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회계학교육의 개선방향 및 발전모형에 관한 연구

        윤석철,한문성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을 분석적으로 검토하여 환경변화에 적합한 회계학교육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우리나라 회계학교육의 개선방향과 발전모형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환경변화에 적합한 우리나라 회계학교육의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기업경영활동을 분석, 종합하고 문제해결 및 의사전달능력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는 새로운 접근방식의 회계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회계의 의사결정 정보제공, 활용기능과 경영 및 조직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분석을 포괄하는 교육내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화시대에 부응하여 전산화된 환경하에서 회계업무 처리에 필요한 실습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컴퓨터 실습실과 프로그램 등 기본적 교육시설이 갖추어져야 한다. 셋째, 회계 및 경영정보를 활용한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사례를 개발하여 기업현장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우수한 회계인력을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학부수준에서 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사례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에서 회계정보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회계윤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면서 교과과정에 회계윤리와 회계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교육내용을 포함시킨다. 동시에 최고경영자, 회계담당자 및 감사인의 회계윤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회계교육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정부 및 비영리조직의 회계를 대학의 교과과정에 도입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이 분야의 복식부기시스템 형성에 참여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회계, 병원, 학교, 종교법인 등 비영리조직 회계의 기준이 확립되면서 그 교육내용이 표준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개선안을 추진함에 있어서 또한 이를 달성하기 위해 대학의 회계학 교과과정 모형과 재교육프로그램 및 이를 추진하기 위한 주체와 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분석적으로 검토하여 우리나라 회계학교육의 개선방향과 발전모형을 제안한 탐색적 연구이다. 향후 이 분야의 보다 심층적인 연구들이 진행되어 우리나라 회계학교육의 질적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prior research to improve accounting education upon changes in the recent accounting environments, and has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s and model for accounting curriculum in our country that considers new accounting environments. The stud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a new approach of accounting education is necessary to decision making for business administration. Accounting education should emphasize in improving abilities required to information users, analytic abilities of business and organization activities. Second, accounting education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is necessary for recent accounting field. In order to introduce accounting education courses based IT should be furnished computer facilities and softwares.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case-study approach to accounting curriculum should be introduced for adapting accounting field. In order to success the case-study approach, it should be preceded to develop accounting cases suitable for college student level. Fourth, the accounting ethics of professionals, social responsibilities of accounting professionals has to be included for new accounting courses. This will make possible to prevent window dressing in financial statements and secure accounting transparency. Fifth, governmental and nonprofit accounting has to be included for new accounting curriculum. This will make possible to foster accounting professionals who can meet the requirements from governmental and nonprofit accounting field.

      • KCI등재

        교육환경권 보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학교 내 화학물질 검출 사례에 따른 교육환경법을 중심으로

        이상만 대한교육법학회 2017 敎育 法學 硏究 Vol.29 No.4

        According to a rise in economic income, a tendency was noticeably shown that people try to improve quality of life such as willingly living in clean environment. To satisfy this social change, the government, education office of the local government attempted to reform the facilities within school such as a school playground in order for children and adolescent students to be capable of receiving education in comfortable environment. Heavy investments were made with the above good objective, thereby having changed a school playground into artificial turf so that students can run around and play freely, and having repaired and resurfaced a school building in order to make students available for enjoying a learning right in comfortable environment. But carcinogenic agent and harmful chemical substance were detected in that place, thereby rather threatening students' health. And the government enacted “Law on educational environment protection(hereunder called “educational environment law”)” in order to secure educational environment in 2017 as if reflecting this social atmosphere. By the way, the educational environmental law was enacted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School Health Law”, thereby still emphasizing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blocking the harmful facilities outside school. In addition, this law focu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sessment when establishing a school. Thus, there is an insufficient section in regulating an environmental pollution incident within school that is taking place these days. Accordingly, this study pursued its improvement plan after inquiring into a problem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law centering on a case of chemical detection within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at happened recently. 국민들은 경제소득이 증가하면서 깨끗한 환경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런 사회의 변화에 부합하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아동 및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 운동장 등 학교 내 시설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좋은 목적에서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학생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학교 운동장을 인조잔디로 바꾸고 쾌적한 환경에서 학습권을 누릴 수 있도록 교사(校舍)를 수리․보수하였지만, 그 곳에서 발암물질과 유해화학물질이 검출되어 오히려 학생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그리고 정부는 이런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듯 2017년 교육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교육환경보호에 관한 법률(아래에서는 ”교육환경법“이라 칭함)”을 제정하였다. 그런데 교육환경법은 기존의 “학교보건법”을 기초로 제정된 탓에 여전히 학교 외부 유해시설 차단을 통한 교육환경 조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법은 학교설립시의 교육환경영향평가에 초점을 둔 나머지 최근 발생하고 있는 학교 내 환경오염 사고를 규율하는데 미흡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생한 교육시설 내 화학물질 검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환경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Ⅰ

        안선영,황여정,이수정,이로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청소년기에 아르바이트를 경험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연령도 낮아지는 추세다. 이는 청소년이 일하는 환경을 건전하게 조성해야할 사회적 책임의 중요도가 높아진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사회의 청소년 근로보호 수준은 여전히 열악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근로환경에 대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청소년 아르바이트 관련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정책과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2개년 연구로 수행된다. 1차년도인 2014년 연구에서는 만 18세 미만 청소년, 2차년도에는 만 18세 이상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2014년에 수행된 1차년도 연구에서는 청소년 아르바이트 기본 실태 설문 조사와 5개 업종의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 아르바이트 관련 법률 내용을 정리하고 법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금까지 정부가 추진해온 청소년 근로보호 관련 정책의 성과를 분석하고, 지역단위의 청소년 근로환경 개선 노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 아르바이트 구직 환경 및 근로환경 개선, 근로권익 보호,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및 내실화, 청소년 근로권익보호제도 홍보내실화에 관한 정책을 제안했다. 청소년 아르바이트 구직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인터넷 직업정보제공/직업소개 사이트에 대한 지도?점검 강화와 청소년 친화적 일자리 확대 및 정보제공 기능 개선?강화 방안을 제안했다. 청소년 아르바이트 근로환경 개선과 관련해서는 지역기관협의체 운영과 근로계약서 작성 문화 정착 및 서약서 작성 실태 점검, 휴식권 보호 방안을 제안했다. 청소년 근로권익 보호와 관련해서는 부당행위 신고제도 개선, 알바신고센터 운영 활성화, 임금체불 대응 제도 개선, 부당행위 사업주 처벌 강화를 제안했다.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및 내실화를 위해서는 청소년 대상 노동인권교육 활성화와 노동감수성 제고를 위한 교원연수 확대를 제안했다. 청소년 근로권익보호제도 홍보 내실화와 관련하여서는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활동 중심 홍보 방안 도입을 제안하였다. The percentage of Korean youth experiencing part-time employment is increasing and the average age that youth starting their first part-time job is dropping. This implies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nd society as a whole to create safe working environment for youth is becoming more important. Unfortunately, the level of legal protection for working youth is far less than desirable in our society and even the most basic laws are often violated. With the acute awareness of the ne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youth,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propose policy plans based on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ir part-time working experiences and the current labor laws and policy for youth. This research is a 2-year project. The subjects of the first year research are minors under 18. In the second year, part-time employment issues of the youth aged 19 to 24 will be investigated. For the first year research, 2-types of surveys an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rasp the working conditions for minors. Also, laws relating to youth employment are summed-up and suggestions about relating legislative improvement are proposed. In addition, we review policies advocating youth labor rights and regional efforts to improve youths workplace experiences. Based on these results, numerous policy suggestions are made to help youth in the process of finding part-time job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for youth and to strengthen legal protection of working youth. Also, the need of more intensive education of labor rights education for youth, teachers and employers and efforts to improve the public awareness of youth’s labor rights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이상민,최형주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8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present situation data related to school facilities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related systems and to develop indicators related to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students' education and life in general.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econd Delphy Survey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ex. As a result, a total of 88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were set, including 43 indicators on the quantitative aspects of the area, adequacy of general classrooms, and appropriateness of multi-purpose steel sugar, 34 indicators on the qualitative aspects such as the level of seismic performance, age of fire facilities, aging of toilets, and aging of finishing materials, and 11 indicators on operational aspects such as energy usage and user satisfaction.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 관련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과 교육환경 개선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 방향 및 교육환경 개선 분야와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면적 적정성, 일반교실 적정성, 다목적강당 적정성 등 양적 측면의 지표 43개, 내진성능 확보유무, 소방시설 노후도, 화장실 노후도, 마감재 노후도 등 질적 측면의 지표 34개, 에너지사용량, 사용자 만족도 등 운영 측면의 지표 11개 등 총 88개의 교육환경개선 지표를 최종 설정하였다.

      • KCI등재

        LINC+사업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서경화,김창숙,이주영,한정희,김현수,한영진,정영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110 contractual industrie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Ulsan College LINC+ Program on job education and trai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core competency and job competency were 5.73 points each in field practi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job performance was significant with OJT 5.58 points and 5.74 points for educational environment(p<0.05). The relationship between suitability of the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cruitment performance was significant with 5.73 points for OJT, 5.74 points for field training dur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period, and 5.79 points f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job reeducation/training expense was significant with 5.73 points for OJT and 5.79 points for educational environment(p<0.05). Also, students who completed the LINC+business curriculum shortened their job period by 1 to 6 months in 86.3% of the respondents, and responded that the education expense for new employees was reduced.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the LINC+ Program of Ulsan College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job adaptation period and reducing education expenses for new employees by operating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needs of the industry and improving the same educational environment as the industrial field. 본 연구는 U대학교 LINC+ 사업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환경 개선이 직무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협약산업체 110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핵심역량과 직무역량은 현장실습과 교육환경에서 각 5.73점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는 OJT 5.58점, 교육환경이 5.74점으로 유의하였다(p<0.05). 교육과정의 적합성 및 교육환경과 채용성과의 관련성은 OJT 5.73점, 교육훈련기간에서 현장실습 5.74점, 교육환경 5.79점, 직무재교육/교육훈련비에서는 OJT 5.73점, 교육환경 5.79점으로 유의하였다(p<0.05). 또, 산업체 응답자의 86.3%에서 LINC+사업 교육과정 이수학생에서 1∼6개월 직무기간이 단축되었고, 신입사원 교육비가 절감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U대학교 LINC+사업은 산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운영과 산업체 현장과 동일한 교육환경 개선으로 직무적응기간 단축과 신입사원 교육비 절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정책의 개선 방향

        최정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4 No.-

        This paper will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Korean education policy and suggest some improvements. When you view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n the modern sense about 70 years, the legal support period at the national level, is a little over 10 years. Nevertheless, the absence of such policy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or government policies or institutions, law enforcement is rather caused a number of problems. Diagnosing with multiple issues in language policy perspective on this, as a base of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this paper emphasizes to select one of the policy enforcement Agency's or Department's dedicat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y which is consistent through efficient enforcement. The proposal poin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allation of the towers to oversee Korean education, The second is specifically law revision of the improvement on Korean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The third is investigation into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Korean learning environment and comprehensive approach proposal for creation a demand for Korean learners. In addition, an effective plan which provides the supply and demand forecasts is needed.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진단,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한국어교육 역사를 70년 정도로 볼 때, 국가 차원에서의 법·제도적 지원이 제공된 기간은 10년 남짓이다. 그럼에도 국가적 차원의 정책 지원 등의 부재, 또는 정부 차원의 정책이나 제도, 법 시행은 오히려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본고는 이에 관한 여러 문제점들을 언어정책적 관점에서 진단하면서, 문제점의 개선 방안의 기저로 정책 시행 전담 기관이나 부서의 선정과 이를 통한 일관성 있고, 효율성 있는 정책의 수립과 시행, 그리고 국어기본법 및 시행령으로 대표되는 법제적 지원틀을 가능한 한 빨리 개정해야 한다는 점, 한국어 수요자 안정화를 위한 노력이 절실한데, 이를 위해서는 국내와 국외에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정책이나 계획이 구분되어야 하고, 국가적 차원의 노력과 민간(주로 대학)의 노력에 있어서 어느 정도 배타적인 영역과 방식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본고의 제안점을 정리하면 첫째, 한국어교육을 총괄할 관제탑의 설치, 둘째는 구체적으로 ‘한국어교원 자격제도’ 개선을 위한 법 개정, 셋째는 한국어학습자 확보를 위한 국내외 한국어학습 환경의 전면적 조사 및 이를 통한 종합적인 방안 제시, 그 외 수요를 예측하며 공급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방안의 모색 등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었다.

      • 교육시설 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환경친화형 학교를 중심으로

        정영호 동의공업대학 2001 論文集 Vol.27 No.1

        The schools is importment of living space for students. So the facilities environmental for education is effects studying and teaching services.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facilities for education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is present improve directions in the facilities for education.

      • KCI등재

        제7차 초등 도덕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안

        이인재 ( In Jae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3 윤리교육연구 Vol.0 No.4

        본 논문의 목적은 2000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한 제7차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고, 또 무엇을 보완해야 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 도덕 수업의 효율화를 위해 어떤 노력들이 초등 현장의 내·외에서 있어야 할 지에 대해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 초점을 둔 것은 두 가지로서, 하나는 초등 도덕교육의 위기와 위상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가? 이며, 다른 하나는, 초등 도덕교육의 현 실태는 어떠하며, 만약 문제점이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보완해 볼 수 있겠는가? 이다. 초등 도덕교육의 현 실태를 살펴봄에 있어 초등학교 ``안``의 문제와 ``밖``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미래 지향적인 초등도덕교육의 발전 방안으로서, 초등 도덕교육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정당화 근거를 확보하여 초등 도덕교육의 위상 제고,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의 원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활용 능력을 갖추기, 학교 도덕교육을 저해하는 전반적인 교육체제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proper ways how to accomplish the goal of moral teaching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7th moral curriculum. To the end, First, I analysed how the 7th moral curriculum is practised, what are difficulties and what is supplemented to solve the problems. While analysing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 found that all the members of school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didn`t consider the moral teaching as a important educational activity. This recognition connected, therefore, closely ``the crisis of moral education``. This paper focused on two points. One is how is connected between the crisis of moral education and the present position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other is what is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and if any, what is the problems and how to solve them effectively. In order to examine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 approached two ways, that is, ``in`` and ``out``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former means the management of moral curriculum, the latter moral environment of home and community as the supporter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s the proper ways for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I proposed the producing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rationale of moral education, the promotion of knowledge and using ability in moral teaching and improvement of bad environment around the elementary school.

      • KCI등재후보

        학교시설 수선주기 설정에 관한 연구

        이상민,Lee, Sang Min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8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안전성, 노후도, 경제성 등 시설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선이 필요한 중장기적인 사업물량 및 사업예산 규모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시설개선 기준(수선주기)을 설정하여 체계적인 시설개선계획 수립을 통한 적정수준의 교육환경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적정 수선주기는 기본적으로 최근 2년간 교육청에서 실제 집행한 교육환경개선사업의 실적자료를 분석하여 직전 보수년도와 사업시행연도를 근거로 수선주기 기초자료를 산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17개 시도교육청 실무자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시도교육청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최종 적정 수선주기는 관련규정과 실적자료, 델파이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설정하였다. In Korea, it is difficult to secure student health and safe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the rapid deterioration of many school facilities built in the 70s and 80s in the past. As a result, through the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ies, social needs for safe schools from various disasters, accidents,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tandar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nd school facilities for the mid - to long - term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old school facilities, and to propose a framework for mid - to long - term and rational planning that can be used b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id - and long - term plan for the improvement of old school facilities. The appropriate repair cycl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facilities set up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standard for the mid - and long - term planning for improvement of the school facilities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a standard model, It is possible to roughly estimate the overall improvement in the mid- to long-term facilities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 KCI등재

        회계교육에 있어 인터넷정보 이용과의 관련성 연구

        류장열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회계정보연구 Vol.30 No.4

        최근 이동통신의 급속한 보급은 SNS 등 인터넷 정보이용으로 생활수단과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동통신을 이용한 정보이용은 실시간 쌍방향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시공간적 제약요인이 살아지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은 대학 전공교과목의 정보 이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회계정보시스템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회계학 교육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대학교육은 시대성을 반영한 학생 지향적인 전문성 교육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아이패드, 태블릿PC 등의 이동통신매체가 대중화됨에 따라 회계교육에 있어 인터넷정보 이용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회계교육에 있어 인터넷정보 이용은 전반적으로 1%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별요인의 인터넷정보 이용에 대한 세부적인 결과로 학년변수는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수업내용, 교육서비스, 수업개선, 교육환경, 교육이미지에 대한 변수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대중화는 회계교육에 있어 인터넷정보 이용과의 관련성에 전반적 영향은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개별요인은 요인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향후 회계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고려할 사항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표본선택이 지역적이고, 변수의 제한으로 회계교육 전체를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나 회계교육에 있어 개별적 요인을 고려한 강의와 교육운영방향 설정에 일조할 것을 기대한다. Recently, using the Internet information is common in education environment because of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 Education environment is the first consideration in the education of accounting. Therefore, an accounting education requires new lecturing and educational contents in internet education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increase in smart ph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vity of internet information used in accounting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found that using the Internet information in accounting education generally impacts on 1% level of significance. Also, degree of a school grade variables influence 5% level of significant. Whereas in other factor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the Internet information. Although this study cannot explain whole things owing to constraint of variable, the study conclude that we need to education management in accounting education considering of individual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