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교육에 대한 대학 비전공자의 인식과 경험 탐색: CQR을 중심으로

        오보라,이정민,이정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5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SW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에서 SW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 36명의 성찰일지를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응답에서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 범주나 50% 이상의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범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변동적인 범주를 핵심개념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은 각각 57개와 7개의 변동적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비전공자 학생들의 SW교육에서의 경험은 생소함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과 학습활동을 통해 SW과의 관련성과 유용성을 인식한다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SW교육에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의 경우 초보자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비전공자 대상의 SW교육의 방법은 세심한 수업 운영전략과 상호작용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major students’ perception and experiences in college software educa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reflection journals of 36 non-major students in D University based on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As a result, there was not general core concept to all students nor a typical core concept that appeared to more than 50% students. However, various variable core concepts could be derived. Overall, 57 variable concepts were derived from experience in SW education and 7 variable concepts for perception of SW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we found many of non-major students feel difficulty from unfamiliarity to SW education. Also, many students have satisfaction in their perception to SW education about personalized learning that their professor provided in the class. Lastly, we conclude that a methodology for SW education needs to have a careful operation strategy and interactive design. Although this study has not been able to elucidate general core concepts that appear to all learners, it has significant implication in terms of providing various implicit core concept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for non-major students.

      • KCI등재

        비상경계열 전공자들의 교양회계교과에 대한인식과 개선에 관한 분석 : 비전공자 대상 공학회계 수강자들을 대상으로

        김주은 한국상업교육학회 2017 상업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K 국립대학의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개설된 ‘회계와 사회생활’의 수강자에 대해 교양회계에 관한 인식과 학습방법 및 강의만족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비전공자 대상의 교양회계의 교수법과 수강자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교양회계 교육의 보편적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평균차이 검정(t 검증)과 대응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회계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실무보다는 이론을 강조하는 교육’, ‘시험위주의 교육’, ‘방대한 학습내용’으로 나타났다. 강의수강 후 실무적 활용의 기대와 더불어 한 학기 동안에 재무회계기초와 원가관리회계 기초를 모두 다룬다는 점에서 비전공자들은 매우 부담스러워 했으며, ‘학문자체에 대한 어려움’ 으로 비전공자들은 회계교과의 수강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계과목을 ‘교양필수’과목으로 선택하는 것에 대한 찬반의 물음에 대해서는 찬/반간에 차이가 없었다. 회계교과에 대한 주당학습시간은 평균 1시간을 조금 넘기는 수준이었으며, 2시간 이상의 학습량을 보인 학생은 불과 20%였다. 이는 주당 3학점의 수업시간에도 미치지 못하는 학습량으로서 수강자들의 노력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셋째, 공학회계 교과과정에 대한 각 단원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회계순환과정과 재무제표의 이해, 재무제표 분석과 정보 활용의 순으로 원가관리회계에 대한 중요도보다 재무회계분야를 더욱 중요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화학습법으로는 책자 및 자료이용, 선배에 질의, 인터넷 이용의 순으로 나타나 전공교수와의 교류를 통한 직접적인 문제해결의 적극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법에 있어서는 기대교수법과 실제교수법간의 차이분석에서 강의와 학생발표의 수준은 기대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으며, 토론, 세미나, 초청 강연은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활용도를 보여 교수법의 다양화가 필요하였다. 넷째, 회계교육의 개선을 위해 강의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과정 만족도는 기타대학 수강생과 여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공계생과 남학생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교양함양을 목적으로 수강하는 학생의 경우 학점이수 목적의 수강생보다 강의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전공자를 위한 교양회계교육은 교육범위의 축소와 중요 내용의 선별, 재무회계와 원가관리회계의 분야별 이원화 교육, 소속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각 단대별 교양회계의 개설, 기업실무에의 적용사례제시 및 교수법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ttitude and lecture satisfaction of the accounting curriculum for the students of 'accounting and social life' who are opened to A non-professional.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niversal improvement of general account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teaching methods and students' requirements of non-professiona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problem of accounting education for non-professional is 'Education emphasizing theory rather than practice', 'Test - oriented education', 'Massive learning contents'. A non-professionals were very burdened by the fact that they deal with both the basics of financial accounting and cost accounting during one semester.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the study itself', they avoided accounting course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oosing accounting subjects as 'liberal arts' subjects. The average weekly learning time for the accounting subjects was a little over 1 hour, and only 20% of the students showed more than 2 hours of learning. It is the part where the students' effort is required. Third,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each unit in the curriculum of engineering accounting shows that financial account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st accounting. the order is accounting cycle, understanding of financial statements,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information. In the teaching method, the level of lecture and student presen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xpectations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expected and actual teaching methods, and discussion, seminars, and invited lectures required utilization diversification of less than expected level. Fourth, for the satisfaction of lecture,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earning process was lower than other engineering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ching methods showed that male students' satisfaction did not reach the overall average, so it wa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and to diversify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vast amount of education contents and to make a dualization of each field, and to open a curriculum for each stage.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o corporate practice rather than theory learning and apply various teaching methods.

      • KCI등재

        비전공자 SW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 모형의 효과성 탐색: SW 해결안의 시각적 표현을 중심으로

        이민정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7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In the future society where ICT-based digital convergence creates new value, collaborative skills among experts in various fields and SW based problem solving ability is more emphasized. Non-SW specialists are required to have SW based communication skills to effectively collaborate with SW experts to solve their problems. Therefore, SW programming curriculum for non-maj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gramming education for SW-majors aiming at a high level of coding ability. It is also known that diagram-based visual representation is helpful for produc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SW education objectives for the non-majors as cultivating the visual programming ability for SW based problem solving.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explored SW programming curriculum and content development model for non-majors focusing on visual representation of SW solu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help to provide appropriate SW learning model for non-majors and to cultivate practical SW capabilities. ICT 기반 디지털 융합이 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사회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협업하며 SW적 문제 해결을 주도하는 역량이 더욱 강조된다. 비전공자에게는 전문 분야의 문제를 풀기 위해 SW 전문가와 효과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SW적 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비전공자를 위한 SW 교육은 높은 수준의 코딩 역량을 목표로 하는 기존의 SW 전공자 대상 프로그래밍 교육과는 달라야 한다. 또한 다이어그램 기반의 시각적 표현이 원활한 소통과 협업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를 위한 SW 교육목표를 ‘SW적 문제해결을 위한 시각적 프로그래밍 역량 함양’이라 정의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비전공자 SW 프로그래밍 교육과정과 SW 해결안의 시각적 표현에 중점을 둔 SW 교육 콘텐츠 개발 모형을 탐색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비전공자를 위한 적절한 SW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SW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전공맞춤형 학습 콘텐츠의 효과에 관한 사례 연구

        서주영,신승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최근 대학의 비전공자 소프트웨어(SW) 기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SW 비전공자에겐 학습의 어려움이 크다. 본 논문은 비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여 SW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SW 전공자 대상의 학습 콘텐츠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 비전공자들의 흥미를 반영한 전공맞춤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5년 이상 비전공자 SW기초교육을 운영 중인 A 대학의 사례 연구를 통해 동일한 교과과정에 대해 교육 대상의 전공에 맞춤된 학습 콘텐츠로 수업한 전, 후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학계열에선 국가의 사회, 문화 현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에 학습 흥미를 느끼고, 인문계열에겐 소설, 역사서, SNS 글의 텍스트 콘텐츠가 학습 동기를 상승시켜 어렵게 느끼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강의 만족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전공맞춤형 콘텐츠가 비전공자 SW기초교육에 유용함을 보여준다. Recently, there is a strong interest in SW basic education for non-major students in universities, but SW non-majors are having a hard time learning. This paper proposes a class operation method that utilizes customized contents reflecting the interests of non-majors, rather than using existing learning contents for SW majors. The proposed method is to improve the education effects by increasing the learning motivation of SW non-majors. The paper shows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which has operated non-major SW basic education for more than five years. The case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of pre- and post- learning group that reformed major-friendly contents about the same curriculum. As a result, the students of social sciences are interested in learning contents using public data that can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country, and humanities students are interested in text contents such as novels, history books, and SNS articles. In addi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lectures, the class satisfaction was also greatly improved, and it showed that the major-friendly contents is useful for SW basic education of non-majors.

      • KCI등재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본 컴퓨터 비전공자 대상 교양 컴퓨팅 수업의 효과성 분석 연구

        김민자,김현철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1

        Given the background of so-call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niversities practice computing education for non-majors to equip them with computational thinking(CT). Universities apply different courses but researches analyzing effectiveness of the courses based on CT are limited.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understand a computing course for non-majors is effective in terms of CT. A CT based evaluation framework is designed referring to AP Computer Science Principles. Questionnaires are developed based on the framework and applied to the course participants. As results, students’ post score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 scores. In addi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scores by major category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in post-test. Humanity & social science group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results with science & engineering and computer in order. In sum, it is found that this course is effective to facilitate students abilities in terms of CT, particularly for the non-computer majors.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배경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을 가진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각 대학에서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현장에서 여러 교육이 실행되고 있지만, 그 교육이 비전공자의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 컴퓨팅 수업이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고등교육 수준의 AP Computer Science Principle을 기반으로 컴퓨팅 사고력 관점의 평가 프레임워크와 그에 따른 문항을 개발하여 수업 참가자들에게 적용하였다. 그 결과, 수업 이후 역량이 수업 전 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업 전 역량은 전공 영역별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지만 수업 이후에는 차이가 없어졌다. 즉, 본 수업은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측면의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비전공자 그룹에서 더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컴퓨터 비전공자의 AI 교육 과정 연구

        조미영,한옥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3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지능 정보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지능 정보 사회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리터러시 역량을 가진 인재가 필요하 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량을 말한다. 변화된 사회에서는 AI 기술을 적용 및 활용하는데 올바른 윤리 의식을 가진 AI 리터러시를 함양해야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와 AI 리터러시 역량을 가진 인재는 지능 정보 사회에서 필요한 부분이며, 컴퓨터 관련 전공과 상관없이 요구되기 때문에 모든 학문 분야에서 해당 내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 SW 중심대학에서는 컴퓨터 비전공자도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해 필수 기초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 연구 분석 및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국내 기초 교양 과정 현황 분석을 통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리터러시 역량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재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 지향해야 할 비전공자 대상 기초교육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컴퓨터 비전공자의 AI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 비전공자의 대학 SW 교양 수업 운영 모형(MBA_PD)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박희정(Hee Jung Park),전용주(Yong Ju Jeon)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2

        본 연구는 정보화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으로 Papert 구성주의(constructionism) 학습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비전공자 대상 SW 교육의 문제점 개선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습 동기 함양을 위한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SW 교양수업 운영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이후 후속 연구를 통해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최종안을 개발하고, 비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비전공자 대상의 효과적인 SW 교육 방향 및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KCI등재

        엑셀을 이용한 SW 비전공자 대상 컴퓨팅 교육 모형 설계 및 효과 분석

        박윤수,이민정,이수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With the advent of Industry 4.0, the disciplin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as the potential to affect all aspects of society. Accordingly, understanding of computing technology is required as a convergence study in various major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CT education is emphasized not only for SW major but also non-major. The core of ICT education is SW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CT). As a CT learning tool, there are various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Scratch, Python, Raptor and Excel. In this study, the previously proposed Excel-based CT education model was revised into focusing on information, pattern recognition, and algorithm, and education was conducted for SW non-majors.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learning to measure CT a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education model was proved thr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test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anyone including SW non-majors can achieve CT education effectively using Exc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learning tools for computing education. 4차 산업 혁명은 학문 간의 경계를 없애고 정보통신기술(ICT)은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SW교육이 다양한 전공에서 컴퓨팅 기술 기반의 이해력 융합학문으로서 요구되고 있다. 이에 SW 전공자뿐만 아니라 비전공자에게도 ICT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ICT 교육의 핵심은 컴퓨팅 사고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교육에 있다. 컴퓨팅 사고 학습도구로서 스크래치, 파이썬, 랩터, 엑셀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고 이를 이용한 교육 모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안되었던 엑셀 기반 컴퓨팅 사고 교육 모형을 정보,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 재편하고, SW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컴퓨팅 사고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학습 이전과 이후 테스트를 진행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육 모형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SW 비전공자를 포함한 누구나 엑셀과 같은 ICT 활용 도구로도 컴퓨팅 교육을 효과적으로 접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으며, 나아가 본 연구가 컴퓨팅 교육용 학습 도구를 확대해 가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 교양으로서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대학 신입생들의 인식 및 방향성에 대한 고찰

        문경희,양자영,박성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5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I competency is essential not only for computer majors but also for non-majors. Therefore, AI courses are being offered as liberal arts education for non-majors at universities. Compared to designing a curriculum for AI majors, when designing an AI curriculum for non-majors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I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that the design of a liberal arts AI curriculum needs to take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I among freshmen at univers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286 freshmen enrolled in the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Arts departments of P University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semester of 2021.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to determine the degree of experience the students had with AI, as well as questions to determine their overall perception of AI.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AI experience and their perception of AI was also examined.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rection that AI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take for non-majors in universities. I hope this study will help us better design an AI liberal arts curriculum.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및 자신의 분야에서의 활용 능력은 컴퓨터 전공자뿐만 아니라 비전공자에게도 필수적인 역량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도 비전공자를 위한교양 교육으로서의 인공지능 교과목이 속속 개설되고 있다. 이때 비전공자를 위한 인공지능 교과목설계는 전공자를 위한 교과목 설계에 비해 학습 대상이 되는 다양한 학생들의 인공지능 학습 경험및 인식 등의 상황이 보다 잘 반영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인공지능 학습 경험과 대학 입학 당시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대학 교양 교육으로서의 인공지능 교육의 방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P 대학교의 인문⋅사회⋅예체능계열 학과의 2021년도 신입생 286명을 대상으로 1학기 초에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설문 항목은 초⋅중⋅고 과정에서의 인공지능 학습 경험을 알아볼 수 있는 문항들과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학습 경험 유무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학에서의 비전공자를 위한 인공지능 교양 교육의 방향성을 고찰해 봄으로써 인공지능 교양 교과목설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수업 창의적 산출물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김민자 ( Minja Kim ),유길상 ( Gilsang Yoo ),김현철 ( Hyeoncheol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2

        고등교육의 비전공자 대상 정보과학 교육의 수요가 늘고 있지만,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적절하게 학생들의 창의적 산출물을 평가하는 도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비전공자를 위한 정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개발한 창의적 산출물을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평가하는 루브릭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루브릭 초안의 준거틀(framework)은 CT Practices Design Pattern이며, 개발된 루브릭의 구성 요소는 영역, 역량요소, 평가요소, 평가자료, 평가단계의 다섯 가지이다. 루브릭은 `추상화 모델의 설계`, `창의적 산출물의 설계 및 적용`, 그리고 `산출물의 자가 평가`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전문가 검토를 통해 내용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신뢰도 측면의 일관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루브릭은 해당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demand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r non-majors in higher education is increasing but relevant evaluation tools for the students` computational artifacts are lack.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scoring rubric to assess student`s computational artifacts in non-major programming course at Computational Thinking point of view. The rubric was developed based on `CT Practice Design Pattern` as a framework. The rubric consists of `domain, skills, evaluation, evaluating resources, and scales`. Domains are `Design of abstract model`, `Design and application of creative artifacts`, and `Analysis of the artifacts`. Experts reviewed the rubric to ensure contents validity. The rubric is resulted in reliable for consistency. This rubric can be revised and applied to application environment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