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안군의 생태계 교란 식물 분포와 관리방안

        조영준(Yeong Jun Cho),고경남(Gyeong Nm Ko),박경옥(Gyeong Ok Park),박우량(Woo Ryang Park),김하송(Ha Song Kim)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21 농어촌관광연구 Vol.24 No.2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rch 2020 to December 2021. A total of 30 surveys on the distribution of plants disturbing the ecosystem were conducted by dividing the 14 towns and villages in Shinan-gun. As a result,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wa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at 111,624m2, Solidago altissima L. was 12,478m2, and Hypochaeris radicata L. 1,803m2, which was high. Solanum carolinense L., Aster pilosus Willd. and Ambrosia trifida L. were relatively low, but it is expected that the amount of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and Solidago altissima L. will gradually expand throughout shinan-gu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lants disturbing the ecosystem in shinan-gun,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was the highest at 87.2% of the total distribution area, followed by Solidago altissima L., Paspalum distichum L., Rumex acetosella L., Ambrosia artemisiifolia and Lactuca scariola L. The main distribution habitats of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and Paspalum distichum L. are agricultural waterways and reservoirs (Dumbeom) in paddy fields. Solidago altissima L., Hypochaeris radicata L., Lactuca scariola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ster pilosus Willd. and Solanum carolinense L. were ainly found on road borders, fields (battches), and baby swimming on pasture meadows. Major ecosystem disturbances ar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depending on the plant. It is considered that the biological method to induce restoration of natural ecosystem by transplanting the native species suitable for the habitat would be effective when the distribution area is small. However, comprehensive and long-term countermeasures will be needed as long-term ecosystem restoration plans related to ecosystem disturbance removal are established.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구조

        조영준 ( Cho Yeong-jun ),김하송 ( Kim Ha-song ),명현호 ( Myeong Hyeon-ho ),박정원 ( Park Jung-won ),오장근 ( Oh Jang-geun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에 위치한 상록침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77개의 방형구를 설정하고,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소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대흑산도에서 조사된 곰솔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곰솔군락은 대흑산도 진리, 읍동, 마리, 소사리, 예리, 심리 등의 주로 해안에 인접한 서사면부와 산지대 저해발의 능선지역에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대흑산도에서 조사된 소나무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 진리, 청촌리, 천촌리 등의 저해발 사면부 및 해안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대흑산도에서는 소나무군락과 곰솔군락이 부분적으로 상록활엽수림과 혼재하면서 생태적 경쟁에 따라 자연 천이가 진행되어 군락내의 각 계층구조별 다양한 종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교목 층에서는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소나무, 곰솔 등이, 아교목층에 구실잣밤나무, 사스레 피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예덕나무 등이 주요 우점 종으로 나타나면서 향후 지리적 특성과 기후환경변화에 따른 상관 우점종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침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침엽수림 군락은 소나무-소사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고, 대흑산도 상록침엽수림 면적은 전체 삼림 면적 중에서 43.52%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14 to January 2018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77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14 communities :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emargin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ponus turczaninow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case of dominant species studied in Daehuksan Island, Pinus thunbergii forest was dominated by the dominant species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emarginat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Mallotus japonicus community. The investigated Pinus thunberg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Pinus thunbergii, and it formsa community on coastal hillsides and southwestern slopes mainly in the Daehuksan Island Jinri, Eupdong, Mari and Sorasi village. In the case of dominant species studied in Daehuksan Island, Pinus densiflora forest was dominated by the dominant species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ponus turczaninow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investigated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Pinus densiflora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it is clustered around the villages of Daehuksan Island Jinri, Yeri, Simri and Chilrak mountain and the Northeast slope. In Daehuksan Isl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are mixed with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natural transition occur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ompetition of these communities. The most important dominant species in the tree layer a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andPinus thunbergii. The most important dominant species in the subtree layer a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Eur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nd Mallotus japonicus.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Pinus densiflora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The area of evergreen coniferous forest in Daehuksan Island is 43.52% of the total forest area.

      • KCI등재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조영준 ( Cho Yeong-jun ),김하송 ( Kim Ha-song ),명현호 ( Myeong Hyeon-ho ),박정원 ( Park Jung-won ),오장근 ( Oh Jang-geun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8개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다. 식생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식생단위를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인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별로 분포지, 서식지 특성, 주요 분포종 등을 비교하였다. 조사된 구실잣밤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 사리, 비리, 심리, 소사리 등의 주로 남서사면과 계곡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상관형으로는 상록활엽수림이며, 군락구조는 4층 구조로서 높이는 교목층이 12-14m이며 평균 식피율은 교목층 95%, 아교목층 45%, 관목층 51%, 초본층 58%로 나타났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후박나무림의 식생단위는 후박나무-큰천남성군집, 후박나무-섬바디군집, 후박나무-밤일엽군집, 후박나무군락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후박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마을, 소사리, 마리 등의 마을주변에서, 붉가시나무군락은 대흑산도 문암산 정상부근과 비리마을 상부지역에서 분포하였다. 동백 나무림의 식생단위는 동백나무전형군집, 동백나무-후박나무군집, 동백나무-곰솔군집, 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까마귀나무군집, 동백나무-모밀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붉가시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생달나무군집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동백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사리마을, 심리 마을 주변 저지대 및 구릉지을 중심으로 분포하였으나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교목층의 식생이 교란된 지역이 많았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은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 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 등으로 구분하였고, 대흑산도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전체 삼림 면적 중에서 58.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흑산도의 주요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 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이며, 향후 이들 군락이 기후변화, 인위 적인 간섭, 자연천이 요인들에 의하여 각 군락의 종 구성 변화가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of 2014 to January of 2017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38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8 commun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Overall, in order to extract vegetation units based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inform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Korea Peninsula, a comparasion study was conducted. The distribution area, habitat characteristic and its main distribu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were compared for this study. The investigate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It forms a community in the southwestern slope and valleys of the Daehuksan Island Yeri, Sari, Simri and Sorasi village. The investigated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Machilus thunbergii. It forms a community in and around towns, mostly in Daehuksan Island Yeri, Sorasi and the Mari village. The investigated Quercus acut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Quercus acuta, and it forms a community in the top of Mt. Munam and the upper part of Viri village. The investigated Camellia joponic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Camellia joponica, and it was distributed around Daehuksan Island Sari, Simri village, and lowlands and the hilly area. However, there were many areas where tree vegetation was disterbed due to human interference.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The area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ehuksan Island is 58.0% of the total forest area.

      • 안테나 개수에 따른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분리 연구

        방석영(Seok-Yeong Bang),조영준(Young-Jun Cho),김민재(Kim-Min Jae),이상연(Sang-Yeon Lee),이종석(Jong-Seok Rhee),홍인기(Een-Kee Hong)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LTE에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와 DUDe(Downlink/Uplink Decoupling)기술은 채널 간 간섭을 완화시키고, 셀 용량을 증가시켜주는 중요한 기술이다. 매크로 셀(Macro Cell) 안에 복수 개의 소형 셀(Small Cell)을 설치해 UE가 여러 유형의 엑세스 노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UE(user equipment)가 상 · 하향링크를 각각 최적화된 채널을 생성할 수 있는 기지국에 독립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해주었지만, 여기에 다중 안테나 기술(MU-MIMO, Beamforming)을 적용하면 안테나 개수를 늘리면 Coverage를 더 넓힐 수 있고, 셀 용량을 더 늘릴 수 있는 것처럼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 · 하향링크 분리를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시뮬레이션 하고, 매크로 셀, 소형 셀, UE의 안테나 개수를 늘려가며 채널 용량과 DUDe Zone 범위를 분석한다. 안테나 수가 많아지면 독립적인 채널의 수가 증가하고, 복수의 UE에 각각 다른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안테나 수를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 안테나 수가 많을 때 Cell에서 수용 가능한 사용자 수가 많았으며, 더욱 넓은 Coverage를 갖게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즉, 안테나 수를 증가시키면, 더욱 많은 UE가 DUDe를 잘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대흑산도 삼림식생의 조풍해에 관한 연구

        김하송 ( Kim Ha-song ),조영준 ( Cho Yeong Jun ),오동선 ( Oh Dong Sun ),홍현승 ( Hong Hyun Seong ),명현호 ( Myeong Hyeon-ho ),오장근 ( Oh Jang-geu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대흑산도에서 태풍에 의해 야기되어진 조풍(潮風) 발생 및 식생에 나타난 시간적·공간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8월 하순 대흑산도를 강타한 태풍 볼라벤(BOLAVEN)의 통과시 기상자료를 분석하고 이후 식생조사를 수행하여 대흑산도 식생에 나타난 조풍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풍해는 주로 강한 풍속에 의해 대흑산도 동부 해안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풍성 마른 태풍이었기 때문에 염분이 식생에 잔재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었고, 대흑산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림에 피해를 주었다. 대흑산도 침엽수림 조풍 피해지역 면적 현황으로는 1등급(심피해)은 1,770,886.2㎡(8.29%), 2등급(중피해)은 1,246,763.7㎡(5.83%), 3등급(경피해)은 1,197,624.9㎡(5.60%), 4등급(건전)은 5,692,474.1㎡(26.64%)으로 나타났다. 대흑산도 삼림 조풍 피해지역별 주요군락의 면적 현황으로는 주요군락별 1등급(심피해)지역 면적은 곰솔군락과 곰솔혼합림, 2등급(중피해)지역 면적은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3등급(경피해)지역 면적은 곰솔-동백나무군락, 4등급(건전)지역 면적은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대흑산도 주요 지역별침엽수림 피해 현황으로는 대흑산도 동쪽방향, 예리와 기상대 주변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도 많은 강수량을 동반하지 않은 강풍성 태풍이 다가올 경우 조풍해가 예상되므로 침엽수림(소나무, 곰솔)을 보호하기 위한 체계적인 기초자료 확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 근본적으로는 한반도 전 해안지역을 따라 태풍의 특성 및 도서지역의 삼림식생에 대한 조풍 재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salty wind by typhoon in Daeheuksan Island and their damage to windbreak forests a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se patterns, vegetation survey and meteorologica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after the attack of typhoon BOLAVEN in late August, 2012. Collected data shows that salty wind damage in windbreak trees by the typhoon was distinct in the eastern coastal areas, due to the easterly gusts with less precipitation. The coniferous forests that grow wild in Daeheuksan Island were affected. The coniferous forest area status affected by the salty wind are follows: The grade Ⅰ area(severe damage) was 1,770,886.2㎡(8.29%), Grade 2 area(medium damage) was 1,246,763.7㎡(5.83%), grede 3 area(weak damage) was 1,197,624.9㎡(5.60%), and grede 4 area (no damage) 5,692,474.1㎡ (26.64%). The major community area of forest damage affected salty wind are follows: The grade Ⅰ area(severe damage) was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mixed forest, Grade 2 area(medium damage) was the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grade 3 area(weak damage) was the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and grade 4 area(no damage) was the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A major regional coniferous forest damage status in Daeheuksan was all mainly from the easterly direction of the island, The Yeri village and the surrounding meteorological observato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ediction and proactive activities for salty wind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its damages to the coniferous forest(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especially before the arrival of dry typhoon accompanying a gusty wind. More fundamentally, database on the forest vegetation of Korea`s coastal areas is needed in order to prepare for the typhoon.

      • KCI등재후보

        변산반도국립공원 꽝꽝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

        김하송(Ha-Sing Kim),조영준(Yeong-Jun Cho),이지희(Ji-Hee Lee),오도일(Do-Il Oh),명현호(Hyun-Ho Myeong),이정윤(Jung-Yun Lee)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변산반도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꽝꽝나무군락 서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하여 군락 분포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과 주요 식생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꽝꽝나무군락 주변에서 총 22과 21속 32종 4변종 총 3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꽝꽝나무군락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근접거리에서 식생은 산지침엽수림인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으로 나타났으며(북위 35° 39′ 18.62″, 동경 126° 34′ 56.70), 해발고도 85m~95m, 경사도 10°~15°, 남사면과 남서사면을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교목층에서는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등이, 아교목층에서는 졸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때죽나무, 당단풍 등이, 관목층에서는 꽝꽝나무, 진달래, 조록싸리, 쇠물푸레, 청미래덩굴, 생강나무, 물푸레나무, 철쭉, 감태나무, 노간주나무 등이 나타났다. 변산반도 꽝꽝나무군락 자생지역은 과거에 부암댐이 조성되기 전에는 주변이 논, 밭 경작지였지만, 부암댐이 완공된 후, 부안댐 주변에서 발생한 안개와 습도와 같은 기후환경 변화로 인하여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주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 피도가 증가되고, 관목층에서 쇠물푸레, 물푸레나무, 생강나무 등이, 초본층에서 조릿대, 땅비싸리, 그늘사초, 쇠물푸레 등이 출현하면서 군락내의 종구성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꽝꽝나무군락의 분포면적 384㎡으로 측정되었고, 꽝꽝나무 수고는 2.2~2.5m 범위에 속하며, 꽝꽝나무 성목의 뿌리 줄기부분의 직경은 Ø48.5㎜+39.4㎜+46.9㎜+37.3㎜으로서 꽝꽝나무군락 지역의 안정적인 관리 및 보호로 인하여 양호한 생육상태로 생각된다. 또한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주변의 소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관목층과 초본층의 구성종으로 꽝꽝나무가 점점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이들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와 지속적인 보존과 복원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order to preserve and restore the habitats of Ilex crenata community distributed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major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centered on the community distribution area. A total of 36 taxa with 22 families, 21 genera, 32 species, and 4 variants, were investigated in the vicinity of the Ilex crenata community. At close distances centered on the area around the Ilex crenata community, the vegetation was found to be a mountain coniferous forest called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35° 39′ 18.62″ north latitude, 126° 34′ 56.70 east longitude), at an elevation of 85m to 95m above sea level, an inclination of 10° to 15°, and clustered around the south and southwest slopes. In the Tree-1 layer, there are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and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In the Tree-2 layer, there are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Styrax japonicus, and Acer pseudo-sieboldianum. In the Shrub layer, there are Ilex cren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Lespedeza maximowiczii, Fraxinus sieboldiana, Smilax china, Lindera obtusiloba, Fraxinus rhynchophyll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Lindera glauca, Juniperus rigida var. rigida. In the past, before the Buam Dam was built, the surrounding area was a rice paddy field and farmland, but after the Buam Dam was completed, due to changes in the climatic environment, such as fog and humidity, which occurred around the Buan Dam, It is predicted that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within the community will appear as the blooming of Quercus serrata increases in the Tree-1 layer and Tree-2 layer, as Fraxinus sieboldiana, Fraxinus rhynchophylla, Lindera obtusiloba, etc. appear in the shrub layer, and Sasa borealis Indigofera kirilowii, Carex lanceolata, and Fraxinus sieboldiana, etc. appear in the herb layer. The distribution area of Ilex crenata community was measured to be 384㎡, the height of Ilex crenata was in the range of 2.2 to 2.5m, and the diameter of the rhizome of Ilex crenata community was Ø48.5mm+39.4mm+46.9mm+37.3mm, It is considered to be in good growth condition due to the stabl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the colony area. In addition, as it is expected that Ilex crenata community will gradually spread as a constituent species of the shrub layer and the herbaceous layer in the pine and Ilex crenata community communities near the native habitats of the black oak community, a detailed investigation into these areas and monitoring for continuou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무인도의 염소방목지역 식물상과 식생변화-전라남도 진도군 명도를 중심으로-

        김하송 ( Kim Ha-song ),조영준 ( Cho Yeong-jun ),송형철 ( Song Hyung-cheol ),송도진 ( Song Do-jin ),이지희 ( Lee Ji-hee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3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위치한 명도의 식물상과 식생조사를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1과 76속 75종 1아종 13변종 총 89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Ⅲ등급 5분류군, Ⅱ등급 1분류군, Ⅰ등급 15분류군으로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3.41%이었으며, 도시화지수는 0.93%로 산출되었다. 명도에서 조사된 주요식물로서는 홍도서털취(Saussurea polylepis Nakai)와 국내미기록종인 Veronica sieboldiana Miq(牧野, 1979)이다. Veronica sieboldiana(신칭:갯꼬리풀)은 2017년 4월 전라남도 진도군 명도(무인도) 주변에서 확인하였다. 본 종은 근연 분류군과 비교하여 국명은 해안 암벽 뜸새에서 자라고 있기 때문에 “갯꼬리풀”로 명명하였으며, 주요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명도의 주요 식물군락은 목본으로는 곰솔군락,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 누리장나무군락, 돌가시나무군락이 자생하였고, 초본으로는 사철쑥군락, 이대군락, 억새군락, 밀사초군락 등이 나타났다. 명도의 식생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식생군락은 밀사초군락으로 총 37.86%, 15,632.1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억새군락이 2.59%,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이 2.02%로 조사되었다. 향후 염소퇴치 사업에 따른 생태계 복원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식생변화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서 무인도서 생태계복원에 대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축척할 필요가 있다. 첫째, 명도에서 방목염소 퇴치후, 과거 염소들의 주요 휴식처인 남사면의 누리장나무군락지역으로 이곳은 바람이 적고, 햇볕과 그늘이 차단되어 염소들의 간섭이 심하게 일어난 지역이지만, 빠르게 자연식생이 회복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둘째, 도서지역 염소방목지역의 주요 식생교란 현상으로 일정기간 초본식생의 단순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염소가 접근 가능한 지역에서는 암벽식생의 단순화가 나타나고, 부분적으로 식생 훼손에 따른 토양유실과 암반노출이 확산되고 있는데, 토양유실을 방지하고, 자연식생회복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실토양주변을 중심으로 황마를 덮고, 호우시 토양유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극적인 복원대책이 필요하다. 셋째, 명도에서는 식물지리학적 특성을 갖는 난온대성 식생인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이 작은 면적이지만, 안정적으로 자생하고 있어서 중요한 생태적인 정보를 갖고 있다. 과거 방목된 염소로 인하여 하층식생인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식생교란이 일어난 지역이지만, 군락내의 종구성의 자연적인 식생변화가 예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flora and main vegetation change of the goats grazing land in the uninhabited island, Myeongdo.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ne to September 2017.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89 taxa including 41 families, 76 genera, 75 species, 1 subspecies, 13 varieties. 21 taxa were listed as specific plants based on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exotic plant species were recorded as 3 taxa. The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ization Index were recorede as 3.41%, and 0.93%. Carex boottiana community accounted for the biggest among all the communities in Myeongdo with 37.86% or 15,632.14㎡. It was followed by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with 2.59%, Litsea japonica-Camellia japonica community with 2.02%. The importance plants are Saussurea polylepis and Veronica sieboldiana based on distribution in the investigated area. This is a report of an unrecorded species of Veronica from Korea, Veronica sieboldiana (Miq), found in Myeongdo, Jindo-gun, Jeollanam-do. the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eronica species by trichomes that leaves slightly dilated and clasping at base; inflorescence and young branches with long-spreading multicellular hairs. The species was named after its findspot and is hence called “Gaet-ggoripul.” An illustration and key to the taxa related to Veronica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