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재산권 및 혁신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을 중심으로

        임광혁,최상옥 한국벤처창업학회 2024 벤처창업연구 Vol.19 No.4

        최근에도 벤처기업의 창업 지원과 그에 따른 성과가 증가함에 따라 벤처기업의 투자규모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정부도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의 일환으로 벤처기업확인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연구에서 벤처기업확인제도는 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벤처기업확인제도만으로 성과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혁신역량 및 산업재산권이 벤처기업확인제도를 매개로 하여 재무성과, 기술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론적 연구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다음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인 개발역량, 제조역량, 마케팅 역량, 원가우위 수준, 고부가가치화 수준, 비즈니스모델의 명확화 정도, 비즈니스모델의 혁신 정도는 벤처기업확인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벤처기업의 산업재산권인 국내 산업재산권 보유건수, 해외산업재산권 보유건수, 국내 출원 중 산업재산권, 해외 출원 중 산업재산권은 벤처기업확인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셋째, 벤처기업확인제도의 혜택인 기술개발 촉진, 광고효과, 세제해택, 우수인력확보, 자금 조달 및 투자유인, 정부지원제도 참여 유리, 규제완화 등은 벤처기업의 재무적인 성과인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과 기술력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연구개발유형의 벤처기업을 제외하고는 혁신역량, 산업재산권은 벤처기업확인제도를 매개로 재무성과 기술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기업의 혁신역량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벤처기업확인제도의 수급정도가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벤처기업확인제도의 혜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역량이 높은 기업 위주로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산업재산권이 벤처기업확인제도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벤처기업확인제도 인증에 중요한 사항으로 산업재산권을 고려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끝으로, 벤처기업확인제도의 혜택을 받는 정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성과, 기술력이 증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벤처기업확인제도의 혜택을 통해 성과나 기술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벤처기업확인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In recent years, as support for venture companies and performance increase, investment scale increases. To support them goverment operates venture firm confirmation system as a part of a variety of policies. Many studies suggest venture confirmation system offer the practical assistance on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However, simply venture firm confirmation system affects on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 theoretical research model about the impact of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dustrial property rights on venture companies' financial performance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rough the venture company confirmation system.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tested. First,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such as development capability, manufacturing capability, marketing capability, level of cost leadership, level of high added value, degree of clarity of business model, and degree of innovation of business mode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venture company confirmation system. Second, the industrial property rights of venture companies, such as the number of domestic industrial property rights, foreign industrial property rights, industrial property rights in domestic applications, and industrial property rights in overseas applications,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Third,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such as promo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advertising effects, tax benefits, secur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financing and investment incentives, advantageous participation in government support systems, and deregulation, are related to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es such as sales and operating profit., net profit and technological level.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except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type venture companie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dustrial property rights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rough the venture confirmation syste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mean that in situations where a company's innovation capabilities are lacking,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is weak.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benefits mainly for companies with high corporate capabilities. Next, it means that industrial property rights are not related to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Therefore, there will be no need to consider industrial property rights as an important matter in the certification of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Lastly, the higher the level of benefits from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the greater the company's performance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utilize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in a way that can improve performance or technology through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 KCI등재

        모기업의 핵심 분야와 투자 회사의 사업 분야 간 거리가 기업벤처투자 형태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기업벤처투자(Corporate Venture Capital, CVC)가 모기업의 핵심 비즈니스 분야와 그 외의 영역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 한다. 기업벤처투자는 투자이익을 주목적으로 하는 전문벤처투자와 달리 모기업의 전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기업벤처투자는 모기업의 주된 산업영역과 그 외의 영역에서 상이한 투자 경향을 보일 수 있다. 가령, 모기업의 핵심 산업영역에서는 기술 과 시장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바탕으로 비교 우위를 공고화하기 위하여 최신 기술 및 스타트업에 초기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려는 반면, 모기업 이 익숙하지 않은 핵심 영역 외부에서 진행되는 투자는 보다 성숙단계에 있는 스타트업에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전세계의 기업벤처투자가 참여한 투자 건을 모기업의 핵심 영역에서 투자된 건과 그 외 영역에서 투자된 건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기업 벤처투자는 모기업의 핵심 산업영역에서 더 초기의 스타트업에 투자하며, 한 건당 더 많은 금액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벤처투 자사가 모기업의 핵심 영역에서 시장과 기술에 대한 더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가치평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탐색적 혁신에 적극 투자하여 해당 기술이나 산업의 규모를 키우고 비교 우위를 공고히 하려는 유인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는 기업벤처투자 사가 모기업의 산업 영역 전반에서 모기업의 역량과 목표에 따라 기업벤처투자 전략을 다르게 가져가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기업벤처투자가 제한되어 있는 한국의 경우, 기업벤처투자의 이점은 극대화하고 이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을 입안하는데 정책 적 시사점 또한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examines how a Corporate Venture Capital(CVC)’s investment strategy varies depending on whether an investment takes place within the core business field of the CVC’s parent firmor not. Given that the parent firmhas a deep understanding of technologies andmarket prospect of its core business field, a CVC is expected to proctively invest in early-stage startups: the cutting-edge ideas can help the parent firm sustain its competitive advantage over rivals within the core business field. By contrast, when a CVC invests outside the parent firm’s core business field, it would be more likely to seek to fund startups at mature stage: the established networks and profit-making experiences possessed by advanced-stage startups can help the CVC’s parent firm tab into the necessary knowledge about the new fields.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global CVC investments between 1968 and 2015 in the IT and the biotechnology sectors reports that CVCs participate in early round dealswithin the parent firm’s core business field as opposed to fields outside the core of the parent firm. In addition, even after the differences in investment stages between the two fields are controlled, CVCs on average invest in deals associated with greater amounts when investing in the parent firm’s core business field. These results imply that CVC activities serve various objectives depending on the objectives of the parent firm and that the difference in CVC investments over the proximity to the parent firm’s core business field is driven by the strategic goals of the parent firmbetween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 연구기반 스핀오프 벤처기업의 성장과정 및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이병헌,강원진,전호일 한국벤처창업학회 2008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4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된 연구기반스핀오프벤처기업의 성장과정과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들에 대해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사례기업은 연구기반스핀오프벤처기업의 한 형태인 교수벤처기업 (주)아이센스이다. (주)아이센스는 광운대학교 화학과에 재직 중이던 차근식 교수와 남학현 교수가 연구실 대학원생들과 창업한 벤처기업으로 자가 혈당측정기틀 생산하는 신기술벤처기업이다. 두 교수는 광운대학교 내에 화학센서 연구센터를 운영하면서 바이오센서와 관련된 많은 기초연구 성과를 도출하였으며, 연구개발 전문회사를 설립하여 용역과제를 수행하면서 연구자금을 마련하고, 추후 하고 싶은 연구를 수행할 목적으로 (주)아이센스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창업자들의 초기의도와는 달리 (주)아이센스는 자가혈당측정기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제조회사로 성장하였으며, 2008년 코스닥 상장 예정이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연구기반스핀오프벤처기업인 (주)아이센스의 창업과 성장과정을 분석하고 성장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규명하여, 연구기반스핀오프벤처기업이 성공할 수 있는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pin-off ventures which was incorporated based on the technology developed by public research institute, but underwent difficulties confronted during the development stages focused on the growth process and the factors contributed to their success.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i-Sense Co., Ltd. which is a ventures organized by professors as a form of research based spin-off venture. i-Sense Co., Ltd. is a new-technology based ventures to produce self-tester for blood sugar level which was incorporated by Prof. Cha, Keun-sik and Prof. Nam, Hak-hyun of Department of Chemistry in Kwangwoon University along with the graduate course students of the Research Laboratory of the University. The two professors operated the Chemical Sensor Research Center at the Kwangwoon University where they produced many preliminary research outputs related with bio-sensors. They also executed the service works at the specialized company they established for research development to make research fund. They established i-Sense Co., Ltd. with the aim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y want to. But contrary to the initial intention of the founders of the company, i-Sense Co., Ltd. has grown up as manufacturing company which produces and sells the self-tester for blood sugar level and is expected to be listed by Initial Public Offering (IPO) on the KOSDAQ in 2008.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undation and the growth process of i-Sense Co., Ltd. as successful research based spin-off ventures, to find out the factors contributed to their success by enabling the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he growth process, and eventually to provide with suggestive meanings in policy and practical point of view that leaded the research based spin-off ventures to success.

      • 우리나라 벤처기업에 관한 연구

        윤덕병 ( Deok-byeong Yoon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18 혁신기업연구 Vol.3 No.2

        90년대 범세계적인 불황이 지속되는데도 불구하고 미국의 어려웠던 경제가 활력을 회복하게 된 것은 산업환경의 질적인 구조조정 차원에서 불황의 대응방식중 그 하나로 우선 벤처기업을 꼽을 수가 있다. 불황이 닥치면 많은 기업들이 도산하지만 미국은 이때를 구조조정의 챤스로 이용하여 벤처기업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과감하게 환경을 만들어 주었던 것이다. 미국의 벤처활성화는 87년 블랙먼데이로부터 시작되었으며 불황으로 대기업들이 리스트럭칭에 분주할 때 벤처캐피탈은 새로운 투자대상으로 벤처에게 적극적으로 자금을 제공하여 벤처활성화로 숨통을 터 미국경제의 回生에 큰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우리는 어려운 경제 현실속에 놓여 있다. 이럴 때 우리 벤처중소기업은 기술개발과 경영전반에 걸친 대혁신 등을 통해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뼈를 깎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대적인 사명을 인식하여야 한다. 정부는 전망있는 벤처기업에 대하여 더욱 적극적이고 과감한 지원을 확대 · 실시토록 촉구하는 바이다.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지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하는 고수익과 고위험을 특징으로 하며, 신생기업인 기술집약적인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어려운 경제난국속에서도 경영혁신, 기술개발에 노력하는 벤처기업을 생각하며, 벤처기업의 주변환경의 특성을 살펴 보고, 그에 따른 개선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has reviewed various tax support systems available at present in connection with business ventures exerting their utmost effort to boost management efficiency, achieve management innovation, develop new technologies, and improve competitiveness, notwithstanding the current economic downturn. We strongly argue that the government must provide more proactive, drastic special tax benefits to promising business ventures. In return, business ventures must realize the needs of the times that require them to take excruciating effort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and full-scale innovations underpinning every aspect of management. Can business ventures - which are high-value-added, cutting-edge companies composed of groups of smart people - save the Korean economy in the doldrums? This paper has reviewed a number of support systems available at present in consideration of business ventures exerting their utmost effort to achieve innovations in management and develop new technologies in these tough economic times.

      • 특허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기환,윤병섭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이 연구는 특허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벤처기업과 일반기업으로 분류·비교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국내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미래연구에 대한 하나의 출발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코스닥증권시장 벤처기업과 유가증권시장 일반기업의 특허활동, 즉 특허활동량, 발명기술의 고급정도, 종업원1인당 특허지표 등 3가지 특허활동을 비교분석하고 벤처기업과 일반기업의 특허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는 기술혁신 능력 내지는 기술경쟁력을 측정하는 척도인 특허출원과 특허등록 등을 위한 특허활동이 벤처기업과 일반기업 간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하고 있다.특허는 발명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궁극적으로는 발명을 장려하고 기술을 널리 보급함으로써 산업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기본목표로 한다.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특정기술 분야의 기술변화 속도와 방향을 분석하고 기업 및 국가 차원에서 기술수준을 비교·분석하여 개별기업의 기술전략 및 국가의 과학기술 정책수립에 있어 의사결정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에 대한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첫째, 이 연구는 기술혁신을 촉진시킬 수 있는 최적의 특허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는데 필요한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특허지표를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기업이 우수한 경영성과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이 특허의 전략적 관리와 활용을 통하여 독점적 시장우위의 확립, 성과향상, 통합적인 경쟁력 강화 등을 하도록 유도할 것이다.둘째, 이 연구는 미래의 경영환경이 유형자산보다 무형자산인 지식자산에 있음을 환기시키고 기업의 경쟁력은 질적 가치가 있는 특허를 많이 보유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일깨울 것이다.셋째, 이 연구는 특허권의 강화를 둘러싼 다양한 학제연구에서 경영학과 법학, 경제학과 자연과학 그리고 경제학과 사회학 간 학문적 의사소통 내지는 새로운 학문조류 및 내용을 습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넷째, 이 연구는 국내의 특허관리 환경이 열악한 점을 인식하여 특허관련 지표의 개발과 체계적인 통계자료의 구축이 미래 지식강국으로서의 면모를 일신하고 이러한 계기가 선진 과학기술정책의 입안에 기여할 것이다. 주요 연구내용이 연구의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벤처기업과 일반기업의 특허출원 차이분석 및 특허등록 차이분석 결과 각각 양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일반기업이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된 벤처기업보다 더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더 많은 특허를 등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일반 대기업은 규모가 크고 R&D 관리능력이 뛰어나 특허를 많이 출원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특징이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는 여러 연구가 실증하고 있다. 하지만 벤처기업과 일반기업의 특허출원 차이분석 및 특허등록 차이분석 등은 모두 특허의 양적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특허의 질적 결과를 고려한 분석과 판단이 요구된다. 둘째, 특허의 질적 결과인 특허유지비율을 벤처기업과 일반기업 간 차이분석한 결과 양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벤처기업과 일반기업 모두 특허등록 후 지속적으로 특허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벤처기업과 일반기업 간 특허권자가 특허권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특허료를 납부하지 않아 특허가 소멸되는 유의한 차이는 없어 벤처기업이 일반기업보다 특허의 질적 수준이 높다고 판단할 수 없다.셋째, 특허지표가 성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명기술의 고급정도와 종업원1인당 특허지표는 성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관되게 체계적으로 성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반기업, 발명기술의 고급정도, 기업업력 변수 등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기업성장 기반을 마련한 일반기업이 보유한 특허가 더 높은 성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양적 지표보다 질적 지표인 발명기술의 고급정도가 높은 특허가 시장점유율을 증대시켜 더 높은 성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넷째, 특허지표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명기술의 고급정도와 종업원1인당 특허지표는 수익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관되게 체계적으로 수익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반기업, 발명기술의 고급정도, 종업원1인당 특허지표, 기업규모 변수 등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규모가 작은 벤처기업보다 기업규모가 큰 일반기업이 수익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창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고급특허가 고객가치 창조뿐만 아니라 기업에 고부가가치를 가져와 수익성을 제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종업원1인당 특허출원이나 특허등록을 많이 할수록 종업원이 사내발명 등을 통한 제품혁신을 활발히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결론 또는 정책적 시사점이 연구는 특허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코스닥증권시장 벤처기업과 유가증권시장 일반기업의 특허활동, 즉 특허활동량, 발명기술의 고급정도, 종업원1인당 특허지표 등 3가지 특허활동이 성장성과 수익성 등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명기술의 고급정도가 성장성 및 수익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일반기업의 특허활동이 벤처기업의 특허활동보다 경영성과에 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규모가 큰 대기업이 R&D 투자를 통해 특허등록을 많이 하고 이를 기업가치의 제고 수단으로 활용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수의 벤처기업이 대기업 수준 이상의 고급특허를 많이 등록할 수 있도록 정책적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앞으로 벤처기업은 더 많은 발명으로 기존 특허보다 더 가치를 가지는 대응특허를 출원하여 더 풍부한 혁신결과를 생성하여야 한다. 특허활동을 지원하는 관련기관은 벤처기업이 창조적 유효특허를 활용한 사업경쟁력을 강화하도록 특허관련 지표활용 평가 시스템의 구축, 특허지도 활동의 강화를 통한 유효특허의 확충, 전문인프라 구축으로 라이센싱/소송 효율 제고 등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 KCI등재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유형 현황 및 결정요인 분석

        김민석,안기돈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5

        Daejeon City has strived to support the SMEs to innovate technologies based on the capabiliti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aedeok Innopolis. It is widely known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the key strategy of Small medium enterprises(SME) to survive and succeed in a marke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 and determinants of SM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Daejeon. Even though most of firms are the small enterprises which employ less than 10 workers in Daejeon, the number of technology-oriented company per capita in Daejeon is highest in South Korea. The typ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s divided between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The literature insists that technology-oriented small firm tends to implement product innovation rather than process innovation. SMEs in Daejeon also provided more output from product innovation than process innovation. The empirical analysis provided the results that the determinants of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depends on its type. The scale of firm, R&D investment, and R&D employees positively influence product innovation of SMEs in Daejeon. However, the impact of R&D employees is not significant on innovating the existing product. Process innovation is positively affected by R&D investment and firm age. The study provides the policy implications to business supporting programs of Daejeon government. The business supporting policy of Daejeon government should focus on supporting each typ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by SME and consider strategies that focus on R&D investment and manpower support. 대전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대덕특구의 연구개발역량을 기반으로 기업들의 기술혁신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혁신은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별로 기술혁신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전 기업의 92.8%가 10명 미만의 중소·벤처기업이고, 인구당 벤처기업 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대전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이 매우 중요하다. 기술혁신 유형은 크게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으로 구분되는데, 기존 연구에 의하면 벤처기업은 공정혁신보다는 제품혁신을 더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전 중소·벤처기업 역시 공정혁신보다는 제품혁신을 통한 성과가 훨씬 크게 나타났다.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술혁신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제품혁신의 경우 기업규모, R&D 투자자금과 R&D 인력 등이 기술혁신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R&D 인력은 기존제품의 기술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공정혁신의 기술혁신은 R&D 투자자금과 기업업력에 의해서만 정(+)의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결과는 대전 기업지원정책은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해 기술혁신 유형별 지원에 초점을 맞추며 R&D 투자와 인력 지원에 집중하는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소셜벤처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이은선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법학논고 Vol.- No.75

        Since social ventures in South Korea have developed autonomously without a legal basis or official support system from the government, the legal form of the organization is diverse. Social ventures, which had a high degree of autonomy i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were placed within the legal framework due to the revision of th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venture businesses.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the current legal system will bring result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legislation or whether it will act as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social ventur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gal and certification requirements for venture businesses and social enterprises as similar companies to social ventures, social ventures have entrepreneurial attributes similar to ventures. However, social venture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venture companies in that they are more concerned with realizing social goals and spreading social influence. Social enterprises differ from social ventures in that the organization's primary purpose is to pursue social goals, and the beneficiaries are limited to the underprivileged and residents. When the social economy-related laws, social economy support system, and social venture identification criteria are combined, social ventures can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ocial economy domain. It is reasonable to view them as target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Before the legal basis for social ventures was established, social ventures were a nickname for organizations that simultaneously pursued social and economic values, so their scope was extensive. However, after th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venture businesses was revised, the coverage of social venture was substantially narrowed. As a result, there is a risk that existing non-profit corporate social ventures may have to use a different name. In this regard, to recognize a non-profit social ven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flect this in the criteria for the identification or to create an exception clause in the operating regulations. 우리나라의 소셜벤처는 법적 근거와 정부의 공식적인 지원체계 없이 자생적으로 발전해왔기에 조직의 법적 형태가 다양하다. 조직 형태와 조직의 운영 등에서 자율성이 높았던 소셜벤처가 벤처기업법의 개정으로 법적 테두리 안에 놓여지게 된바, 본고는 현행 법제가 향후 입법 취지에 부합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 아니면 오히려 소셜벤처의 발전 및 활성화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소셜벤처의 유사기업으로 벤처기업과 사회적기업에 관한 법제 및 확인・인증 요건을 검토한 결과 소셜벤처는 벤처기업과 유사한 기업가적 속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고 사회적 영향력을 확산시키는데 더 주안점을 둔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하며, 사회적기업은 조직의 주된 목적이 사회적 목적이면서 그 수혜대상을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에 한정한다는 점에서 수혜대상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 소셜벤처와 차이점이 있다. 사회적경제 관련 법제와 사회적경제 지원제도 및 소셜벤처 판별기준을 종합하였을 때 소셜벤처는 사회적경제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사회적경제기업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고 할 것이다. 벤처기업법의 개정으로 소셜벤처는 법적 지위를 획득하였으나, 법적 근거가 마련되기 이전까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조직을 지칭하는 별칭(別稱)에 해당하여 그 범위가 매우 넓었는데, 벤처기업법에 법적 근거를 마련한 이후 실질적으로 그 범위가 좁아지게 되었다.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 이후 기존에 사회적기업을 자청(自請)하던 조직들이 소셜벤처라는 다른 명칭을 사용하여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듯이, 소셜벤처의 법적 근거 마련 이후 기존의 비영리법인격의 소셜벤처들이 다른 명칭을 사용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영리 소셜벤처를 인정하기 위하여는 판별기준에 이를 반영하거나 운영규정에 예외 조항을 신설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가젤형 벤처기업과 일반 벤처기업 간역량 비교 연구

        이미순 ( Meesoon Lee ),서승원 ( Seungwon Seo ),주섭종 ( Subjong Joo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中小企業硏究 Vol.37 No.3

        성장성이 높은 가젤형 기업은 벤처기업 성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실증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High Risk, High Return 특성의 고성장기업군인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가젤형 벤처기업의 성공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2010년 벤처 기업정밀실태조사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가젤형 벤처기업은 고성장기업과 강소기업의 특성이 그대로 투영된 특징을 보였다. 즉, 인적자원, 기술혁신, 시장지향성, 시장개척 등 고성장기업 및 강소기업이 갖는 공통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가젤형 벤처기업의 중복연구를 피할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젤형 벤처기업의 핵심역량은 기술혁신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 역량인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가젤형 벤처기업은 기술자원이 더 많다기보다는 기술 역량이 더 큰 것으로 보이며, 시장지향성, 브랜드력, 시장개척력 등으로 대변되는 마케팅 역량이 가젤형 벤처기업이 일반 벤처기업보다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젤형 벤처기업은 경쟁사보다 먼저 시장이나 고객에 반응하여 제품·서비스를 고객중심으로 통합하여 신시장 개척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분석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으나, 구성개념은 대표변수를 고려하여 분석하였을 뿐 척도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 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함은 물론, 기술혁신 기반마케팅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벤처기업 지원정책에 관한 더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보인다. While Gazelle compani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little empirical tests have been made to characterize the core competencies of those companies.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key factors of Gazelle venture companies’ success from detailed survey data of venture companies in 2010. It shows that Gazelle venture companie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with other fast-growing companies and are small-hidden champions in the areas of human resources, technology innovation, market orientation and new market exploitation, which gives a guideline for future study. It also shows that the key element of competencies of Gazelle venture companies is the marketing capability based on technology innovation. Coupled with higher market orientation and strong brand power, they have recorded stronger performances than those of ordinary venture companies. They have more advantage in the area of technology competency, rather than the technology resource itself. This paper contributes to generalize the empirical results with more broad data of venture companies. However, the construct idea was analyzed by considering just the representation variable and there is some area of improvement in scaling the individual indicators. Also, a more in-depth study is needed to develop the venture policy measures to upgrade the technology innovation-based marketing capability of venture companies.

      • 벤처기업 평가 틀의 분석 및 벤처기업 평가 개선방안

        조형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본 연구는 기존의 벤처기업 확인제도를 대상으로 하여 그에 필연적으로 포괄되는 벤처 심사 평가의 틀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그를 통해 향후 벤처평가의 정확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내용이를 위하여 벤처 확인제도와 관련 문헌, 자료들을 고찰함과 동시에 벤처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연구한 이론적 내용들도 폭넓게 고찰하였다. 그 이후 각 벤처 심사 평가 항목들을 따라 각 평가 항목과 관련된 이론적 고찰 내용들을 다시 정리하여 연계시킴으로써 기존의 벤처 평가 틀의 이론적 배경을 수립해 보았다.그 다음으로 각 벤처평가 항목들이 심사 이후 벤처기업들의 성과와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 모형을 수립하고 그에 따르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는 실증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벤처평가를 수행했던 기관의 협조를 얻어 총 179개사의 관련 자료를 확보하였다. 벤처 평가와 관련된 자료들은 해당기업의 자료들로부터 획득되었으며, 사후의 기업성과 관련 자료는 해당 기업들과 그 기업의 대표를 직접 접촉함으로써 확보하였고 최종적으로 기업성과가 확인된 기업들은 134개였고 이 기업들을 표본으로 하여 본 분석을 시행하였다.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벤처 평가의 세 영역인 사업추진능력, 기술성, 시장성의 각 영역별로 분석을 하였으며, 판별분석이 활용되었다.분석 결과 사업 추진 능력 영역 중 대표자의 자질, 경영 및 관리능력, 기술 성 영역 중 기술의 권리 형태, 기술의 완성도 및 활용도, 시장성 영역 중 시장의 전망, 제품의 경쟁력, 판매 계획 및 전략의 적절성 등이 성과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들로 확인되었다. 결론 및 정책제언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중요한 시사점들이 논의되었고 향후 벤처기업의 심사와 평가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안하였다.실증분석의 결과 약간의 조사상의 취약점은 있었으나 향후 벤처 심사 평가에서 고려할 만한 중요한 시사점들이 도출되었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부분이 관련연구에 기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벤처기업의 국제화 동인에 관한 탐색적 사례 연구

        권기환 한국무역학회 2006 한국무역학회 국제학술대회 Vol.2006 No.12

        벤처기업의 국제화는 최근 들어 국제경영 분야의 연구자뿐만 아니라 기업 경영자들 사이에서도 주요한 이슈 가운데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3 플레이어로 대변되는 디지털 미디어 산업 분야에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브랜드, 기업 인지도, 그리고 재무적 성과를 보유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기반 벤처기업인 (주)코원시스템 사례를 통해 기술 기반 벤처의 국제화를 이끄는 실질적인 동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결론 부분에서는 향후 연구와 경영 실무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cDougall, Oviatt, 그리고 Shrader (2003)의 논문에서는 확대일로를 걷고 있는 국제기업가정신 분야의 여러 연구 주제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로 국제신규벤처(International New Ventures; INVs)를 강조한 바 있다. 일반적인 국내 기업이 진화적인 경로를 거쳐 빠르지 않은 속도로 다국적 경영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는 것과는 달리, 역동적인 신규 기업들 가운데 일부는 설립과 함께 혹은 설립 직후부터 범세계적인 경영 활동을 수행하기도 한다. 1990년대부터 이러한 유형의 기업들이 두드러지게 등장한 것은 기업의 국제화 과정에 관한 이론이 처음 등장했던 1970년대와는 다른 양상으로 기업의 국제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례이다 (Autio, Sapienza, & Almeida, 2000; Knight & Cavusgil, 2004; McDougall & Oviatt, 2000; Zahra, Ireland, & Hitt, 2000). Ecofluid, Logitech, 그리고 OASiS 등의 중소규모 벤처기업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국제화 추세 (Oviatt & McDougall, 1995)와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IT, 게임 등 여러 분야에서 벤처 혹은 중소기업의 국제화가 주목을 끌고 있기도 하다(양유석과 이정화, 2004; 이동기와 안도 나오키, 2003; 이장우, 최명신, 그리고 사무엘 츄, 2002; 이정호와 배일현, 2003). 국내 벤처기업의 국제화를 다룬 기존 연구들에서는 제조벤처기업의 국제화 행태와 성과 (정진우, 2002), 기술집약적 벤처기업의 국제화 과정과 전략 (배준우와 배종태, 2003), 창업팀 특성과 해외진출 시기가 국제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상문, 2005), 국제화를 추구하는 벤처기업의 전반적인 특성 (최순권과 김정포, 2005) 등을 다루어 왔으며, 불특정 다수 기업에 대한 표본조사를 통한 통계적 검증 기법을 주로 활용해왔다. 하지만, 국내 벤처기업의 국제화를 다룬 기존 연구들에서는 해당 벤처기업의 국제화를 견인한 구체적인 동인들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논리적 연결 고리를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기술 기반 벤처기업인 (주)코원시스템 사례를 통해 기술 기반 벤처의 국제화를 이끄는 실질적인 동인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