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쿠버 다이버의 수중체력과 기초체력의 상관 및 판별분석

        지혜미,이병근 대한운동사협회 2010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2 No.1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underwater fitness and physical fitness of scuba divers, to increase the physical fitness for scuba diving, and to prevent underwater emergency. [METHOD]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20 divers who have diving experiences of 525±95.15tim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underwater fitness(240m underwater swimming time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to identify the land based physical fitness factors which would support scuba diving fitness. [RESUL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underwater swimming time and physical fitness factors, 240m underwater swimming time have a negative correlations with muscle strength(grip, Lumbar stabilization 4 posture), cardiovascular endurance(maximal oxygen consumption), power(Sargent jump), agility(side step test) and body composition(BMI). However, 240m underwater swimming time have non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muscular endurance(sit-ups), flexibility(sit and reach, shoulder flexibility), and balance(one leg standing). As a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underwater swimming time groups were discriminated by physical fitness factors. [CONCLUSION] The exercise program include muscle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power and agility as well as body composition may enhance underwater fitness and assist diving ability of scuba divers.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체력과 기초체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중체력과 상관이 있는 기초체력요인을 규명하고, 스쿠버 다이빙에서 필요한 체력적 요소의 향상과 수중 안전사고의 예방에 기여하는 데 있다. [방법] 잠수횟수가 525±95.15회이며, 스쿠버 자격증을 소지한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240m 수중수영시간과 기초체력을 측정하고 상관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240m 수중수영시간과 기초체력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240m 수중수영기록은 근력(악력, 요부 안정화 근력 4자세), 심폐지구력(최대산소섭취량), 순발력(Sargent jump), 민첩성(Side step test) 및 신체구성(BMI)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그러나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유연성(체전굴, 좌/우 어깨 유연성), 평형성(한발서기)과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판별분석 결과 기초체력변인으로 수중수영속도 집단을 유의하게 판별하였다. [결론] 지상에서의 근력, 심폐지구력, 순발력 및 민첩성 등 복합적인 체력요소와 신체구성이 고려된 운동의 실시가 스쿠버 다이버의 수중체력과 스쿠버 다이빙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초군사훈련에 따른 사관생도의 체력향상과 체력검정제도 개선방안

        신승환 ( Seung Hwan Shin ),우재홍 ( Jae Hong Woo ),박익렬 ( Ik Ryeul Park ),박재영 ( Jae Young Park ),전태원 ( Tae Won Jun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해군사관학교의 기초군사훈련에 따른 사관생도의 체력향상효과를 규명하고, 체력검정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훈련 효과 규명을 위해 기존의 고강도 위주 군사훈련방식에서 탈피하여 신체적성 함양 중심의 프로그램을 점진적 강도 증가방식으로 시행, 그 결과를 분석하였고, 체력검정제도 개선방안도출을 위해 분류체계분석법과 구성원간 토의방법을 적용하였다. 남생도 129명, 여생도 13명을 대상으로 4주간의 훈련전후 측정한 2회의 체력검정 결과, 1,500미터 달리기(p<.001), 윗몸일으키기(남자 : p<.001, 여자 : p<.05), 팔굽혀펴기(p<.001) 전 종목에서 유의한 향상효과를 나타내었고, 체력검정제도 개선방안으로 첫째, 사관학교는 먼저 건강관련체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합한 종목을 선정해야 하며, 둘째, 준거지향기준방법을 적용하여 기준을 선택해야 하고, 셋째, 탈락자나 환자를 포함하여 전 생도의 체력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수준별, 체력요소별 체력관리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신체적성 함양에 중점을 두고 점진적 강도증가방법을 적용한 본 기초군사훈련이 사관생도의 체력향상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체력검정제도를 일회성 행사로 생각하는 기존의 인식에서 탈피하여, 체계적 훈련 프로그램 구성과 시행, 효과를 검증하는 체력검정의 적절한 종목과 기준선정, 그리고 지속적 관리프로그램 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식하고 개선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effects of the basic military training and present the improvement plan of the physical fitness test of the Korean Naval Academ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asic military training, we carried out physical aptitude nurturing program by gradual intensity, instead of an existing high intensity training program. For deriving improvement plan of the physical fitness test, we carried out taxonomic analysis and member check. The results are as follows: During 4 weeks training in 129 male and 13 female midshipmen, 1.5km Run time was decreased significantly(p<.001) in all midshipmen. Sit-up Repeti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male: p<.001, female: p<.05) in all midshipmen. Push-up Repeti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p<.001) in all midshipmen. The improvement plan of physical fitness test is as follows: First, Naval academy must recognize health related fitness`s importance and select appropriate test event. Second, Criterion-referenced standard must be selected. Third. Physical fitness management program must be developed and carried out, it could be applicable for all midshipmen including dropouts and patient in every standard and requirements. In conclusion, this basic military training program, nurturing physical aptitude gradually, was very effective in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For developing this effect continuously, we need to have the overall recognition in importance of the physical fitness test, including arranging systematic training program, selecting optimal physical fitness test, and maintaining fitness management program.

      • KCI등재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주연,김정민,김경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의 만 5세, 2개 학급의 유아들로서 실험집단 19명과 비교집단 17명 총 36명이었고, 5주 동안 일주일에 3회씩 총 15회, 실험집단은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자유신체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기초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지구력으로 구성된 안을섭(2005)의 기초체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은영(2007)과 최지연(2012)의 기본운동능력 검사 중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후 실험집단은 기초체력의 민첩성에서 향상되었으며, 비교집단에서는 기초체력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둘째, 실험 후 실험집단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이 비교집단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은 유아들이 기초체력과 대근육 조작운동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with balls on young children'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their basic physical fitness. The subjects were 34 five-old-years children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7 in the comparative group) from two classes out of H day-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free physical activities, three times a week for five weeks. The tool measuring children'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was modified based on the tests utilized by Park (2007) and Choi (2012). The tool to measure children's basic physical fitness included five items(flexibility, agility, balance, power and muscular endurance), which were selected from items of tests first developed by Ann (2005)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ss motor maneuver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basic physical fit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mparative group. Therefore, physical activities using are meaningful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basic their physical fitness.

      • KCI등재

        경찰관의 기초체력 향상을 위한 스피닝 플래이트 연구

        장성진 ( Jang Sung-jin ),신승철 ( Shin Seung-cheol ) 한국융합과학회 2017 한국융합과학회지 Vol.6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규칙적인 스피닝 플래이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찰관들과 참여 하지 않은 경찰관들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규칙적인 스피닝 플래이트 프로그램 활동이 경찰관들의 기초체력과 유연성 향상에 효과적인가를 규명하여, 격무에 시달리는 가운데 경찰관들의 운동 부족에 따른 체력 저하의 대안으로 스피닝 플래이트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경찰교육원에서 교육받는 경찰간부후보생 남자 40명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스피닝 플래이트를 실시한 집단과 비실시 집단 각 20명씩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규칙적인 스피닝 플래이트 활동이 유연성과 기초 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들에게 연구 취지와 목적을 이해시킨 후 12주간 총 4회(사전, 4주, 8주, 12주)에 걸쳐 실험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Windows SPSS/PC+Ver.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종속변인들에 대한 집단별(스피닝 플래이트 활동 참여 집단, 비 참여 집단) 평균의 차이와 집단과 전, 후간의 교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하 여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결론: 기초체력에 있어 스피닝 플래이트 활동을 실시한 집단이 스피닝 플래이트 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집단 보다 기초체력요인이 더 많이 향상되어 스피닝 플래이트 활동의 참여가 기초체력의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피닝 플래이트 활동은 경찰관들의 기초체력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경찰관들의 체력 향상과 유지를 위한 계획 적이고 체계적인 스피닝 플래이트 활동이 필요하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gular spinning plate program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basic physical fitness and flexibility of police offic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policemen participating in regular spinning plate programs. Methods: After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tested for 4 weeks (pre-, 4-week, 8-week, 12-week) for 12 weeks. The test was performed twice for agility (10m round trip running), Improvisation (In place long jump), Flexibility (Bend forward) and Balance (Closed with eyes closed). Conclusion: The baseline physical fitness was more improved than the group that did not have spinning plate activity. In order to find the agility, we measured 10m round trip and measured long jump in order to measure the elasticity, and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police officers participating in the spinning plate activities and the group of policemen who were not participating in the spinning plate activities(P <.05), respective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participation of spinning plate activities greatly helps police officers to improve basic physical fitness and flexibility.

      • KCI등재

        유아의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동작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윤혜주,김윤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movement activity program by implementing the components of physical fitness, fundamental movement, and applied movement and also to explore its effects on the physical fitness of five-year-old children. A variety of movement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the survey resul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obtained in regard to their needs and opinions for movement activity program. An expert council was consulted on the assessment methods of each component of children’s physical fitness. The participants were 41 children aged 5, from M preschool in Gyeonggi-do and H childcare center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one experimental and two control group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total of 18 movement activity sessions over 9 weeks. Two-way ANOVA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scores of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s in the mean scor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 test scores.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experimental group in muscular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ag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higher from pre-test to post-tes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In measuring strength, the mean score of experimental group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higher from pretest to post-tes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1. The overall physical fitness of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higher from pretest to post-tes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1 as well as 2. Based on the results, it is assumed that the movement activit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quipped with both systemic and field applicability to improve the physical fitness of young children, and it could be utilized usefull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기초체력 구성요소, 기본운동 동작, 응용 동작의 요소를 조화롭게 구성하여 유아의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동작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 요구도 조사, 기초체력 요소별 관련활동의 도출과 측정 방법에 대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M유치원 만 5세 유아 41명, 서울시 H어린이집 만 5세 유아 20명이다. 효과 검증을위하여 유아의 기초체력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집단과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민첩성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2보다 높았고, 순발력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1보다 높았으며, 근력, 유연성, 평형성, 기초체력 전체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1과 비교집단 2보다 높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는 본 프로그램이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동작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체계성과 현장 적용성을 모두 갖춘 프로그램으로써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차 세계대전 군 체력단련 역사의 재조명 -미 육군 체력단련 사례를 중심으로-

        남덕현 ( Duck-hyun Na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1

        [목적] 본 연구는 한국군 체육발전에 공헌하고자 1차 세계대전 미군 전투 체력단련 체계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방법] 연구방법은 역대 미 육군 체육교범을 중심으로 한 문헌분석이다. [결론] 구체적으로 미군 체력단련 의미는 4단계로 나누어 정리되었다. 첫째, 1차 세계대전 참가 이전의 미군 체력단련 실태를 확인하였다. 미군은 1916년 이후부터 전쟁에 적합한 종목을 반영하여 단체체력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후 신병 훈련에 체계적으로 반영하였다. 둘째, 미군의 1차 세계대전 참전 중 체력단련 프로그램 운영과정을 확인하였다. 미군 체력 프로그램은 전쟁에 적합한 군인의 체력을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효과적 측정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군 체련단련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 당시 미군은 민간인과 예비군을 위한 건강과 기본체력 유지에 주력하였으나 한국전쟁 이후 기초체력과 전투체력을 병행한다. 넷째, 1차 세계대전과 현재 미군의 체력훈련을 비교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이후 현재까지 미군의 체력단련은 교리 및 교범을 중심으로 발전되었지만 체계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발전하였다. 결론적으로 1차 세계대전의 미군체력단련 체계는 현대 군 체육교리 및 체력훈련의 기틀을 제공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즉 현재의 체력단련은 독단적이지 않고 진화한 것이며 과거로부터 이어온 군인 체력훈련 과정의 기본을 수용하였다. [Purpose] This study confirm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rst World War US Combat Strength Training Fitness System for contributing in the ROK military sports development. [Methods] This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analysis to be focused by the previous US Army Field Manuals. [Results] Concretely, The meaning of US Army fitness training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US Army fitness before First World War. Since 1916, US Army has developed a group physical training program applied the items suitable for the war and has systematically reflected the program in the recruitment training.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e process of operating military fitness program during the First World War. US Army physical fitness program provided an effective method to suit soldier fitness for war. Third, this study observed the fitness training changes of US Army after the First World War. At that time, US Army focused on maintaining health and basic physical strength for civilians and reserve forces, but US Army ran parallel with basal physical fitness and combat physical fitness after the Korean War. Fourth, this study compared military strength training between First World War and current US Army. Since First World War, the training of US Army has been developed around doctrine and manuals to be maintained the consistency of the system. In conclusion, US Army physical training system of First World War meant to be provided the basis of current military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training. In other words, current fitness training is not dogmatic but has evolved, and it accommodated the basics of soldier physical training course from the past.

      • KCI등재

        대학생의 단기간 운동이 뇨 성분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현우,민범일,안중권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간 운동이 뇨 성분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G광역시 소재 남자대학생 9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독립변인은 0주 운동참여 전·후와 3주 후 운동참여 전·후이다. 대상자들은 0주 생체전기 저항분석기를 이용하여 체구성과 1RM을 측정하였고 측정된 1RM에 따라 3주간 구성된 웨이트 트레이닝을 주 5회(월,화, 수,목,금), 각 1시간씩 실시하였다. 웨이트 트레이닝 종료 10분 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함께 구성한 배구트레이 닝을 각 3시간씩 실시하였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운동초보자임을 감안하여 각 부위별로 1주는 7RM, 주 5회 3세트 12회, 2-3주는 6RM으로 주 5회 3세트 8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뇨 성분인 비중과 수소이온농도는 3주 운동 후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단기간 운동이 뇨 중 SG와 PH에 영향을 주어 체수분 평형과 기초체력 중 유연성 증가에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체력은 3주 운동 후 유연성 측정방법인 좌전굴에 서만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 이에 운동 초보자가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는 체내 수분 균형에 주의해야 하며, 기초체력 향상을 위해서는 장기간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rt-term exercise on urinary components and basic physical fitness of 9 male college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G Metropolitan C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before and after the 0week exercise and after the 3-week exercise. The subjects were measured by using a 0week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and the weight training was conducted for 3 weeks according to the measured 1RM, 5 times a week, for 1 hour each. Ten minutes after weight training, volleyball training organized with experts was conducted for three hours exch based on prior research. Considering that weight training is a beginner of exercise, 1 week per part was 7RM, 5 times a week, 3 times a week, 12 times a week, 2-3 weeks 6RM, 5 times a week, 3 times a week, 8 times a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urinary components and hydrogen ion concentr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3 weeks of exercise. After three weeks of exercise, basic physical streng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eft-hand side, which is a method of measuring flexibi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eginners should be careful about the balance of moisture in the body when participating in exercise programs, and that they should participate in exercise programs for a long time to improve their basic physical strength.

      • 태권도 수련이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의 기초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평원 ( Pyoung Won Lee ) 국기원 2014 국기원태권도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태권도 수련을 통한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의 기초체력 향상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의 협응과정 향상과 기초체력 변화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1, 2, 3학년(연령 7~9세) 남학생 중 발달성 협응장애를 나타내는 학생 20명(실험군: 10명, 통제군: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운동방법은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기초체력의 하위변인은 근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전신 반응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처리는 독립 t-test와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2주간의 태권도 수련을 실시한 실험군은 기초체력의 하위변인인 근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전신반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12주간의 태권도 수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군은 기초체력의 하위변인 중 평형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12주간의 태권도 수련 후 실시한 사후검사에서는 기초체력의 하위변인인 근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전신반응에서 집단 간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p<.001).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basic physical fitn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by examining the improvement of it through Taekwondo training. The study subjects were 20 students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experimental group: 10, control group: 10) amo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basic physical fitness was set as muscle force, instantaneous power, agility, balance and whole body reac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performing an independent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 First, the group with 12-week Taekwondo trai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muscle force, instantaneous power, agility, balance and whole body reaction(p <.001). Second, another group without Taekwondo trai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lance(p<.001). Third, the 12-week Taekwondo trai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muscle force, instantaneous power, agility, balance and whole body reaction(p<.001).

      • KCI등재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황진,김경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만 3세 유아 29명이며 실험집단 유아들은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은 일반적인 신체표현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 교육인적자원부(2006)에서 제시한기초체력 검사와 Kendall과 Wilcox(1979)가 개발한 Self - Control Rating Scale을 유혜정(1998)이 번안하고 이지현(2001)이수정한 자기조절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기초체력의 하위영역 중 평형성, 유연성, 순발력, 지구력, 민첩성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근력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자기조절력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기본운동기술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조절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교수방법의 하나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학교 야구선수의 포지션별 체격 및 기초체력 평가 기준 개발

        정연성,석진수,강성기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야구선수의 포지션별 특성을 고려한 체격 및 기초체력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체계적이고과학적인 선수 발굴 및 육성의 기초자료를 현장 지도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측정된 경기도 지역 중학교 야구선수 220명(야수 : 145, 투수 : 75)의 체격 및 기초체력 측정자료를 활용하였다. 체격은 신장, 체중, 체지방률, 상지와 하지 길이 및 전완위와 대퇴위 둘레, 지극의 총 8가지, 기초체력은 좌 ․ 우 ․ 평균 악력, 배근력,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제자리멀리뛰기, 서전트 점프, 사이드 스텝, 셔틀런, 체후굴과 체전굴총 12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Windows Excel 2021로 정리하고, Windows SPSS 26.0 을 이용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이후, 측정결과의 기술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Cajori 5단계 상대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야수와 투수 및 체력요소별 평가 기준치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실제 중학교 야구선수의 측정결과를바탕으로 야수와 투수의 포지션에 적절한 체격 및 기초체력 항목별 평가 기준치를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설정된 체격 및 기초체력 기준치를 바탕으로 현장의 지도자가 선수를 선발 및 육성하는데 정량적 기준으로 활용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