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한우 거세우의 초음파 생체진단형질과 도체형질에 대한 지역과 출생년도 및 계절 효과 분석

        정재경 ( Jae Kyoung Cheong ),오윤택 ( Yun Taek Oh ),최호남 ( Ho Nam Choi ),이철학 ( Cheol Hak Lee ),김강희 ( Kang Hee Kim ),김기양 ( Ki Yang Kim ),최연호 ( Yun Ho Choy ),김형철 ( Hyeong Cheol Kim ),황정미 ( Jeong Mi Hwang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는 한우 거세우의 초음파 진단형질과 도체형질을 이용하여 지역별과 출생년도-계절별 변이 요인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전국의 거세 한우 26,129두의 기록을 이용하여 초음파 진단형질로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및 근내지방도를 진단하였고, 도체형질로 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및 근내지방도를 조사하였다. 거세 한우의 지역별, 출생년도-계절 및 상관관계에 대한 비교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별 및 출생년도-계절에서 초음파 진단형질과 도체형질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지역별로 보면 경기지역이 도체형질 실측치 중 하나인 등지방두께를 제외한 초음파 진단형질 관측치와 도체형질 실측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음파 진단형질과 도체형질 간의 차이를 보면 대전의 등지방두께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도체형질의 실측치가 초음파 진단형질의 관측치보다 약 2~3mm가 두껍게 나타났다. 등심단면적은 경기, 경남 및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약 2~7cm2의 차이가 났으며 그 중 가장 많은 차이가 나타나는 지역은 전남으로 나타났다. 근내지방도는 초음파 진단형질의 관측치와 도체형질의 실측치 차이의 범위가 0.9점에서 2.26점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진단형질과 도체형질에 대한 출생년도-계절 효과에 대해 2009년 봄의 초음파 진단형질인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이 다른 출생년도-계절에 비해 얇고 좁았지만 도체형질에서는 반대로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이 두껍고 넓게 나타났다. 초음파 진단형질과 도체형질 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를 보면 등지방두께는 0.62, 등심단면적은 0.31 그리고 근내지방도는 0.56으로 다른 문헌과 비교했을 때 상관계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초음파 진단시점과 출하시점간의 기간 차이가 다른 문헌에 비해 길었고, 공시우들의 지역별 그리고 농장별로 사육 방식과 환경요인들에 대한 변이가 컸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세우의 도체 특성의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고급육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초음파 응용기술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Ultrasound measures of back fat thickness(UBF), eye muscle area(UEMA) and marbling score(UMS) and carcass measures of carcass weight(CW), backfat thickness(BF), eye muscle area(EMA) and marbling score(MS) were available on 26,129 Hanwoo ste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regions of the farms location and birth years-seasons for the steers taken ultrasound measures and their carcass measures(p<0.01) were found. Steers in Gyeonggi province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ultrasound measures and carcass traits except in BF compared to steers in the other provinces. Comparing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s, UBF was thicker in general than BF in all regions except in Daejeon city. UEMA was higher than EMA in all regions except in Gyeonggior in Jeju provinces.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Jeonnam province between UEMA and EMA was 7㎠ while the differences between UMS and MS ranged from 0.9 to 2.26 depending on the regions of steers located. Steers born in spring showed greater ultrasound or carcass values than those born in autumn. However, carcass measures of steers born in autumn were greater than those born in spring, 2009 except MS. The pearson and residual correlations were 0.63 and 0.65 between UBF and BF, 0.31 and 0.32 between UEMA and EMA and 0.56 and 0.56 between UMS and MS, respectively.

      • KCI등재

        한우 도체형질의 유전능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성의 효과

        이창우,송준석,최정우,김종복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한우 도체형질에서 거세우 자료로 실시한 유전능력 평가결과가 암소 자료로 실시한 평가결 과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도축 자료를 암소 자료와 거세우 자료로 분리해서 유전모수와 육종가를 추정함과 동시에 동일 형질의 암소 측정치와 거세우 측정치를 각각 다른 형질로 간주하고 각 형질 내에서 두 측정치간의 유전 상관계수를 추정하였다. 도체중, 등지방 두께, 등심 단면적 및 근내지 방도의 유전력은 암소 자료 추정치들이 각각 0.60, 0.46, 0.47 및 0.59 그리고 거세우 자료 추정치들이 각각 0.62, 0.54, 0.41 및 0.58로 도체중과 근내지방도에서는 두 자료의 추정치 간 차이가 없었으나 등지방 두께 유전력은 암소자료 추정치가 거세우 자료 추정치에 비해 8% 더 작고 등심 단면적 유전력은 암소자료 추정치가 6%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같은 형질 내에서 추정한 암소 측정치와 거 세우 측정치간의 유전 상관계수는 도체중이 0.77, 등지방 두께가 0.79, 등심 단면적이 0.79, 그리고 근 내지방도가 0.87이었다. 한편 각 형질별로 계산한 암소 자료의 추정 육종가와 거세우 자료의 추정 육종 가간 순위 상관계수는 도축우 아비들이 0.45(도체중)에서 0.65(근내지방도)의 범위, 그리고 도축우 어미들이 0.29(도체중)에서 0.40(근내지방도)의 범위로 낮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정된 자료에 따라 씨수소나 씨암소의 선발 순위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genetic parameters and breeding values for carcass weight (CWT), back fat thickness (BFT), eye-muscle-area (EMA), and marbling score (MAR) when they were estimated using whole data set or using subsets of data splitted by gender (cow or steer data), and 2) to estimate the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easurements of cow and steer within a same carcass traits in Hanwoo. Heritability estimates of CWT, BFT, EMA and MAR on cow data were 0.60, 0.46, 0.47 and 0.59, respectively. Corresponding estimates on steer data were 0.62, 0.54, 0.41 and 0.58, respectively. Heritability estimates of CWT and BFT were showed no clear difference between cow and steer data set. However heritability estimate of BFT and EMA on cow data were smaller by 8% and larger by 6%, respectively, than those on steer data.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ow measurement with steer measurement within a trait were 0.77 for CWT, 0.79 for BFT, 0.79 for EMA and 0.87 for MAR, respectively.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reeding values estimated from cow and steer data within a trait tended to be low, ranging 0.45 (CWT) to 0.65 (MAR) in sire, and 0.29 (CWT) to 0.40 (MAR) in d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ental breeding values for carcass traits might be changed on the data used for genetic evaluation.

      • KCI등재

        한우 거세우 성장형질과 도체형질에 대한 환경효과 분석

        이재구,최연호,박병호,최재관,나종삼,최태정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s (farms born, testing groups, age at the tests, date at slaughter, ages at slaughter) on body weights at 6, 12, 18 and 24 months of ages, body type measurements at 18 months of ag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 populations that were collected from commercial farms and reared in a progeny testing station. Performances of a total of 1,838 steer calves set for tests from 2004 to 2008 were recorded.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the carcass grading results evaluated and data collected slaughter scores at 24 months of age. For growth traits of all age classes and body type traits measured at 18 months of age, farms born, test group and linear covariate of age at test were fit in the models. For carcass traits, date at slaughter and linear covariate of ages at slaughter were fit in the models. Effect of farm at birth was not significant for body weight at 24 months of age.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yield score and back fat thickness were affected by dates at slaughter but not by the ages at slaughter. Marbling score, however, was affected by these two effects. Farms at birth did not seem to affect body type measures greatly.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Hanwoo Steers genetic evaluation. 본 논문은 한우 거세우의 각 월령별 체중과 18개월 체척, 도체형질에 대하여 출생지, 후대검정차수, 측정일령, 도축일, 도축일령등의 환경효과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기위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에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후대 검정한 38차에서 47차까지의 거세우 1,838두의 성장형질과 도체형질 자료를 이용하였고, 성장형질은 18개월령 체척자료와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체중을, 도체형질은 24개월령 도축성적을 이용하였다. 각 형질에 대한 환경효과 분석을 위해 각 월령별 체중에 대해서는 고정효과를 출생지, 후대검정차수로 하였고 공변량을 측정일령으로 하였다. 도체형질은 도축일을 고정효과로 도축일령을 공변량으로 하였다. 18개월 체척의 경우는 고정효과를 출생지, 후대검정차수로 하였고, 공변량을 18개월 체척측정일령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24개월 체중에서는 출생지 효과가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형질인 도체중, 등심단면적, 육량지수, 등지방두께는 도축일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도축일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근내지방도에 대해서는 도축일령과 도축일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척형질은 흉심, 고장폭, 흉위에서 출생지 효과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한우 유전평가 모형 설정 시 활용 가능한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한우의 초음파 측정 형질과 도체 형질의 유전모수 추정

        김형철 ( Hyeong Cheol Kim ),조영무 ( Young Moo Cho ),이상민 ( Sang Min Lee ),양보석 ( Boh Suk Yang ),김종복 ( Jong Bok Kim ),연성흠 ( Seung Heum Yeon ),이승환 ( Seung Hwan Lee ),당창권 ( Chang Gwon Dang ),전기준 ( Gi Jun Jeon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5

        본 연구는 한우 번식우와 거세우의 도체형질과 초음파 측정형질 의 유전모수를 추정하여 도체형질과 초음파 측정형질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 암소에 있어서 초음파 등지방두께의 유전력은 0.43이었고, 초음파 등심단면적의 유전력은 0.23 그리고 초음파 근내지방도는 0.32이었다. 한편, 한우 암소 도체형질의 유전력은 등지방두께는 0.33, 등심단면적이 0.13 그리고 근내지방도는 0.33으로 분석되었 다. 한우 암소에 있어서 초음파 측정 형질 간 유전상관은 초음파 등지방두께: 초음파 등심단면적에서 -0.19, 초음파 등지방두께: 초 음파 근내지방도는 -0.61이었고, 초음파 등심단면적: 초음파 근내 지방도는 -0.36으로 각 형질 간 부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표현형 상관에 있어서는 초음파 등지방두께: 초음파 등심단면적에서 0.03, 초음파 등지방두께: 초음파 근내지방도는 0.13이었고, 초음파 등심 단면적: 초음파 근내지방도는 0.26으로 분석되었다. 한우 암소에 있어서 초음파 측정 형질과 실제 도체형질 간 유전 상관은 등지방두께 0.97, 등심단면적 0.94 그리고 근내지방도 0.92 로 매우 높은 정 (+)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초음파 측정형질과 실제 도체형질 간 표현형상관에 있어서도 등지방두께 0.90, 등심단면적 0.86 그리고 근내지방도 0.81로 높은 정 (+)의 상관계수가 추정되 었다. 그리고 암소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결과는 거세우 자료에서나 암소와 거세우를 통합한 자료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초음파 측정치와 실제 도체에서 측정한 값 들 사이 에 유전적으로나 표현형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 (+) 상관이 존재하 는 본 연구 결과는 육질 개량을 위한 간접 선발의 도구로 초음파 측정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한우의 도축 결과를 상 당히 정확한 수준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양관리 측면에 Kim et al. ; Genetic Parameters for Ultrasound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3 3 6- 서도 큰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ultrasound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Heritabilities and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were estimated for carcass and ultrasound measurements collected from Hanwoo cows (n=312) born at Hanwoo experiment station. Traits evaluated were eye muscle area (EMA), backfat thickness (BF), marbling score (MS) from carcass, and ultrasound eye muscle area (UEMA), ultrasound backfat (UBF), and ultrasound marbling score (UMS).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multi-trait animal models byderivative-free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procedures. Estimated heritabilities for UBF, UEMA and UMS were 0.43, 0.23 and 0.32, while heritabilities for BF, EMA and MS were 0.33, 0.13 and 0.33 in fattened cows, respectively.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estimated to -0.19, -0.61, and -0.36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fattened cows,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0.03, 0.13 and 0.26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fattened cows, respectively. As for the steer,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0.36, -0.80 and 0.27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steers,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0.13, 0.07 and 0.41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steer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finding would be very useful to implement into Hanwoo breeding program.

      • KCI등재

        한우 후대검정우 체중, 체척 및 도체형질간 상관분석

        이재구,최연호,박병호,최재관,이승수,나종삼,노승희,최태정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한우 성장형질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6, 12, 18, 24개월 체중, 일당증체량, 도체형질과 18개월 체형형질간의 성장단계별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에서 후대 검정을 실시한 2004년에서 2008년까지의 거세우 1,838두의 체중과 체형형질을 이용하였고 도체형질은 24개월령 도축성적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상관분석은 관측치 상관과 고정효과를 고려한 잔차상관으로 하였다. 도축 전 생체중과 도체중은 0.92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도체형질에서는 육량지수와 등지방두께 간에 -0.92의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체형형질에서 십자부고와 체고는 0.89로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흉폭과 흉심이 0.73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체위 형질간 상관에서 요각폭에 대해 흉심과 흉폭이 각각 0.75, 0.74의 상관을 보였고 곤폭은 요각폭과 0.74의 상관을 보였다. 좌골폭에 대해서는 흉심, 흉폭, 요각폭, 곤폭이 각각 0.73, 0.70, 0.75, 0.75로 정의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체장과 도체중간의 관측치상관은 0.48이였고, 흉위는 도체중과 잔차상관이 0.51로 다른 도체형질보다 상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한우 후대검정우 유전평가 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correlation structure between Hanwoo steer growth traits - body weights at 6 month, 12 month, 18 month and 24 month of age, average daily gain, carcass traits, body size traits at 18 months of age. Hanwoo progeny test data(body weight, body size traits) collected from 2004 to 2008 on a total of 1,838 steers at Hanwoo Improvement Main Center(NACF) were analyzed. Carcass traits were used to score the 24 months of age and slaughter.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observed scales of the traits and with residuals considering fixed effects in generalized linear models. The correlated coefficient estimated between live weight at slaughter(24 months of age) and cold carcass weight was high at 0.92. Correlation between beef yield index values and backfat thickness was estimated to be high and negative at -0.92. Hip height and wither height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0.89). Chest width and chest depth also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at 0.73. Rump width was highly correlated with chest depth(0.75) and chest width(0.74). Correlation between pelvic width and rump width was estimated to be 0.74. Hipbone width was shown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chest depth(0.73), chest width(0.70), rump width(0.75), or pelvic width(0.75). Correlation between wither height and carcass weight was 0.48 in observed scale. Chest girth was phenotyically (residual correlation) correlated with carcass weight (0.51), the estimates of which were some higher than than with the other carcass traits.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Hanwoo Steers genetic evaluation.

      • KCI등재

        한우 부분육 및 도체형질 유전모수 추정

        이재구,최태정,최연호,김시동,M. Alam,추효준,조충일,노승희,박병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1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가단위 개량체계에서 이용하는 도체형질 및 12개월령 체중과 부분육간의 유전 모수추정을 통하여 각 형질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형질은 1996년도부터 2013년까지 당·후대 검정한 한우 수소 및 거세우 총 10,351두의 부분육 중량 및 수율, 도체형질 그리고 12개월령 체중측정 자료이다. 유전모수 추정을 위하여 부분육 형질에는 차수, 검정지, 도축일의 고정효과와 도체 중을 공변량으로 포함하였으며, 도체형질은 동일한 고정효과에 도축일령을 공변량으로 하였다. 유전모 수 추정 결과 부분육 수율(%)의 유전력은 안심, 등심 및 채끝이 각각 0.53, 0.58 및 0.65였다. 등심수 율은 12개월령 체중,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그리고 근내지방도와 유전상관이 각각 0.13, 0.15, 0.61, -0.44 그리고 0.37이었다. 따라서 등심단면적이 크면 10가지 대분할육 중 경제적가치가 가장 높은 형질인 등심의 비율이 증가 할 것으로 사료되며, 도체의 육질을 결정하는데 주요한 형질인 근내지방도의 등급도 다소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between carcass traits, body weight at 12 months and primal cuts used in the current national improvement scheme. Through this a correlation between each traits were investigated. Analyzed data on carcass traits, yearling weight and primal cuts were collected from 10,351 steers and bulls of Hanwoo progeny testing program between 1996 and 2013. Fixed effects of batch, test station and date at slaughter, and a linear covariate of carcass weight were fitted in the animal models for primal cut traits. For carcass traits, same effect and age at slaughter were fitted as fixed effect and a linear covariate in the model, respectively. The heritability estimates of the tenderloin, loin and strip loin were 0.53, 0.58 and 0.65, respectively. Loin percentage was genetical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at 12 months (0.13), carcass weight (0.15), eye muscle area (0.61), backfat thickness (-0.44) and marbling score (0.37). Therefore, selection of animals with larger eye muscle area might lead to have greater proportion of loin muscle and somewhat higher marbling in the carcasses of their offspring.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한우 도체형질의 유전능력평가를 위한 통계모형 탐색

        구양모 ( Yang Mo Koo ),김시동 ( Si Dong Kim ),김정일 ( Jung Il Kim ),송치은 ( Chi Eun Song ),이기환 ( Ki Hwam Lee ),정용호 ( Yeoung Ho Jeoung ),이재윤 ( Jae Youn Lee ),장현기 ( Hyun Gi Jang ),박병호 ( Byoung Ho Park ),최태정 ( Te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4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등급 판정된 도체성적이 있는 개체와 한국종축개량협회에 등록이 확인된 231,382두의 자료를 이용하여 각 도체형질의 자료구조 분석 등을 살펴보고, 각 요인별로 도체형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환경효과 등을 분석하고, 변수선택법 등을 이용하여 향후 유전능력평가에서 사용 가능한 통계모형 찾아내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암, 수, 거세를 포함한 전체집단에서 출하체중, 도체율,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에서 정규분포를 보이고 있었고, 다른 형질은 정규분포에 근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요인에 대한 분산분석에서는 한우 도체형질에 대하여 성별, 출생년도-계절, 도축년도-계절, 출생지역, 도축일령의 모두 고도의 유의성(p<0.01)이 인정되었다. 변수선택법을 이용한 모형적합도 검정에서는 출하체중, 도체중, 도체율, 배최장근단면적은 다섯 가지 환경효과를 선택하는 것이 최적이었고, 등지방두께와 근내지방도는 네 가지 환경효과를 고려하는 것이 최적이었지만, 다형질 분석으로 한 번에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환경효과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environment effects on live weigh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eye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which are the carcass traits of Hanwoo, based on the estimates and all the possible regression for the selection of variable and significance test for 231,382 heads that underwent the carcass measurement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live weigh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eye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were 654.79±91.61kg, 362.30±67.15kg, 59.52±0.03%, 81.79±12.21cm², 11.39±5.40mm, 4.38±2.29, respectively. The live weigh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eye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for cow were 532.79±78.38kg, 313.40±44.90kg, 56.50±0.03%, 75.24±10.69cm², 11.82±5.10mm, 4.30±2.06, respectively, while for bull were 619.74±93.27kg, 376.89±48.62kg, 58.61±0.02%, 85.61±10.46cm², 5.64±2.71mm, 1.41±0.83, respectively, and for steer were 681.78±70.72kg, 415.23±49.43kg, 60.19±0.02%, 88.29±10.27cm², 12.71±5.23mm, 5.42±1.99, respectively. In the environmental variables selection based on the variables selection method, the examination by carcass traits sugges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model could be determined when five variables were selected for the live weigh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eye muscle area, and four variables for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When they were considered at a time altogether based on multiple traits, it was deemed to be desirable to insert all five variables into the variables for analysis. In addition, high significance was found by carcass traits.

      • KCI등재후보

        한우 도체형질과 생시체중의 유전모수 추정 및 연관성 규명

        노재광,박찬혁,손지현,이기환,도창희,임현태,이정규,최태정,구양모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 2021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irth weight and carcass traits of Hanwoo and to use the data collected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hich participated in the Hanwoo cow test farm project, as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improvement goals for birth weight. The analysis used 342,659 birth weights of animals born from 2002 to 2018, 302,474 animals of pedigree data and 387,961 animals of carcass traits data. In order to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birth weight and carcass traits, two statistical models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trait. In the first model(Model 1), the heritability of steer was 0.28, 0.67, 0.70, 0.41, 0.63 and 0.48 in BW, SW, CW, EMA, MS and BF, respectively. The cows were 0.30, 0.34, 0.32, 0.20, 0.21 and 0.37,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econd model(Model 2), including the permanent environmental effect of the maternal, showed an increase in heritability of 0.01 to 0.29 for steer and 0.31 for cows, showing no significant change.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BW, SW, CW, EMA, MS and BF in steer were 0.39, 0.42, 0.40, 0.25, and 0.24, respectively, showing moderate correlations. The cows BW, SW, CW, EMA showed similar results with 0.31, 0.41, and 0.4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heritability to BW, SW, CW and carcass trait shows that the birth weight is related to each carcass trait.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본 연구는 암소검정사업으로 충남대학교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한우의 생시체중과 도체형질간의 연관성을 탐색하여생시체중 형질에 대한 개량목표 설정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2년도부터 2018 년도까지 생산된 개체들의 생시체중 342,659건과 이 개체들에 대한 혈통등록자료 302,474두, 도체성적자료 387,961두를 분석에이용하였다. 생시체중과 도체형질 간 상관관계를 추정하기 위하여, 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2개의 통계모형을 설정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모형에 따른 거세우와 암소의 분석결과는 첫 번째 모형(Model 1)에서 거세우의 생시체중, 출하체중, 도체중, 등심단면적, 근내지방도, 등지방두께의 유전력이 각각 0.28, 0.67, 0.70, 0.41, 0.63, 0.48로 나타났고, 암소의 경우 각각0.30, 0.34, 0.32, 0.20, 0.21, 0.37로 나타났다. 모체의 영구환경효과를 포함한 두 번째 모형(Model 2)의 결과는 거세우에서 0.29, 암소에서 0.31로 0.01의 유전력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거세우에서 생시체중과 출하체중 및 도체중, 등심단면적, 근내지방도, 등지방두께 사이의 유전상관은 각각 0.39, 0.42, 0.40, 0.25, 0.24로 나타나 중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암소에서는 생시체중과 출하체중, 도체중, 등심단면적 사이에서 각각 0.31, 0.41, 0.44로 거세우와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라 생시체중에 대한 유전력과 출하체중, 도체형질과의 유전적 연관성은 생시체중이 각각의 도체형질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생시체중을 이용한 한우산업의 개량목표 설정 및 개량형질 설정에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우 거세우의 가격에 미치는 도체형질의 기여도 변화추세

        김현권,선두원,임현태,공일근,이정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7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1 No.6

        This purpose of research is to find Carcass trait's changing trend of a level of contributionwhich affects the price of Hanwoo. This research used 35,247 Hanwoo steers as slaughter datato analyze the data's structure and common record, analysis of variance, significance test, andanalysis of Carcass trait's level of contribution to the price. To test the effect, back fatthickness, eye muscle area, carcass weight, marbling score, auction price and the total price wasused. Traits investigated in effect test; analyzed slaughtered year, showed highly meaningfuldifferences(p<0.01). To analyze Carcass trait's contribution to the price of Hanwoo, squaredsemi-partial correlation of independent variable was used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analysis. R2(coefficient of determination) lay of auction price was 0.5422 and R2 lay of totalprice was 0.7141. Squared semi-partial correlation related to auction price had a result of 0.0235 for back fat thickness, 0.0072 for eye muscle area, 0.0001 for Carcass weight, 0.3821for marbling score. Squared semi-partial correlation related to total price had a result of 0.0161for back fat thickness, 0.0047 for cross-sectional eye muscle area, 0.1691 for carcass weight,and 0.2341 for marbling score. The trend of Carcass trait's contribution to the price(meatquality) constantly dropped since 2011 and contribution of the amount of meat's trait went up. Reasons marbling score loosing its contribution to the price are the change of price, risingappearance rate of first classes, low discrimination due to poor slaughter. We need to have thelong-term point of view on this result and this is considered to have additional research forHanwoo industries to gain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한우가격에 미치는 도체형질의 기여도 변화추세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에이용된 재료는 한우 거세우 35,247두의 도축자료를 이용하여, 자료의 구조분석과 일반성적, 분산분석및 유의성검정, 가격에 대한 도체형질의 기여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검정을 위해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중, 근내지방도, 경락가격, 전체가격 등 6개의 형질을 이용하였고, 분석한 도축년도의효과검정에서 조사된 모든 형질이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p<0.01)를 나타내었다. 한우가격에 미치는 도체형질의 기여도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독립변수의 준부분상관자승값(squaredsemi-partial correlation)을 이용하였다. 경락가격의 R2 값(결정계수)은 0.5422로 나타났고 전체가격의 R2 값은 0.7141로 나타났다. 경락가격에 대한 준부분상관자승값 결과는 등지방두께가 0.0235, 배최장근단면적이 0.0072, 도체중이 0.0001, 근내지방도가 0.3821로 나타났고, 전체가격에 대한 준부분상관자승값은 등지방두께가 0.0161, 배최장근단면적이 0.0047, 도체중이 0.1691, 근내지방도가 0.2341로나타났다. 가격에 미치는 도체형질의 기여도 변화추세는 2011년 이후 육질의 기여도가 꾸준하게 떨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고, 육량형질의 기여도는 높아지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근내지방도의 가격기여도가 낮아지는 것은 가격의 변화, 1등급 이상 출현율 상승, 도축물량증가로 인해 변별력이 떨어진이유라고 보여지며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한우 산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사육농가의 효과가 한우 암소의 도체형질 유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창우 ( Chang Woo Lee ),이정묵 ( Cheong Mook Lee ),이성진 ( Sung Jin Lee ),송영한 ( Young Han Song ),이정구 ( Jeong Koo Lee ),김종복 ( Jong Bok Kim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는 도체 평가형질인 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및 근내지방도에 대한 유전모수 및 한우 암소 번식우의 육종가 추정에서 사육농가가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료는 강원도 평창군내 한우 사육농가에서 비육 출하한 거세우의 도체성적과 거세우의 혈통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유전분석은 다음과 같은 3개의 모델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모델 1은 도축장소-도축년도-도축월을 동기우 그룹으로 형성한 고정효과로 그리고 상가적 개체 유전 효과를 임의 효과로 포함시켰고, 모델 2는 모델 1에 사육농가의 효과를 임의 효과로 추가하였으며, 모델 3은 모델 1에 사육농가의 효과를 고정효과로 추가하였다. 각 모델을 적용해서 실시한 분석결과를 비교해보면 모델 1에 비해 사육농가의 효과를 포함한 모델 2나 모델 3에서 모든 형질의 유전력 추정치가 작았는데 특히 도체중의 경우 모델 1에서의 유전력이 0.23, 모델 2에서의 유전력이 0.15, 모델 3에서의 유전력이 0.18로 사육농가효과를 포함한 모델에서 유전력 크기의 감소가 더 심했으며, 사육농가를 포함한 모델 2나 모델 3의 최대우도 값(maximum log Likelihood)은 도체중에서 각각 -44629.70과 -43956.12, 등지방두께에서 각각 -22939.43과 22687.18, 등심면적에서 각각 29370.39와 29016.19,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11678.12와 -11591.64로 사육농가를 포함하지 않은 모델 1에서 각각의 우도함수 값 -44900.86(도체중), -23055.71(등지방두께), -29438.26(등심면적), -11750.38(근내지방도) 보다 더 컸고, 사육농가의 효과를 임의효과로 적합시킨 모델 2에서 사육농가의 분산은 형질에 따라 최대 18%(도체중)에서 최하 4%(등심면적)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거세우 어미 전체의 육종가를 이용하여 추정한 육종가의 모델 간 순위 상관 계수와 모델 1로 추정한 육종가에 근거하여 상위 10%와 하위 10%에 해당하는 암소를 각각 선발하고 선발된 집단 내에서 추정된 각 형질들의 모델 간 순위 상관계수를 추정한 결과 상위 10% 그룹내에서 형질별로 모델간 상관 계수는 0.57에서 0.95의 범위였고, 하위 10% 그룹 내에서 0.68에서 0.95의 범위였는데 이것은 육종가 추정에 적용된 모델에 따라 육종가 순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우 암소의 도체형질 개량을 위한 목적으로 육종가를 추정할 때 분석모형에 사육농가의 효과를 포함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raising farm on the heritability and breeding values of Hanwoo cows for their carcass traits, including cold carcass weight (CWT), back-fat thickness (BFT), eye-muscle area (EMA) and marbling score (MAR). The carcass data and pedigree data were collected from steers raised on Hanwoo farms in Pyeongchang-gun, Gangwon-do, South Korea. Three analytical models were applied for the estimation of heritabilities and breeding values. The first model (model 1) included slaughter house-year-month combination as fixed effects and age at slaughter was fitted as linear and quadratic covariates. The second model (model 2) was similar to model 1, but raising farm was additionally included as random effect. The third model (model 3) was similar to model 1 but farm effects were additionally included as fixed effect. The comparisons between the model 1 and the models including farm effect (model 2 and model 3) revealed that heritability estimates from model 2 or model 3 were smaller to those from model 1 for all carcass traits. Especially, obvious decrease of heritability was observed in CWT where heritability was 0.23 from model 1, 0.15 from model 2 and 0.18 from model 3. The maximum log likelihood of the model 2 and 3 were higher than those of model 1 for all traits. In model 2 that raising farm was included as a random effect, the ratio of farm variance to the total phenotypic variance were ranged from 4% (EMA) to 18% (CWT). Top 10% and bottom 10% of female cows were selected based on the breeding values from model 1, and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models were estimated for each trait within selected group.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anged from 0.57 to 0.95 in top 10% group and from 0.68 to 0.95 in bottom 10%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iscrepancies in the rankings of breeding values can be based on the models applied.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erd effect or farm effect should be included in the analytical model when breeding values are estimated with the purpose of improvement of carcass traits of Hanwoo breeding c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