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도시 목포 ― 다도해의 모항 목포의 희망 만들기 인문담론

        강봉룡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시민인문학 Vol.33 No.-

        목포 인문도시의 어젠다 <다도해의 모항 목포의 희망 만들기 인문담론>을 세 파트로 나누어 정체성, 진단과 처방, 프로그램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먼저 <다 도해의 모항 목포> 파트에서는 목포의 인문정체성의 문제를, <목포 희망 만들 기> 파트에서는 목포의 암울한 현실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인문처방을 제시하면 서 ‘희망 만들기’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문담론> 파트에서는 목포 인 문도시사업을 통해서 진행한 2년간(2015, 2016)의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그간 목포 인문도시 사업단은 <다도해의 모항 목포 희망 만들기>의 실현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노력해 왔다. 년 24회 진행한 인문아카데 미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다도해의 모항 목포의 희망 만들기 인문아카데미>라 명명하고 자료집과 프랑카드 등에 반복적으로 그 타이틀을 노출시켰던 것은 그 노력의 일환이었다. 또한 2016년 인문아카데미에서 전・후반의 마지막 강좌를 수 강생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는 열린 강좌로 운영한 것 역시 목포 인문도시 사업이 추구하는 정체성을 함께 공감하기 위한 의도에서였다. By dividing the agendum of the humanities city “The humanities discourse for making the hope of Mokpo, a home port in the archipelago” into three parts, the identity, the diagnosis and the prescripti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etc. were taken a look at. First, in the part of “Mokpo, a home port in the archipelago”, the problem of the humanities identity of Mokpo was diagnosed. And, in the part of “Making a hope for Mokpo”, the gloomy reality of Mokpo was diagnosed. And, while presenting a humanities prescription regarding that, the direction for 'making a hope' was presented. And, in the part of “The humanities discourse”, a program that took place for 2 years (2015 and 2016), which had been proceeded with through the humanities city project of Mokpo, was introduced. Meanwhile, the project team of the humanities city Mokpo has been endeavoring for the management of a program that suits the realization of “Making a hope for Mokpo, a home port of the archipelago”. Naming the title of a humanities academy program, which had been proceeded with 24 times a year, as “The humanistic academy for making a hope for Mokpo, a home port in the Archipelago” and the repeated exposures of the title in the source books, the placards, etc. were a part of the efforts. Also, the management of the open lectures in which the students freely discuss as the last lectures in the former and latter parts at the humanities academy in the year 2016 was from the intention to identify with the identity pursued by the Mokpo humanities city project together.

      • KCI등재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본 고대 해남의 포구세력과 해양교류

        강봉룡 호남사학회 2023 역사학연구 Vol.89 No.-

        This study tried to restore the history of maritime exchanges of the ancient port powers in Haenam, focusing on he literature data. First, in conjunction with the literature on the 3rd-century East Asian coastal sea route in the 『Samgugji』, it raised the possibility that the area of Gungok-ri, located on the southern coast of Baekpo Bay, Haenam, served as an important base port from B.C. 2nd to A.D. 3rd century. Next, through a related article in 『Jinseo』, it was examined that the 'Ancient Pottery Coffin Tomb Society' maded up of 29 countries in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tried to check Baekje, which was growing rapidly, by sending envoys to Jin dynasty for the first time in 282 using Sinmi-guk as a negotiating channel. In the process, the ruins of Anho-ri and Seokho-ri, Hwasan-myeon, located on the north coast of Baekpo Bay, were presumed to Sinmi-guk. Subsequently, the "Chimmidarye" in the related article of 『Ilbonseogi』 was regarded as the successor to Sinmi-guk, and the meaning of the event in which the Chimmidarye was slaughtered by Baekje in the late 4th century was examined. In addition, considering 'Tamra' in the article of King Munju and King Dongseong of 「Baekje Bongi」 of 『Samguksagi』 as Haenam and Gangjin area, not Jeju Island, it is estimated that it was a port force in the coastal area of ​​Doam Bay in Bukilmyeon, Haenam. It was identified as attempting self-directed foreign negotiations. Finally, by analyzing articles such as 『Yangseo』, 『Buksa』, 『Hanwon』, it was noted that Baekje changed from the '22 Damro system' to the 'Five-Bang system'. And in the process, the possibility that the area around Hyeonsan-myeon located in the middle of Baekpo Bay was organized as ‘Saegeum-hyeon’ and the area along the coast of Doam Bay in Bukil-myeon as ‘Dongeum-hyeon’ was suggested. 본고는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해남 고대 포구세력의 해양교류사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삼국지』에 나오는 3세기 단계의 동아시아 연안해로에 대한 문헌 자료를 통해서, 해남 백포만의 南岸에 위치한 군곡리 일대가 동아시아 연안해로를 통한 문물교류에서 B.C.2세기~A.D.3세기에 중요한 거점포구로 기능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다음에 『진서』의 관련 기사를 통해서, 29國으로 이루어진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사회’가 신미국을 교섭창구로 삼아 282년에 처음 집단적으로 晉에 사신을 파견함으로써 급성장하고 있던 백제를 견제하고자 했음을 살폈다. 그 과정에서 백포만 북안에 위치한 화산면 안호리·석호리유적을 신미국의 유적으로 추정하였다. 이어 『일본서기』의 관련 기사에 나오는 ‘침미다례’를 ‘신미국’의 후신으로 보고, 4세기 후반 침미다례가 백제에 의해 도륙된 사건의 의미를 살폈다. 또한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문주왕과 동성왕대의 기사에 나오는 ‘탐라’를 제주도가 아닌 해남·강진 일대로 보아 해남 북일면 도암만 연안 일대의 포구세력으로 비정하고, 5세기 후반 북일면 도암만 연안의 ‘탐라’세력이 자기주도적 대외 교섭을 시도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양서』과 『북사』, 그리고 『한원』 인용의 『괄지지』 등의 기사를 분석하여 백제가 ‘22담로체제’에서 ‘5방체제’로 전환한 것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백포만 중간지점에 위치한 현산면 일대를 ‘새금현’으로, 북일면 도암만 연안 일대를 ‘동음현’으로 편제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고대사에서 龍에 대한 인식의 변천 -왕 神聖 권위의 변화와 관련하여-

        강봉룡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6 No.-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erception of drag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king's authority. First of all, the first-stage king relied on the original divine ideology of ‘king=god of heaven’ that came down from heaven, so the dragon of this stage was recognized as a sacred being that brought such ‘king=god of heaven’ from heaven and brought it to heaven. The second stage of the king advocated the discriminatory divine authority of ‘king=Buddha’ along with transmission and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and once the dragon was recognized as a symbol of ‘king=Buddha’. In addition, in the case of Silla, as the king was recognized as ‘owner of the Buddha's land’ defending Buddhism and kingdom, the dragon was also recognized as the ‘guardian god of Buddha's land’ who assisted the king. In the third stage, the king aimed for Confucian norms, the dragon was recognized as indirectly supporting the king's sacred power defending Buddhism and kingdom through the medium of Buddhist monks. This shift in perception appeared in conjunction with the 7th century East Asian maritime conflict and the explosion of exchanges and trade, and the dragon also appears more prominent as the dragon of the sea than the heaven or land. And when it reaches the fourth stage, the perception of ‘king=dragon’ meaning that the king is the appearance of dragon. finally emerged. The perception of ‘king=dragon’ was established as it led from Mahan to Baekje, which led to Later Baekje's Gyeon-hwon, and spread to Wang-geon of Goryeo. In addition, as Wang-geon became the last winner, the perception of ‘king=dragon’ was established in earnest during the Goryeo Dynasty. 본고는 왕의 권위의 변화에 따라 용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간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첫 단계의 왕은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王卽天神’의 원초적 신성 이념에 의존하였으니, 이 단계의 용은 그런 ‘왕즉천신’을 하늘에서 모셔오고 하늘로 모셔가는 신성한 ‘神乘物’로 인식되었다. 두 번째 단계의 왕은 불교의 전래 및 공인과 함께 ‘王卽佛’이라는 차별적인 신성 권위를 표방하였고, 일단 용은 ‘왕즉불’의 표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신라의 경우 왕이 護法과 護國을 망라하는 ‘불국토의 주인’으로 인식되면서, 용은 왕을 보좌하는 ‘불국토의 수호신’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세 번째 단계의 왕은 ‘爲民’을 실천하여 ‘尊王’의 권위를 확보한다는 유교적 규범을 지향하였고, 이에 따라 용은 왕의 신성 권위를 직접적으로 扶助하는 존재가 아니라 佛僧을 매개로 하여 왕의 호법과 호국의 권능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7세기 동아시아 해양 갈등과 교류 및 교역이 폭증하는 현상과 맞물려 나타났으며, 龍도 天龍이나 地龍보다는 海龍의 존재로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리고 네 번째 단계에 이르면 마침내 ‘왕은 용의 현신’이라는 ‘王卽龍’의 인식이 대두한다. ‘왕즉용’의 인식은 마한→백제로 이어지면서 성립하여 후백제의 견훤으로 이어졌고 고려의 왕건으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왕건이 최후의 승리자가 되면서 ‘왕즉용’의 인식은 고려시대에 본격 정착하였다.

      • KCI등재후보

        역사콘텐츠로서 ‘명량대첩축제’의 세계화 방안

        강봉룡 육군군사연구소 2012 군사연구 Vol.- No.133

        As its name clearly reveals,‘Myeongryang Great Victory Festival’focuses on “the great victory”Koreawon in 1597 in the narrow strait of Myeongryang and, accordingly, poses a hindrance to the efforts to give it global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various historical elements(war, hero, people and globalization) that formed the Battle of Myeongryang has revealed some prudent directions by which this problem could be overcome. Where ‘war’was concerned,Ifocused on the true nature of the miracleand nationalsalvation achieved through the actual naval battle, the psychological victory, and various folktales. In the following discussion about the element ‘hero’, unwavering confidence, thorough preparation, unity with hismen and peopleand the spirit of solidarity have been identified as factors behind the character of YiSun-sin, the hero of the Battle of Myeongryang. The importance of a volunteer naval force that consisted of common folks, which actively helped the governmental naval force led by YiSun-sin to turn impossible odds against into victory, is stressed as an example of‘people’. Regarding the efforts to make the festivala ‘globalevent’, a harmony between what is universal and can arouse sympathy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what is specific and can better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and history is essential. War may be the most extreme case of human cruelty, but never the less, it provides us an opportunity to reflecton ourselves and learn the importance of peace. Looking back at the cruelty of humankind and pledging to protectpeace is the most important step towards the commemoration of a war or battle. I hope that ‘Myeongryang GreatVictory Festival’will both highlight the faces of war and peace, and develop itself into a cultural event highly regarded by the global community. ‘명량대첩축제’는 그 명칭에서 엿볼 수 있듯이 ‘승리’의 컨셉에 중심이 두어져서, 축제의 세계화와 보편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명량해전을 구성하는 역사콘텐츠의 제요소(전쟁,영웅,민중,세계화)의 분석을 통해서 그 극복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전쟁’의 요소에서는 명량해전이 가지는 기적과 구국의 성격,심리전의 승리,그리고 설화에 나타난 이야기 등에 주목하였다.‘영웅’의 요소에서는 명량해전의 영웅 이순신의 캐릭터로서,비타협적 신념,철저한 준비,군관 및 백성들과의 혼연일체,연대의 정신 등을 들었다.‘민중’의 요소에서는 이순신의 관군과 함께 명량해전의 승리를 이끌어낸 민초들의 ‘해상의병’을 주목하고,그 활약상을 부각시킬 것을 제안하였다.마지막으로 축제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세계화의 측면에서는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성과 우리 문화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특수성을 적절히 융합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전쟁은 그 자체 잔혹함의 극치이지만, 한편으로 인류에게 평화의 소중함을 충격적으로 일깨워주는 살아있는 반성의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그 잔혹함을 상기하고 평화를 다짐하는 일이야말로 전쟁을 기념하는 가장 중요한 의의라 할 수 있다.이런 면에서 명량대첩제가 ‘전쟁과 평화’의 양면을 부각시켜 세계인으로부터 공감 받을 수 있는 명품축제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고대 동아시아 海上貿易에서 百濟의 역할

        강봉룡 한국상고사학회 2002 한국상고사학보 Vol.38 No.-

        The Yellow Sea and the South Sea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were important channels for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ancient kingdoms in East Asia. Each kingdom in Korea, China, and Japan was able to achieve cultural development and wealth via the exchanges. Any obstacle that blocked the maritime routed linking between kingdoms had to be removed. When Wiman Joseon(衞滿朝鮮) began to pose a threat, Han China destroyed the kingdom and established Nangnang Commandery(樂浪郡) and, later, Daebang Commandery(帶方郡) on the Korean peninsular to use them as the base for its international trade with the rest of the region. When the two Han Commanderies were eventually ousted from the peninsula by Goguryo(高九麗) in the 4th century, Baekje(白濟) began to emerge as a power that would succeed the role the two Han commanderies had played.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近肖古王) that Baekje established itself as a major maritime power in East Asia. In late 4th century, however, Baekje's role as a mediator for international trade began to be checked by Goguryeo, and the regional maritime trade persuaded neighboring countries to form an international alliance against Goguryeo to restore the disrupted maritime trade routes. However, the kingdom never succeeded in holding its enemy in check because by that time Goguryeo had already become one of the major powers in East Asis in close cooperation with both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China as well as a northern kingdom called Yuyeon.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Baekje suffered a serious setback caused by Goguryeo's interruption of the kingdom's efforts to regain its maritime power. Baekje also suffered from a series of political and economic disturbances that broke out during the same period. A king was murdered in an internal struggle for power, and Wae bagan to independently contact the Chinese southern ddynasties without Baekje's mediation.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武寧王) that Baekje regain its maritime power. The kingdom finally restored its alliance with Silla(新蘿), Gaya(加耶), Wae(倭) and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reopened its maritime trade routes while efficiently blocking interruptions by Goguryeo. Baekje's prosperity as a leading maritime power in the region continued until the reign of King Seong(聖王), when the kingdom began to be seriously challenged by Silla. 한반도를 에워싸고 있는 서해와 남해는 고대 동아시아 문물교류의 통로였다. 이를 통해 한∙중∙일 삼국 사이에 활발한 문물교류가 이루어졌고, 각국은 문화의 발전과 國富의 증진을 성취해갈 수 있었다. 따라서 이 항로가 어떤 이유에 의해서건 경색되게 된다면, 그 걸림돌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위만조선이 걸림돌이 되었을 때, 漢이 이를 멸하고 그곳에 낙랑군을 두어 교역의 대리역으로 삼았다. 그리고 낙랑군과 뒤에 신설된 대방군은 동아시아 국제교역의 대리역을 충실히 수행했다. 그런데 4세기에 들어 낙랑∙대방군이 고구려에 의해 축출되자, 한강하류역에서 일어난 백제가 그 역할을 자임하고 나섰다. 백제의 근초고왕은 그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하였고, 그 결과 백제는 해양강국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그러나 4세기 말경부터 고구려가 이에 반격을 가하면서 동아시아 국제교역의 새로운 장애물로 대두하였다. 동아시아 여러 나라는 다시금 교역 통로가 경색됨으로 인해 고통을 받아야 했다. 백제는 주변국가를 설득하여 反高句麗 국제연대망을 구축하여 대항하였으나, 고구려의 강력한 저지선을 돌파하는 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미 고구려는 중국의 남∙북조 및 북방의 柔然과 4강의 세력균형을 구축해 놓은 상황이었기 때문에 누구도 고구려의 교역 방해 공작을 쉽게 저지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근초고왕 대의 해양강국을 재건하려는 백제의 노력은 번번이 수포로 돌아갔으며 숫한 시련과 좌절을 맛보아야 했다. 내분이 일어나 국왕이 시해되기도 했고, 충실한 백제의 추종세력이던 왜가 백제를 통하지 않고 중국 남조와 직접 거래하는 ‘홀로서기’를 시도하기도 하여, 백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그렇지만 백제의 해양강국 재건의 꿈은 무령왕대에 이루어졌다. 신라∙가야∙왜, 그리고 중국 왕조와의 연맹관계를 회복∙강화하고, 고구려를 군사적으로 압도하면서, 서해와 남해의 연안항로를 재개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써 백제는 다시 강국이 되었음을 국제적으로 공인받고 동아시아 국제교역을 주도적으로 중개해 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추세는 성왕 대에까지 이어졌다. 그렇지만 이것은 오래가지 못했다. 곧바로 신라의 도전이 이어졌던 것이다.

      • KCI등재

        통일신라~고려시대 흑산도 ‘읍동포구’의 ‘국제항’적 면모

        강봉룡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3 해양문화재 Vol.18 No.-

        이 논문은 고고 및 문헌 자료를 통해서 흑산도 읍동포구가 통일신라 후기~고려시대에 한·중 사단해로를 잇는 ‘국제항’의 기능을 수행했을 가능성을 제기한 논고이다. 먼저 그간의 고고학 조사를 통해 읍동포구에서 확인된 관사터와 봉수터는 뱃사람들의 숙소와 통신 시설로, ‘무심사선원’으로 사명寺名이 밝혀진 사찰과 상라산 봉우리에서 확인된 제사터는 당시 뱃사람들의 무사항해를 기원하는 신앙처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읍동포구의 ‘국제항’적 면모를 살폈다. 다음에 흑산도 읍동포구의 이러한 면모는 한·중 횡사단해로의 항정航程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9세기의 『입당구법순례행기』와 12세기의 『고려도경』을 통해서 살폈다. 그리고 『송사』와 『택리지』 등의 관련 기록을 통해서 이를 뒷받침하였다. 또한 『원사』 등의 기사에서 13세기 후 반 몽골과 고려가 해양전략적 관점에서 흑산도에 대하여 비상한 관심을 표명했던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흑산도가 동아시아 해로 상의 중요 길목에 해당하였음을 재삼 논의하였다. 그러나 14세기 중반경에 흑산도의 주민들이 영산강변 남포로 이주하여 ‘공도空島’로 전락하면서 흑산도의 ‘국제항’적 면모가 종식되었음을 살폈다. 그러다 17세기 후반에 흑산진이 설치 되면서 흑산도가 다시 공식적으로 ‘사람이 사는 섬’이 되긴 하였으나, 지속된 조선의 해금정책 海禁政策으로 인해 국제 거점항으로서의 위상은 끝내 회복하지 못하였음을 논하였다.

      • KCI등재

        ‘새만금 바다’, 고대 동아시아의 해양 허브 -7세기 동아시아 해전과 벽골제 문제를 중심으로-

        강봉룡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논총 Vol.50 No.-

        ‘새만금 바다’가 ‘고대 동아시아 해양 허브’로 기능했던 바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폈다. 첫째, ‘새만금 바다’는 7세기에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신라, 고구려, 백제, 당, 왜)이 국운을 건 혈투를 벌인 현장이다. 660년 당 소정방 함대의 미자진(군산) 상륙작전, 663년 나당연합군과 백제왜연합군 사이에 벌인 백촌강(동진강) 해전, 그리고 676년 ‘동아시아 대전’을 종식시킨 기벌포(장항) 해전이 그것이다. 둘째, 새만금의 연안 해역은 호남평야 형성사의 현장이다. 4세기에 벽골제를 축조한 이후 간척사업이 1,600여 년간 지속 진행되어 오늘날의 호남평야가 형성되었다. 벽골제는 4세기 당시에 세계적인 규모의 제방이었다. 그리고 장구한 세월 간척을 통해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고 비옥한 호남평야를 형성했다는 것은 그 자체 놀라운 일이다. 21세기에 들어 ‘새만금 바다’는 세계 최장의 ‘새만금 방조제’를 축조하여 또 다시 새 역사를 쓰고 있다. ‘새만금 바다’는 4세기의 벽골제에서 시작하여 21세기의 새만금 방조제까지 1,700년을 이어 내려오며 ‘동아시아 해양 허브’로 기능하고 있다. We have looked at two aspects of how the ‘Sea of Saemanguem’ served as an ‘Ancient Maritime Hub of East Asian’. First, the ‘Sea of Saemanguem was a site where the countries of East Asia (Silla, Goguryeo, Baekje, Tang, and Wae) fought against each other in the 7th century. They are Mijajin(now Gunsan) landing operation of SuDingfang fleet in 660, battle of Baekchon river(now Dongjin river) between Silla-Tang coalition and Baekje-Wae coalition in 663, and the Battle of Gibeolpo(Janghang), which ended the “East Asian Great Wars” in 676. Second, the coastal area of Saemanguem is the site of the formation of the Honam Plains. After the construction of Byeokgolje in the 4th century, there clamation project continued for 1, 600 years, forming the present Honam plains. Byeokgolje was a world-class embankment in the 4th century. And it is surprising that it has formed the widest and fertile Honam Plain in Korea through the reclamation for a very long time. In the 21st century, the 'Sea of Saemanguem' is making history again by building the world's longest 'Seawall.' And it starts from Byeokgolje in the 4th century and continues for 1,700 years until the Sea of Saemanguem seawall of the 21st century, functioning as the ‘Maritime Hub of East Asian’.

      • 이사부와 장보고의 해양활동과 국가발전

        강봉룡 한국이사부학회 2011 이사부와 동해 Vol.3 No.-

        이사부는 왕족 출신의 신라 최고 귀족으로서 신라의 대외팽창과 국가체제 정비 에 앞장 선 국가의 동량이었다. 그가 살았던 6세기 전반은 신라가 크게 융성하고 뻗어가는 시기였다. 그는 국사 편찬을 건의함으로써 내치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큰 획을 그었고, 동해안 진출과 남해안의 가야 진출을 주도함으로써, 동남해 연안항 로에 대한 주도권 확립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이후 신라의 국가 발전에 절대적 원동력이 되었다.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은 동해안 패권을 확립한 것을 의미하고, 금관국의 복속은 김유신 가문을 영입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신라의 삼국통 일이 이사부와 김유신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으니, 이것이 이사 부가 성취한 해양진출의 큰 의의이다. 장보고는 섬 출신의 일개 평민 신분으로 이사부와는 신분적으로 대조적이다. 그 가 살았던 9세기 전반은 국가가 주도하는 공무역보다는 개인 능력자가 주도하는 사무역이 발전하는 시기였다. 바로 이 시기에 장보고는 당으로 건너가 군인으로 출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무역의 최고 거상으로 성장하였다. 828년에는 신 라에 돌아와서 흥덕왕의 지지를 얻어내 완도에 청해진을 건설하여 동아시아 해상 무역을 주도하는 기지로 활용했다. 그는 단순한 무역업에 그치지 않고 서남해지역에 대규모 청자생산단지를 건설 하여 신라를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자기를 생산하는 나라가 되게 했으 며, 한 중 일의 바닷길을 잇는 이른바 ‘장보고항로’를 활성화시켰다. 청자생산단지는 이후 고려청자로 이어져 전성기에 이르렀고, ‘장보고항로’는 고려시대에도 핵심 항 로로 지속 발전해 갔다. 결국 이사부는 ‘원조 해양진출의 영웅’, 장보고는 ‘본격 해양진출의 영웅’이라 평 가할 수 있겠다. Isabu, a high nobility from royal family, was the pillar of Silla who led the foreign expansi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system. The time of Isabu’s life, the early sixth century, was when Silla was thriving and expanding. Isabu established the base of home administration by suggesting the compilation ofnational history while enabling Silla to establish the hegemony over the south and east coastal sea routeby leading the advancement to the East Sea and the conquest of Gaya on the South Coast. These achievements became the driving force of Silla’s later national development. Isabu’s subjugation of Usan-guk means that Silla gained supremacy over the east coast, and the subjugation of Geumgwan Gaya means that the family from which Kim yu-shin would later be born now entered Silla. This is the significance of Isabu’s overseas advancement since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y Silla was achieved by Kim Yu-shin. Unlike Isabu, Jang Bo-go was a commoner from an island. The time of Jang Bo-go’s life, the early ninth century, was when private trade was growing rather than public trade led by the government. It was under that historical circumstance that Jang Bo-go went to the Tang Dynasty where he became successful as a military man, and, with that basis, grew to be a business magnate. He came back to Silla in 828. With the support of King Heungdeok, he established Cheonghaejin in Wando Island to use it as a base for leading the overseas trade within the East Asia. Beyond simply being a trading businessman, Jang Bo-go made Silla the second best country in the world, next to China, in porcelain, by constructing a large-scale celadon production site in the southwest coast region. Moreover, he activated the so-called “Jang Bo-go sea route,” which connected Korea, China, and Japan. The celadon production site became the place where the famous Goryeo Celadon was produced, and the “Jang Bo-go Sea Route” kept being developed even throughout the Goryeo Period as an important sea route. In conclusion, we can evaluate Isabu as “the hero of original overseas expansion” and Jang Bo-go as “the hero of overseas expansion in earn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