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IPA를 활용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특수교사 요구 분석

        송은숙(Song, Eun-Suk),최진혁(Choi, Jinhyeok)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핵심 요소를 탐색하고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개발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문헌연구, 전문가 검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영역 31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특수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 및 R-IPA(Revised-IPA), IPA 매트릭스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6개 영역과 31개 세부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고, R-IPA분석 결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전문성 영역과 평가 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요구는 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상대적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아 개선을 위한 노력 및 지원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영역은 교육과정 이해, 교육과정 재구성의 설계, 교육과정 재구성의 평가, 교육과정 재구성의 전문성 항목이 혼재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시행 중인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실효성 검토 및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전문성 신장 방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mprehensive data for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capacity by exploring the key element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special teachers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Method: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31 questions in 6 area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via literature research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56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R-IPA, and IPA matrix.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wareness was identified for the six area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31 detailed ite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wareness. The R-IPA analysis represented high needs for the area of expertise and evalu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Second, several areas to be improved were identified: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designing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evalu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to increase teacher’s expertise and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related to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 내러티브의 형성에 관한 연구

        이승은(Lee Seu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내러티브 논의가 교육과정 재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 교육과정재구성 경험이 내러티브 형성과 맺는 관련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내러티브는 내적 요소들이 일관성 있게 구조화되어 있고 맥락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허용하는 삶의 의미가 적재된 이야기를 뜻한다. 내러티브가 우리가 세계 속에서 살아가는 동안 겪는 경험을 원천으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교육적 내러티브의 의미와 구조는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의 관련 하에 파악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은 교육적 경험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서, 학습자 외부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무기력한 교육과정을 학습자 내부의 의미 있는 경험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이런 이유로,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 내러티브의 형성 간의 관련을 이해하는 일은 교육과정, 내러티브, 경험 삼자 간의 관련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 내러티브 형성에 관한 문제를 다음 세가지 하위 주제를 통해 탐색하였다. 첫째, 듀이 경험이론을 중심으로 경험이 내러티브 형성과 관련을 맺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험의 구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내러티브의 성격과 특징과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경험을 원천으로 하는 내러티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내러티브 형성과 맺는 관련을 다양한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formation of teacher narrative. Narrative is a story loaded with meaning of life. This story has a structure with coherent internal elements and provides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the contexts. As the life experience is a source of narra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narrative in relationship with experience. As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a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inert curriculum outside the child into the meaningful one inside the child learner, curriculum reconstruction depends on the meaning of experienc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urriculum structure depends on the clear expla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narrative, and experience. Based on these premi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of narrative on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hree categorie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horizon of experience on the basis of Dewey s theory of experience. Secondly, this study explore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on the basis of close examination with the structure of experience which forms the origin of narrative. Finally,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origin and the nature of narrative, this study confirms the role of narrative on the formation concrete and rich understand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 특징 및 촉진 요인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성희원,황순영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related to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mplementing characteristics and facilitating factors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o this end,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9 qualitative studies that showed the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mong studies published dur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sults: First, the form of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inly consisted of in-subject curriculum reconstructing and inter-subject curriculum reconstructing. Second, when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content is mainly reorganized by rearranging, adding, or omitting the units and contents of the textbook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interest or level. Third, curriculum liter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motes curriculum reconstructing. Four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to provide instruction suitable for the learner‘s level, and the support of peer teachers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moting the curriculum reconstruct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re-exploring and synthesizing individual qualitative studie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practice curriculum reconstructing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질적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 특징과 촉진 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발간된 연구물 중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나타나는 질적 연구 9편을 선정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 특징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형태와 방법으로, 촉진 요인은 교사 요인과 환경 요인으로 구체화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 형태는 교과 내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과 간 교육과정 재구성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교육내용을 주로 재구성하며 그 방법은 학습자의 흥미나 수준을 고려하여 교과서의 단원과 내용을 재배열하거나 추가, 생략하는 것이었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교육과정 재구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는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교수를 제공하고자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으며 동료 교사 및 교사학습공동체의 지원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촉진하였다. 논의 및 결론: 개별 질적 연구를 재탐색하고 종합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이 실천적 방향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 관련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구조적 관계 비교

        장봉석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teachers’ curriculum satisfaction, understanding of curriculum,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degre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s well as the moderator effect of school level.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16 in-service teachers, and SPSS 21 and AMOS 21 were used to implement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results, first, curriculum satisfaction is a negatively predicting variable toward the degre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t the significance level. Second, understanding of curriculum showed positive impact on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rd,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positively predicted the degre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Fourth, moderator analyses showed different structural relations by the school leve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revealed that curriculum satisfaction toward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oward the degre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predicting variables at the significance level. However, more predicting variables in cas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xplained dependent variables such as curriculum satisfaction on the degre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understanding of curriculum on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need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on the degre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Results were discussed to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eachers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이 연구는 교사의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과정 이해도,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의 관계를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학교 급에 따른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교사 316명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21과 AMOS 21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교육과정 만족도는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이해도는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에 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은 교육과정재구성 수준에 대한 정적 영향 요인임이 밝혀졌다. 넷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집단별로 분리하여 살펴본 결과, 초등교사 모형에서는 교육과정 만족도가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에 대해 부적 영향을,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이 교육과정재구성 수준에 대해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등 교사 모형에서는 교육과정 만족도가 교육과정재구성 필요성에 대해 부적 영향을 주고,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 대하여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교육과정 이해도가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에 대하여 정적 영향을 주고,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이 교육과정 재구성수준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영향 요인과 조절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특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임태원,홍후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3

        본 연구는 지속적인 학교의 자율성 확대에 따라 교육과정 실천가이자 개발자로서 자리매김한 교사의 역할에 주목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특성과 촉진 요인, 저해 요인을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사례연구 12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정한 분석틀을 적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특성으로 가장 두드러지는 재구성의 범위는 주제 중심 재구성과 수업 방법 중심 재구성으로 확인되었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학습 내용을 재구성하였으며 내용의 재배열, 추가, 대체, 생략, 축약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촉진하는 요인은 교사 요인과 환경 요인으로 대별되었다.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 동기로 교사로서의 가치관과 신념에 영향을 받았으며, 학습자의 흥미 유발과 학습 동기에 대한 관심이 교육과정 재구성을 촉진하였다. 환경 요인으로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지원과 집단지성의 활용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교사 요인, 환경 요인으로 종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학습자료와 관련한 내용이 확인되었다. 교사는 교육과정의 재구성이 개인의 교육과정 역량에 의존하는 데 따른 부담과 자신감 결여를 보였으며, 학습자료인 교과서 중심의 수업 문화가 재구성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업무 과중, 학교 문화, 평가의 경직성 등이 환경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원하고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향후 연구 방향과 제도적 차원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eachers as curriculum designers and practitioners, and it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facilitating factors, and impeding factor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teachers. To achieve this, this study selected 12 case studies reported in journals in Korea from 2012 to 2021 as objects of analysis. Result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found out how themebased reconstruction and instructional method-based reconstruction are characterized by curriculum reconstruction.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by teachers in detail, this study reconstructed learning content, and used methods to rearrange, add, replace, omit, and abbreviate the content. Second, teacher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facilitated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teachers. Teachers were influenced by teachers' values and beliefs such as motiva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facilitated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support of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he use of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the most prominent environmental factors. Third, teacher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had impeded the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various ways. Teachers were burdened and lacked self-confidence due to their reliance on the individual curriculum competency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textbook-centered instructional culture as learning material compromised the autonomy of reconstruction. In addition, heavy workload and evaluation structure were analyzed as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search performance to explore the facilitating factor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depth and devise a method for removing impeding factors.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연구

        김판수,이영주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실현하는 초등학교 교사 4인의 교육과정 재구성의경험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교육과정 재구성의방법을 알아보고, 전문성을 가진 교사 양성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 대상은현직 교사 중 수학과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풍부한 교사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3차로 이루어졌으며, 4인의 사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대로의 수업은 ‘흥미 저하’와 ‘성취 기준 미달’로 귀결되어 교육과정 재구성의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게 된 계기는 각자 달랐으나 교육과정재구성을 시도하게 된 원동력은 수학 교과의 내용 지식과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이 높았기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속시키는 요인은 학생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교사 연구 활동이었다.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중심이 되어 교사 연구회를 운영하고 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성장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법은 각기 달랐다. 각 교사가 지향하는 목표는 같으나 그 방식이나 접근에 대한 기본 철학에서는 차이를 나타내 보였고, 그것이 교과서를 재구성하는 방식을 결정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어려움 조사에서 교사요인으로 시간 부족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확신 등이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 간의 개인 편차와 개인적 특성과 같은 학생요인도 중요한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은 기존 연구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과정 문해력을 위한 연수와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의 공유와 보급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of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ntinuously realize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und out how to develop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reorganize the curriculum through mathematics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sought implications for fostering professional teach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teachers who understood mathematics and curriculum well among incumbent teachers and had extensive experience in reorganizing mathematics and curriculum.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 total of three rounds, an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of four people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based class resulted in a 'decrease in interest' and 'under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as recognized. However, although the reason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were different,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ttempt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seems to be the high knowledge of the content of the math subject and the literacy in the mathematics and curriculum. Second, the factors that sustain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were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and teacher research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with expertise are the main ones who run teacher research groups and grow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hem. Third, the method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as different. Each teacher's goal was the sam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basic philosophy of the method and approach, and it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determining how to reconstruct textbooks. Fourth, in the survey of difficulties 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lack of time and confidence 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ere confirmed as teacher factors. In addition, student factors such as individual deviation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student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difficulties, which were not found in previous studies. Fifth, in order to revitalize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overall support is need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raining for curriculum literacy and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case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are required.

      •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요인 탐색

        추광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08

        이 연구는 교사가 교육과정 재구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통해서 드러난 요인들과 교사 78명을 대상으로 한 자유응답식 문항을 통해 얻어낸 결과들을 토대로 저해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저해요인으로는 첫째,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재구성 개념에 대한 혼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 범위와 한계에 대한 혼란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넷째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부터의 지배,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서의 일관성 확보의 어려움, 교사의 자기 결정권 강조의 제한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저해 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개념에 대한 합의와 교육과정 언어들의 재정립, 교육과정 재구성 주체인 교사 전문성의 지속적인 성장 노력, 교욱과정에 대한 새로운 시선 갖기, 기존의 획일화된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의 탐색 및 습득, 학교나 교사 나름대로의 독창적이고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과 틀에 대한 자율성 및 범위의 확대, 그리고 교육과정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들에 대해 끊임없이 답을 구하고자 하는 교사들의 태도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최지혜(Choi Jee Hae),박정연(Park, Joung Yeon),안경숙(An Kyoung Suk),이숙향(Lee Suk-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탐색하여 이를 통해 효과적인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현장 지원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고려하여 특수교육 경력 3년 이상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있는 10명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Zoom을 통한 비대면으로 이루어졌으며 면담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전사된 면담 자료는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7가지의 대주제와 30가지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대주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 방법, (2) 교육과정 재구성의 성과, (3)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영향요인, (4)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교사 개인적 제약요인, (5)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환경적 제약요인 (6) 제약요인에 대한 극복방안, (7)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원요구. 결론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1)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 환경 구축, (2)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적인 연수 개발, (3) 현장에 기반한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활성화, (4) 특수교육 교원 확충 및 교육환경 개선.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urriculum redesign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upports for effective curriculum redesign. Methods Considering this purpose, i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teachers who had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s in curriculum redesign.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non-face-to-face using Zoom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situations, and the reliability was confirmed after all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fter tha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7 major themes were emerged along with 30 subthemes: (1) methods to implement curriculum redesign, (2) outcomes of curriculum redesign, (3) influencing factors in curriculum redesign (4) barriers in teacher personal level about curriculum redesign, (5) environmental barriers in curriculum redesign, (6) methods to overcome of the barriers, and (7) supports for curriculum redesign.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supports for enhanc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pacities to redesign curriculum were discussed as follows: (1) establishing practical cooperative environments for curriculum redesign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2) enhanc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urriculum redesign, (3) doing research on field-based curriculum and curriculum redesign, and (4) increasing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태와 활성화 방안

        김예슬,채정현,최새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敎員敎育 Vol.33 No.1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by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s. With the survey data drawn from the 125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ing methods, 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employed in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indings show that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re less likely to take part in reorganizing the curricula compared to the extent what they have been interested. Nevertheles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hows the content re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based on the students’ interests, needs, and their ability to learn and to apprehend. Adding or omitting some contents of the text book are frequently used in order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whereas integrating contents in the textbook are hardly exerted. The most frequently reorganized unit in the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2009 was The Adolescent’s Life. Of all units, Career and Life Design is the least reorganized. The most commonly employed teaching method is the explanation-based lecturing, and the main learning materials are teachers’ manuals and those of their own makings. For the evaluation methods, multiple-choice and short-answer questions are the top of the list, followed by the completion assessment of task performance and practice works. Main obstacles to the curricular reorganization seem to be the heavy workload and the lack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home-economics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식과 특징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학교 수준의가정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관심, 이해, 참여 정도와 교육과정 개발 참여 실태 및 가정과 교과내용 재구성 실태, 주로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평가 방법, 가정과 교육과정재구성의 제약 요인을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9월-11월까지 전국의 중학교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25부를 회수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은 학교 수준의 가정과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대하여 관심(4.22)과 이해 정도(4.07)는 높았으나, 참여 정도(3.62)는 낮았다. 참여 정도가 낮은 것은 학교업무 부담이 크고 재구성하는 전문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므로 질높은 수업을 위해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교사 수준에서의 가정과 내용 재구성은 84.0%로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정과 내용 재구성에서 가장 크게 고려되는 사항은 ‘학생들의 흥미·관심·이해 정도(4.64)’, ‘학생들의 학습 능력 및 이해 정도(4.43)’ 순이었다. 내용 재구성의 방법으로는 ‘교과서(혹은 교육과정 각론)의 일부 내용을 추가 한다.’의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일부 내용을 다른 교과와 통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용 재구성이 가장 활발한 가정과 교과 영역은 2009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대단원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생활’ 단원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재구성 비율이가장 낮은 단원은 ‘진로와 생애 설계’이었다. 가정과 수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수·학습방법은 강의식 수업이었고, 토론 수업의 활용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자료는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와 교사 자신이 제작한 자료이며, 평가 방법은 선택형과 단답형 문항, 과제 수행 및 실습 작품의 완성도 평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수업에서는 공동 학습 과제를 제시하거나, 소집단 활동 등을 통해서 학습자들에게 문제를 해결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이 요구된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의 개선을 위하여 개인적인 연구활동으로는 발전의 한계가 있으므로 동학년, 동교과 교사와의 협의와 정보 교환을 통한 교육활동 개선이 필요하다. 가정과 평가에서는 서술형과 논술형 평가, 구술시험은 거의 활용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 전문가들로부터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한 평가 기준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가정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가장 큰 제약요인은 ‘과중한 업무부담(74.4%)’, ‘교직 입직 후 충분한 교과교육 연수 기회 부족(46.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 요인을 완화 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가정과 교사들이 학생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잡무를 경감시켜야 하며, 교사 양성 단계 및 교직 입직 후 단계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및 재구성 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정책 당국에서는 가정과 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가정과 교과의 수업 ...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이대식 ( Lee Daesik ),임건순 ( Lim Geons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교사들이 교육과정 재구성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교육과정 재구성 효과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교육과정 재구성 활동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 업무 관련하여 어떤 지원을 필요로 하는 지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총 215명의 경기도 지역 초·중·고 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조사 결과, 대다수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학생이나 사회 요구 반영을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응답자의 86%가 재구성 효과에 대해서 약간의 효과 혹은 큰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다. 교육과정 재구성 유형으로는 교과 내 단원 간 통합이나 연계가 가장 많았다. 교육과정 재구성 효과에 대한 인식 정도로 집단을 구분해봤을 때 긍정적인 집단과 부정적인 집단은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의 참여 적극성 정도, 필요로 하는 지원의 내용 등에서 가장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 활용, 물리적 시간 마련, 교사 간 협력 등에 특히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 해소방안으로 교사들은 자율적인 교사 전문적 공동체 활동을 선호하였다. 이 밖에도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필요한 지원으로,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의 충분한 융통성과 자율성 허용, 풍부한 모범사례집 개발 및 보급, 재구성 관련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연수와 훈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eachers actually implement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whether their perceptions on the effect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re related to their practices, and what kinds of supports they need to do it. A total of 21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rom Gyeonggi-do area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Most of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necessary to meet student or society needs. Also, 86% of participants were positive about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effects to meet the needs and levels of students, the efficiency of class management, and the enhancement of students’ interests. When classifying the groups to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effect, the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process and the content of support needed. Teachers were having trouble with using community resources, securing work time,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teachers. As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teachers preferred voluntary teacher professional group activities. Finally, teachers listed allowing enough autonom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a wealth of practice cases, effective training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as necessary sup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