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적 다양성의 합헌성

        김영환(Kim, Younghwan)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世界憲法硏究 Vol.16 No.3

        오늘날 점증하는 경제적 국제화와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기업은 문화적 다양성을 포용하여야 하고 보다 더 다양해진 환경에 합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든다. 문화적 다양성은 변화, 혁신과 창조의 원천이며, 다양성을 포용하는 것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전략적인 힘의 원천이다. 문화적 다양성의 이익은 신체적 특징이나 조상과 유전적 연결에서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독특한 문화적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통찰력에서 나타난다. 문화적 다양성을 합리적으로 포용하는 것은 부당하고 사악한 차별과 구별된다. 그러므로 문화적 재능에 근거를 둔 차별은 단순히 피부색을 이유로 한 차별보다 덜 엄격하게 심사되어야 한다. 그리고 어떠한 문화적 차별도 차별을 영속화하기 위하여 악의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심사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문화적 다양성을 평가하고 문화의식적인 결정을 하는 것은 평등보호조항을 위반한 것은 아니다. Today, increasing economic globalization and demographic changes is causing business to embrace cultural diversity and to find ways to rationally respond to more diverse environment. Cultural diversity is a source of exchange, innovation and creativity, embracing diversity is a source of strateeac strength thaitcan enhance cf exchangeness. The benefhas of cultural diversity do not stem frf morphology or genetic bonds to ancestry but from insights that inhere to a unique cultural experience. Rational embracing of cultural diversity distinguishes from invidious and pernicious discrimination. Thus discrimination based upon cultural abilities must be reviewed less strictly than discrimination based upon mere race. And any culture-based discrimination be carefully scrutinized to assure that it is not used invidiously to perpetuate discrimination. To conclude, it doesn't violate the Equal Protection Clause to truly value cultural diversity and makes culture-conscious decision.

      • KCI등재

        현대패션에 나타난 문화적 전유와 문화다양성 가치추구

        김지은 ( Ji-eun Kim ),박주희 ( Ju-hee Par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2

        연구배경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소비자들의 의식 변화는 패션의 문화적 전유 문제를 공론화시켰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의 영감의 다양성이 현대 사회가 추구하는 포용성과 다양성에 위배되는 현실에 주목하였으며, 이러한 다양성의 논란이 된 문화적 전유의 사례를 찾아 분석하고 패션업계의 문화다양성 실천을 찾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로서 문화와 문화다양성의 이론적 고찰과 18세기 시누아즈리에서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타문화의 영향에 이르는 사적고찰을 하였으며, 사례연구로는 문화적 전유와 문화다양성을 주제로 한 기사를 수집, 분석 및 분류하여 현대패션에 나타난 문화적 전유와 패션산업의 문화다양성 실천의 사례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패션산업의 문화적 전유의 문제는 인종, 전통, 종교, 역사로 분류되었으며, 사례분석의 결과 인종주의를 기반으로 한 몰이해와 왜곡, 민족고유의 장인정신과 역사적 가치의 도용, 종교적 신성함 왜곡과 몰이해, 서양우월의식과 식민주의 사상 기반의 왜곡과 비하문제가 논의되었다. 패션산업의 다양성 추구로는 다양한 인종 포용, 민족과 지역성 존중, 디자이너 정체성 인정 등의 실천이 논의되었으며, 다양성 전문위원회와 같은 특별기구나 부서 설치가 파악되었다. 논의의 결과로서 본 연구는 패션산업이 야기한 문화적 전유 문제와 문화다양성 가치 추구 사이의 관계성을 밝혔다. 결론 본 연구는 오늘날 패션산업에 나타난 인종, 전통, 종교, 역사의 문화적 전유와 이에 대한 기업의 문제의식과 해결책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패션기업의 문화다양성 가치 추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인식과 함께 지속적으로 실천되어야 할 과제이다. Background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consumers' consciousness made the issue of cultural appropriation of fashion public. This study focused on the reality that the diversity of inspiration of contemporary fashion violates the inclusiveness and diversity pursued by the modern society, and it seeks and analyzes the controversial cultural appropriation cases of such diversity, and discusses the practice of cultural diversity in the fashion industry. I have a purpose. Methods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First of all, as a literature study, a theoretical re view of culture and cultural diversity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ranging from chinoiserie in the 18th century to the influence of other cultures in fashion in the 20th century were conducted. As a case study, we collected, analyzed and classified articles on the subject of cultural appropriation and cultural diversity, and discussed cultural appropriation in modern fashion and examples of cultural diversity practice in the fashion industry. Results The cultural appropriation problem of the fashion industry was classified into race, tradition, religion, and history.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distortion caused by racism, theft of ethnic craftsmanship and historical values, distortion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religious divinity, Western superiority and The issues of distortion and conduct based on colonialism were discussed. In order to pursue diversity in the fashion industry, practices such as embracing diverse races, respecting ethnicity and locality, and acknowledging designer identities were discussed, and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organizations or departments such as the Diversity Professional Committee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transfer problem caused by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pursuit of cultural diversity values.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ultural appropriation of race, tradition, religion, and history in today's fashion industry, as well as corporate consciousness and solutions to these issues. The pursuit of cultural diversity values of fashion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s a task that must be practiced continuously along with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를 위한 교사 연수 모듈 개발

        전희옥(Jun Heeok),류미해(Ryu Mih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의 문화적 다양성을 적절히 고려하여 학교 교과 수업을 설계•실행할 수 있는 교사 연수 모듈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실에서 교사가 모든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최대로 살릴 수 있는 수업 실천 역량을 증진하도록 돕는 데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의 내용으로 먼저 교사 연수 모듈 개발을 위한 논의로서,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의 필요성,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의 의미,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를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 등이 제시하였다. 둘째로, ‘자기 성찰의 관점에서’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하며 수업 설계에서 중요한 고 려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 자신, 학습자, 교육과정•교과서, 교육 환경 등을 중심으로 교사 연수를 위한 모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교실에서 교사가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수업’을 설계• 실행하기 위한 방향으로 수업 설계 요인별 특징을 파악하기, 기본 원리 정하기, 교수 전략 유형 탐색하기, 효과적인 교실 경영 방법 찾기 등이 제시되었다. Making teacher training modules for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in culturally diverse classrooms foster skill of lesson plan and maximize learning potential of all learners. In order to achieve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implications of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 and needs of teacher training for them were proposed. Secondly, teachers, learners,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as elements of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 were reviewed. Thirdly, teacher training modules for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 were made in the viewpoint of self reflection, reflec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Fourthly, direction of lesson planning with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classrooms was presented.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ning can mean reflection for learners as existence of cultural life, all learners, minority learners, and learner’s learning styles. How to train for teachers to make lesson planning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diversity? To respond this question, basically, it’s important to pu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to curriculum of teachers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문화적 다양성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임진영(Jin young Lim),권혁일(Hyeok il Kwon),류미해(Mi hae Ryu),김병수(Byoung Su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는 문화적 다양성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것으로 초 등 교사들의 문화적 다양성 개념에 대한 인식, 관련 수업 설계 및 실행, 학생의 문화 이해 방법, 문화적 다양성 교육 지향점 등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다수의 응답자(97.4%)들은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수업이 필요하다 는데 동의하나 문화적 다양성을 수업에 반영한 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상당수 교사 들이 60% 미만 정도라 응답하였다. 또한 현 교육과정에 대해서도 부정적 인식이 높 았으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로 학습자의 다양성과 교육과정 적용 여부라고 답하였다.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수업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초등 교사들의 연수 프로그램과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결과를 얻었다. 이미 교육계의 다문화 현상 은 간과할 수 없는 교육현실이며, 수업이 교사의 교육 실현의 장임을 고려할 때 문 화적 다양성과 이를 고려한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이해는 앞으로 교육현 장의 질적 개선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bout primary school teacher s perception on a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divided into categories; teacher’s perception on cultural diversity, class planning and practicing, a way of approach to understnding student’s cultural background, ideal goal for cultural education, etc. 299 numbers of teachers participated and answer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 result showed that majority of respondents (97.4%) acknowledged a necessity of a class, considering a cultural diversity. However, result showed negative recognition on a current curriculum were high, along with a degree of a reflecting cultural diversity in a school classroom; many teachers (35.1%) responded that <60% of classes considered a cultural diversity. As important considering factors for a cultural diversity class, most teachers indicated a diversity among students (52.9%) and an application to curriculum (24.4%). As for encouraging a class, considering a cultural diversity, respondents recognized a need for a training program and a material development. Multi-cultural phenomena gets stronger and wider in its significance in our society, and which a class, considering a cultural diversity, is ultimately managed by teachers, their understanding on a cultural diversity and a class with it, should be acknowledged significantly.

      • KCI등재

        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인태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Ulsan, Changwon, Masan cities attitudes of ethno-racial distances and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is to explain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eatures(gender, a school year, speciality), the social status of their father, their values(conservative or progressive values), their value inclination(universal value, power value, individual value), their contact experiences of foreign culture and the attitude of ethno-racial distances and cultural diversit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servative or progressive values, universal value, a school year factors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of ethno-racial distances. Senior, students who have progressive values, students who have universal value have lower ethno-racial distance. Second, conservative or progressive values, universal value, power value, a school year factors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of cultural diversity. Senior, students who have progressive values, students who have universal value are affirmative toward cultural diversity. The other side, students who have power value are negative toward 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e result we find implications that we need the contents and policies of systematic education for multi-cultural values. 본 연구는 부산・경남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른 인종에 대한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인종거리감은 조선족, 중국인, 일본인, 동남아시아인, 새터민, 미국인들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문화적 다양성 태도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지지도와 국가별, 문화영역별의 관심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전공), 대학생들의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지위(교육, 직업, 가구 총소득), 대학생들의 보수 및 진보적 가치관과 가치지향, 대학생들의 외국문화접촉경험 등의 분포를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인종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떠한 요인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종 거리감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던 요인은 보수 및 진보적 가치관, 보편주의적 가치 지향, 학년의 순위로 나타났다. 즉 진보적 가치관을 가질수록, 보편주의적 가치를 지향할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인종 거리감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던 요인이 보수 및 진보적 가치관, 보편주의 가치와 권력 가치, 학년, 외국인 접촉과 국외 외국인 친구 유무의 순위로 나타났다. 즉 진보적인 가치를 가졌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보편주의 가치를 지향할수록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가졌으며 권력가치를 지향하는 사람일수록 폐쇄적인 태도를 가졌다. 또한 외국인 접촉 경험과 국외에 외국인 친구를 가진 사람일수록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가졌다. 인종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에 가장 일관되고 주요하게 영향을 미쳤던 요인들은 응답자의 보수 및 진보적 가치관과 보편주의 가치지향, 그리고 학년이었다. 인종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 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교육을 통한 가치관 형성 및 변화라고 단언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계속 증대되는 이주자의 증가, 외국인과의 공존 혹은 갈등, 다인종․다문화사회로의 급격한 이행 가능성이 높아진 한국사회에서 대학생들이 보다 개방적이고 원만하고 능동적인 태세를 가지기 위해서는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다문화적 가치관에 대한 교육내용의 체계화와 교육정책이 절실하게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럽에서 문화적 다양성의 수용

        김영환 유럽헌법학회 2010 유럽헌법연구 Vol.8 No.-

        이 논문은 유럽에서 문화적 다양성의 수용과정에 관한 문제를 논하고 있다. 다양성의 논의에서는 다양성의 수용과 동질성이라는 상충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혼란스럽고, 또한 다양성에 대하여 적대적인 사조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유럽에서는 다양성의 가치 를 점차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특히 소수자의 권리와 토착민의 권리를 인정하기에 이르렸다. 다양성을 수용하고 다양성이 보호받고 조장될 가치있는 것이라는 인식을 위한 싸움에서, 정보화세계정상회의와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약」의 성립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과 유럽의 대립에서 알 수 있듯이 아직 완전한 승리를 거둔 것은 아니다. 우리는 문명과 문화의 충돌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아니되며, 여러 다른 문화 사이에서 대화와 교류가 조장되어야 한다. 평화와 조화는 인간성을 공유하면서 다른 사람과 다른 것, 차이점과 다양성의 존경이라는 기반 위에서 만들어져야 한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issue of acceptance of cultural diversity essenti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Europe law. After a brief introduction on the conflicting goals of acceptance of diversity and homogeneity, this essay gives a overview of the forces hostile to diversity and shows that Europe law has gradually recognized diversity as a value, mainly through minority rights and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The struggle for the acceptance of diversity and its recognition as a value to be protected and promoted never being won in theaters where the battle for and against diversity is fought, as we all know in World Summit on the Information Society (WSIS) and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s (UNESCO) work on th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We should not passively accept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cultures, but dialogue and exchange between cultures must be promoted. Peace and harmony must be built on respect for the other and for otherness, difference and diversity, on the basis of a shared ethic of humanity.

      • KCI등재후보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의 문화적 가치에 관한 연구: 디지털 미디어 산업 구조에 따른 EU의 정책방향을 중심으로

        박태순 ( Tae Soun Park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3

        이 논문은 유럽의 사례를 통해서 융합시대에서 방송의 문화적 가치에 관하여 재 조명해보고자 하는 동기에서 출발하였다. 이 논문은 TV방송을 시장에서의 경제적 가치로 환원하는 자유주의적 경향을 벗어나서 TV방송이 본질적으로 내재하고 있는 문화적 가치 체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유럽연합의 정책을 분석하면서 시장이 아닌 문화적 장에서의 방송의 문화적 가치가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실천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문화적 가치는 사회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보존하며, 표현의 자유, 미성년 보호, 인간 존엄성과 같은 보편적 이익을 보호하는데 있다. 또한, 공동체의 문화적 자원으로써 한 사회나 공동체의 문화적 활동을 위한 물질적 기반을 형성한다는 점에 있다. 방송통신 융합이 가속화되고 자유시장 논리가 방송 영역을 규정하려는 상황에서 이와 같은 문화적 가치를 확대하는 실천적 요소로 우리는 다음의 세가지, 미디어 활동의 다원성,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유산의 현대화를 제시하였다. 미디어 활동의 다원성은 시민들에게 문화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접근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생각과 의견이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은 방송을 단순한 경제적 성장의 개념에서 벗어나 지적, 감성적, 도덕적 그리고 정신적인 다양한 활동으로 이해하고, 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위한 한 토대를 형성한다. 또한 문화유산의 현대화는 고유한 창작물들을 보호하고 영상기록물들을 디지털화하며 온라인 서비스 체제를 갖추는 등, 전통적인 방송 콘텐츠를 현대적으로 재 가치화하는 활동이다. 결국, 이 세 요소는 문화의 경제적 환원주의와 소비자 복지 차원에서 방송을 규정하는 경향을 벗어나서 문화적 장에서 바라보는 방송 자체의 문화적 가치를 복원하고 확대하며 시민 복지 차원에서 추진 할 정책적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ultural identity of audiovisual contents and It`s value in convergence betwee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through the european context. The media industry is magnified with development of digital technique. In mainstream of the logic of industry and free market which provides the entity of the audiovisual contents world-wide, the european policy make an effort to identify the audiovisual contents in cultural field. In european idea, the national policy for the audiovisual contents can not be executed only according to the logic industry and economy, but has to make also an orientation to protection of universal profit from these logics which consider only the economic exchange value. Since letter half of 80`s,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extended european audiovisual market. Many of global enterprises entered newly to the audiovisual industry and the american audiovisual contents were distributed immensely in european market. Against these trends the European Union intended to protect european market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audiovisual contents through the principle of ``cultural exemption``. The European Union established regulation policy as ``Television without Frontiers`` Directive and supporting policy as Media Programmes, who accomplish actually the cultural exemption. The two policy make the cultural value of audiovisual contents practicing three directions, media pluralism,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 and modernization of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패션브랜드 겐조와 문화적 다양성

        변나리,주보림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4

        The issue of diversity today is expressed in the convergence of various cultures in fashion. The fashion industry now finds new directors of brands with an old and firm image, taking into account race and gender. The fashion brand, Kenzo expresses the cultural diversity through various references and street culture based on casting of colorful race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sign background of Kenzo and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that are shown in the Kenzo brand design after scouting the creative directors Humberto Leon and Carol Lim in 2011, and to analyze the cultural diversity that is shown in the Kenzo Collection. In this study,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Kenzo Collection from the 2012 S/S to the latest collection of 2019 F/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s and design that become the inspiration for the collection on each season are analyzed, and the cultural diversity shown in the Kenzo Collection based on the results are provid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sign background of Kenzo was based on the Asian motive, liberalism and exotic experience, and the world of Kenzo design was shown through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of the two designers and the ideas and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Kenzo from their senses of street mood. Kenzo Collection showed cultural diversity based on region and race and cultural combination based on belief and values. 다양성의 포괄이라는 요즘의 이슈는 패션에서 다양한 문화의 융합으로 표현된다. 현재 패션업계는 오래되고 고착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의 새로운 디렉터를 인종과 성별을 고려하며 찾아낸다. 패션 브랜드 겐조(Kenzo)는 다채로운 인종의 캐스팅, 다문화적 감수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래퍼런스 영역, 스트리트 문화와 접목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표현한다. 본 연구는 겐조의 디자인 배경과 2011년 겐조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움베르토 레온(Humberto Leon) & 캐롤 림(Carol Lim)을 영입한 뒤 나타난 겐조 브랜드의 디자인에 나타난 차별화된 특성을 짚어보고, 겐조 컬렉션에서 나타난 문화적 다양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2 S/S 부터 최근 컬렉션인 2019 F/W까지의 겐조 컬렉션을 분석한다. 매 시즌 컬렉션의 영감이 되는 주제와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겐조 컬렉션에서 나타난 문화적 다양성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겐조의 디자인 배경은 아시안 모티브, 자유주의, 이국적 체험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듀오 디자이너의 다문화적 배경과 그들의 감성인 스트리트 무드로 본래의 겐조를 재해석한 아이디어와 감각으로 겐조의 디자인 세계를 보여주었다. 겐조 컬렉션에서는 지역적 기반의 문화적 다양성, 인종적 기반의 문화적 다양성, 신념 및 가치관 기반의 문화적 다양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융합미디어 환경에 따른 문화다양성 범주 설정 및 분석 프레임 연구

        안호림(Ho-Rim Ahn),박태순(Tae-Soun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3 No.3

        이 연구는 디지털 융합 미디어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문화 환경을 조명함으로써 문화다양성을 개념을 재정립하고 분석프레임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미디어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이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문화다양성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에서는 미디어다양성에 대한 분석이 경제적 계량과 콘텐츠의 수량 측정을 크게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콘텐츠의 실질적인 내용인 문화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분석을 위해서 디지털 융합 미디어 이용문화를 메타문화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 메타문화에 기반하여 나타나는 문화다양성을 미디어 활동의 다원성,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문화 확산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적 인지의 다양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네 가지 범주가 각각 포함하고 있는 측정변인들은 디지털 융합 미디어 환경에서 문화다양성의 양태들을 밝혀낼 수 있는 요인들이다. 이 요인들에 대한 분석은 문화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들이다. 문화다양성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메타문화 환경에서 문화공유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This work is for redefining of cultural diversity and suggesting measurement frame by casting light on changing cultural environment according to evolution of digital convergence media. So far, most of studies tend to confuse at using media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and resultingly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is not founded right yet. In communications field, there is a limit to measure cultural diversity which is substantive content because analysis of media diversity is mainly focused on financial measuring and quantitation. Therefore we define digital convergence media culture as metaculture here for analysis of cultural diversity. Additionally, we catagorize and analysis 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is metaculture into pluralism of media activity,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 diversity of cultural diffusion and diversity of cultural cognition. These measuration variables of the four categories are factors which can lighten aspects of cultural diversity in digital convergence media environment. Analysis of these factors of the four catagories will suggest a criterion to establish policies to protect cultural diversity. The policy of cultural diversity is to construct a cultural commune in envirnment of meta culture.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박물관 전시-문화적 다양성과 보편성 사이에서-

        정수진 비교민속학회 2018 비교민속학 Vol.0 No.67

        As UNESCO adopted the ‘Declaration of World Cultural Diversity’ and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Cultural Diversity’ has become a globally recognized international norm. In response to these international norms, ICOM has also declared that the museum will become a key institution to integrat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o record, preserve and revitalize them. It is noteworthy, however, that the museum has set itself its role as a key institution that responds to today's international norms of cultural diversity. It is because the museum took the initiative in representing the world and culture hitherto,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mankind and culture, which is the epistemological premise of modern knowledge. There is a lot of question about whether universality can coexist with cultural diversity harmoniously without any contradiction because it is a epistemology that is opposite to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we have doubts as to whether the UNESCO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n effective measure to implement the international norm of cultural diversity. In this article, what is it and how is it possible for museums to exhibi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 examined it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And I examined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order to rebuild the museum as a key institution for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I discussed how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that exercises authority to represent world cultures in a different vector from museum,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National Folk Museum’s “Visua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근년 유네스코가 ‘세계 문화다양성 선언’과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약’을 채택함에 따라, 이제 ‘문화다양성’은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 규범이 되었다. 국제박물관협회 역시 이 새로운 규범에 보조를 맞춰, 박물관이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통합적으로 대상화하고 그것들을 기록, 보존, 활성화하는 핵심 기관이 될 것임을 천명했다. 그런데 박물관이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오늘의 국제 규범에 부응하는 핵심 기관으로 자신의 역할을 새로이 설정했다는 것은 특별히 주의를 요한다. 이제껏 박물관이 세계와 문화를 재현하는 데 주도권을 행사해 온 것은 근대 지식의 인식론적 전제인 인류와 문화의 보편성을 토대로 비로소 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보편성’이란 문화적 다양성과는 대척점에 있는 인식론인 까닭에, 이 두 가지가 아무런 모순 없이 과연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지 많은 의문이 남는다. 게다가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이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국제 규범을 과연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조치인지, 이 역시 재고의 여지가 적지 않겠다. 이에 본고에서는 박물관이 무형문화유산을 전시한다는 것이 대체 무엇인지, 또 그것이 어찌 가능한지를 원론적인 차원에서 물었다. 그리고 문화의 보편성이라는 인식론을 토대로 성립한 박물관이 문화적 다양성을 구현하는 핵심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논점들이 무엇인지를 고찰했다. 아울러 박물관과는 다른 벡터에서 인류 문화에 대한 재현의 권위를 행사하는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구체적으로 그 등재 시스템이 문화적 다양성을 구현하는 데 과연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 국립민속박물관의 <아리랑 특별전>을 소재로 이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