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사회성 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장미순 ( Jang Mee Soon ),김진호 ( Kim Jin 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사회성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사회성 지도를 위한 교육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사회성 개념은 다차원적인 사회성으로 보기보다는 학교나 사회의 체제에 순응하는 수동적인 사회성 개념이었으며, 생활과 실천 중심적인 사회성 지도를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시기에 지도해야 할 사회성의 중요 영역은 공동생활 규칙, 갈등 해결, 감정조절로 제시되었다. 구체적인 지도 전략은 반성적 대화, 학급 규칙, 또래 활용, 민주적 토론 등의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구조와 가치관 및 생활양식의 변화는 사회성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학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교사의 사기저하, 역할 갈등 등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은 사회성 지도를 위해서는 교권을 보호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부모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의 효과적인 사회성 지도를 위한 개선 방안과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meaningful data o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ear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and the actualities of teaching sociality. The 11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ree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referred the accommodative sociality factor and instructed sociality focusing on practice in daily routine. Second, on account of the practice strategies, admonition, class rules, peer modeling and discussion were used based on age development of students. Third, difficulties in teaching sociality were stress, chilling effect and role conflict which were caused by a changing social situation in families and communities. Forth, for the sake of effective teaching sociality, teachers demanded that social atmospheres should be established where educational authority is recovered and parent competency is reinforc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reality of teaching sociality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제21대 국회에 제출된 사회성과보상사업(SIB)법률안에 대한 검토 : 사회성과보상사업 운영구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김나현 ( Kim Na Hyu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4

        이미 해외의 많은 국가에서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민간 운영기관이 투자를 받아 사회적 성과를 창출하고, 사후적으로 정부가 성과를 구매하는 사회성과보상사업(SIB)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 역시 '사회적 가치(Social Value)'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저출산ㆍ고령화 등으로 급증하는 공공서비스 수요에 대비하여 재정부담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서비스를 고품질로 제공하는 방안으로 사회성과보상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2014년 이후 서울시와 경기도 등 10여개의 지자체에서 사회성과보상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법적 근거 없이 각 지자체별로 조례 제정을 통해 추진ㆍ운영되고 있다. 때문에 각 지자체는 보상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제한적으로 실시하거나 민간 투자금 모집ㆍ다양한 사업으로 확장 등의 한계에 부딪히게 되어 이 보상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이에 사회성과보상사업의 법률적 근거의 마련을 위해 금번 제21대 국회에 두 개의 법률안 즉, 「사회성과보상사업 추진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과 「사회성과보상사업의 운영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이 제출되었다. 사회성과보상사업의 필요성과 함께 사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조례가 아닌 법률로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다만, 국회에 제출된 사회성과보상법률안은 현 지자체의 조례의 내용을 보완이나 추가 없이 그대로 법률안으로 가져옴으로 인해 그 지원 및 규율에 관한 내용이 미흡하다는 점이 핵심적인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이에 본 논문은 두 개의 사회성과보상법률안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고, 보완ㆍ보충할 부분들을 논하여 보상사업의 운영구조(추진절차)에 있어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부(지자체)에서 향후 이 법적 근거를 기반으로 사회성과보상사업을 제대로 운영ㆍ시행하여, 예산 절감을 통해 예산 부족문제를 해결해 나감과 동시에 노인문제, 청년일자리문제,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 등의 여러 사회ㆍ복지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결과를 맺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In many overseas countries, Social Impact Bond(SIB) in which private operating organizations receive investments to create social outcomes and the government purchases the outcomes later, have already come to the fore in order to solve social problem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the necessity of SIB has come to the fore in South Korea too as a way to minimize the financial burden and provide sufficient high quality services in preparation for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public services due to low birth rates and aging. Since 2014, about 10 local governments,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Province, have implemented SIB projects through the enactment of ordinances by local government because there has been no legal basis for the projects. Therefore, individual local government have been implementing SIB limitedly or reached limits in private investment fund raising or expansion to diverse projects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solving community problems through the promotion and activation of SIB.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legal basis for SIB, two bills, that is, the「draft of the Act on the Promotion and Activation of SIB」and the 「draft of the Act on the Operation and Promotion of SIB」were submitted to the 21st National Assembly. It is natural that laws, not ordinances, must be prepared for stable enforcement to meet the needs of SIB. However, in the case of the bills for SIB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is time, the fact that the contents regarding support and regulation are insufficient because the contents of the current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s were brought as they are without any supplementation or addition appears as a core problem. Therefore, this paper will review the main contents of the two bills for SIB and discuss the parts to be complemented and supplemented to present the minimum guidelines.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e legal basis, the government(local government) will properly operate and implement SIB so that they can be successfully implemented such as solving various social and welfare problems including the elderly problems, youth job problems, and women's career disruption problems, while solving the problem of budget shortage through budget reduction.

      • KCI등재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성정혜(Jung-Hye Sung),허무녕(Moo-Nyung H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여 예측요인으로서 아버지의 신경증과 정서조절곤란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잠재프로파일 별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한국아동패널(PSKC)의 13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아동과 아버지 각각 59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Mplus 8.7과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의 사회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살펴본 결과 ‘사회성 중수준 집단’과 ‘사회성 하수준 집단’, ‘사회성 상수준 집단’ 등 3개로 분류되었다. 둘째, 아동의 사회성 프로파일 분류에 아버지의 신경증과 정서조절곤란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잠재집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폭력 감수성은 아동의 사회성 프로파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성 하수준 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사회성 중수준 집단’과 ‘사회성 상수준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성을 사람 중심적 접근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분류하여 아동의 사회성을 높여주기 위해 집단별로 상이한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으며, 이를 통해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개입의 초점에 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 based on sociability among children in Korea, to explore effects of father’s neuroticism and emotional dysregulation as predictor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yber violence susceptibility by these latent profiles. Methods Questionnaire data from the 13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the three-profile model that include ‘normal sociability group’, ‘low sociability group’ and ‘high sociability group’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Second, the predictors of latent profile were father’s neuroticism and emotional dysregulation.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yber violence susceptibility by the profiles. ‘low sociability group’ showed the lowest cyber violence susceptibility. Meanwhile, the difference between ‘high sociability group’ and ‘normal sociability group’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classified children's sociability by using LPA, and found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for each latent profile can be effective to enhance children's sociability. Our findings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to help children to get sociality.

      • KCI등재

        현상학적 사회성 재론

        반성택(Pan, Sungta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2 No.-

        이 논문은 후설 현상학, 특히 현상학적 사회성 문제를 재론하면서 이의 의미를 후설의 20세기초, 하이데거의 1930년대, 가다머의 1960년대 및 지난 90년대 이후 등의 20세기 역사 전개를 성찰하며 밝히고자 한다. 현상학 논의는 그간 저명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에 현상학적 철학에 대한 비판적 접근으로 하이데거 존재론이나 가다머 해석학 등이 등장하고, 또한 후설 현상학에 기초한 사회성은 저 비판적 이해에 영향받아 각양각색의 경쟁적인 비평에 여전히 직면하여 있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 생활세계로부터의 학문이라 집약되는 후설 현상학, 이러한 철학에 기초한 사회성은 20세기 역사가 보여주듯 인간 사회성의 근원적 변화가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실제로 진행, 정착되고 있음을 주목하여 조명하면 그 뜻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란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구상되었다. 이에 이 논문은 우선 고대 아테네의 사회성을 근대적 사회성과 대조하며 살펴서 에토스, 생활세계의 외화를 극복함이 현상학적 사회성의 기본 성격이라 밝힌다. 나아가 후설의 생활세계로부터의 학문, 하이데거의 선이해와 존재 간의 순환성, 가다머의 전통과 이성의 영향사 등이 철학적으로는 사실상 같은 의미를 말하면서도 시대적 수용성과 이해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논의된다. 이를 두고 현상학적 사회성에 대한 이해 자체가 역사적으로 전개되는 해석학적 순환성에 따른다고 지적된다. 이어서 인간 사회성이 이전과는 다른 성격으로 등장하여 구체화하는 역사 단계인 90년대 이후에 발행된 관련 문헌들을 참조하면서 현상학적 사회성을 자아의 의미 구성 및 생활세계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해명하여, 이 결과 현상학적 사회성은 현대 민주주의의 근본 성격을 담고 있음을 밝혀나간다. This research also attempt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Husserl"s phenomenology, in particular, phenomenological sociality and its connection to democracy to come. The discussions on phenomenological sociality have been mainly carried out by prominent figures in philosophy. As a result, Heidegger"s ontology or Gadamer"s hermeneutics have emerged as the foremost critical approach to phenomenological philosophy; yet, sociality based on Husserl"s phenomenology still faces numerous criticisms and its characterization does not deviate much from the general interpretation that is considered to be subjectivism, or solipsism. This article first explores the sociality of ancient Athens in contrast with modern sociality and discovers that the basic character of phenomenological sociality is in overcoming the alienation of ethos and the life-world. It is argued here that Husserl, Heidegger and Gadamer have similar philosophical viewpoints. This demonstrates that the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of phenomenological sociality itself is formed by hermeneutical circulation that is unveiled through the course of history. This study reveals the character of democracy in phenomenological sociality when phenomenological sociality is explained by the life-world and the meaning-making of the self.

      • KCI우수등재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그램’이 참여 사회적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실증연구

        홍현우 ( Hyunwoo Hong ),주병기 ( Biung-ghi Ju ) 한국경제학회 2021 經濟學硏究 Vol.69 No.3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은 사회성과를 장려하는 인센티브로 작용하여 혁신적 사회적 기업의 발굴과 성장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실제 사회성과 인센티브로서 기능하려면 지원체계가 사회성과를 적절히 반영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민간부문의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그램’의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이 사회성과 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사회성과를 화폐단위로 측정한 후, 그에 비례하여 금전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참여기업이 이윤과 사회성과의 가중평균으로 나타낸 성과를 극대화할 경우 이 프로그램은 사회성과를 더 높일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사회성과를 창출하는 사회적 기업에 지원이 늘어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3년에 걸쳐 매년 사회성과의 증분에 대해서도 그에 비례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참여기업이 매년 사회성과를 높이도록 하는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그램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위 이론적 결과와 같이 지원금이 사회성과 인센티브로 작용하였고 매년 사회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subsidizing social enterprises is to help supporting innovative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growth through providing incentives of their social impacts. However, to function as an effective incentive scheme, the subsidy allocation must be designed to reward social impact performances properly.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Social Progress Credit Program” in the private sector to theoretically and statist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subsidy program on the performances of social enterprises, in particular, their social impacts. The program is designed to measure social impact in monetary units and provide monetary incentives in proportion. If participating firms maximize their performances expressed as weighted averages of profit and social impact, the program will provide firms incentives to increase their social impacts and more support is provided to firms that generate social impact more efficiently. It also provides incentives for firms to increase their social impact in each period, being designed to provide proportional support for the growth in their social impacts over a three-year period.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subsidy program incentivized the firms to increase their social impacts and their social impacts increased year by year, which is consistent with our theoretical results.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태블릿기반 사회성평가 개발 및 예비타당도 연구

        주유미,정진욱,김정호,정서원,조선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4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평가를 개발하고 개발된 각 항목의 예비타당도를 연구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 문헌 고찰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과 관련이 있는 사회성 요소들을 선별하고 평가의 구성 개념 을 정립하였다. 내용 타당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후 사회성평가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설계, 개발, 및 사용성 평가 등의 과정을 거쳐 평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인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및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 SMS)와 개발된 사회성평가 점수 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였다.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발달 아동 32명과 발달장애 아동 16명과의 사회성 평가 결과를 평균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총 3개의 대분류 안에 8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세부 평가항목으로는 지시따 르기, 모방, 주의공유, 전상징기적 지식, 상징행동, 규칙이해, 감정지각, 조망수용이 있다. 각 항목에 대한 구성 및 과제 적절성을 델파이 조사결과 모든 항목이 CVR .8-1로 나타났다. 사회성평가의 모든 항목에 서 정상발달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수행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5.1, p = .000). 아울러 K-SCQ 및 SMS 점수와 개발한 사회성 평가 점수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9, .57, p < .01).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 평가항목을 개발하였고, 각 평가항목과 구성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성평가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향후 임상과 교육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to evaluate the social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and to study the pilot validity of each developed item. Methods: Constructed concepts related to social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D were establish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ity, an expert panel was formed,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digital assessment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an avatar and the logic of the running,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evaluation, th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investigated.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and the Social Maturity Test (SMS) were conduct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was analyzed. To examine the discriminant validity, a Mann-Whitney analysis was conducted for 32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and 16 children with DD. Results: The study results consisted of eight items in three major categories. Detailed items include following instructions, imitation, joint attention, pre-symbolic behavior, symbolic behavior, understanding rules, emotion perception, and perspective taking. As a result of a Delphi survey on the construct concept and task relevance of each item, the CVR of all items ranged from .8 to 1. The test scores between children with TD and D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items of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5.1, p = .000).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K-SCQ and SMS scores and the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score (-.69, .57, p < .01). Conclusion: In this study, a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was developed, and the items and composition of the assessment were found to be valid. It is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help examine the level of social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D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초등학생의 희망 및 자기조절과 사회성간의 관계

        하요상 ( Yo Sang Ha ),김은향 ( Eun Hya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긍정심리의 구성요소인 아동의 희망 및 자기조절과 주요 학생발달의 하나인 사회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아동의 희망 및 자기조절이 사회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사회성에 대한 희망 및 자기조절의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6학년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희망검사, 자기조절 검사,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과 사회성 및 사회성의 하위변인(신뢰성, 자주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 봉사성, 준법성)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희망은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의 44.9%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자기조절과 사회성 및 사회성의 하위변인(신뢰성, 자주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 봉사성, 준법성)간에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조절은 초등학생의 사회성중 54.4%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희망과 사회성, 희망과 자기조절은 각각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희망과 자기조절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한 사회성 발달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요소의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해 주며 희망 및 자기조절과 관련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긍정심리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hope,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354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sampled. During the study, the Children`s Hope Scale, Self-regulation Scale, and Social Development Inventory were employe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bot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sociality(reliability, autonomy, leadership, industrious, service, stability, sociability, law-abide spirit) at the level of p<0.01. Also, th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hope contains explanatory power of 44.9% for socia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ity(reliability, autonomy, leadership, industrious, service, stability, sociability, law-abide spirit) at the level of p<0.01. Also, th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ion contains explanatory power of 54.4% for soci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a high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sociality and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Furthermore, children`s sociality can be enhanced by increasing hope and self-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ly support the need for the preventive interven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omponents for healthy social development. This in turn will motivate diverse school professionals to develop concrete and systematic prevention programs related to hope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 학습자들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연극 공연 프로그램 적용 사례 연구

        김나리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need for an effective theater performance program in order to solve recent problems which are the early adolescents’ low satisfaction of life and lack of personal relationships. I studied the components of sociality and planned a theater performance program to develop participants’ soci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ven students in seventh grade and twelve sessions (two classes per session) were conducted lasting ninety minutes each. The result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as there are two sides in the elements of sociality i.e. one-side is a personal aspect of the diligence and independence and the other side is a relational aspect of the sociability and the cooperativeness. These two sides should be adequately developed to demonstrate their balanced sociality. Second, an advance session for emotional empathy should be presented to get the basic trust and stability from the participants. Third, the relational aspect of the sociability and the cooperativeness can be sufficiently arranged through playmaking. The theater performance program for improving sociality would provide affirmative experience and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enhancing sociability to the participant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in the process of social improvement. One of the participants’ personal aspect of the sociality improved but sociality his relational aspect of the sociability did not improve within twelve sessions. In conclusion, it is proved that both the personal and the relational aspects should be developed together for the enhancement of the participants’ sociality. And the emotional empathy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ity of participants when constructing a social development program. This case study shows how theater performance program can affect early adolescents on improving their sociality, and suggests programs organized to improve their sociality.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 중 관계 결핍에서 오는 낮은 삶의 만족도와 심화되는 부적 응 현상을 인지하고, 사회성 발달을 위한 연극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이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성의 하위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사회성 역량을 발달시 키기 위한 연극 공연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A중학교 1학년 7명이며, 1회 90분씩 총 12회기(회당 2차시)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성의 구성요소는 근면성과 자 주성 등의 개인적인 측면과 사교성과 협동성 등의 관계적인 측면이 있으며 이 두 측면이 적절히 발달이 되어야 균형 잡힌 사회성 역량을 발현시킬 수 있다. 둘째, 프로그램 구성 시에 참여자들의 기본적인 신뢰와 안정감을 위해 정서적 공감을 위한 작업이 기본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관계적인 측면의 사교성과 협동성은 연극 만들기를 통해 충분히 마련될 수 있다. 사회성 향상을 위한 연극 공연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사회성과 관련 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적절한 관계형성의 장을 마련한다. 그러나 사회성 향상의 변화과정에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었으며, 12회기 안에서 개인적 측면의 사회성이 발달한 한 참가자는 관계적 측면의 사회성까지 발달 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이 함께 발달되어야 가능하고,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을 구성할 시 정서적 공감을 필수 요소로 구성하여 실행하면 참가자들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본 사례는 연극 공연 프로그램이 초기 청소년들에게 사회성 향상에 연극이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보여주며, 사회성 향상을 위해 구성된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택견 수련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성 발달 관계

        김준호,안재식,장경태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택견 수련자를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우리나라의 전통 무예인 택견 수련 참가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성 발달 관계를 규명하여 택견의 활성화와 택견 지도자들에게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10월 기준 대한택견회 소속 지도자가 수업을 지도하 고 있는 경기도 6개월 이상 중학생 수련자 189명을 대상으로 목적적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유의성 검증(descriptive)과 평균차 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t- 검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전체적인 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나이에 따 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일원변량분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전체적인 면에서 3학년이 가장 높 게 나타났다. 셋째, 수련기간에 따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일원변량분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전체적인 면에서 1년 6개월에서 2년 미만인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수련형태에 따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일원 변량분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련강도에 따른 사회성 발달 관계는 t-검증 결과 차이가 없는 것 으 로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1시간 30분 이상의 강도로 수련한 집단이 1시간 30분미만의 강도로 수련한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velopment and middle school students' Taekkyon practitioners. In this study, 189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 do who were taught more than 6 months by the coach of Taekkyon Association from October, 2016 were sampled by using objective sampling method. Data analysis was analyzed by SPSS 20.0, descriptive and t-test. One-way ANOVA was used.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ciabi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gender, t-test result, but overall, male was higher than femal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velopment and ag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ANOVA, but overall, the third grade showed the highest level. Third, the developmental relationship of sociability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showed no difference in the result of the ANOVA, but in general, the group with less than one year and six months to two years showed the highest overall score.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ocial development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type of training. Fifth, although the t-test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the sociabi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training, the group with the intensity of 1 hour and 30 minutes or more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 the intensity of less than 1 hour and 30 minutes.

      • KCI등재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 발달 연구

        구효진,박경란,최진선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For the last decade,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fishery & agriculture area has increased rapidly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ir atypical development of language and social-emotion. Subjects of 147 children aged 3 to 6 in multi-cultural family in Chung-chung and Jul-la provinces and the compared group of 143 children aged 3 to 6 in normal family in the same location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significantly lower language development than those in normal family. Next,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self-control, and coping skills than those in normal family, while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higher aggression than those in normal family, Last,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low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self-control, and coping skills than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high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while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low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showed higher aggression than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high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the result confirmed the atypical development of language and social-emo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fishery & agricultural area and furthermore it suggested the effects of language delay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delay. 본 연구는 국내 농어촌지역 다문화가정 유아들과 동일지역 일반가정 유아들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발달에 관한 비교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들에게서 나타나는 비전형적인 발달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북도 및 전라남북도 농어촌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290명(다문화가정 유아 147명과 일반가정 유아 143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언어 및 정서․사회성(공격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 대처능력)발달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어촌지역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은 동일지역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정서․사회성발달 중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및 대처능력은 일반가정 유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공격성은 일반가정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과 정서․사회성발달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들을 대상으로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정서․사회성발달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유아 중 언어발달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이 언어발달 수준이 높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및 대처능력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반면, 공격성에서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발달의 문제점이 시사되었으며, 나아가 이들의 언어발달 지연이 정서․사회성발달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