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식어업에 따른 생태인지체계의 확장과 ‘해산물 부르기’ 의례의 진화 -전남 남해안지역 갯제를 중심으로-

        송기태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1 島嶼文化 Vol.0 No.38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of the development of aquaculture and sea ceremony,the change of ecology recognition system, and the patterns of the evolved sea ceremony. In addition,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 fact that the evolution of sea ceremony was limited to the Jeonnam southern coast. The main subject of our discussion was the Jeonnam southern coast. Details of our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we classified the sea ceremony inherited in the coast into three pattern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remony,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Among these festivals,the festival of ‘Calling for Seafood’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quaculture. It is also related with seaweed aquaculture. The festival reacted with ups and owns of Nori aquaculture, and what people wished in the festival have changed as what they raise have changed mainly from Nori to other produces. Aquaculture is not just abou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ut like the change from hunting to farming. In the hunting society, human beings only could catch wildlife, but they started to control the area of nature by three steps of sowing, managing, and harvesting in the farming society. Also in fishing, human beings had been only catching seafood raised in nature, but started to control sea as aquaculture was developed. As we recognized sea and mud as the space of cultivation, the ceremony of the festival started to change and evolve. As the coast because the mecca of Nori and seaweed aquaculture, the sea ceremony got to take place in the time of the autumnal equinox day. The sea ceremony at that time made ‘Calling for Seafood’ originally took place around the first month of a year as the ceremony of sowing. Whereas, these sea ceremonys in January are found out mainly in the southern coast of Jeonnam. In addition, it intensively diffused at the early period of seaweed aquaculture,mainly Nori. This is because aquaculture was mainly carried out with seaweed. The time of harvesting of shellfish or fish is not converged at a short time, but seaweed should be harvested in specific times every year. In addition, the rapid diffusion of the sea ceremony was based on the limit of ecology of aquaculture. Examining the pattern of the early stage of aquaculture showed that seed collecting in aquaculture of seaweed and shellfish is totally different with sowing a seed in farming. Human beings could not culture the seed of seaweed or shellfish in the earlier step of aquaculture. In other words, nature should sow more seed in order to harvest more. 본 연구는 어업문화사의 전개라는 측면에서 양식어업의 발달과 갯제의 상관관계, 생태인지체계의 변화와 그에 적응해서 진화한 갯제의 양상을 주목했다. 또 갯제의 진화가 전남 남해안지역에 국한된 점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논의의 중심 지역은 전남 남해안이다. 구체적인논의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남해안과 서해안지역에 전승되는 갯제를 의례의 성격에 따라 세 유형으로 구분하고그 특징을 살폈다. 갯제의 세 유형 중에서 ‘해산물 부르기’ 형식의 갯제는 양식어업의 발달과일정한 관련성이 찾아진다. 전남지역의 해산물 부르기는 해조류양식과 긴밀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김양식의 성쇠에 따라 의례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양식품목이 김에서 타 작물로 대체되면서 축원의 내용이 달라지고 있다. 양식어업은 단순한 기술발달의 차원에 국한되지 않는다. 육지의 생업 변화를 예로 들면,수렵에서 농경으로 전환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수렵사회에서 인간은 들짐승을 포획하는 것에 그쳤지만, 농경사회는 파종-관리-수확의 3단계를 통해 인간이 자연의 영역을 제어하기 시작했다. 어업에서도 기존에는 ‘자연이 길러준 해산물’을 수확만 하다가, 양식어업이 발전하면서 비로소 바다에 대한 인간의 제어가 시작되었다. 어촌의 주민들이 바다를 ‘수확만 하는 공간’에서 ‘심고–기르고–수확’하는 경작의 공간으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바다와 갯벌을 경작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면서 의례 또한 변화에 적응하고 진화하기에 이르렀다. 전남 남해안지역은 일제강점기 이후 김을 중심으로 한 해조류양식의 주산지로 기능하면서부터 매해 추분(秋分) 시기에 갯제를 지내기 시작했다. 이때의 갯제는 정월 무렵에 진행하는 ‘해산물 부르기’를 구체적인 파종의례로 정착시킨 것으로서 갯벌에 대한 생태인지체계가 확장되면서 의례가 적극적으로 진화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런데 이러한 추분 기의 갯제는 전남 남해안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시기적으로도 김양식을 진행하던 초창기 해조류양식 시기에 집중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파악된다. 전남 남해안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이유는 양식어종이 해조류에 집중되었기 때문인 것 같다. 타 지역에서 양식하는 패류나 어류는 다년생으로서 파종과 수확에 해당하는 기간이 집중적이지 않지만, 해조류는 1년생으로서 파종과 수확이 집중되고 의례 또한 세시적 주기로서 반복될 수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초창기 해조류양식 시기에 갯제가 확산된 데는 생태적 조건의 한계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양식업의 양상을 검토하면, 연안지역의 해조류와 패류양식에서 채묘의 단계는 농경에서 ‘씨앗을 심는’ 것과 차원이 다른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더 많은 수확을 얻기 위해서는 자연이 더 많은 씨앗을 뿌려주어야만 가능한 구조적 한계를 지니고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서남해 무레꾼 전통의 변화와 지속

        송기태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hanyeo (female divers)of Korea’s southwestern sea region by investigating their history and currentactivities. In the southwestern sea area, those who harvest seafood from belowthe surface of the water are called ‘mureggun’. Both men and women used todive in the past, but male divers have gradually disappeared since Jeju hanyeowere introduced and the name of ‘hanyeo’ has begun to be generally used. I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the words ‘pojak’ and‘ponyeo’ can be easily found, which refer to people who are from Jeju Islandand professionally fish. They were assumed to sail around the islands andcoastal areas of Korea’s southwestern sea region and have a correlation withcurrent muregguns in a broad sense. In addition, there are detail records ofthe activities of hanyeo written by someone who went sightseeing throughoutin Korea’s southwestern sea region in 1791. The unusual thing of hanyeo tradition in Korea’s southwestern sea regionis the existence of male muregguns. According to my survey results, it wasfound that male muregguns existed in the southwestern sea regions and theydived with female muregguns. The activities of male muregguns ceased about forty to fifty years ago and only a few memories remain, but theiractivities can be confirmed in many areas of Korea’s southwestern searegion. People in Korea’s southwestern sea region were familiar with water andswam for fun dating back to their childhood. Naturally, they could acquirediving skills for gathering seaweed with little effort. However, there aredifferences between diving and being a professional hanyeo. The southwesternsea regions didn’t need professional hanyeo. There were hanyeo there at thattime, but it is assumed that there were no professional hanyeo. In thesecircumstances, Jeju hanyeo were introduc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as a result, professional hanyeo were assumed to appear. Since the 1970s whenJeju hanyeo began to dive in rubber suits, male muregguns naturally stoppedtheir activities and female muregguns began to emerge with a few professionaldivers. Currently, hanyeo are fishing in slight conflict with local residents. Theyusually fish in local fisheries where hanyeo and local residents fish together. In case of algae, local residents gather and distribute them together. As forother marine products, the towns and villages sell the rights to collect marineproduct to hanyeo. The practice of selling the rights to collect marineproducts to hanyeo are still maintained in the southwestern sea regions,whereas hanyeo generally manage local fisheries on Jeju Island. It mightseem unfair, but in a broader sense, it is a way for effective co-existencebetween hanyeo and local residents. In short, since local fisheries arecommon assets and most local residents are not able to become hanyeo, theyhave chosen this way of sharing profits together, and in turn, preserving theprofits of hanyeo. 본고에서는 서남해지역 무레꾼의 과거 모습을 추적하고, 제주해녀와의 영향관계 속에서변화하고 적응해 온 과정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마을어장에서 무레꾼과 일반 주민들의 관계를 주목하여 현재의 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남해지역에서는 잠수를 하여 해산물을 채취하는 사람을 무레꾼이라고 한다. 과거에는남자와 여자가 함께 무레질을 하여 ‘무레꾼’이라는 명칭이 일반적이었으나, 제주해녀들이 들어오고 차츰 여성들만 무레질을 하게 되면서 ‘해녀’와 ‘잠수’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기록에는 제주도 출신이면서 바닷일을 전문으로 하는 포작과 포녀에 대한 언급이 많다. 이들은 배를 타고 유랑하듯이 서남해의 섬과 해안을 떠돌아다닌 것으로 파악되는데, 큰 틀에서 지금의 무레꾼과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서남해 무레꾼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록으로는 1791년에 기록된 <금당도선유기>를 통해 완도의 평일도무레꾼들이 전복 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남해지역 무레꾼 전통에서 특징적인 점은 남자무레꾼의 존재이다. 필자의 조사에 의하면 서남해 일대에서 남자무레꾼이 존재했고 그들이 여자들과 함께 무레질을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남자무레꾼의 활동은 40~50여 년 전에 중단되면서 파편화된 기억으로 전해지지만,서남해 곳곳에서 남자무레꾼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 서남해의 주민들은 물과 친숙하여 어려서부터 수영을 하면서 놀았고, 그 과정에서 조금의노력을 통해 물속의 무레미역을 채취할 정도의 잠수능력을 갖추었다. 그러나 무레질을 하는것과 전문적인 무레꾼이 되는 것은 다른 것이었다. 서남해지역에는 전문적인 무레꾼이 필요한 사회가 아니었고, 무레꾼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집단적이거나 전문적인 무레꾼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제강점기에 제주해녀들이 들어오고, 그들과 접촉하면서 전문적인 무레꾼들이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1970년대 제주해녀들이 고무옷을 입고 등장하면서부터 남자무레꾼들은 자연스레 활동을 중단하였고, 여자무레꾼들은 소수화 되어 좀 더 전문화된 직업으로 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전남 도서지역의 무레꾼들은 마을어장에서 자연산 해산물을 채취하는 소수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마을어장은 무레꾼과 마을주민이 공유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둘사이에는 미묘한 갈등관계가 존재한다. 해조류의 경우 대부분 마을주민들이 공동채취 및 분배를 하고, 수중의 해산물은 마을에서 해녀사업자에게 빈매를 한다. 제주도의 경우 해녀들이마을어장 전반을 관리하고 스스로 조직을 만들어서 어로활동을 전담하는데, 서남해에서는 마을에 무레꾼들이 있더라도 빈매 관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일면 부당해보일 수있는데, 그 속을 들여다보면 무레꾼과 마을주민이 공존하기 위해 선택한 하나의 방법임을 알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마을어장은 주민들의 공유재산인데, 마을사람 대부분이 무레꾼이될 수 없기 때문에 마을에서는 무레꾼들의 수익을 보전해주면서 주민들도 그 수익을 공유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열열화된 PVC 케이블의 부분방전 진단

        송기태,이성일,Song, Ki-Tae,Lee, Sung-Ill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1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4 No.3

        In this thesis, the partial discharge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and variations of cross-sectional area and length of the conductor related to general condition for using cable was measured in order to study degradation diagnosis for 2-Core cable of the PVC insulator used in industrial fields for other safety installations. Also the thermal degradation conditions under various installation circumstances of cables were studied by assuming degradation conditions with each different degradation rate (50%, 67%, 100%) such as variation in degradated temperature, thermal exposure time, normal state, partially degradated state and overall degradated state for thermal degradation diagnosis. The quantity of electric discharge (V-Q) according to applied voltage was measured for measurement of inception voltage and extinction voltage. The quantity of electric discharge and the number of electric discharge (Q-N) were measured with applied voltage kept constantly. In addition, pictures were taken using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o compare the surface of external insulator to degradated state of internal insulator according to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and also compare the surface of external insulator to degradated surface state of internal insulator according exposure time of cables to thermal stress.

      • KCI등재

        바다의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짓가림 관행의 지속과 확산

        송기태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A life that depends on the sea for a livelihood has to take risks and face uncertain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remise of agriculture that ‘If you plant beans, you will get beans, if you plant red beans, you will get red beans.’ This paper discusses the practice of Jitgarim (profit sharing) of fishery as a system for people to adapt to the uncertainties of the sea, and takes note of the changes in the process of its rapid introduction to village fishing grounds since the twentieth century. Jitgarim refers to a wage system that divides and distributes ‘jit’, an individual share of the catch in the fishery. As a unique practice in the Korean fishery, Jitgarim is still effective today. In the Jitgarim system of fishing vessel fishery, ‘jit’ is divided into the share of the boat, which is a means of production and capital, and the share of the crew, who are workers. The share of the crew members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captain, which reflects the evaluation of knowledge and know-how of the captain about the sea. The Jitgarim system is also found in seaweed harvesting communities, but it is not a common practice but exists as one of many ways of seaweed harvesting practices. Its main feature is that it appears only in communities based on co-occupying and co-harvesting. It is used as a way to collect seaweed together on a jointly occupied shore and to divide the jit of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labor. In this case, Jitgarim involves a value evaluation of ‘compensation for the cultivation and management of seaweed’. Fishery refers to only catching fish without knowing the growing process of fish, but in the case of seaweed, manual labor is needed to cultivate it even if it is wild, so the effort for the growth process is included in jit. And Jitgarim in the village fishing ground also has the character of individual share of the sea. This is because the seaweed collection area is defined as a shared resource as a village fishing area and individual shares are recognized as rights. The traditional Jitgarim practice appears to have been introduced and widespread throughout the village fishing grounds since the twentieth century. Fishermen on the Korean Peninsula had a strong tendency to think of village fishing grounds as areas for collecting seaweed, but with the arrival of haenyeo (female divers), underwater fishing grounds were incorporated into village fishing areas and they began to claim their rights. In particular, after the establishment of fishing village fraternities in the 1960s, the rights to underwater fishing grounds were completely settled as belonging to fishermen. As a result, fishermen obtained the right to the fishing grounds without being able to dive, and haenyeo did not have the right to the place even though they were diving. Accordingly, fishing village communities and the haenyeo introduced the Jitgarim system in which they shared the total output, and until now they coexist as two main participants in the fishing ground. As the situation of underwater fishing grounds developed in this way, jit (profit) generated without cost became an important means of building the material foundation of the fishing community. The health of the fishing village depends on how the value is utilized. 바다를 매개로 한 삶은 언제나 위험을 감수하고 불확실성과 마주해야만 하는 것으로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농경의 인과론적 세계와 거리를 두고 있음을 전제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바다의 불확실성에 적응해온 기제로서 어업의 짓가림 관행에 대해 살펴보고, 20세기 이후 마을어장에 급속히 이입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들을 주목하였다. 짓가림은 어업에서 어획량에 대한 개인의 몫으로서 ‘짓’을 구분하고 분배하는 임금제를 지칭한다. 짓가림은 어렵(漁獵)을 주로 하는 어업에서 특징적으로 행해져 왔고, 현재까지 유효한 방식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어선어업의 짓가림제에서 ‘짓’은 생산수단이자 자본인 배의 몫과, 노동자인 선원들의 몫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 선원들의 몫은 선장과 차등을 두는데, 그 기저에는 바다 지식과 노하우에 대한 가치평가가 담겨 있다. 짓가림제는 해조류 채취공동체에서도 확인되는데, 일반적인 형태는 아니고 어촌공동체의 다양한 운영방식 중 하나로 존재한다. 주된 특징은 공동점유와 공동채취에 기반을 둔 공동체에서만 나타나는 점이다. 공동으로 점유한 해안에서 함께 해조류를 채취하고, 노동에 참가한 개개인의 짓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때의 짓가림에는 ‘해조류의 생육과 관리에 대한 보상’이라는 가치평가가 개입되어 있다. 어렵(漁獵)은 물고기의 성장과정을 모른 채 포획만 하지만, 해조류는 자연산이라 할지라도 경작하듯 인간의 손길이 가해지기 때문에 성장 과정에 투여하는 노동의 짓이 담겨있는 것이다. 그리고 마을어장의 짓가림은 바다를 공유하는 개인의 지분이라는 성격도 지니고 있다. 해조류 채취구역을 공유자원으로 규정하고 개인의 지분을 권리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짓가림 관행은 20세기 이후 마을어장 전반에 도입되어 광범위하게 확산된 것으로 파악된다. 한반도의 어민들은 마을어장을 해조류 채취구역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해녀가 진출하면서 나잠어장도 마을어업의 구역으로 편입하고 그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한다. 특히 1960년대 어촌계가 성립한 후에는 나잠어장에 대한 권리가 완벽하게 어민의 것으로 정착한다. 어민은 잠수를 못하면서 어장의 권리를 획득하고, 해녀는 잠수를 하지만 권리는 없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어촌공동체와 해녀는 총생산량을 나누는 짓가림제를 도입하고, 현재까지 어장의 두 주체로서 공존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