회적협동조합 멤버십 유지에 대한 갈등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 양상과 관계되는 제도적 논리들을 제시하고 사회적협동조합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 조직연구의 동향

        김영춘(Young-Choon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3

        본 논문은 조직연구(organization studies)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s) 연구의 주요 내용을 개관하고, 최근 연구동향을 이론적, 방법론적, 경험적 문제로 나누어 소개한다. 사회적 네트워크는 관계론적(relational perspectives) 관점에서 조직의 내부/외부를 조망하는 연구흐름에 위치하면서 일반적, 추상적 조직환경의 개념을 조직 간 관계(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로 구체화시키는데 기여했다. 본 논문은 조직연구 분야 중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관련 대표적 이론화의 사례로서 약한 유대(weak ties), 구조적 공백(structural holes), 지위/정체성(identity/status) 개념을 소개하고, 이와 함께 진행된 네트워크 형성과 동학(dynamics)에 대한 그 간의 논의를 살펴본다. 그리고, 최근 연구동향을 이론적, 방법론적, 경험적 이슈로 나누어서 몇 가지 주제를 선택적으로 고찰해본다. 이론적 동향에서는 네트워크 복수성(pluralism), 구조(structure), 상황 의존성(contingencies), 네트워크의 부정적 효과 등의 문제를 살펴보고, 방법론적 동향 에서는 네트워크의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 내생성(endogeneity) 및 시뮬레이션 방법을 다루고, 경험적 연구 분야에서는 협력과 경쟁, 기술혁신, 네트워크 전파 및 신흥 시장(emerging economoies)의 연구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연구가 조직연구 분야에 주는 함의에 대해 탐색해본다. 사회적 네트워크 연구는 앞으로도 조직 및 사회에 관한 이론적 명제들의 작동 메커니즘을 관계론적 관점에서 정교화시킴으로써 ‘조직(organization)’보다는 ‘조직화(organizing)’의 프로세스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기술-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동안 사회과학의 해묵은 주제인 미시-거시 연계가 주로 철학적, 이론적으로 논의되었다면,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은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경험적, 실증적 수준으로 탐구할 수 있는 사고의 틀과 방법론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중범위 수준의 메커니즘에 대한 조직이론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앞으로도 사회이론과 조직이론적 논의에 대한 치열한 고민을 통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연구가 조직연구의 혁신적 발전에 창의성을 불어넣기를 기대해본다. Social network research helped organization studies to advance empirical exami-nation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s by identifying intra- and inter-organiza-tional interactions with its relational, empirical concepts and tools. This paper presents the overview of social network research in the areas of organization studies including its brief intellectual history, overarching agenda, and empirical phenomena of study. Then, it introduces influential theorizing about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social networks by selecting the following: Mark Granovetter’s “strength of weak ties,” Ronald Burt’s “structural holes,” Joel Podonly’s status signal in market competition, and Ezra Zuckerman’s identity in candidate-audience model. It also summarizes recent, emerging research on the process of social networks, including their formation and evolution. Then, it presents recent research trends of social network research in the theoretical arena (multiplexity and pluralism, structure, contingencies, and negative effects), methodological issues (interdependence, endogeneity, and simulation analysis), and empirical areas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merging markets). Lastly, the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social network research in advancing the process view of organizing and helping to address the micro-macro linkages in organization studies. Social network research can advance our understanding about organiz-ing process by revealing relational mechanisms that operate with social actors interacting with organizational environments. It may also help to escape from highly theoretical discussions of social theory by empirically examining concrete mechanisms of micro-macro linkages.

      • KCI등재

        사회적 네트워크는 금융소비자의 위험선호를 증가시키는가?: 자기해석이재무적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역할 검증

        하영원 ( Young-won Ha ),김영두 ( Young Doo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2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자기해석(self-construal) 및 문화의 영향을 검증해 보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자기해석(예컨대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국가, 국적 혹은 지역적 구분과 같이 문화권 간 집단 수준에서 문화를 해석할 때 뿐 아니라 구성주의 혹은 상황주의적 접근을 통해 동일 문화권 내 개인 수준에서의 문화를 해석할 때에도 문화의 대용지표로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집단 수준(예컨대 동양 대 서양) 혹은 개인 수준(예컨대 자기해석)의 문화가 위험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동양은 서양에 비해 위험회피 수준이 높거나 위험추구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무적 영역에서는 문화가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독립적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상호의존적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 비해 위험선호가 높게 나타난 연구가 있는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을 가지고 있는 사람(혹은 동양)이 독립적 자기해석을 가지고 있는 사람(혹은 서양)에 비해 위험선호가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Hsee & Weber(1999)는 후자와 같은 현상을 완충(cushion)가설, 즉 사회적 네트워크가 실패에 대한 일종의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데 실패했을 경우 사회적 네트워크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수가 동양이 서양에 비해 많으므로 동양이 서양에 비해 재무적 영역에서는 위험추구 현상을 보인다는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문화가 재무적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네트워크가 매개하고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자기해석이 재무적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네트워크가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보다는 상황(이익영역 혹은 손실영역)에 따라서 그리고/혹은 자기해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상이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음에 주목하여 이를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존 연구에서도 밝혀진 이익 보다는 손실영역에서 위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현상을 검증한 것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발견되었다. 첫째, 재무적 영역(이익영역과 손실영역)과 사회적 네트워크 간에 이원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재무적 영역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가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익영역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재무적 위험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위험 선호 증대)을 미치지만 손실영역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재무적 위험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무적 영역,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자기해석 간에 삼원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특히 손실영역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자기해석 간 상호작용이 발생하였으며, 독립적 자기해석이 강할수록 사회적 네트워크가 증가함에 따라 위험선호도는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발견사항들과 관련하여 마케팅 및 소비자학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self-construal, as a proxy for intra-cultural (e.g., European American vs. Asian American) and inter-cultural variations (e.g., Western vs. Easter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rketing, consumer behavior, and decision making. For example, it has been reported that motivation, consumer preference, attitudes toward brand extension, brand choices, new product adoption, persuasion, and negotiation were influenced by self-construal. A bulk of studies reported that Eastern people (e.g., Asian) tended to be less risk-seeking or more risk-averse than Western people (e.g., American, European) within the social domain. Within the financial domain, however, reports have shown mixed findings. Whereas some reports have shown that Asian people (e.g., Chinese individuals), or those who hav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ve higher risk preferences than Western people (American individuals), or those who have independent self-construal in both gain or loss domains when considering financial decision making (Hsee & weber 1999; Mandel 2003), other research findings have demonstrated the opposite (Hamilton & Biehal 2005) or no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background and risk preference (Li, Bi, & Zhang 2009). Some researchers have insisted that because Asian people, or those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end to have larger social network compared to Western people, or those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this can help the decision maker in the case of a failure (called the ‘cushion hypothesis’). They, therefore, had higher risk preferences when compared to Westerners. Social network size was found to support and mediate these preferences. In this study, however, the authors proposed that social network size strengthened risk preference in the gain domain, while lessening risk preference in the loss domain. And in the loss domain, social network interacted with self-construal. That is to say, the objective of the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tial role of social net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 and financial risk preference. Prospect theory predicts that people are generally risk-averse in the gain domain, whereas risk-seeking in the loss domain. In the gain domain, however, because people preferred implicit social support and decision makers expected to receive im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even after a failure to decision making, risk preference was strengthened with increased social network size. In the loss domain, decision makers expected to receive both implicit and ex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While European Americans were willing to receive ex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they experienced stress when facing implicit social support. Stress led self-construal to reach lower level, and when low construal level was boosted, peopl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dwelled on the negative aspects. Therefore, independent self-construal lessened their risk preference in the loss domain as social network increased. Whereas Korean Americans were unwilling to receive ex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they experienced low levels of stress when facing implicit social support. This means that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compared to independent self-construal, strengthened their risk preferences in the loss domain as social network size increased. Therefore, the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and/or self-construal interact in relation to social network.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llowing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was found to differentially influence financial risk preference. Financial risk preference was higher in the loss domain than the gain domain. Second, social network interacted with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This means that social network was found to moderate the impact of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on financial risk preference. More specifically, social network size positively influences financial risk preference in the gain domain but not the loss domain. Third, a three-way interaction was found among three variables (financial domain, social network size, and self-construal). More specifically, social network size interacted with self- construal in the loss domain. Independent self-construal relatively decreased financial risk preferences in the loss domain as social network size increa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and consumer studies.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성격유형에 따른 사회적네트워크 특성차이 분석

        조영복(Cho, Young Bhok),김경원(Kim, Kyung W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성격이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의 선행변수가 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중 강도와 지위에서 외향성의 정도의 차이에 따라 집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변수들은 집단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성정도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t-test검정결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크기, 지위의 특성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감성 정도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t-test검정결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크기, 범위, 지위의 특성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 정도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t-test검정결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범위 특성에서만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네트워크의 크기, 강도, 지위정도는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안정성 정도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t-test검정결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강도, 지위, 접근방법의 특성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네트워크의 크기, 범위, 유대정도는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안정성 정도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결과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강도, 지위의 특성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se days, social network has interested and has people’s life, as it has been the formation of the core of social capital of the comp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s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Our research’s theme is the personality act to social network formation as a variable in the preceding? Most of study about social network shows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such as size, range, strength etc may affect on the performance. Research findings car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ength and status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re different by Extraversion. Second, size and status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re different by Openness to experience. Third, size, range and status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re different by Agreeableness. Fourth, only range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re different by Conscientiousness Fifth, strength, and status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re different by Emotional Stability

      • 사회적 네트워크, 협조적 행동, 그리고 사회적 정체성

        전기호,이병규,박헌준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1

        최근 들어 현대 조직에 있어 조직의 성과와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조직 시민 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사회적 네트워크에 주목하는 연구가 늘고 있다(정명호 등, 2008;설홍수, 2004).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측면을 주목하고 있는반면에 사회 네트워크의 종류와 구체적으로 사회적 네트워크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에 대해 주목한 연구는 그 수가 적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오케스트라 샘플(N=37)을 통해 획득한 완전 네트워크(complete network)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적 네트워크의 종류와 조직 시민 행동이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더 나아가 사회적 정체성과 조직 시민 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네트워크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았다.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많은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 중 하나인 친구 네트워크는 기존의 많은 연구 결과와는 달리 학생 오케스트라 조직 내에서의 학생들 사이의 조직 시민 행동과는 관련이 없는 데 비해, 조언 네트워크는 정의 상관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중심성은 조직 시민 행동과 정의 상관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이 네트워크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할수록 남을 돕는 행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정체성이 조직 시민 행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네트워크, 구체적으로는 조언네트워크는 매개 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즉, 그룹 사회적 정체성은 조언 네트워크에서 내향 중심성으로 연결되고, 이는 동료들을 향한 협조적 행동으로 연결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논문의 마지막에서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한다.

      • KCI등재

        사회적네트워크의 전략적네트워크로 성장가능성 실증분석 : 대덕연구개발특구기업의 사회적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양영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혁신소기업이라는 첨단기술기업들의 본원적 속성은 이들에게 핵심 경영자산으로 인적네트워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이후 특구지역 내 벤처기업의 성장이 촉진되며 초기의 개인 또는 모태기관인 연구소와 대학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형성되던 협력네트워킹 현상이 보다 조직적, 집단적으로 표출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 논문은 대덕특구내 형성되고 있는 사회적인 네트워킹이 대덕연구개발특구가 당초 목표했던 사업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네트워크로 성장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사회적 네트워크와 전략적 네트워크의 상호연관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이 결과 사회적네트워크는 전략네트워크 성립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대덕특구내 기업 498개를 대상으로 이들 간에 존재하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존재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특구내 기업간에는 다양한 사회적네트워크가 존재함을 조사하였다. 셋째 대덕특구내 기업간에 이루어진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대덕연구개발특구내 기업간에 이루어진 사회적 네트워크가 전략적 네트워크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대덕특구내 형성된 사회적네트워크는 전략적네트워크로 발전할 수 있는 맹아가 개별기업과 응집그룹 차원에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Social network is one of major managerial resources innovative high-tech small firm own as of inherited nature. In particular, Social network of Daeduck entrepreneur has been enlarged and organized as type of managerial asset for Daeduck high-tech firm since Daeduck Special R&D Zone has been indicated. This paper is delivered to assess the evolving possibility of Daeduck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into strong business strategic network. This paper carries out three particular studies. First, this paper justified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strategic network by literature review. Second, this paper implement a field survey against 498 firms about social network each firm create. As a result, this paper find wide range of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exist among themselves. Third, this paper assess the evolving possibility of social networks into strategic networks as firm and high-tech cluster grows. This paper conclude that there is slim seed but strong enough to develop strategic network as a basis of social network.

      • KCI등재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행동의 향상: 지식공유와 내재적 보상의 역할

        조일현,양재완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2

        Innovative behavior is essential for growing organizational functions and this discretionary behavior is affected by how social network is organiz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eam social network, innovative behavior, knowledge sharing, and intrinsic rewards. This research studied employee’s knowledge sharing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social network and innovative behavior. And also examined intrinsic rewards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social network and knowledge sharing. Based on theoretical review,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t and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t of questionnaires. All research variables were measur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from 1=strongly disagree to 5=strongly agree). This survey was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in 122 teams and used for sociometrics analysis. This study tested an EFA & CFA for the validity test and reliability test for Cronbach’s α test. Afterwa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tested and Process Macro was tested for indirect effect hypotheses. The test result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m social network density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m social network centraliz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 mediating model analysis exhibited that the knowledge sharing mediated the effect of team social network-density and centraliz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We also found that intrinsic rewards in organiz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social network and knowledge sharing such that social network density boost positive effect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when higher intrinsic rewards are given.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s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현대 조직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함에 따라 변화하는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혁신행동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사회적 네트워크에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팀제의 보편화 실정을 고려하여 팀 맥락에서 팀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혁신의핵심요소인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며 특히 사회적 네트워크와 혁신행동을 연결하는주요 경로로서 지식공유의 역할과 이 과정에서 내재적 보상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팀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침으로써궁극적으로 혁신행동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내재적 보상이 미치는조절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통하여 사회적 네트워크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실증적매커니즘을 파악한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122개 팀을 sociometrics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팀의 사회적네트워크 밀도는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집중도는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부(-)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식공유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혁신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내재적 보상은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식공유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사회적 네트워크는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궁극적으로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내재적 보상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지식공유에 대한 영향을 조절하는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팀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지식공유에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현장에서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식공유의 역할이강조된다. 아울러 내재적 보상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에 의한 지식공유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혁신행동을 위한 지식공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조직적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행동 창출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기업성장을 위한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 결론에서는 실증결과의 요약과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실무적 의의와 연구의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충북의 사회적경제와 지역네트워크 형성

        박대호(Park Dae Ho)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4 No.2

        충북의 사회적 경제 관련 지역네트워크의 발전은 태동기, 확산기, 성숙기로 구분할 수 있다. 태동기는 비공식, 비정기적 활동이 주를 이루었고, 개별 활 동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이미 알고 지내던 사이에서 목적을 공유하는 관 계로 발전한다. 확산기에는 사회적 경제 담론의 확대와 함께 사회적 경제 관 련 지역네트워크의 수적 증가가 확연히 확인되는 시기로 사회적경제 부문별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시민사회와의 적극적인 협력이 이루어진다. 성숙기에는 사회적 경제 당사자 조직은 물론 시민사회단체와 전문조직들이 참여가 두드러진다. 이를 기반으로 충북지역을 아우르는 큰 틀의 협의체가 출현하게 된다. 충북의 사회적 경제 관련 네트워크는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업종을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업종 중심의 네트워크는 환경, 농업, 교 육 등의 분야에서 이해관계자들이 중심이 되어 현안과제에 대한 공동대응 활 동을 하고 있다.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는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활 동하고 있는 네트워크 이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조직들 중 시민사회단체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와 전문가들의 참여가 확대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반면 사회적 경제 당 사자조직들의 참여는 10여개정도에 머물고 있다. 당사자조직들의 참여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그 참여는 아직 미흡하다. 사회적 경제관련 네트워크의 형성 동기는 세 가지 유형을 보이고 있다. 지 역 네트워크 형성의 동기는 지역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도적 요구를 충 족시키기 위해서, 전문가들의 당위적인 역할이라는 유형이 있다. 한편, 사회 적 경제조직이 참여하는 네트워크 활동은 지자체 정책을 견인하고, 지역사회 에 해당 이슈를 공론화 하는 성과를 만들어 가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local networks related to the Chungbuk social economy can be divided as the beginning period, expanding period and maturing period. The beginning period is consisted of informal and occasional activities, and appreciates the limits of individual activities and are developed from the acquaintance into the relations which can share the purpose. The expanding period has definitely the numerical growth of the local network related to social economy with the spread of social economic discussion and needs social economy network by departments, and it requires the active cooperation with civil society. The maturing period shows marked participations not only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but also of civil associations and professionals. Based on this, a big consultative group embracing Chungbuk has occured.

      •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자본, 지식 이전 간 관계에 관한 개념적 연구

        황정희(Jung Hee Hwang)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0 경영관리연구 Vol.3 No.1

        사회적 네트워크는 조직에게 지식, 자원, 시장, 또는 기술에의 접근을 제공한다. 이는 네트워크 속의 멤버쉽과 그 결과의 반복되고 지속적인 교환관계를 통해 개인과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고 네트워크 구성원들에 의한 지식 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지식 이전은 조직에 있어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다. 또한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 내부 그리고 외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의해서 형성되는, 즉 네트워크 속에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 간의 네트워크 크기와 관계 강도와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징들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사회적 자본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자본, 지식 이전 간 관계에 대한 개념적 통합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의 지식 이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에 초점을 맞추어 지식 이전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강조하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성격이 사회적 네트워크 연구에서 동기부여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자본 이론을 지지하고 개인 특성이 사회적 네트워크 효과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 지식이전을 통한 조직 성과를 고찰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Social network provides organizations with access to knowledge, resources, market, or technology. It mak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s social capitals form through membership in network and repetitive and durable relationship of exchange as well as make them possible to transfer knowledge by network members. This knowledge transfer is increasingly being important in organizations. Besides,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such as network size and ties strength between people connected in networks provides organization members with social capital, which is formed by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s internal and external members of organization memb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by linking social network,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transfer, and to propose how roles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plays in knowledge transfer. This is to emphasiz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on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examination of knowledge transfer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In addition to, it was emphasiz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 can function with motivator in social network"s study. This stud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purpose the important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 social network"s effect and examine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social network,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transfer.

      • KCI등재

        제주지역의 사회적 자본 연구

        진관훈(Gwan Hun Jin)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5 No.-

        이 연구는 제3의 자본 이라 불리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상징성을 통해 제주사회를 분석하고 나아가 제주사회 사회적 자본의 확충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라는 용어는 Judson Hanifan에 의하여 1916년에 처음 사용되었다. 그는 민주주의와 개발을 지속시키기 위해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해 주목했다. 그는 이웃다움(neighborliness)과 시민참여의 종말에 대해 언급하고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가족의 고립과 지역사회 정체가 야기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행하였다. 즉, 거주 지역별 · 성별 · 연령별 인구비례로 표본 추출한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도구로는 사회적 자본의 4변수인 신뢰 6개 항목, 호혜성에 기반한 사회규범 8개 항목, 네트워크 8개 항목, 사회구조 8개 항목을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적 자본 간의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순서로는 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규범, 사회구조, 네트워크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 중 네트워크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출신지, 거주지에 따라 신뢰, 사회규범, 네트워크, 사회구조는 평균 차이가 없으나 기부경험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 축적과 기부문화의 확산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아지며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해 기부문화 확산에 사회적 노력과 정책적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다. 셋째 성별, 출신지, 기부경험에 따라 네트워크는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거주지에 따라서 네트워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주시 거주응답자가 서귀포시 응답자의 네트워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유의미한 차이가 양 지역의 개발 불균형, 삶의 질 격차에서 기인한 것인지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 하며 지역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배려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넷째 연령, 학력에 따라 네트워크의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경제활동인구일수록, 고학력일수록 네트워크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확충을 위해 평생교육을 통한 도민 학력능력 향상과 도민일자리 특히 실버세대와 청년일자리 창출을 시급히 도모해야 하겠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발전의 전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확충을 위해 지역구성원과 지방정부에 대한 낮은 신뢰, 후진적인 법질서 의식, 폐쇄적 연구주의나 배타적 집단주의 등이 반드시 선결해야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ocial capital in Jeju. The reason is that social capital is created through relationship and shared by related people, which makes them cooperative and cohesive.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is to analyze of social capital in Jeju and the second is to develop the scale of social capital in Jeju.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s consist of trust, reciprocity, network and social structure. The social capital scale in Jeju in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deductive process such as exploring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and inductive process. The scale development process was 1) item development 2) pilot study 3) study. Data for analysis was collected from 1,000 peoples in Jeju. The scale of 30 items was constructed with 4 dimensions with high reliability coefficient. The first dimension is trust with 6 items; the second dimension is reciprocity with 8 items; the third dimension is network with 8 items; the last dimension is social structure with 8 items. All analyze revealed the construc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Thus the social capital scale for Jeju developed this study was prov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analysis of social capital in Jeju constitutes of 1) the relationship among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2) the types of social capital, 3) analysis of effect factors to social capital in Jeju. It is found that all component of structural aspects and cognitive aspects are positively correlated, bonding network and bridging network. It is the linkage network that correlated with both trust and reciprocity in cognitive aspects. In other words, when people in Jeju participate in linkage networks, the probability of interact with trust and reciprocity is increased. Therefore we can say that people in Jeju linkage networks are very important social capital in bal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isting theories about trust, reciprocity, network, social structure and provides new ways of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of social capital in Jeju.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for Jeju community by encouraging people in Jeju to cooperate and solidify to solve problem in Jeju and cope collective to the change Jeju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