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성취정서가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이진령(Lee, Jinyoung),강승희(Kang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취정서, 메타인지, 학습참여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으로 특히 성취정서와 학습참여의 관계에서 메타인지가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남․여 학생 344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차이검증을 한 후 최종모형을 선정하였다. 최종모형에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으며, 95% BC신뢰구간으로 분석하였다. 성취정서, 메타인지, 학습참여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성취정서는 긍정정서, 부정정서에 따라 메타인지와 학습참여에 정적, 부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학습자의 메타인지는 학습자의 학습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취정서와 학습참여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긍정정서는 학습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메타인지를 매개로 학습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대로 부정정서는 학습참여에 부적인 영향을 주며, 메타인지를 매개로 학습참여에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참여는 학습자의 성취정서와 메타인지에 영향을 받으며, 성취정서와 학습참여의 관계에서 메타인지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학습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성취정서와 메타인지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understan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emotion, learning engagement, meta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achievement emotion influences learning engagement through metacogn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4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et up and the final model was select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The mediator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positive emo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metacognition and learning engagement. Conversely, negative emotions negatively affected metacognition and learning engagement. Finally, metacogni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engagement. Second, positive emotions have a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through metacognition. Negative emotions have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negatively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through metacognition. This study shows that learning engagement is influenced by learner s achievement emotion and metacognition. Meta cognition wa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emotion and learning engagem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learner s learning engage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chievement emotion and metacognition.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임은정(Eun-Jung Lim),이근영(Geunyeong Lee),강스텔라(Stella Kang ),김지연(Jiyeon Kim),박정우(Jeongwoo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제주 창세 신화 ‘천지왕본풀이’를 학습주제로 하는 국어, 영어, 과학, 음악 교과 간 융합학습 방안을 탐구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에듀테크로서 메타버스의 특징과 기능을 조사하고, 메타버스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역 기반 융합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 결과를 토대로 4개 교과의 융합수업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성 및 실행하여 실용성 있는 지역 중심의 교과융합 학습방안을 모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융합학습은 교육현장 적용의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천지왕본풀이’ 설화와 같이 주제 중심의 융합학습에 적절한 학습 도구로 활용 가능하였다. 메타버스 학습 방안의 구성은 온라인으로 구현 가능한 학습주제와 학습목표를 선정하고, 학습 활동의 주요 주제와 활동 조직을 구상하여 준비 활동, 설화 이해하기, 설화 탐구하기, 설화 바꿔보기, 설화 표현하기, 마무리 활동으로 구분하여 각 활동의 내용과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온라인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주제 중심의 교과 융합 수업은 교실 수업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과정 결정이 가능하며, 연계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양한 주제 관련 탐구 활동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천지왕본풀이’의 융합 교육을 통해 설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 발전시킴으로써 메타버스를 활용한 융합학습의 독자적인 지역사회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는 데 있어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t learning method using a Metaverse platform that integrates four subjects, such as Korean, English, Science and Music, based on the choice of common learning topics of a myth of Jeju creation, Cheonjiwangbonpuri.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Metaverse as edu-tech through bibliographic research and carried out the case study about community-based convergence learning that could use the functions of Metaverse effectively. Based on the bibliographic research results, the study found out useful ways of community-based convergence learning, by building a platform suitable for convergence learning of four subjects, and implementing it. Results In this paper, the learner-centered convergent learning plan through Metaverse was designed and made it applicable to the classrooms appropriately. In order to study the myth Cheonjiwangbonpuri, learning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were selected, and the major topics of learning activities and class organization were designed and they were presented in a sequence of six steps, such as warm-up, understanding, deepening, transforming, expressing, and closing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theme-based convergence learning using an online Metaverse platform makes students determine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es beyond the limited time and space of classroom practices, and it helps them do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a variety of themes connected with several programs. Thu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moves towards the autonomous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local curriculum, by understanding and deepening the contents of Cheonjiwangbonpuri under the integration of four subjects.

      • KCI등재

        중,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정영란,김시온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여 학습자 특성 별 차이를 분석하고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4학급의 115명과 고등학교 1학년 4학급의 123명으로 총 238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중,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수준은 비교적 높았으나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은 성별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중학생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해 더 긍정적이었다. 학교급별 차이를 살펴보면,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수준은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고등학생의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중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중,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은 상관을(r=.691) 보였으며, 그다음이 메타인지와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r=.479), 자기효능감과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r=.344)이었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들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의 특성과 이들간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useful data for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in scienc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38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sisting of 115 middle school students and 123 high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were relatively high, but their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were relatively low. Students'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but in the middle school, the mal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female students. With respect to age, the high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were high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students, but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was low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students.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tudents'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The highest level of correlation was between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and the lowest level of correlation was betwee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플립러닝으로 학습한 언어치료학과 학생의 메타인지, 학습몰입이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김문정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4

        Purpose : The current study looks at the general features,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speech therapy department students learning with flipped learning technique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learning flow and metacognition on the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e impact of learning flow and metacognition on the detailed aspects of problem solving skills (problem confidence, problem control, problem approach)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these process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in developing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Thirty students studying speech therapy in a four-year university were examined from March 2018 to June of the same year. The subjects learned with flipped learning techniques and they were tested for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Results :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therapy department students, gra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through learning flow (F=94.861, p<.001), metacognition (F=11.169, p<.001), and problem solving skills (F=11.644, p<.001). The learning flow (β=.118, p<.05) and metacognition (β=.139, p<.05) of flipped learners heavily influenced problem solving abilities. Problem confidence, a detailed element of problem solving skills of flip learners, heavily influenced learning flow (β=.133, p<.05) and metacognition (β=.157, p<.05), while problem control mainly impacted learning flow (β=.117, p<.001) and metacognition (β=.138, p<.05) and problem approach greatly influenced learning flow (β=134, p<.05) and metacognition (β=158, p<.05). Conclusions : Flipped learning techniques applied to speech therapy instruction are an important supplementary method that can enhance learning flow,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Future research should identify students' learning types and information usage. Future studies will need to look at various learning types and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nd seek learning methods that can maximize educational effects. 목적: 본 연구는 플립러닝으로 학습한 언어치료학과 학생의 일반적은 특성과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습몰입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알아보았다. 또한 학습몰입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력의 세부요인(문제자신감, 문제통제, 문제접근)에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육에 맞는 교육방법과 전략을 개발하는데 있어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대상자는 4년제 언어치료학과에 재학 중인30명의 학생이었고,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6월 까지 실시되었다. 플립러닝으로 학습한 대상자들에게메타인지검사지, 학습몰입검사지, 문제해결력 검사지로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을 파악하였다. 결과 : 언어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학점에서 학습몰입(F=94.861, p<.001), 메타인지(F=11.169, p<.001), 문제해결력(F=11.64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플립러닝학습자의 학습몰입(β=.118, p<.05)과 메타인지(β=.139, p<.05)에서 문제해결력에 큰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의 세부요인인 문제자신감에서 학습몰입(β=.133, p<.05)과 메타인지(β=.157, p<.05)가, 문제해결력의 문제통제가 학습몰입(β=.117, p<.001)과메타인지(β=.138, p<.05)에서 그리고 문제접근에서 학습몰입(β=134, p<.05)과 메타인지(β=158, p<.05)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언어치료에서 적용된 플립러닝기법은 교육을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몰입,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향상 하는데 중요한 교육 방법이다. 또한학생들 각각의 학습유형을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하여 학습유형과 플립러닝의 교육 효과를 살펴보고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학습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이재신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및 이론에 근거하여 메타인지는 외생변수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을 구성하는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은 내생변수로 설정하였고 내생변수 중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매개변수로 구조방정식에 포함되었다. 분석대상은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이었으며, 자료는 AMOS 7.0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메타인지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에 유의한 직접영향을 미쳤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또한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유의한 간접효과를 통해 매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on learning flow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total of 216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were sampled.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Metacognition Scale, Self-Directed Learning Scale, and Learning Flow Sca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7.0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tical model was fitted to the empirical data(χ2=195.642, df=83, p=.000, RMSEA=.079, GFI=.896, TLI= .936, CFI=.949, NFI=.916). Second, metacognition had direc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In addition, metacogni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using a mediating variable(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on development program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arning flow.

      • KCI등재

        메타-학습: 이론적 토대, 주요 원리와 모형, 그리고 컴퓨터-지원 협력학습의 적용

        박휴용(Hyu-Yong Park)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2

        본고는 기존의 인본주의적 이론에 입각한 경험 학습을 대신하는 메타-학습의 개념과 특징 및 유형과 학습이론으로서의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i) 경험 학습의 기본 원리와 그 특징은 무엇이며, 인간의 학습환경과 학습 양식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ii) 메타-학습의 개념과 기본 구조는 무엇이고, 어떤 원리와 모형이 있는가?; iii) 메타-학습이 실제적으로 적용되는 컴퓨터-지원 협력 학습의 원리와 고려해야할 요인은 무엇인가? 본고의 핵심적 주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 학습은 대면적이고 개별적이며 맥락적인 경험을 주목하여 주로 인지적 학습을 설명하는데 주력하였지만, 메타-학습은 비대면적, 탈맥락적, 간접적, 그리고 매체활용 학습에 유용하다는 것이다. 둘째, 메타-학습은 직관적/통찰적 학습과 기술기반 학습에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통신 기기들이 생활화된 오늘날 이러한 기술적 도구들(컴퓨터, 스마트/유비쿼터스 기기, PPT, 각종 앱 등)에 익숙한 학습자들에게 특히 유용하다는 것이다. 셋째, 메타-학습의 주요 원리(모형)는 외적 강화학습, 분산적 학습, 연합적 학습, 그리고 자기-적응적 학습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넷째, 메타-학습이 구체적으로 구현된 컴퓨터-지원 학습은 실제 세계를 최대한 재현한 디지털 학습플랫폼에서 다양한 기술적 매체를 활용하여 개별적이면서도 다중적이고 자기-적응적 보완 학습을 촉진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메타-학습과 관련한 주요한 논란점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러한 논의가 인본주의적 학습과 기계학습의 공통된 원리인 메타-학습에 대한 학계의 추가적 연구를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models) of meta-learning, as a strategic model for machine learning, which might supplement humanistic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o address this issue, this paper suggested three kernel research questions: i) What are the basic principles and trait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how are the learning environments (spaces) and modalities changing in the technology-oriented society?, ii) What are the notions and basic structures of meta-learning and what principles and models can be adopted as the meta-learning practices?, iii) What is the actual case of meta-learning employed in a technology-based learning milieu and what are the seminal principles and necessary tools for it? This paper’s biggest arguments are as follow: First, experiential learning has been solely interested in contact, personal, and aspects of contextual experiences for cognitive learning, while meta-learning has special attention on non-contact, indirect, beyond-context, and a mediated learning. Second, since meta-learning is especially useful for intuitive and technology-based learning situations, it helps much the learning practices of technology-friendly learners. Third, the meta-learning principles (models) may include meta-reinforcement learning, distributed learning, federated learning, and self-adaptive learning. Fourth, meta-learning has been actualized in the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which highlights the individual, mediated, and self-adaptive learning that utilizes technological tools diversely in a digital learning platform. This paper’s suggestive arguments on meta-learning may promote active discussions in academic fields about the link between humanistic experiential learning and machine learning.

      • KCI등재

        메타버스 환경 속 가상학습의 이론적 토대 및 유형, 그리고 수업의 실제

        박휴용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교사교육연구 Vol.61 No.1

        본고는 메타버스 속에서의 가상학습이 학교교육에 가져올 변화와 그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i) 메타버스 환경 속에서의 인간의 경험과 학습은 어떻게 변할 것이며, 그러한 가상학습의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 ii) 가상학습의 유형과 특징, 그리고 교육적 활용성은 어떠한가, 그리고 iii) 메타버스에 기반한 기술적 도구들이 어떻게 실제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가이다. 이 세 가지 질문을 기반으로 본고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오늘날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가상화(사이버화)되고 있는 기술적 변화는 학생들의 학습과 소통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둘째, 메타버스에서는 신체성, 감각성, 정서성 등을 자극하는 탈인지적 경험이 훨씬 더 중요하므로, 학교교육의 지식과 수업매체도 그러한 가상적 경험의 특성에 맞게 변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메타버스에 기반한 학습은 다양한 디지털 학습플랫폼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성향이나 관심도의 차이, 기술적 매체에 대한 능숙도, 개별적 수준과 학습진도에 따라 상이한 학습과정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넷째, 가상학습은 증강현실, 생활기록, 거울세계 등의 다양한 유형을 가지며, 각각 서로 다른 학습의 목표에 맞추어 학교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온라인 학습플랫폼은 다양한 수준과 관심사를 가진 학생들의 자발성과 흥미, 그리고 팀워크를 촉진하면서 여러 교과들의 실제 학교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메타버스라는 기술적 환경이 학생들의 학습과 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계와 교육현장의 논의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메타버스 영어토론학습에서 교육적 기능과 학습자의 충성도 간의 학습자의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임주영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0

        본고의 목적은 메타버스 학습에서 기능적 요인과 대학생 학습자의 충성도간에 학습자의 만족도가 미치는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그 교육적인 의미를 도출하는데 있다. 통계분석에 사용된 패키지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4와 AMOS 24고, 연구 개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실시하였고, 구조모형 분석(SEM)과 부스트랩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적 기능은 학습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메타버스 학습 학습자 만족도는 학습자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메타버스 학습에서 교육적 기능이 학습자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학습자의 만족도가 매개효과가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메타버스 영어 학습 설계 시 학습자의 만족도를 가져오기 위해 사용자의인터페이스와 부분 통제 기능 등 교육적 기능 요소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타버스 학습의 만족도는 메타버스 영어 학습의 교육적 기능과 학습자의 충성도에 매개효과를 가져왔음을 알 수있었다.

      • KCI등재

        기업의 학습자들은 메타버스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서성일,이은택,김세연,유영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학습자들의 메타버스 학습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무엇을 경험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기업교육의 학습자와 현상을 기술할 뿐만 아니라 기존 이론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사례 연구를 하였다. 이를위해 메타버스에서 기업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A사 직원 1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한 후 코딩하기, 분류하기, 범주화하기3단계로 분석을 진행하여 메타버스를 통한 학습 경험이 무엇이었는지 총체적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학습경험은 메타버스 환경적응, 아바타의 활용, 과정 내 상호작용, 학습의 용이성, 실재감의 인식, 메타버스 경험의 결과로6개 상위범주와 각각의 경험에 해당하는 14개의 하위범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메타버스를 기술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새로운학습환경으로써 메타버스 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는 HRD 차원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 제고 방안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론 학습자들은 메타버스에 어려움 없이 적응하여 아바타를 움직이고 활동함으로써 과정 내에서 행동의 주체라는 것에 큰 의미를부여하였다. 또한 자기주도적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실재감을 느낄 수 있었다. 과정내용 구성 시 학습공간을 고려한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과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학습자 중심 활동으로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메타버스의 다양한 상호작용기능을 고려한 수업환경 설계가 필요하다.

      •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 활용 학습 효과의 메타분석

        김재현,전용찬,구요한,유명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행된 메타버스 기반 학습의 효과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메타버스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메타버스 활용 학습 성과의 체계적 문헌 분석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PRISMA의 기준에 따라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25편의 분석 대상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사전/사후 연구, 처치/통제 연구, 상관분석 연구로 구분하여 코딩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사후 연구들의 경우 전체 효과 크기가 0.83으로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인 학습 성취와 학습 태도에 따른 효과 크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출판유형과 연구 표본 크기에 따라서 효과크기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출판유형의 경우 학술논문에서 더 큰 효과크기를, 연구 표본 크기에 따라서는 표본의 크기가 작은 연구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음으로, 처치/통제 설계 연구의 경우 전체 효과 크기가 0.46으로 중간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 종속변인인 학습몰입, 학습태도, 학습성취에 따른 효과크기의 경우 종속변인 간 효과크기의 차이와 조절변인인 출판유형 및 출판 연도에 따른 효과크기의 세부적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 활용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관계 연구의 효과크기가 0.66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에 따라 학습태도, 학습성취, 학습몰입, 학습전이, 학습만족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출판형식과 출판 연도 별 효과크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활용 학습의 효과성을 점검하고 메타버스의 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provides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Metaverse-based learning in Korea and conducts a meta-analysis of the relevant literature. This analysis aims to inform the design of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etaverse. Following the PRISMA criteria, 25 pieces of literature were selected. Three research designs-pre-post, control-treatment, and correlation studies-were considered. Pre-post studi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ze of 0.83, with no noticeable difference in learning outcomes and attitudes. However, variations were observed based on the type of publication and the size of the sample. Control-treatment studies presented an effect size of 0.46, with no significant variations associated with learning factors. Correlation studies reported an effect size of 0.66, with learning attitude emerging as the primary influencer. In terms of 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size ranked as follows: learning attitude, learning achievement, learning immersion,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satisfaction. Effect size did not vary by publication type or year. This study highlights the effectiveness of Metaverse-based learning and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using Metaverse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