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도해지역 공동체 헌식(獻食)의 전승기반과 제의적 위상

        송기태 ( Ki Tae Song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7 No.-

        서남해를 중심으로 한 다도해지역에는 헌식이나 거리제가 강화되어 있다. 다도해의 마을 단위 제의에는 무주고혼으로 통칭할 수 있는 존재들이 집단적인 위령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무주고혼에 대한 제의는 헌식이나 거리제 등으로 나타난다. 헌식이나 거리제는 잡귀를 풀어먹이는 절차에 해당하는데, 다도해의 어촌에서는 독자적인 제의로 확장되어 있거나 공동체제의의 주된 행사로 자리잡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도해지역의 공동체제의로 진행되는 헌식을 주목하여 그 실제를 파악하고, 의례가 확장될 수 있는 배경과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헌식의 다양한 모습과 확장된 양상을 포착하기 위해 소략하게 존재하는 형태부터 주신(主神)과 대등하게 의례가 행해지는 형태, 마을제의 자체를 헌식제로 진행하는 형태 등을 구분하여 그 실태를 살펴보았다. 헌식이 강화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 다도해의 생태적 조건을 주목했다. 섬과 섬, 섬과 육지를 통해서 교류와 소통을 해야만 하는 다도해의 생태조건에서 바다의 재해와 재난은 숙명과 같은 것이었다. 무동력선으로 조업을 하다가 태풍을 만나 수몰되고, 어군을 따라 해역을 오가면서 고기잡이를 하고 생존을 위해 바닷길을 이용하다가 죽기도 하고, 태풍을 만나 표류를 하고, 걸궁패를 이끌고 섬을 돌아다니다가 수몰당하는 사람은 모두 다도해 사람들의 조상·이웃·친지였다. 결국 바다에서의 죽음은 개인을 넘어서서 공동체의 문제로 인식되었고, 그로 인해 헌식 의례가 무주고혼에 대한 집단적 해원의식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이러한 헌식의례는 잡귀를 풀어먹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풍어의례로서 의미가 확장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헌식은 무당굿의 거리굿으로도 대체되어 연극적 의례가 진행되기도 한다. 그러나 헌식은 규모의 확장과 별개로 제의적 위상에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헌식에서 마을과 가정의 ‘임자없는 주검’으로 모시고 있지만, 그들은 뜬귀 이상으로 위상이변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주고혼이 공식적인 조상이나 신의 반열에 오를 수 없기 때문에 도깨비의례나 용왕제, 풍어제 등의 성격으로 변화되거나 중첩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빚게 된다. Dadohae area, southwest sea area, was emphasized on the memorial ceremony for forlorn wandering spirit. The “Hoensik” and “Goerijae” are the ceremonies for forlorn wandering spirit. “Hoensik” and “Goerijae” perform as an exorcism with sacrificial food to drive out mischievous spirits, and those ceremonies have settled as a individual ceremony for a fishing village or a main event for the community. The research studied the reality of Hoensik, which is processed as a community ceremony event in the Dadohae area, and examined the cause and background for the ceremony’s extension. The research studied roughness Hoensik form to village ceremony level Hoensik to grasp the extension aspect and various forms of the Hoensik. The Dadohae’s ecological condition is focused as the background of Hoensik development. The sea disaster is a destiny in the Dadohae’s ecological condition, because people should communicate and exchange between islands or island to land. The people died when they worked with non-powered ship, went fishing through the seas, used sea route for surviving, drifted due to the typhoon, or visited around the islands with the wandering artist group. They were all the family, neighbors, and ancestors of Dadohae people. Therefore, Hoensik ceremony is extended as collective seaman ceremony for forlorn wandering spirit, because the death in the sea was considered as a community problem. Hoensik ceremony is not only the performance of an exorcism with sacrificial food to mischievous spirits but also extended as the ritual for a big catch of fish. However, Hoensik disclose limitation of its ceremonial status even it is scale extension. People enshrine forlorn wandering spirits of the villages and families in Hoensik ceremony, but the spirits have limitation that cannot be changed their status better than mischievous spirits.

      • KCI등재

        다도해지역 공동체 헌식(獻食)의 전승기반과 제의적 위상

        송기태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7 No.-

        Dadohae area, southwest sea area, was emphasized on the memorial ceremony for forlorn wandering spirit. The “Hoensik” and “Goerijae” are the ceremonies for forlorn wandering spirit. “Hoensik” and “Goerijae” perform as an exorcism with sacrificial food to drive out mischievous spirits, and those ceremonies have settled as a individual ceremony for a fishing village or a main event for the community. The research studied the reality of Hoensik, which is processed as a community ceremony event in the Dadohae area, and examined the cause and background for the ceremony’s extension. The research studied roughness Hoensik form to village ceremony level Hoensik to grasp the extension aspect and various forms of the Hoensik. The Dadohae’s ecological condition is focused as the background of Hoensik development. The sea disaster is a destiny in the Dadohae’s ecological condition, because people should communicate and exchange between islands or island to land. The people died when they worked with non-powered ship, went fishing through the seas, used sea route for surviving, drifted due to the typhoon, or visited around the islands with the wandering artist group. They were all the family, neighbors, and ancestors of Dadohae people. Therefore, Hoensik ceremony is extended as collective seaman ceremony for forlorn wandering spirit, because the death in the sea was considered as a community problem. Hoensik ceremony is not only the performance of an exorcism with sacrificial food to mischievous spirits but also extended as the ritual for a big catch of fish. However, Hoensik disclose limitation of its ceremonial status even it is scale extension. People enshrine forlorn wandering spirits of the villages and families in Hoensik ceremony, but the spirits have limitation that cannot be changed their status better than mischievous spirits. 서남해를 중심으로 한 다도해지역에는 헌식이나 거리제가 강화되어 있다. 다도해의 마을 단위 제의에는 무주고혼으로 통칭할 수 있는 존재들이 집단적인 위령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무주고혼에 대한 제의는 헌식이나 거리제 등으로 나타난다. 헌식이나 거리제는 잡귀를 풀어먹이는 절차에 해당하는데, 다도해의 어촌에서는 독자적인 제의로 확장되어 있거나 공동체제의의 주된 행사로 자리잡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도해지역의 공동체제의로 진행되는 헌식을 주목하여 그 실제를 파악하고, 의례가 확장될 수 있는 배경과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헌식의 다양한 모습과 확장된 양상을 포착하기 위해 소략하게 존재하는 형태부터 주신(主神)과 대등하게 의례가 행해지는 형태, 마을제의 자체를 헌식제로 진행하는 형태 등을 구분하여 그 실태를 살펴보았다. 헌식이 강화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 다도해의 생태적 조건을 주목했다. 섬과 섬, 섬과 육지를 통해서 교류와 소통을 해야만 하는 다도해의 생태조건에서 바다의 재해와 재난은 숙명과 같은 것이었다. 무동력선으로 조업을 하다가 태풍을 만나 수몰되고, 어군을 따라 해역을 오가면서 고기잡이를 하고 생존을 위해 바닷길을 이용하다가 죽기도 하고, 태풍을 만나 표류를 하고, 걸궁패를 이끌고 섬을 돌아다니다가 수몰당하는 사람은 모두 다도해 사람들의 조상․이웃․친지였다. 결국 바다에서의 죽음은 개인을 넘어서서 공동체의 문제로 인식되었고, 그로 인해 헌식 의례가 무주고혼에 대한 집단적 해원의식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이러한 헌식의례는 잡귀를 풀어먹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풍어의례로서 의미가 확장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헌식은 무당굿의 거리굿으로도 대체되어 연극적 의례가 진행되기도 한다. 그러나 헌식은 규모의 확장과 별개로 제의적 위상에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헌식에서 마을과 가정의 ‘임자없는 주검’으로 모시고 있지만, 그들은 뜬귀 이상으로 위상이 변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주고혼이 공식적인 조상이나 신의 반열에 오를 수 없기 때문에 도깨비의례나 용왕제, 풍어제 등의 성격으로 변화되거나 중첩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빚게 된다.

      • KCI등재

        인문도시 목포 ― 다도해의 모항 목포의 희망 만들기 인문담론

        강봉룡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시민인문학 Vol.33 No.-

        목포 인문도시의 어젠다 <다도해의 모항 목포의 희망 만들기 인문담론>을 세 파트로 나누어 정체성, 진단과 처방, 프로그램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먼저 <다 도해의 모항 목포> 파트에서는 목포의 인문정체성의 문제를, <목포 희망 만들 기> 파트에서는 목포의 암울한 현실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인문처방을 제시하면 서 ‘희망 만들기’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문담론> 파트에서는 목포 인 문도시사업을 통해서 진행한 2년간(2015, 2016)의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그간 목포 인문도시 사업단은 <다도해의 모항 목포 희망 만들기>의 실현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노력해 왔다. 년 24회 진행한 인문아카데 미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다도해의 모항 목포의 희망 만들기 인문아카데미>라 명명하고 자료집과 프랑카드 등에 반복적으로 그 타이틀을 노출시켰던 것은 그 노력의 일환이었다. 또한 2016년 인문아카데미에서 전・후반의 마지막 강좌를 수 강생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는 열린 강좌로 운영한 것 역시 목포 인문도시 사업이 추구하는 정체성을 함께 공감하기 위한 의도에서였다. By dividing the agendum of the humanities city “The humanities discourse for making the hope of Mokpo, a home port in the archipelago” into three parts, the identity, the diagnosis and the prescripti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etc. were taken a look at. First, in the part of “Mokpo, a home port in the archipelago”, the problem of the humanities identity of Mokpo was diagnosed. And, in the part of “Making a hope for Mokpo”, the gloomy reality of Mokpo was diagnosed. And, while presenting a humanities prescription regarding that, the direction for 'making a hope' was presented. And, in the part of “The humanities discourse”, a program that took place for 2 years (2015 and 2016), which had been proceeded with through the humanities city project of Mokpo, was introduced. Meanwhile, the project team of the humanities city Mokpo has been endeavoring for the management of a program that suits the realization of “Making a hope for Mokpo, a home port of the archipelago”. Naming the title of a humanities academy program, which had been proceeded with 24 times a year, as “The humanistic academy for making a hope for Mokpo, a home port in the Archipelago” and the repeated exposures of the title in the source books, the placards, etc. were a part of the efforts. Also, the management of the open lectures in which the students freely discuss as the last lectures in the former and latter parts at the humanities academy in the year 2016 was from the intention to identify with the identity pursued by the Mokpo humanities city project together.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의 섬 습지 보전을 위한 현황 연구

        김재은,양해근,홍선기 한국지적정보학회 2024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6 No.1

        습지는 다른 생태계와 비교해서 생산성이 높고, 생물종다양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생태계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에 이르면서 서남해 섬 지역에 지속적인 가뭄으로 생태계 전반과 인간생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섬으로만 이루어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있는 습지의 기초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장기적으로 보전관리 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의 섬 지역에 23개의 조사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의 평균 하천차수는 1, 2차수에 불과하였고, 대부분이 1차수였다. 이것은 섬 내 하천 유역 및 하천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가뭄이나 기타 외부 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안군 비금·도초, 진도군 조도 지역은 수질개선이 시급하게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람사르습지지역인 신안군 흑산면 장도습지는 건조화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천이가 더 급속히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질개선이 필요한 지역은 농업용수 취수와 마을하수처리의 유입 등으로 수질오탁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마을하수처리 등과 관련된 시설이 필요하다. 또한 습지의 건조화와 육상천이가 가속화되는 신안 장도습지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영산강유역환경청, 관련전문가, 지역주민 등이 참여하여 체계적인 습지보전대책을 수립하여 천이를 앞당기는 식생관리가 필요하다. Compared to other ecosystems, wetlands are highly productive and important for biodiversity. Wetlands play on important role in climate control, water pollutant removal, and flood dontrol,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conserve them worldwide. The Republic of Korea has 29 wetland conservation areas, of which the country’s only island marsh is located in Dahonae Marine National Park. Especially since the 2000s, drought has continued to affect the island communities in the Southwest Sea. Therefore, the survey of wetlands in Dadohae Marine National Park, which is composed entirely of islands, can be used as a basis fo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plan ning for long-term conservation management. Hydrological surveys were condected at a total of 23 survey sites. The average stream order in the survey area was only 1 or 2, and most of them were 1.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treams on the island have small watersheds and stream sizes. In addition, areas R8 and R11 are in urgent need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recent 2000s, wetlands that are being landlocked, such as W2(Jaondo Wetland), have accelerated their rate of deterioration due to low precipitation and drought in the survey area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ong-term wetland conservation measures for the restoration of Jaongo Wetland, which is recongnized as the only island mountain wetland in Korea.

      • KCI등재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상록활엽수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김하송 ( Kim Ha-song ),조영준 ( Cho Yeong-jun ),김아영 ( Kim Ah-young ),김진식 ( Kim Jeen-sieg ),이정윤 ( Lee Jung-yu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1

        본 조사는 2017년 4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본 조사와 2019년, 2020년 2차례 추가조사를 통하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상록활엽수림의 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조사된 상록활엽수림 주요군락은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등을 포함하여 33개 군락이, 상록활엽수림과 혼생하는 군락은 낙엽활엽수림에서는 굴참나무-동백나무군락, 굴참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상록침엽수림에서는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붉가시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군락, 곰솔-붉가시나무군락, 곰솔-참식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생달나무군락, 산지습성림으로는 고로쇠나무-참식나무군락 등을 포함하여 15개 군락이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48개 군락이 나타났다. 이중에서 동부지역인 나로도지구, 금오도지구, 소안·청산지구에서는 35개 상록활엽수림 군락이 조사되었고, 서부지역인 조도지구, 비금·도초지구, 흑산·홍도지구에서는 29개 상록활엽수림 군락이 조사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주요 36개 도서 가운데 가장 많이 분포한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군락으로 23개 도서(63.8%),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21개도서(58.3%), 곰솔-동백나무군락 10개 도서지역에서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그 외에 후박나무군락(9개), 동백나무군락(8개),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6개), 후박나무-동백나무군락(4개) 등이 나타났다. 또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상록활엽수림을 조사하고 과거자료(1995년, 2009년)와 비교하면서 상관에 의한 식생을 정리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서남해안 도서중에서도 비교적 자연경관이 뛰어난 지역이므로 주요 도서별 식생 특성에 따라서 효율적인 관리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각 도서별 식생 특성에 따라서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This survey investigated the vegetation statu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the area around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through the main survey from April 2017 to October 2018 and two additional surveys in 2019 and 2020. The major communiti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vestigate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were 29 colonies, including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and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mixed with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ere Quercus variabilis-Camellia joponic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Eurya japonica community.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mellia jo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acut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o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emarginata community, Pinus thunbergii-Quercus acuta community, Pinus thunbergii-Neolitsea sericea community, Pinus thunberg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innamomum japonicum community, Acer pictum var. mono-Neolitsea sericea community, 15 colonies appeared, and 44 colonies in total. Among them, 33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eastern regions of Narodo district, Geumodo district, Soan district and Cheongsan district, and 28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in the western regions of Jodo district, Bigeum district and Docho district, and Heuksan district and Hongdo district. Among the 36 islands in the survey area,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as relatively large in 23 islands(63.8%)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21 islands(58.3%) of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and 10 islands of Pinus thunbergii-Camellia joponica community. It was widely distributed.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9 colonies of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8 colonies of Camellia joponica community, 6 colon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4 colonies of Machilus thunbergii-Camellia joponica community. It was distributed relatively widely in the region. In additi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was surveyed and compared with past data (1995, 2009), and vegetation by correlation was summarized.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is a region with relatively excellent natural scenery among the southwestern coastal islands. Therefore, in establishing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island, manag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island.

      • KCI등재

        최덕원의 다도해 민속 연구의 의의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1 島嶼文化 Vol.0 No.38

        <P>&nbsp;&nbsp;도서민속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존 연구의 흐름을 진단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1960년대부터 30여 년 동안 섬 연구를 해온 최덕원 선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도서민속 연구의 내용과 성과, 학사적(學史的) 의의, 과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P><P>&nbsp;&nbsp;도서․해양문화라는 말이 일반화되기 이전부터 섬 연구를 선도해온 점을 높이 평가할 필요가 있다. 도서민속(島嶼民俗)에 대해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연구를 해왔다는 점은 학사적으로 각별한 의의가 있다. 연구주제를 보면 민간신앙에 대한 것이 많은데, 특히 신안지역 당제를 종합적으로 다룬 『多島海의 堂祭』는 이후의 성과와 견주어볼 때에도 두드러진 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외에 어로신앙, 들돌신앙, 우실신앙, 소금신앙, 부적 등을 독립된 주제로 끌어내고 논의를 확장시킨 점도 주목할 만하다. 들돌신앙, 우실신앙, 소금신앙 등은 이전에 주목하지 않던 새로운 주제의 발굴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새로운 민속자료를 발굴하고 정리한 점도 높이 평가할 만하다. 다도해지역의 민속예술과 구비문학을 조사하고 정리한 보고서는 학술적으로 큰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P><P>&nbsp;&nbsp;극복해야 할 과제도 없지 않다. 도서지역의 민속문화를 고문화(古文化)의 유습으로 이해하는 관점은, 현전 민속을 고대의 유풍으로 다룸으로써 그 문화를 전승하고 있는 현재의 사람들과 무관한 잔존문화로 보는 견해라는 점에서 한계로 지적된다. 또한 민속문화를 맥락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고정화된 텍스트로 파악하는 시각도 극복해야할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한편 민속조사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자료의 수집과 집성 자체에 집중하고 외형화된 텍스트 위주로 접근한 것은, 20세기 민속학의 일반적인 경향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개별적인 한계라고하기 보다는 종합적으로 성찰하고 극복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현 단계에서 필요한 문제의식을 개발하고, 기존 연구의 성과를 창조적으로 승계해가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P>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초식성 곤충의 생물지리학 연구 ‒ 섬 면적, 본토와의 거리와의 관계

        신보라,김낭희,이재영,장범준,최세웅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한반도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3,000여개 이상 많은 섬들을 가지고 있다. 섬생물지리학 이론에서는 생물종수가 본토와의 거리와 섬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고 예상한다. 이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크기가다른 6개의 섬에서 초식성 곤충 다양성과 면적, 본토와의 거리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초식성 곤충의 다양성을알아보기 위하여 낙엽활엽수인 4개의 수종(참나무, 벚나무, 예덕나무, 사방오리나무)을 선정하여 2017년 6월 잎의식흔을 잎손상지수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초식성 곤충 중 종 다양성이 풍부한 나방을 채집하여 식흔자료와나방 다양성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섬의 면적이 커질수록, 해안선의 길이가 길수록 잎 식흔 양이증가하였으며 나방 종수와 개체수도 많아졌다. 본토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곤충의 종수와 개체수, 잎의 식흔량은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섬에 서식하는 초식성 곤충의 다양성은 섬 면적, 해안선 길이,본토와의 거리와 밀접한 관련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포유류 서식현황

        이안나(An Na Lee),박영철(Yung Chul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2

        본 연구는 2008년에 발표된 국립공원의 문헌과 2009년 현장조사 자료에 기초해 다도해해상국립공원(7개 지구, 25개 섬)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 서식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는 6목 14과 22종으로, 거문도 지구 4목 4과 6종, 나로도지구 4목 8과 14종, 금오도 지구 6목 10과 16종, 소안·청산도 지구 5 목 10 과 15 종, 비금·도초도 지구 6목 10과 12종, 흑산·홍도 지구 5목 8과 12종, 조도지구 5목 8과 10종이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I급 수달(Lutra lutra)은 전체 조사지구에서 서식하고 있었다. We report mammalian fauna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25 islands of 7 districts) based on our field data surveyed in 2009 and the survey data previously reported in 2008. The mammalian fauna of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was totally 22 species of the 14 families belonging to 6 orders. There were 6 species (4 families, 4 orders) in Geomun-do district, 14 species(8 families, 4 orders) in Naro-do district, 16 species (10 families, 6 orders) in Geomo-do district, 15 species (10 families, 5 orders) in Soan·Cheongsan-do district, 12 species (10 families, 6 orders) in Bigeum·Docho-do district, 12 species (8 families, 5 orders) in Houksan·Hong-do district, and 10 species (8 families, 5 orders) in Jo-do district. The Otter (Lutra lutra), an endangered species, was found in all the survey areas.

      • KCI등재

        한국 남서해 다도해역의 조석·조류 특성

        추효상,김동선,Choo, Hyo-Sang,Kim, Dong-S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6

        한국 남서해 다도해역 주변의 조석 조류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다도협수로역, 섬과 육지사이 수로역, 섬 주변 개방해역 주변 4개 해역의 조석 조류 계산 결과를 비교하였다. 조류 최대유속은 다도협수로역에서 31.92 cm/s로 작았고, 섬주변 개방역에서 87.55 cm로 컸다. 조석잔차류는 협수로가 길고 수로 내 섬이 많은 해역에서 컸다. 조석에너지 분산과 조석진폭의 변동범위는 다도협수로역($392.6{\times}10^7$ erg/s, 99.0 cm)이 가장 크고 섬과 육지사이 수로역($125.7{\times}10^7$ erg/s, 11.6 cm), 섬 주변 개방역($23.1{\times}10^7$ erg/s, 8.1 cm) 순서로 작았다. 즉 다도해역 내 협수로와 수심의 급격한 변화가 조석에너지 분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estimate the tide and flow properties around the archipelago, around Dolsan, Choyak, Geogeom and Jindo which located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south sea of Korea, tidal currents, residual flows and tidal energy dissipation were investigated by using 2-dimensional numerical model. The maximum speeds of tidal currents are small around Dolsando(31.92 cm/s) and large around Jindo(87.55 cm/s). The residual flow is fastest around Choyakdo where many channels and islands as compared with other study areas. The area around Jindo has the highest currents speed, but shows the flat movements. The margins between the maximum and the minimum dispersion rates of tidal energy in the areas are estimated and designate the order of values around Dolsando($392.6{\times}10^7$ erg/s), Geogeumdo($125.7{\times}10^7$ erg/s) and Jindo($23.1{\times}10^7$ erg/s) sequently. These circumstances are same as in the amplitude of M2 constituent. This means that rapid depth changes and narrow channe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ide and tidal currents energy in archipelago.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형지질 경관자원의 분포와 관리방안-서해권 지구를 중심으로-

        신재열,박정원,홍영민 국토지리학회 2018 국토지리학회지 Vol.52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make efficient and suitable management plans to ensure they are well-preserved.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forms include: sand beaches, coastal sand dunes, sea cliffs, sea caves and wavecut platforms, an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must be established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the national park area for efficient management. In particular, these landscape resources are highly valuable as ecological tourism resources through geo-edutourism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These landscapes require appropriat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can be developed for tourism. Finally, high-value landscapes like Gwanmae wetland and sand dune on Ui island need systematic managements with precise and long-term monitoring programs. 본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3개 지구를 대상으로 지형·지질 경관자원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지구별 특성에 적합한 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지역 일대에서 대표적인 지형·지질경관은 모래해안, 해안사구, 해식애, 해식동, 파식대 등이며, 특히 이들 지형·지질 경관자원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지오에듀투어리즘(geo-edutourism)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관매습지, 우이도 해안사구 등 보전 가치가 높은 지형·지질 경관자원은 정밀조사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을 통해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