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그린마케팅 사례 연구

        김형길(Kim, Hyoung Gil),김정희(Kim, Jung 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2

        최근 다양한 환경문제들이 부각됨에 따라, 기업은 자연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고, 새로이 직면하게 되는 환경문제들을 경쟁적 강점으로 전환하기 위해 환경경영체제의 구축 및 그린마케팅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린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그린 마케팅의 성공적인 도입사례를 분석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린마케팅 이론을 정립하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친환경문화 창조 및 사회적 책임 실행에 의한 그린마케팅 도입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친환경 공정 및 제품 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생산 공정 및 기술 혁신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친환경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제품생산 및 마케팅활동에 반영하여 시장에 알리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그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그린마케팅전략이 단기적으로 비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케팅관리자는 장기적인 목적과 비전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 내부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친환경 문화를 창조하여 발전시켜야 한다. 그린마케팅의 실천과정에 변화에 대한 기업구성원의 저항가능성을 고려하여 조직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가 되어야 하며, 경영자의 강력한 리더십과 친환경문화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기업의 그린마케팅활동의 효과적 도입을 위해, 사회적 책임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업은 이익 극대화만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제도적 압력을 반영해야 한다. 이러한 외부의 제도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은 제품과 정책을 친환경화하고, 이러한 사실을 적절하고 입증가능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알려야 한다. 넷째, 그린마케팅 실천에 부합하는 새로운 마케팅성과 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기업은 그린마케팅 실천 결과가 단순한 친환경 활동의 실천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은 장기적으로 자사의 자원과 역량을 결집하여 지속적으로 경쟁적 강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결과에 대한 피드백과 성과가 평가되어야 한다. 그린마케팅의 실천에 부합하는 새로운 마케팅성과 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린마케팅은 자원과 제품, 제품과 소비자 사이를 연결하여 녹색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므로, 이에 부합하는 새로운 마케팅성과 측정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단기적인 경제적 지표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비경제적 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창의성의 개발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Recently, as variety of environmental problems are emerging,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introduction of the green marketing is required for businesses in order to switch the newly faced environmental issues to competitive strengths and to efficiently manage the natural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c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green marketing at the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Development Corp(JPDC) in order to find ways to practice the strategic green marketing. For this purpose, the green marketing theory was established and introduction cas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eco-friendly culture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JPDC.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porate, in order to build its eco-friendly image, is required to develop a product that is eco-friendly to meet the needs of the customers and the production process and technology innovation should be the premise. In addition, customers' eco-friendly needs should be identified and effective green communication strategy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reflect the idea to produce and marketing activities to be informed in the market. Second, because of the green marketing strategy is likely to cause costs in the short term, the marketing manager should have long-term purpose and vision. In order to do that, the corporate must develop and create eco-friendly culture that is sustain ability-oriented internally. Organization members should be motivated,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o the changes of the practice of green marketing. An interest in eco-friendly culture and strong leadership is required from the Executive Officer,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green marketing in long-term strategic approach. Third,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supported in order to introduce corporate's green marketing activities effectively. Therefore, corporate is not only to pursue profit maximization, but to reflect the institutional issues externally. In order to overcome the external institutional issues, corporate's products and policies should be eco-friendly and notify the fact to the customers by using appropriate and verifiable information. Fourth, a new marketing performance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hat meets the green marketing practices. Simple practices of eco-friendly activities do not optimize the results of a corporate's practice of green marketing. In the long term, feedback on the results and the performance should be assessed in order to take advantage continuously to utilize the competitive strengths by mobilizing its resources and capabilities. Accordingly, a new marketing performance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o conform the practice of green marketing. Green marketing promotes the gr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by connecting the resources to products and products to consumer, therefore a new marketing performance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hat corresponds to this relationship. In particular, not just the short term economic indicators but the long term non-economic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as well. For this purpose,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a new perspective approach to environment is needed.

      • KCI등재

        기업의 그린마케팅과 글로벌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그린마케팅 경험자를 대상으로 -

        당림 ( Tang Lin ),이성준 ( Lee Sung-joon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3

        현대사회에서 환경문제가 개인의 소비 행동, 특히 구매결정에 밀접하게 관련되면서 그린마케팅은 기업의 경영의사결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또한 기업은 구매의사결정시 소비자가 제품의 환경적 측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기업의 그린마케팅활동 및 브랜드 글로벌성,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신뢰와 충성도의 개념을 기초로 중국의 그린마케팅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긍정적인 그린마케팅 실행 수단 및 중국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그린마케팅 형식을 규명하고 중국소비자의 브랜드 글로벌성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그린마케팅 활동과 브랜드 글로벌성이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의 그린마케팅 경영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연구에 기초된 각종 변수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그린마케팅활동과 브랜드글로벌성, 브랜드신뢰,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충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독립변수를 구성하는 각 요인들에 대한 설문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이들 토대로 그린마케팅 활동, 브랜드 글로벌성,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 브랜드충성도의 관계를 가설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본연구의 결과 중국소비자에게 브랜드신뢰는 그린제품, 그린가격, 그린촉진 및 브랜드글로벌성의 정(+)의 영향을 받게 되며, 브랜드이미지는 그린촉진 및 브랜드글로벌성으로 부터로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이미지 및 브랜드에 대한 신뢰는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With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highly related to personal consumption behavior especially purchasing decision under the current society. Green Marketing become a very important matter in Management decision making. In addition, companies are also interested in how consumers perceive the environmental aspects about their products when making purchasing decisions. In this thesis, base on the concept of enterprise`s Green Marketing, Brand Globalness, Brand Image,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conduct a survey to Chinese customers who experienced any Green Marketing under purchasing behavior. This investigation is aim to looking for Green Marketing format of Chinese customers` preference and the means of execution about Green Marketing, analysis Chinese customers` attitude to Brand Globalness, the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the effect of Green Marketing activities and Brand Globalness on Brand Image,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company `s Green Marketing management strategy. In order to test hypotheses,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variables based on demographic analysis, By making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to evaluate survey items of independent variable factor of organizing validity,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Green Marketing, Brand Globalness, Brand Trust,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Based on the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een Marketing activities, the Brand Globalness, the Brand Image, the Brand Trust, and the Brand Loyalty were hypothesized and verified. As a result of this study, Brand Trust is influenced by the positive(+) effect of Green Product, Green Price, Green Promotion and Brand Globalness to Chinese consumers, and Brand Image is influenced by the positive(+) effect of Green Promotion and Brand Globalness. Moreover, Brand Trust and Brand Image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 KCI등재

        그린워싱 및 그린 구매의도: 그린 구전과 그린 위험 지각의 매개 역할

        Wanjun Gu,임형록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As environmental problems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customers are increasingly likely to buy eco-friendly goods. However, many businesses want to attract them to buy products by greenwas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nection between greenwashing and green purchase intention by the mediating impacts of green word of mouth and green perceived risk. This study employs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o collect data from 556 participants who purchased energy-efficient appliances in China. Through the analysis, w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greenwashing has a negative impact on green word of mouth. Second, greenwas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green perceived risk. Third, greenwashing has a negatively impacts on green purchase intentions. Fourth, green word of mouth has a positive impact on green purchase intentions. Fifth, green perceived risk has a negatively impacts on green purchase intentions. This research find that it is essential to reduce all forms of misinformation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credibility of green messages so that companies can increase their customers' green purchase intentions. In addition, by engaging in green marketing, businesses must prevent overpromising. Reducing greenwashing can improve green word of mouth and reduce green perceived risk, eventually, green purchase intentions. 환경 문제가 갈수록 심화되면서 친환경 상품 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와 가능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많은 기업은 제품의 판매하기 위해 그린워싱을 통해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린 구전 및 그린 위험 지각의 매개 효과를 통해 그린워싱과 그린 구매의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 내에서 고효율 전기제품을 구매한 소비자 데이터 556개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워싱은 그린 구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그린워싱은 그린 위험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그린워싱은 그린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그린 구전은 그린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그린 위험 지각은 그린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소비자의 그린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모든 형태의 잘못된 정보를 줄이고 그린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필수적임을 증명했다. 또한, 그린 마케팅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과도한 약속을 자제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그린워싱을 감소시키면, 그린 구전을 개선하고 그린 위험 지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그린 구매의도를 감소하게 만들 것이다.

      • KCI등재

        연구분야 별‘그린(Green)용어’사용의 동향 분석 - 1990~2019년 석·박사 학위논문연구를 중심으로 -

        송윤희,이진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long with ongoing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been one of the essential issues for modern people today since industrialization. In 2019, the era of environment-essential has arrived instead of environment-friendly. Against this social background, green now contains an overall collection of nature-friendly meanings beyond the meaning of the color green. As a precedent research for the investigator’s study on green design, this research set out to arrange the uses and concepts of green by the area, analyze the trends of each period, and figure out its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scope encompasses dissertations between the 1990s when the term green was first used and April, 2019. As for analysis methods, the investigator sorted out and analyzed the concepts of “green” used in various ways by the year, area, and interrelation including the green design area based on the interrelation theory as well as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by the year show that researches on green tended to increase when social environment issues, international environment norms, or economic treaties emerged, which suggests that there was ongoing interest in the environment worldwide and that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y and the environment. Secondly, the analysis results by the area show that the biggest number of researches worked on profit making in addition to improved images related to marketing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reas. In the design-related research areas, there was a gradually growing trend of considering nature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sign rather than design for the enhanced images of products, goods, or corporations according to the expanding concept of green design in spaces and places in the aspect of marketing. The domain of green design also expand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cope of green design research expanded gradually from researches on profit-seeking green according to image changes in the past to researches on more sustainable green based on interrela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The study sorted out the meanings of “green” used in each of the research areas and expects its findings to be used as basic data in “green”-related researches, planning to continue the research efforts in the future. 산업화 이래로 환경에 관련된 지속적 관심과 더불어 연구는 오늘날 현대인에게 필수불가결한 쟁점 중 하나이며2019년 친환경이 아닌 필(必)환경시대가 도래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으로 현재 그린은 색을 의미하는 범위를 넘어서, 자연친화적인 의미 모두를 총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본고의 그린디자인분야 연구 과정 중 선행 연구로써, 분야별 그린의 사용과 개념을 정리하고 시대별 동향을 분석하여 특성을 파악함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로는 처음 그린의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1990년대부터 2019년 4월까지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의 방법은 인간, 환경의 관계성과 더불어 상호관계이론을 토대로, 그린디자인 연구 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그린’의 개념을 연도별, 분야별, 상호관계 관점으로 정리, 조사한다. 그 결과 첫째, 연도별 분석에서는 사회적 환경이슈, 혹은 국제적 환경규범, 경제 협정이 출범한 시기에 그린에 대한 연구도 상승하는 추이를 보였다. 이는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이며, 경제와 환경의 관계성을 나타냈다. 둘째 분야별 분석으로는 인문사회분야로 마케팅과 관련하여 이미지 제고와 더불어 이익창출을위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여 졌다. 디자인 관련 연구 분야의 결과로는 그린디자인의 개념의 마케팅적 측면에서 공간, 장소로 확대됨에 따라 제품과, 상품 혹은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디자인에서 점차 환경을 고려하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중요성 인지와 더불어 그린디자인의 영역이 넓어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 과거 이미지 변화에 따른 수익성 목적의 그린연구에서 점차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지속가능한 그린 연구로 그 범위가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분야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린’의 의미를 정리함으로써 ‘그린’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연구를 계속 이어나가고자 한다.

      • KCI등재

        기업 그린마케팅 전략이 소비자 인식과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준회 ( Jun Whai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자주 발생하고 있는 환경적 재앙과 환경파괴문제가 지구촌의 핫이슈로 대두되면서 환경문제는 국가와 민족을 막론하고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환경의식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인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기존연구들을 고찰하여 기업 그린마케팅 전략이 소비자 인식과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그린마케팅은 환경 인프라의 구축과 목표, 그리고 기업의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공익적인 부분만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기업의 잠재시장 확보라는 시장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기업의 그린마케팅 전략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그린마케팅 전략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그에 따른 구매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가치관과 쇼핑성향 그리고 기업 그린마케팅 전략이 환경에 대한 관심과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고,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20~40대 소비자 313명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5점 Likert-Type 척도를 이용하여 기업 그린마케팅 전략에 대한 20개 문항, 가치관에 대한 24개 문항, 쇼핑성향에 대한 26개 문항, 환경에 대한 관심 문항 10개 문항, 그린마케팅에 소비자 인식에 관한 7개 문항,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관한 4개 문항, 인구통계학적 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PC 12.0과 AMOS 4.01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 마케팅 전략에서 가격, 촉진, 유통, 제품에서 가격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치관에서 환경보호 및 사회지향적 가치관이 환경에 대한 관심 및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 쇼핑성향에 따라서 환경에 대한 관심 및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들은 쇼핑성향에 따라서 환경에 대한 관심,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상관성이 없고, 그린제품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그린제품을 트렌드 적이거나 유행적인 것으로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본 연구결과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그린마케팅에 대한 인식과 친환경제품 구매의도가 높은 소비자는 사회 지향적, 환경보호에 대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고, 이런 가치관을 가진 소비자 대상으로 4대 매체와 인터넷을 활용하여 그린마케팅과 관련된 신뢰도 있는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린제품의 개념과 필요성을 인지시키고, 그린제품을 개발하여 매체에 많이 노출함으로서 인지에서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기업의 그린마케팅 전략도 환경보호라는 단순하고 추상적인 개념에서 전략을 시행하는 것이 아닌 기업 스스로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그린마케팅 전략 추진이 필요하다. 광고 전략도 환경문제에 책임감을 갖고 광고를 전개한다면 기업이미지는 물론 진정한 그린마케팅 전략이 수행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focuses on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in various nations and peoples, for, as recently environmental disasters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have often happened, the problems have appeared as hot issues on earth.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recognition of environment and the effects that have influences on their consumption actions, and is going to examine the effects that companies` green marketing strategies have on customers` recognition and their purchase,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Green marketing in Korea is concerned only about public benefits of society without building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objects, and companies` marketing strategies, and so it is poor at grasping the marketability for companies` securing potential markets. Therefore, in order for companies` green marketing strategies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it is needed to examine customers` recognition of companies green marketing strategies and its effects on their purchases. This study examined customers` values, shopping trend, and the effects that companies`s green marketing strategies have on customers` interests in environment, their recognition of green marketing, and their purchase desires of eco-friendly product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urvey for 313 consumers of 20 to 40 years of age. The survey is composed of 20 questions of companies`s green marketing strategies, 24 questions of customers` values, 26 questions of shopping trend, 10 questions of environment, 7 questions of customers` recognition of green marketing, 4 questions of purchase desir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5 questions of population statistics, using 5 Likert-Type degrees. SPSS/PC 12.0 and AMOS 4.01, statistics processing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ompanies` marketing strategies, products,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except for price are interrelated with interests in environment, and customers` recognition of green marketing. Customers` values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society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ir recognition of interests in environment and green marketing. Customers`s shopping trend has little relationship to their interests in environment, their purchase desires of green products, and their recognition of green marketing. That is, they don`t regard green products as a trend or popular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customers with high purchase desir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high recognition of green marketing have values in societ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high quality information on green marketing is needed to be provided for these customers using 4 major media and Internet.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green products have to be recognized, and the products are needed to be developed and often exposed to mass media, and so their recognitions should lead to their purchases. Companies should promote green marketing strategies practically and actively, not by simple and abstract concept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dvertisement strategies also, if they are implemented with responsibilities on environmental problems, will be able to improve companies`s images and be practiced as real green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그린에너지 소양에 미치는 영향

        이영기,최경민,손장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raise future environmental tal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on the green energy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0 students in 4 classes of 5th grade in M ​​elementary school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100 students in 4 classes of 5th grade in J elementary school, Gyeongsa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green energy literacy. Second,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was effective in helping to understand the overall green energy including the cognitive domain such as issues,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using situation of green energy. Third, the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energ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definition and functional area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inding way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t was found that exploring and experiencing various activities has a beneficial effect on students. Fourth, the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improved the attitude field. It was effective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green energy and having an attitude of practicing it. The green energy programs has been proven to cultivate green energy literacy to raise future environmental tal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o that green energy education can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and green energy education programs for each grade group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stag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환경인재 육성을 위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그린에너지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경상북도 G시 M초등학교 5학년 4개 반 100명이며, 비교집단은 경상북도 C군의 J초등학교 5학년 4개 반 100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은 그린에너지 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은 인지적 영역인 에너지 문제와 쟁점, 그린에너지의 종류와 특성, 그린에너지 이용 상황 등을 포함, 그린에너지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은 정의・기능적 영역에서 그린에너지와 환경보호와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활동과 체험 등이 보다 효과적이었다. 넷째,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은 태도 영역에서 그린에너지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태도를 가지게 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결과적으로 그린에너지 프로그램은 그린에너지 소양을 함양시켜서 미래 환경인재 육성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그린에너지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학생의 발달 단계와 특성, 수준을 고려하여 학년군별 그린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이 개발・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그린 정책과 색 이미지 연구

        주미경(Joo Mi-kyung)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그린 운동이 국가적 차원의 그린 정책으로 정착되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가적 그린 정책 실행 . 과정에서 그린 정책과 색 이미지 연상관계를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색은 인간에게 시각적, 정서적, 감성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간과 색은 쌍방향의 커뮤니케이션 작용으로 관계가 형성되어 진다. 나라마다 색 정서는 차이가 있으며 국가별 정책 실현 시에 민족적 색 감성 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여 정책 이미지에 대한 효율적 인지를 도울 수 있다. 현대는 국가와 기업, 개인의 이미지 실현을 위하여 홈페이지가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됨으로 그린운동을 시행하고 있는 나라 중 관련 4개국 홈페이지 8곳을 조사하여 그린정책과 색이미지 관련성분석을 하였다. 조사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현재 상용 색표집인 먼셀 색표계(Mumsell System)의 그린계열과 근간 색을 선택하여 국가 그린 정책과 그린 색에 대한 개인적 기호색상과 연상이미지를 조사하였다. 그린계열 전통색은 국립현대 미술관의 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 2차 시안 CMRK와 RGB로 변환한 색표집에서 색 이름은 표준 전통색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한국전통색 중 청록색계(靑綠色界)에서 녹색부터 흑록색까지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정성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나라별 그린 운동과 관련 색상이미지 차이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일반적 그린 이미지와 그린정책 이미지는 연두색으로 동일하다. 셋째, 우리나라 그린 계열 이미지는 풀색이다. 넷째, 우리나라 그린 전통 색 이미지는 초록색으로 표현되었다. 다섯째, 우리나라 그린 이미지는 성별, 연령별 모두 연두색으로 표현되었다. The green movement in the world was settled to be national level of green policy to be in force. At the time, the study examined association relationship between green policy and color images at practical process of national level of green policy. The colors may have visual, emotional and sentimental influence upon men, and not only men but also colors can have relations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color emotion may vary depending upon each country, and research on ethnic color image at policy management of each country may help cognize political images effectively. In modern days, homepage was most actively used to manage images of the government, businesses and individuals, so that the author investigated eight home pages in four countries that put green movement into practice, and examined relations between the government"s green policy and color imag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he author selected green group and fundamental colors from Munsell notation, current commercial color chart, and investigated not only the government"s green policy but also individuals" preferred colors and associated images on green color. The green group"s traditional colors followed traditional color name of color chart that converted not only the Korean traditional standard color names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t also secondary tentative plan CMRK and RGB of colors, and selectively investigated from bluish green group to green and dark green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by qualitative analysis. The findings were: Firstly, color images regarding green movement varied depending upon each country. Secondly, not only common green color image of Korea but also the Government"s green policy image was yellowish green. Thirdly, green series image of Korea had grass color. Fourthly, traditional color image of green in Korea was expressed to be green. Fifthly, green image of Korea was expressed to be yellowish green regardless of ages and gender.

      • KCI등재

        중국소비자의 그린기업 혜택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과모형분석: 그린기업이미지 매개효과

        이지혜,유승엽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5 No.4

        This study to investigate what affects the perception of China Green Companies benefit consumers factors. In particular, we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green corporate image of Chinese consumers and to present causal model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benefits Green Company. Validation of the model was attempted using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consumer cognition of the green compan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reen corporate image and perceived environmental benefits. Second, Chinese consumer trust of green compan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reen corporate image and perceived benefit in green businesses. Third, Chinese consumer cognition of green corporate im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benefits in green companies. Fourth, Chinese consumer cognition of the green compan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benefits green businesses via a green corporate image. Finally, Chinese consumer trust of green compan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sinesses perceived benefits via a green corporate imag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an effective marketing consumer future targeting China green companies. It will also contribute in establishing green marketing strategies of domestic companies into China.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의 그린기업 혜택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중국 소비자의 그린기업 이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들의 그린기업 혜택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인과모형을 제시하고 공변량구조분석을 이용하여 모형의 타당성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소비자의 환경문제인식은 그린기업이미지와 그린기업혜택 지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린기업신뢰는 그린기업이미지와 그린기업혜택 지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린기업이미지는 그린기업혜택 지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문제인식은 그린기업이미지를 매개로하여 그린기업혜택 지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그린기업신뢰는 그린기업이미지를 매개로 그린기업혜택 지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그린기업들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마케팅을 수행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중국진출 국내기업들의 그린마케팅 전략을 세우는데 기여할 것이다.

      • 기업의 그린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그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예성 ( Cheng Yiong ) 한국인터넷비즈니스학회 2011 인터넷비지니스연구 Vol.12 No.1

        이 논문은 주로 기업의 그린 이미지가 그린 지각된 가치, 그린 신뢰 그리고 그린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중국에서 친환경 가전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들 중에 높은 그린 이미지를 갖고 있는 기업(하이얼)과 낮은 그린 이미지를 갖고 있는 기업(그리)으로 나눴습니다. 연구해 본 결과는 기업 그린 이미지가 높을 때 나머지 3가지 변수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미지 낮을 때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걸로 나왔습니다, 그리고 그린 이미지, 그린 지각된 가치 그린 신뢰들간의 서로 유의한 관계가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그린 이미지가 높음과 낮음에 따라 유의한 관계도 보입니다. This article proposed four novel constructs-green corporate image, green perceived value, green trust, and green purchase intention, and explor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Lastly, this study tends to se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reen perceived value, green trust and green purchase intention towards both the high green corporate image and low green corporate image.

      •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재정립 방안

        최희선,안소은,이후승,송슬기,이길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기본연구보고서 Vol.201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도시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도시공원 일몰제’의 위기 속에서도 공원녹지의 가치 및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기존 정책의 개선 및 연계 필요성 증대 ○ 도시 공원녹지계획의 합리성 확보 차원에서 도시공원의 가치와 기능의 제고를 통해 도시공원 및 녹지의 유형, 대상, 조성기법 등의 개선 방안 도출 필요 ○ 도시공원의 조성 및 관리 차원에서 관련 주체(중앙정부, 지자체, 소유자, 민간기업, 시민 등)의 역할과 조성 및 관리·활용 체계 등 다각적 측면에서 개선 및 연계 모색 필요 □ 현 공원녹지 정책의 한계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미래 도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재편 방향 모색 ○ 도시 공원녹지와 관련된 국토교통부, 환경부, 산림청,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관련부처 간 상호 연계 및 통합적 접근을 통해 정책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대안 제시 Ⅱ. 공원녹지 관련 정책현황 고찰 1.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의 변화 □ r조선시가지계획령(1934)」을 시작으로「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2005)」까지 제도권의 편입과 관련 규정의 신설, 법적 독립 등을 거치면서 변천 ○ 급격한 경제성장 시기에는 공원녹지가 개발유보지로 인식되었으나, 이후 환경과 도시의 지속가능성 등의 가치를 지향하며 보다 적극적인 공원녹지 정책 수립 ○ 현대에는 도시공원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고 다양한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도시 재생, 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 아름다운 도시공간 조성, 시민참여 등을 지향 2. 부처별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 분석 □ 관련 부처들의 협력 하에 도시 내 전반적인 오픈스페이스를 검토하여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공원과 녹지의 통합적 관리 필요 ○ 국토교통부: 도시 시설 중심의 공원녹지에서 구역 등 자연지역으로 범위 확대 ○ 환경부: 보전지역 중심에서 보전과 이용을 고려한 도시지역으로 확장(자연공원) ○ 농림부/산림청: 도시숲, 도시농업 등 도시지역으로 공간적 영역 확대 및 기능 다양화 ○ 범부처 차원에서 환경, 삶의 질을 위한 생활SOC/복지공간으로서의 공원정책 강조 Ⅲ. 관련문헌 및 해외사례 분석 1. 관련문헌 조사 및 분석 □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LULUCF(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미래도시의 변화, 공원녹지의 가치 및 기능 측면에서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에 시사점 제시 2. 해외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 영국, 일본, 독일, 호주 주요 4개국의 공원녹지 관련 정책과 법, 조성 현황 등을 살펴보았으며, 각국의 주요 특징을 기반으로 시사점 제시 ○ 환경 및 여건 변화로 공원녹지에 대한 필요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도시 내 개발가용지의 수요 증가로 공원녹지 확대에 한계 존재 ○ 공원녹지의 환경·생태적 기능뿐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측면이 고려된 공원녹지 유형 및 조성방안 모색 증대 ○ 대부분 국가(연방정부) 차원, 광역(연방주정부) 차원에서는 큰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 지자체 차원에서는 권한과 책임에 기반한 정책 및 사업추진력 확보 노력 ○ 공원 조성뿐 아니라 조성 후 유지관리 비용 고려 및 최소화를 위한 기법 모색 필요 ○ 민간기업 참여수준의 적절한 검토 및 유지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역할 확대 ○ 공원 조성, 유지관리 등에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 유도 및 확대 추세 Ⅳ. 지속가능한 공원녹지 정책 재정립 방안 □ 도시의 지속기능발전을 위한 미래 도시공원 정책의 추진 및 관리 시 거버넌스(governance) 체계를 기반으로 공원녹지의 다양성(diversity), 효율성(efficiency), 형평성(equity) 확보 차원의 정책 마련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 요구 □ 도시의 공원녹지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은 ① 개념 확대 차원, ② 질적 개선 차원, ③ 조성운영 다각화 차원, ④ 관리기반 확보 차원으로 구분하여 설정 1. 도시 공원녹지의 개념 확대 차원 □ 도시계획시설로서의 공원녹지뿐 아니라 도시 내 다양한 녹지공간을 포함하고, 이들 의 네트워크를 통해 녹지의 다기능성을 고려하는 그린인프라(green infra)로 전환 ○ 본 연구에서는 공원, 녹지의 개념을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로 개념과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고 ‘도시의 자연·생태적 요소와 인공적으로 조성된 녹지공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의 공간구조를 결정하고 다양한 기능을 향상시키는 주요한 기반이자 시스템’으로 정의 ○ 이러한 전환은 법정공원뿐만 아니라 관리대상의 사각지대에 있던 비법정공원, 기타 녹지들뿐만 아니라, 자연생태계에 가까운 자연지역들을 정책에 통합함으로써 공원녹지 정책의 행정상의 괴리를 최소화함 □ 공간계획의 수립단계에서 부터 도시공간구조와 녹지와의 관계성을 확보하여 그린인프라 계획·조성을 위한 관련부처 통합추진 ○ 우리나라 공원녹지 정책의 주관 중앙부처는 국토교통부(「공원녹지법」)이나 도시계획 시설로서의 공원 및 녹지를 포함하여 도시공간 내 모든 녹피 공간, 공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 생태복원지역, 도시숲 등 그린인프라로서의 정책 확대를 고려하면 관련부처의 범위가 환경부, 산림청, 농림축산식품부 등으로 확대 가능 ○ 따라서 개별부처 단위의 접근이나 도시기반시설로서의 한 부문이나 요소가 아닌, 각 부처별로 지정·관리하고 있는 대상지역들이 목적 또는 기능의 유사성을 가지거나 공간적으로 중복되어 있는 대상들을 통합적으로 계획·관리하고 공간계획의 수립단계에서부터 도시공간구조와 녹지와의 관계성을 확보하여 추진하는 방안 모색 2. 도시 공원녹지의 질적 개선 차원 공원녹지의 입지 및 공원기능 설정을 위하여 도시회복력과 환경정의를 고려한 평가체계 및 공원녹지의 입지·유치거리 기준 개선 ○ 공원녹지의 입지기준과 관련한 정책개선 방향은 기존의 기준으로 주로 적용되어 온 1인당 공원녹지 면적과 공원별 유치거리의 한계 고려 ○ 도시회복력 측면: 공원입지 및 공원기능 설정을 위한 평가체계 개선 - 기본적으로 공원의 다기능성을 고려하되 생태네트워크(Green-Blue-White) 체계, 지역의 인구구조(나이, 소득수준, 건강 등), 기후 및 재난취약성 분석을 통해 중점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 요구 - 평가결과에 따라 공원기능이 지역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세부적인 공원 유형의 자율성 제공 필요 ㆍ 바람길 및 바람통로 지역의 경우 공원배치 ㆍ 재난재해 취약지역의 경우 방재기능이 가능한 공원입지 ㆍ 생태회복력 확보가 요구되는 지역은 생태형 공원입지 ○ 환경정의 측면: 취약지역 및 취약계층의 수혜가능성과 접근성 고려 - 질적 가치가 높은 공원녹지는 인접성만으로도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줌을 고려하여, 주거지내 녹지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한 기법, 기술 확대 - 형평성을 고려하여 취약계층{건강, 소득수준, 나이 등) 평가기준, 건강취약지역 평가등급에 기반한 접근이 용이한 공원 조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입지기준 설정 공원녹지의 유형을 다양화하여 획일적 시설공원에서 탈피하여 지역의 가치와 기능을 고려한 그린인프라로 활용 ○ 도시의 공원녹지를 그린인프라로 포괄 시 자연과 인공, 공공과 개인의 영역에 이르기 까지 공원녹지의 유형 다양화 ○ 생태적 기능이 큰 공간과 이용 및 생산, 다기능성이 강화된 공간으로 구분하여 획일적 시설공원에서 탈피하여 지역의 가치와 기능을 고려한 그린인프라로 활용 □ 공원녹지의 생태성 및 다기능성 강화를 위한 조성기법 마련 ○ 생물다양성이나 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도시공원의 경우 공원의 수나 면적보다는 입지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 ○ 현재의 수요와 미래의 환경적 변화, 지역의 특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공원녹지의 다기능성을 확대 - 현재의 수요는 세대별, 소득수준별, 가족구성에 따라 수요가 달라질 수 있음 - 미래의 환경변화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열섬, 홍수, 미세먼지, 폭염 등의 대응과 재난재해 측면에서의 다양한 기능 요구 - 지금까지 인구와 경제 성장이 전제인 가운데 녹지의 기능으로 환경 측면이 중시되어 왔지만 인구 감소 시대에는 사회경제적 중요성 증대 3. 도시 공원녹지 조성운영의 다각화 차원 □ 공원녹지 조성운영에 다양한 형태의 민간참여를 독려하고, 자발적으로 형성된 민간조직들과의 파트너십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 공원녹지 관련 업무가 재정여건이 열악한 기초지자체로 이관됨에 따라 공원녹지 조성 운영을 위한 재원의 다각화 도모 필요 4. 도시 공원녹지 관리기반 확보 차원 □ 공원녹지의 운영관리뿐만 아니라 정책 활용성을 고려할 때, 각각의 그린인프라에 대한 인벤토리 구축은 반드시 필요하며, 정보의 수집(시민 의견 포함)을 포함하는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체계로까지 발전 필요 ○ 전국단위 그린인프라를 포괄하는 정보관리 시스템 및 녹지의 효과와 관리방안을 자동으로 제시해 주는 시스템 개발 및 운영 도시 공원녹지를 포함하는 그린인프라의 유형 및 기능의 다양화에 따라 이를 관리 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기술 도입의 확대 필요 ○ 스마트 그린인프라 관리 핵심서비스 방향 설정(커뮤니티, 기후변화, 자연재해, 환경정의 및 복지, 문화, 물관리 등) 및 생애주기 맞춤형 서비스 제고 및 관리체계 확보 V. 결론 및 정책 제언 도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재정립의 방향 □ 그린인프라 유형별 주요 관련부처와 조성 및 관리주체, 주요 추진수단과 토지소유자와의 협력수단 등 □ 지속가능한 도시의 공원녹지 재정립 차원에서 향후 필요한 과제 제시 ○ 조성 및 운영관리 측면 - 도시 그린인프라 다기능성 정의 및 분류, 평가기법 개발 - 스마트 그린인프라 조성, 관리 플랫폼 및 기술 개발 - 그린인프라 인벤토리 구축 및 의사결정시스템 개발 등 ○ 계획 및 법제도적 측면 - 그린인프라 도입을 위한 도시 및 환경계획 수립 방안 - 그린인프라 유형별 조성모델 및 지침 개발 - 그린인프라 통합관리를 위한 법제화 방안 Ⅰ. Background and Purpose □ Due to the emphasis o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parks and green areas in terms of urban sustainability, there is a need to improve current policie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and enhance connections ㅇ Investigate areas for improvement, such as types of urban parks and green areas, subjects, and development methods in order to secure rationale for parks and green areas plans ㅇ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methods of urban parks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roles of related organizations (central government, local communities, owners, private and public enterprises, citizens) and improve these methods □ Inspect the current limitations and problems of policie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policies to secure future urban sustainability ㅇ Look comprehensively for political alternativ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olitical movements and mutual connections among the department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policies Ⅱ. Investigation of Current Policie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1. Changes in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in Korea □ Starting from the “Ordinance on the City Plans of Joseon (1934)” to the current “Act on Urban Parks, Green Areas, etc. (2005),” new policies, legal independence, and implementation of systems have led to changes in law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ㅇ Although development plans were held off for green areas during the times of rapid economic growth, more active policies on parks and green areas were formulated to secure urban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ㅇ In the present, there is a focus on urban regeneration, developing safe cities free from disasters and aesthetically pleasing urban areas, and encouraging citizen participation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urban parks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related to them 2. Analysis of policies and law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by various departments □ Need of a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for urban parks and green areas by reviewing open spaces in general within the cities under the cooperation of related departments ㅇ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xpand the current range of parks and green areas now centering around the urban facilities to regions including natural areas ㅇ Ministry of Environment: Expand the current preserved areas to urban areas for their preservation and public use (e.g., natural parks) ㅇ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Korea Forest Service: Expand spatial areas such as urban forests and urban agricultural lands into cities and diversify their functions ㅇ All organizations should emphasize park policies in terms of environment and lifestyle SOC for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and welfare space Ⅲ.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Foreign Examples 1. Research and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 Provide implications for a paradigm shift in understanding the values and functions of parks and green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and changes in future cities ㅇ Reinforce functions of parks and green areas in terms of safety,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nd securing resilience; develop parks considering women,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realize an inclusive society ㅇ Discover locations for possible green space and develop green technology to increase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absorption ㅇ Investigate a transition to a natural use of land due to decreasing populations and meet the demands and secure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smart parks 2. Implications from foreign examples □ Investigate policies and law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and the development statuses of four countries: Britain, Japan, Germany, and Australia. Derive implications based 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ㅇ Despite the need to improve parks and green areas du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ere is an increase in demand for land for development within c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limitations in improving the parks and green areas ㅇ There should be investigations on the types of parks and green areas and developmental methods that consider not only thei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unctions but also their social and economic aspects ㅇ Generally, the government at the national (or federal) and regional (state government) levels should clearly set the overall directions, while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policies and programs based on thei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ㅇ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ethods for not only developing the parks but also considering and minimizing the maintenance costs after development ㅇ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parks to public and private enterprises ㅇ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nd expand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citizens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ages Ⅳ. Sustainable Transformation on Parks and Green Policies □ There is a demand to formulate policies for securing the diversity, efficiency, and equity of parks and green areas based on a governance system in terms of developing and managing future urban park policie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 Select policies related to urban parks and green areas by classifying the transition into ① Expanding the Concept, ② Qualitative Improvement, ③ Diversification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④ Securing Foundations for Management 1. Expanding the concept of urban parks and green areas □ Include various green areas within the city aside from parks as green areas in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introduce the concept of “Green Infrastructure” which considers the mulifunctionality of green areas by making them part of a network ㅇ Expand the concept and spatial range of parks and green areas to “Green Infrastructure” defin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the natural ecological factors of a city and artificially developed green areas, and a fundamental basis and system to improve the functions” ㅇ This expansion will not include only legally designated parks, but also unofficial parks and other green areas that were in the blind spot of management and natural areas close to the natural ecosystem, to minimize the administrative discrepancy within the policie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 Consider integrating all related departments to plan and develop Green Infrastructure by sec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d green space from the establishment stage of spatial planning ㅇ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range of related departments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when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policies as a Green Infrastructure such as all areas that can function as open space, ecological restoration areas, and urban forests in the city ㅇ Investigate methods to comprehensively plan and manage areas with repeated subjects in terms of space or similar functions designated by each department, and secure a relationship between green areas an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from the establishment stage of spatial planning 2. Qualitative improvements of urban parks and green areas □ Improve the standards for location and disposition of parks and green areas and the evaluation system for urban resilience and environment in selecting the location and designing functions of parks and green areas ㅇ Regarding political improvements related to the location standards of parks and green areas, first consider the area of parks and green areas per person and the limit of disposition distance between parks that had been generally applied in the past ㅇ Urban Resilience Aspect: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to select park locations and design park functions - While considering the mulifunctionality of the parks, an evaluation system should be in place to determine the primary function by analyzing the Green-Blue-White system, the demographic structure of the region (age, economic levels, health, etc.), climate and disaster vulnerability - Provide autonomy on the detailed types of parks as func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evaluation results of each region ㅇ Environmental aspect: Consider the accessibility and potential benefits for vulnerable areas and vulnerable groups - Expand methods and technology to maximize green areas within residential areas considering the fact that parks and green areas are high in qualitative value and positively affect health simply by being nearby residential areas - Set location standards for park development that allows for easy accessibility based on the evaluation standards, including vulnerable groups (based on health, economic status, age, etc.) and vulnerable areas □ Diversify the types of parks and green areas to be used as Green Infrastructure by considering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ㅇ Diversify the types of parks and green areas considering the natural and artificial, and the public and private to integrate them into Green Infrastructure ㅇ Consider the regional value and function of large ecological areas, divide them into areas for use, manufacturing, and multifunctionality to avoid standardizing park facilities □ Consider developmental methods that reinforce the ecology and multifunctionality of parks and green areas ㅇ In terms of urban parks that consider the diversity of living creatures or ecological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first sufficiently consider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number of parks or park areas ㅇ Expand the multifunctionality of parks and green area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urrent demand,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In terms of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there is demand to consider various func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natural disasters, reactive measures to deal with the heat islands effect, floods, fine dust, and heat waves due to climate change, and an increase in the socioeconomic importance of parks and green areas 3. Diversification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urban parks and green areas □ Establish a system to support voluntary partnership and governance among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encourage various forms of private and public participation □ Need to diversify resources to develop and manage parks and green areas ㅇ Expand government support for nationally designated parks, provide incentives to protect private property rights, connect applications of related budgets wi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of private and public enterprises 4. Securing a foundation for the management of urban parks and green areas □ Need to establish an inventory on Green Infrastructure and a support system for decision-making that includes data collection (including opinions from citizens) ㅇ Develop and man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that include all national Green Infrastructure and systems that automatically estimate the effectiveness and management methods of green areas □ Need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smart technology for management of Green Infrastructure ㅇ Set directions for the core services of management of smart Green Infrastructure management (community,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s, definition of environment, welfare, culture, water control, etc.); enhance customized services for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and secure a management system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for Policies □ The directions for restructuring policies on parks and green area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 Suggest future tasks in terms of restructuring sustainable parks and green areas ㅇ Development and Management Aspects - Develop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mulifunctionality of urban Green Infrastructure - Develop smart Green Infrastructure, a management platform, and technology - Establish an inventory for Green Infrastructure and develop a decisionmaking system, etc. ㅇ Planning and Legal Aspects - Establish urban and environmental plans to implement Green Infrastructure - Develop a composition model and policies by types of Green Infrastructure - Policies for a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Green Infra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