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한국 부인암의 현황: 1991~2004년까지의 동향

        이효표 ( Hyo Pyo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2

        대한산부인과학회 산하의 부인종양위원회가 1989년 설립된 후로 부인암 등록사업이 시작되었고, 이후 2004년도까지 1~2년 간격으로 총 12회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현재 2005년도 및 2006년도 자료에 대한 부인암 등록사업이 진행 중이다. 부인암 등록사업의 목적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발생하는 부인암의 발생 빈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향후 부인암 연구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며, 나아가 치료 성적 및 생존율에 관한 체계적인 통계 자료를 구축하고자 함이었다. 부인암 등록사업의 특징은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시행하고 있는 한국중앙암등록사업의 국민 암발생 빈도와 추세를 파악하는 것에 나아가서, 환자의 산과력 및 과거력 등을 기입하여 세 종류의 부인암, 즉 자궁경부암, 난소암, 자궁체부암에 대한 기본적 역학 조사를 시행함으로써 각 질환의 위험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정확한 조직학적 분류 및 병기, 치료 방법 등을 기입하여 이들의 분포를 파악하고, 향후 추적 조사에 의해 각 치료법에 따른 치료 성적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지금까지 시행되었던 부인암 등록사업을 총괄하여 1991년부터 2004년까지의 부인암의 발생 동향 및 각각의 암에서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estimates the number of new gynecologic cancer cases and deaths expected in Korea in the current year and compiles the most recent data on cancer incidence, mortality, and survival based on incidence data from the Gynecologic Cancer Registry Program every one or two years. Recently, gynecologic cancer registry gathering clinical data in 2005~2006 is in progress. In this article, we provide an overview of cancer statistics, including recent trends in gynecologic cancer incidence, mortality, and survival rates from 1991 through 2004.

      • KCI등재

        부인암 환자 말초 혈액의 CD4(+)CD25(+)조절 T림프구 분포

        마진영 ( Jin Young Ma ),김용만 ( Yong Man Kim ),정민형 ( Min Hyung Jung ),송하영 ( Ha Young Song ),김대연 ( Dae Yeon Kim ),김종혁 ( Jong Hyeok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목정은 ( Jung Eun Mo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조절 T림프구 (regulatory T lymphocyte)는 암세포에 대한 면역관용 (immune tolerance)을 일으켜 특정 항원에 대한 T림프구의 작용을 감소 혹은 상실시킴으로써 암세포의 빠른 성장, 국소 침입과 혈행성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암환자의 말초혈액 내 조절 T림프구의 분포에 대한 연구는 초기 상태이고, 난소암을 제외한 부인암에서 CD4(+)CD25(+)조절 T림프구 분포 및 Foxp3의 발현정도에 대해서는 그 연구결과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에서 CD4(+)CD25(+)조절 T 림프구의 분포와 Foxp3의 표현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05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조직 병리학적으로 자궁경부 편평세포암종, 장액성 난소암종, 자궁내막선암종으로 처음 진단받은 환자 각각 10명의 말초혈액과 자궁경부상피내암 환자 10명 및 건강한 여성 10명의 말초혈액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FACS (flow cytometry analysis) 를 통해 CD4(+)CD25(+)조절 T림프구 분포와 PCR과 전기영동을 통해 Foxp3의 표현 정도를 알아보았다. 각 군 간의 비교 및 유의성 검정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두 군 간의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첫째,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부인암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총 CD4+ T림프구 중 CD4(+)CD25(+high)조절 T림프구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으나, CD4(+)CD25(+)조절 T림프구의 비율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자궁경부암의 전암 병소인 자궁경부상피내암에 비해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총 CD4+ T림프구 중 CD4(+)CD25(+high)조절 T림프구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각 부인암의 병기에 따른 CD4(+)CD25(+), CD4(+)CD25(+high)조절 T림프구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넷째, 대조군과 달리 부인암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전사요소인 Foxp3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어, 암세포가 존재할 경우 말초혈액에서 암세포에 의해 자연 획득한 T림프구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부인암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조절 T림프구 중 CD4+CD25+high조절 T림프구 수가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의해 암세포에 대한 면역무시, 면역억제작용으로 암세포의 발현, 성장,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토대로 현재 시도되고 있는 항암면역치료를 부인암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Recently the existence of a CD4(+)CD25(+) regulatory (Treg) population has been described in rodents and humans. It is unclear how the immune response cells interact to tumor cells effectively, but the malignant tumor cell growth was suppressed by the main effect of T lymphocytes and natural killer cells in experimental studies using various biologic response modifi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 of CD4+CD25(high) Tregs and expression of Foxp3 in Peripheral blood (PBL)s in patients with cervical, ovarian or uterine cancers. Method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healthy women and a total of 40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from March 2005 to September 2005, were enrolled in study group. Information regarding patient history and tumor stage was recorded. They were diagnosed at same center at first, and never been treated any therapy. The population of CD4(+)CD25(+high) Tregs as a percentage of total CD4+cells was evaluat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We measured the proportion of Treg cell that co-express CD4 and CD25 in the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form patients with either cervical, ovarian uterine cancer or carcinoma in situ of cervix. Expression of Foxp3 in the CD4+subsets defined by electrophoresis. Results: The following tumor entities were included cervical cancer (n=10. 7 in stage Ⅰ, 1 in stage II, 1 in stage III, 1 in stage Ⅳ); ovarian cancer (n=10. 4 in stage Ⅰ, 0 in stage II, 5 in stage III, 1 in stage Ⅳ), ; uterine cancer (n=10. 9 in stage Ⅰ, 0 in stage II, 0 in stage III, 1 in stage Ⅳ). In cervical cancer patient, ovarian cancer patients, uterine cancer patients and healthy women, the proportion of CD4+CD25(high) Tregs was 4.53% (SD 2.30), 6.89% (SD 7.81), 4.37% (SD 2.43) and 0.87% (SD 0.57) of the total CD4+cells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CD4+CD25(+high) T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ervical cancer patients (p=0.016), ovarian cancer patients (p=0.001) and uterine cancer patients (p=0.038) when compared with healthy wom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portion of CD4+CD25+ Tregs comparing with healthy women. Expression of Foxp3 was significantly thicker in tumor-associated lymphocytes than control T cells by electrophoresis. Conclusion: In conclusion, our data suggested that the increase in frequency of regulatory T cells might play a role in mod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against cervical, ovarian, uterine cancer could be important in design of immunotherapeutic approaches.

      • 부인암 환자에서 발견되는 대장 선종의 특징

        전정현,정성애,김성은,이종수,남승현,신정은,문혜성,김승철,유권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1

        연구목적 : 2형 Lynch 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부인과 종양 환자에게 대장암과 대상 선종의 검사 필요성이 언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원의 부인과 종양 환자에서 병기 결정을 위해 시행되어지는 S상 결장경 검사에서 발견되는 대상 선종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3년 9월부터 2001년 3월까지 본원에서 부인과 종양을 진단받고 대장 증상 없이 병기 결정을 위해 S상 결장경검사를 시행한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자궁경부암 139명, 난소암 35명, 자궁 내막암 13명) 정상대조군으로는 대장 증상 없이 건강 검진 목적으로 대장경 검사를 시행한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부인과 종양 환자 187명 중 21명에서 대장 선종이 발견되었고(11.2%) 다발성 선종이 있어 모두 26예의 선종이 관찰되었다. 정상 대조군 58명에서는 3명에서 선종이 발견되었고(5.2%) 다발성 선종은 없었다. 부인과 종양 중 자궁 내막암 환자군에서 선종의 빈도는 38.5%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진행성 선종의 빈도도 자궁 경부암 환자 12.5%, 난소암 환자 25.5%, 정상 대조군 33.3%에 비해 자궁 내막암 환자 83.5%로 유의하게 많았다. 부인과 종양의 선종 위치는 직장이 23.1%, S상결장이 76.9%였다. 결론 : 부인과 종양 환자의 대장 선종 빈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그러나 자궁 내막암 환자군에서는 다른 부인과 종양 환자나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선종과 진행성 선종의 빈도를 부였다. 따라서 부인과 종양 환자에게 대장경 검사를 통한 대장 선종 유무 검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 In Lynch syndrome Ⅱ, colon cancer was associated with endometrial and ovaria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an evaluation for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rectosigmoid adenomas on preoperative sigmoidoscopy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Methods : A total 187 gynecologic cancer patients(139 cervical, 35 ovarian, 13 endometrial cancer) and 58 normal controls were reviewed sigmoidscopic finding and pathologic reports retrospectively from September 1993 to March 2001. Results : The mean age of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as 54(38-82) year-old and normal controls was 50(20-68) year-old. Total 26 adenomas were in 21 patients(11.2%) and 3 adenomas were in 3 normal controls(5.2%). The incidence of adenomas was 9.4% in cervical cancer, 8.6% in ovarian cancer and 38.5% in endometrial cancer. Multiple adenomas were in 5 gynecologic cancer patients and 0 normal controls. The incidence of advanced adenoma was 12.5% in cervical cancer, 25.5% in ovarian cancer, 83.5% in endometrial cancer and 33.3% in normal controls. The location of adenoma was 23.1% in rectum and 76.9% in sigmoid colon.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adenomas and multiple adenomas were higher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than normal controls but not significantly. The incidence of advanced adenoma and adenoma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ndometrial cancer than normal controls. Colonoscopic evaluation of whole colon will be recommanded in gynecologic cancer than sigmoidoscopy.

      • KCI등재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부인암환자간호 시뮬레이션학습의 효과

        김혜진,김경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본 연구는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부인암환자간호 시뮬레이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부인암환자 간호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간호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학습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한 전후시차 설계인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울시 한 개 대학에서 2015년 10월부터 2016년 4월까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부인암환자간호 시뮬레이션에 참여한 간호대학생 91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부인암환자 간호수행에 대한 자신감은 교육 직전에 비해 교육 후, 교육 10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부인암환자 간호지식은 교육 직전에 비해 교육 후, 교육 10일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p<.001). 부인암환자 간호 시뮬레이션학습 만족도는 총점 52점 중 46.37점이었다. 이를 통하여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부인암환자간호 시뮬레이션학습은 간호대학생의 부인암환자 간호지식과 간호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nursing simulation learning o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sing standard patients on nursing students' confidence and nursing care knowledge for gynecologic cancer patients and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applied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pre and post-test design.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91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 of nurse cancer patients using standard patients from October 2015 to April 2016 at one university in Seoul. As a result, the confidence in nursing practice for gynecologic cancer patient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and after 10 days of training(p < .001). Nursing care knowledge for gynecologic cancer patient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aining and 10 days after training(p < .001). The satisfaction level of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for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as 46.37 out of 52 points. Therefore, the simulation learning using the standard patients was found to be helpful to improve nursing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for gynecologic cancer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부인암 세포주에서 항암제 투여에 따른 신생혈관 형성 관련 유전자 전령 리보핵산 및 단백질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김영재 ( Young Jae Kim ),공미숙 ( Mi Sook Kong ),이영미 ( Young Me Lee ),장성렬 ( Sung Yeoul Chang ),김승룡 ( Seung Ryong Kim ),김경태 ( Kyung Tai Kim ),황윤영 ( Youn Yeung Hwang ),조삼현 ( Sam Hyun Ch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자는 확립된 세포주에서 세포독성제 및 면역 조정제에 의한 항신혈관 형성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방암 세포주 MCF-7, 자궁 경부 편평 상피암 세포주 SiHa, 난소암 세포주 A2780, 그리고 cisplatin 내성 난소암 세포주 A2780-CDDP에서 cisplatin, paclitaxe l(taxol), 및 thalidomide로 처리한 후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그리고 thrombospondin-1,2 (TSP-1,2)의 전령 리보 핵산 및 단백질의 표현 양상의 변화를 규명하고자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유방암 세포주 MCF-7, 자궁 경부 편평 상피암 세포주 SiHa, 난소암 세포주 A2780, 그리고 cisplatin 내성 난소암 세포주 A2780-CDDP에서 cisplatin, paclitaxel (taxol), 및 thalidomide로 각각 처리한 후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그리고 thrombospondin-1,2 (TSP-1,2)의 전령 리보 핵산 및 단백질의 표현 양상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RT-PCR, 단백 추출 및 Western blot assay를 사용하였다. 결과: 난소암 세포주 A2780과 동일 세포주에서 분리한 cisplatin 내성 주 A2780-CDDP, 유방암 세포주 MCF-7 및 자궁경부 편평 상피암 세포주인 SiHa에서 VEGF gene은 212 bp, bFGF는 238 bp, 그리고 TSP-1은 492 bp로 합성되었으나 TSP-2 는 합성되지 않았으며 VEGF 및 bFGF 단백질은 각각 21 KDa와 17 KDa로 합성되었으나 TSP-1 단백질은 합성되지 않았다. 각 세포주의 VEGF gene의 발현 정도는 cisplatin, taxol 및 thalidomide에 별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bFGF gene의 발현 정도는 taxol처리 후 유방암 세포주에서 만 감소하였으며 TSP-1 gene의 발현도는 taxol 처리 후 유방암 세포주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주 보다 큰 폭의 감소가 있었고 난소암 세포주에서 thalidomide처리 후 뚜렷한 감소를 보였다. Cisplatin, taxol, 그리고 thalidomide에 VEGF 및 bFGF 단백질 발현도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 난소암 세포주 A2780, cisplatin 내성 난소암 세포주 A2780-CDDP, 유방암 세포주 MCF-7, 그리고 자궁경부 편평 상피암 세포주 SiHa에서 VEGF, bFGF 그리고 TSP-1 gene들 및 단백질의 발현 양상은 cisplatin 처리에 의해 변화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난소암, 유방암 그리고 자궁경부암에서 cisplatin의 신혈관 형성 억제 효과 판정에는 VEGF, bFGF 및 TSP-1 등의 직접적인 단백 발현 양상만을 표적으로 삼기 보다는 기저층 파괴를 담당하는 신호 전달체등의 발현 변화를 동시에 분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taxol 처리에 따른 신혈관 형성 단백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에 있어 bFGF가 유방암 세포주에서 약간 감소되었고, TSP-1은 유방암 세포주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주보다 약간 더 많은 감소를 보여 bFGF와 TSP-1은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에서 taxol의 신혈관 형성 저해 연구의 평가 기준으로 재연구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Thalidomide 처리에 따른 전기 단백질들의 표현 양상에는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TSP-1 단백 발현의 감소가 다른 세포주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실험 방법에 따라 같은 세포 독성제라도 신혈관 형성 저해 효과 판정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시켜 줌과 동시에 향후 thalidomide를 난소암의 보조적 치료제로 이용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Angiogenesis is central role to both the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of malignant tumor. The intense interest in angiogenesis has also lead to a re-examination of the activity of established cytotoxic agents which are known to be an antiangiogenic effect anecdotally. In this study, anti-angiogenic effect of cisplatin, paclitaxel and thalidomide was evaluated in human ovarian cancer cell lines and cervical cancer cell line. Methods: Human ovarian cancer cell line A2780, cisplatin resistant human ovarian cancer cell line A2780-CDDP,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and squamous cell uterine cervical carcinoma cell line SiHa were used to evaluate the level of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VEGF, bFGF and TSP-1, 2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with cisplatin, paclitaxel, and thalidomide using RT-PCR, protein extraction, and Western blot.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Wilcoxon signed rank test in the SAS ver 8.1. Results: Targeted mRNAs were synthesized as 212 bp VEGF, 238 bp bFGF, and 492 bp band sized except mRNA of TSP-2 via RT-PCR. The protein of VEGF and bFGF were appeared as 21KDa and 17 KDa size, however, the protein of TSP-1 was not appeared through western blot. No effect of cisplatin on protein expression was measured in these cell lines, but paclitaxel influenced the expression of bFGF in MCF-7 cell line and the expression of TSP-1 in MCF-7 and SiHa cell lines. TSP-1 expression was influenced by thalidomide in A2780 cell line. The protein expression of VEGF and bFGF were not influenced following treatment with cisplatin, paclitaxel, and thalidomide. Conclusion: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bFGF and TSP-1 will be used as a target gene for the assay of antiangiogenic effect of paclitaxel in breast and uterine cervical cancer tissue and TSP-1 will be used as that of thalidomide in ovarian cancer. Furthermore, thalidomide will be tried as an adjunctive age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survival in the case of the patient with ovarian cancer.

      • KCI등재

        부인암의 전이에 중요인자로 작용하는 Ezrin

        최승도 ( Seung Do Choi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2

        Ezrin은 세포골격 연결 단백질로 세포의 수축요소와 막투과단백질 사이를 연결하여 세포 형태, 운동성, 세포와 세포사이 상호작용을 조절한다. 이러한 기전을 통해 ezrin은 암의 진행과 원발성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더해, 유방암, 대장암, 골육종, 전립선암과 같은 많은 암종에서 높은 농도의 ezrin 발현이 관찰된다. 고농도의 ezrin 발현을 보이는 부인암세포는 ezrin이 저농도로 발현되는 경우보다 좀 더 침습적인 경향을 보인다. 또 ezrin이 높은 농도로 발현되는 것은 진행된 조직학적 등급과 불량한 예후와 관련있다. 최근 몇몇 보고에 따르면 진행된 병기의 암세포와 전이성 부인암 세포에서 ezrin 발현이 증가하고 막부위로의 이동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가까운 미래에 ezrin 농도와 세포내 위치는 부인암 전이의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이다. Ezrin, a membrane cytoskeleton linking protein, is a member of ezrin/radixin/moesin (ERM) that regulates cell shape, motility and cell to cell interaction via linking the contractile elements of the cell to transmembrane proteins. Ezrin, through this mechanism, has been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ancer progression and distant metastasis. In addition, high levels of ezrin expression have been noted in many cancers, such as breast, colon, osteosarcoma, and prostate cancer. Gynecologic cancer cells, with high levels of ezrin expression, have more invasive potential than that of the lower levels of ezrin expressed cancer cells. High levels of ezrin expression are also related to the advanced histological grade and poor outcome. Recently, several reports have also demonstrated that ezrin expression is enhanced and almost localized at the membranous portion in high stage tumor cells and metastatic gynecologic cancer cells. Therefore, in the near future, ezrin levels and its cellular location might serve as essential markers for the metastasis of gynecologic cancers.

      • KCI등재

        부인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세포주에서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LacZ 유전자 이입율의 변화

        김병훈 ( Kim Byeong Hun ),배수미 ( Bae Su Mi ),한유진 ( Han Yu Jin ),이현승 ( Lee Hyeon Seung ),조윤성 ( Jo Yun Seong ),이근호 ( Lee Geun Ho ),허수영 ( Heo Su Yeong ),김재훈 ( Kim Jae Hun ),김용욱 ( Kim Yong Ug ),노덕영 ( No Deo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5

        배경 : 부인암의 치료에서 근간을 이루고 있는 치료방법은 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화학요법 등으로, 그 치료율이 향상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치료법은 그 한계에 도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종양 치료의 방향은 암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응용하여 인체 내 악성종양에 대한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특정 유전자를 이입시키는 유전자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다. 목적 : 부인암의 유전자 치료를 위해 부인암과 관련된 종양세포주들에 특정 리포솜의 이입율을 각기 다른 이입방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에 사용된 암세포로는 변이형 p53 유전자를 가지고 HPV가 음성인 C33A, HT3, 야생형 p53 유전자를 가지고 HPV 16 양성인 CaSki, SiHa와 Cx16-2, HPV 16 양성인 QGU, 야생형 p53 유전자를 가지고 HPV 18 양성인 HeLa와 HeLa S3, 그리고 케라트노사이트 HPV 16에 의해 암화된 HkcE6/E7를 사용하였고, 난소암 세포로는 야생형 p53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PA-1, p53 유전자가 결실된 SKOV-3, A2774 그리고 변이형 p53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OVCAR-3를 선택하였다. pRcCMCLacZ와 pAAVCMVLacZ 유전자를 Ca^2+-phosphate, Fugen6^TM (Roche, Germany), Lipofectin^TM (GibcoBRL, USA), Lipogen^TM (InvivoGen, USA) 그리고 N-stearyl lactobionamide (N-SLBA) 등의 이입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세포주에 이입하였으며, X-gal 염색법으로 이입된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결과 : CaSki 세포주에서 pRcCMVLacZ를 Ca^2+-phosphate, Fugen6^TM, Lipofectin^TM 그리고 N-SLBA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입한 후, 200배에서 관찰한 결과 6.8, 9.5, 15.3, 21.0, 6.6%, HeLa에서 8.6, 33.8, 11.9, 20.0, 4.1%, HeLa S3에서 7.1, 31.0, 11.2, 16.2, 16.9%의이입효율을 보였고 400배에서 20.4, 17.7, 26.2, 42.4, 11.4%, HeLa에서 25.5, 39.1, 23.4, 32.0, 17.4%, HeLa S3에서 10.3, 41.8, 132., 23.7, 15.0%의 이입효율을 보였다. pAAVCMVLacZ 유전자 이입시에는 HeLa에서 11.5, 10.1, 26.9, 16.6, 3.0%, HeLa S3에서 7.8, 7.6, 25.8, 19.1, 7.9%, OVCAR-3에서 5.2, 13.4, 13.8, 7.6, 5.0%, SKOV-3에서 14.0, 20.5, 28.7, 11.0, 12.8%의 이입율을 보였다. 결론 :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HeLa와 HeLa S3 세포주에 pAAVCMVLacZ를 이입시킬 때, Fugen6^TM 방법이 다른 방법보다 높은 이입효율을 보였으며, OVCAR-3와 PA-1 세포주에 pAAVCMVLacZ를 이입시킬 때, Lipofectin^TM 방법이 다른 방법보다 높은 이입효율을 보였다. 각각의 세포주는 유전자의 특성과 이입법에 따라 이입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Objective : The transfection efficiencies of gynecologic cancer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by different mediated transfection methods using recombinant LacZ plasmid (pRcCMVLacZ and pAAVCMVLacZ). Methods : In this study, the gynecologic cancer cell lines were used CaSki, SiHa (cervical, HPV16^+, wild type p53 gene), HeLa, HeLa S3 (cervical, HPV 18^+, wild type p53 gene), C33A, HT3 (cervical, HPV^-, p53 mutant), HckE6/E7 (cervical, HPV16 immortalized keratocyte), Pa-1 (Ovary, wild type p53), SKOV-3, A2774 (ovary, p53^del) and OVCAR-3 (ovary, p53 mutant). The pRcCMVLacZ and pAAVCMVLacZ plasmid transfection were performed by using liposome system such as Ca^2+-phosphate, Fugen6^TM, Lipofection^TM, Lipogen^TM and N-stearyl lactobionamide (N-SLBA) with X-gal staining. The LacZ gene was used the reporter gene for the transfection efficiencies evaluation. Results : Each of cell lines were showed different transfection efficiencies by Ca^2+-phosphate, Fugen6^TM, Lipofectin^TM, Lipogen^TM and N-SLBA. Each of cell were revealed that HeLa S3, HT3 and A2774 were high transfection efficiency using the pRcCMVLacZ by the Lipogen^TM, SiHa, HeLa, QGU, OVCAR-3 and PA-1 were high efficiency using the pAAVCMVLacZ by Lipofectin^TM, CaSki was high efficiency using the pRcCMVLacZ by the Lipogen^TM, A2774 and Cx16.2 were high efficiency using the pRcCMVLacZ by the Lipofectin^TM, SKOV-3 and HkcE6/E7 were high efficiency using pAAVCMVLacZ by the Lipogen^TM. Conclusion : As a result, We proved that each of cell lines differed trasnfection efficiencies according to mediated transfection and recombinant LacZ plasmid style. Above all, Lipofectin^TM mediated transfection was showed high efficiency at the most of cell lines.

      • KCI등재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의 사회적 지지: 암 병기 및 생존단계별 비교분석

        백옥미 ( Ok Mi Baik ),임정원 ( Jung Won L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2 No.-

        본 연구는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들의 병기별, 생존단계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고찰, 생존자들의 특수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욕구를 이해함으로써 개별화된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측면을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을 포괄하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했다. 연구대상은 유방암 및 부인과 암으로 진단받은 110명의 성인 여성으로, 서울에 위치한 5개의 종합 병원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가장 진행된 형태인 3기 진단자들이 사회적 지지를 가장 낮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2기 진단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또한 3기 진단의 응답자들이 암 치료 및 적응과 관련한 제반 서비스의 이용 횟수도 낮았으며, 향후 서비스 이용 욕구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기간별 분석에서는 진단받은지 2년 이하의 급성 생존단계 응답자들이 진단 후 2-5년 경과된 확장 생존단계의 사람들이나 진단 후 5년 초과된 영속 생존단계 응답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서비스 이용욕구를 보였다. 이와함께 서비스 이용 욕구 면에서도 생존단계별로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기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병기별, 생존단계별로 차별화된 사회사업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ocial support among Korean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cancer stage at diagnosis and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Thu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based on the survivors` specific nee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10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the cancer stage at diagnosis from 0 to 3 stage and three groups such as acute, extended and long-term survival stages. Analyses of covariance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at stage 3 at diagnosi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at earlier stages. The participants at stage 3 also showed lower use of supportive care services and needs for services. The participants at acute survival sta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eeds for supportive care services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at the later survivorship stages. Overall, this study evidenced that the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have distinct recognition and needs related to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ir cancer stage and their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 cancer stage and the stage of survivorship.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재발성 부인암의 수술적 치료

        박상윤 ( Sang Yo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재발성 부인암 치료에 있어 수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소 재발한 종양에 대해서는 수술치료 단독으로도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며, 더욱 진행된 재발암에서는 항암제치료, 방사선치료 등과 함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재발암에 대한 골반장기적출술은 수술기구, 수술기술 및 골반 해부학에 대한 이해로 더욱 광범위한 수술로 발달하였다. 재발암에 대한 종양축소술의 임상연구 보고가 증가하고 있으나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 결과가 나올 때까진 수술의 이점을 최대화하고 유병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심스럽게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광범위 수술후의 합병증은 환자마다의 개별화된 수술적 치료를 통해 감소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재건수술의 사용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간단한 종양절제술에서부터 광범위 장기 적출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여성생식기이외의 장기적출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부인종양학이라는 전문분야가 생겨났으며, 성공적인 수술적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분야에서의 수련과 폭 넓은 경험이 필요하다. 본 저자는 2001년 4월부터 재발성 부인암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진행 중으로 본문에서 자궁경부암, 난소암, 자궁체부암 등 재발성 부인암에 있어서 수술적 치료의 발전, 현황 및 저자의 경험을 각각 기술하였다. Surgery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option in the management of recurrent gynecologic malignancies. As a single modality, it can be the sole curative treatment for a selected group of patients with localized recurrent malignancy and contributes to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ore disseminated recurrent malignancy as part of multimodal treatment. The use of exenterative surgery for localized recurrence has been extended, and complications have been minimized.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ytoreduction in disseminated recurrence has increased, but care must be taken in order to maximize the benefit of cytoreduction and minimize morbidity until the evidences are more clarified in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Morbidity related to radical surgery can be reduced without compromising patient cure by individualizing surgery. Moreover, newer reconstructive techniques can improve quality of life. Sometimes, surgery can be performed with relatively simple procedures, such as wide local excision. However, for more disseminated cancers, such as metastatic ovarian cancer, surgery can be very complex, requiring resection of several non-gynecological organs. Therefore extensive surgical training and experience is needed to successfully manage patients with these challenging conditions, and this ha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subspecialty of gynecological oncology. A brief update on the role of surgery in the management of recurrent gynecologic malignancies is present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부인암 관련 하지 림프부종의 유병률 및 위험인자

        강승훈 ( Seung Hoon Kang ),황기훈 ( Ki Hun Hwang ),심영주 ( Young Joo Sim ),정호중 ( Ho Joong Jeong ),이태화 ( Tae Hwa Lee ),김성한 ( Sung H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8

        목적: 한국에서 부인과 관련 암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하지부종의 유병률과 위험 인자의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4년 동안 수술적 치료 및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242명의 부인과 암 환자의 의무기록과 면담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의무기록 혹은 면담에 의한 기록을 통해 하지부종이 있는 환자를 확인하였고, 그 후 통계학적인 특징, 다른 의학적 병력, 암의 유형과 병기, 림프절의 절제, 수술방법,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호르몬치료와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로부터 다중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하여 하지의 림프부종에 대한 위험 요인을 평가하였다. 결과: 242명의 환자 중 48명 (19.8%)에서 하지 림프부종이 있었다. 하지부종이 있는 환자들은 체질량 지수가 더 높았고, 방사선치료, 항암 치료의 병력이 있었으며, 림프절절제와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았던 경우가 많았다. 다변량 분석을 통해 체질량 지수, 방사선 치료 병력과 림프절절제는 부인과 암치료 후 하지부종에 대한 독립적 위험 인자임을 보였다. 결론: 방사선 치료를 받았거나, 체질량 지수가 25 이상인 경우 그리고 림프절 절제를 시행한 환자는 부인과 암치료 후 하지부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들 환자들은 추적관찰 기간 동안 질병의 발생률과 예방법과 치료에 대하여 교육을 받아야 한다. Objective: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lower limb lymphedema in the patients after gynecologic neoplasms treatment in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ed 242 gynecologic neoplasms patients who have managed surgically and medically over a 4 year period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06. We identified the patients with lower limb lymphedema as described by the medical records or reported by the interviews. We obta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ther medical history, cancer type, stage of cancer, lymph node dissection, chemotherapy, radiotherapy, hormone therapy and laboratory finding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lower limb lymphedema. Results: Forty eight (19.8%) patients out of two hundred forty two had lower limb lymphedema. Those patients with lower limb lymphedema had a higher body mass index, radiotherapy history, chemotherapy history and lymph node dissection history, radical hysterectomy.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body mass index, radiotherapy and lymph node dissection were independently risk factors for lower limb lymphedema after gynecologic neoplasms treatment. Conclusion: The patients who had radiotherapy, body mass index greater than 25 or lymph node dissection must be considered as potential candidates to have lower limb lymphedema in the patients after gynecologic neoplasms treatment. Therefore, these patients should be inform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about this morbidity, the preventive measures, and the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