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중학교 수학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유충현(Chung Hyun Yu),석진영(Jin Young Seok)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흐름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형태가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창조, 변형, 폐기되어 온 과정을 학습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교육과정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시야를 제공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천하였는지, 그리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2013년부터 시행되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 과정의 기본방향, 주요 내용 등을 파악하고 2007 개정 수학과 교육 과정과 비교 ·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는 1946년 교수요목을 시작으로 여러 번의 수정을 거쳐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 만들어 졌다. 그러나 국가가 정해준 같은 과목을 같은 내용으로 수업하여 학교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고 교과 위주의 교육을 중요시하여 학생들이 다양하게 경험하고 느낄 수 있는 체험활동이나 봉사활동, 진로교육 등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 내용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새롭게 편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해보면 기본방향은 7개 항목에서 4개 항목으로 줄어들었고, 추구하는 인간상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전인적인 성장 위에 개성을 중시하였다면 내년부터 시행되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인적인 성장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학생들의 적성과 진로 등을 고려할 수 있게 하는 변화를 두었다. 중학교 목표는 5개의 항목에서 4개의 항목으로 축약되었지만 수학과 목표는 동일하였다. 그리고 창의력을 키우는 교수 ·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창의력 교수 · 학습 방법을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창의력에 관한 교수 · 학습 방법은 그 전에도 제시하였지만 소주제의 역할만 해왔다. 그러나 이번에는 하나의 교수 · 학습 방안으로 제시되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정된 교육과정이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지속적으로 수학을 탐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 The goal of the research which sees observes and our country curriculum flowing, sees and the curriculum form according to change of time and direction of a ceremony creating, is changed and is disused and studying a process width widely means becomes the help which the problem point of current curriculum provides the range of vision which is depth about curriculum and solves. So the comparisons between mathematics curriculum in 2007 and 2009 especially the changes of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in 2007 and 2009. This includes the characters, the main ideas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curriculum in 2009 that compared with that in 2007.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to the start of the 1946 syllabus through several modifications were made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o raise the country told us the same class with the same contents as the subject without acknowledging curriculum-oriented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autonomy and diversity of the school, volunteering, career training, students experience various school feel Activities creativity problems in education lack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newly organized. And 2007 revised curricula and revised curriculum 2009 compared to 4 out of seven entries in the default orientation of the topic, seeking a desirable human character , 2007 revised curriculum this holistic growth ove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emphasis on individuality and holist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on career paths to consider students " aptitude and are able to change the course. Middle school goal from the five items were reduced to four items. But Mathematics and the goal is the sam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ity are proposed. These are the one of the ways that suggested for cultivating the men of talent globally. Man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tudent"s creativity were presented before as only the sub-theme. However, in this time, the rol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hanged to the main theme. Finally, the revised curriculum for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math feel constantly mathematics to explore and take advantage of, I hope helps a lot.

      •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종건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1

        The study intended to review critically the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terms of ① revision period ② motive of curriculum revision ③curriculum decision system ④ initiating group of curriculum revision ⑤ nature of curriculum ⑥ types of curriculum ⑦ provisions for curriculum application. The study argued such as : ① recently, curriculum is revised by the principle of 'part & irregular', while curriculum had been revised by the principle of 5 years regular revision from the period of the 4th curriculum to 7th curriculum, ② curriculum has mainly been revised by extrinsic motives of education, ③ decision making system for curriculum revision has always been centeralized one, ④ curriculum revision has usually been supervised by government officials, ⑤ curriculum has always been revised in the point of 'supplier' of education. ⑥ the type of curriculum was always complex one, ⑦ poor provisions were made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futur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based upon an innovative paradigm and development system. 이 연구는 지난 50여 년 동안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에 적용되었던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① 개정 주기 ② 개정 동기 ③ 결정 체제 ④ 개정 주체 ⑤ 성격 ⑥ 유형 ⑦ 실행 여건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 특색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① 제 4차 - 제 7차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정 ‘5년 주기설’에 따라 5년마다 개정되었지만 최근에는 ‘부분․수시 개정’의 원칙에 따라 개정되고 있으며, ② 주로 교육 외적 요인이나 동기에 의하여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왔었고, ③ 교육과정 결정 체제는 항상 중앙 집중 체제였지만 6차 교육과정 이후에 다소간 분산체제로 변화되었으며 ④ 주로 관(官) 주도에 의하여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왔고, ⑤ 항상 공급자 중심 교육과정이었으며, ⑥ 교육과정 유형은 ‘복합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⑦ 개정된 교육과정의 실행 여건이 미비하였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미래의 교육과정은 혁신적인 패러다임, 새로운 체제에 의하여 개정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서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내용 분석: 핵심개념 ‘발달’을 중심으로

        김경민,송지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현재 중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중 발달 핵심개념과 관련된 부분에서 교과 내용이 어떤 소재로 어떻게 조직되어 있으며 어떠한 교수‧학습방법이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되어 출판된 총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 5종이다. 연구절차는 우선, 각 교과서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발달 핵심개념에 대한 내용과 단원 구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각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발달 핵심개념과의 관련성을 목표, 성취기준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대부분 대단원명을 ‘청소년의 발달과 이해’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발달’ 영역은 가정생활영역 대비 적게는 24.59%에서 많게는 31.1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각 교과서의 단원 구성을 도입, 전개, 마무리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삽화나 사진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활동자료를 제시하여 학생 중심의 교육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셋째, 5종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 중 자신의 발달에 대한 이해, 긍정적 자아정체감 형성, 관계형성 능력 및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 배양의 목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학습활동 및 체험활동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5종의 교과서에서는 협동중심 교수·학습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교과서 분석을 통해 기술‧가정 교과서를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활용되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추후 교과서 개편을 위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contents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dealing with the core concept ‘Development’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ubjects were 5 textbooks from the twelv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most textbook used ‘Adolescence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as a chapter name. Second, each unit structure has various picture, graphs and activities to make interesting class to students. Finally, 5 textbooks include goals of self understanding, positive self-identity, relationship building and problem-solving. Also, various activities help students accomplish achievement standard 2015 revised curriculum oriented. And cooperation focused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used the mos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and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 of future textbooks reform.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contents analysis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식’을 중심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홍후조(Hong Hoo-J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5

          중앙집권적 국가교육과정기준을 가진 나라에서는 그것이 전국의 교육 내용?활동?경험 제공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그것을 무엇으로 채우고 어떻게 만들 것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국가교육과정 기준은 그것이 담을 내용과 그 내용을 빚어내는 개정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이 글은 변화된 환경 속에서 현행 교육과정의 개정 방식을 다룬 것이다.<BR>  개정은 그 대상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 개정 범위는 전면개정과 부분수정, 개정 방식은 동시개정과 순차개정으로 나뉜다. 이 글에서는 질 높은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서 동시개정 방식을 폐기하고 순차개정 방식을 개발할 필요성에 주목하여, 그 개선 방안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관련 법규 미비 해소를 통한 각 주체의 권한과 역할을 분명히 규정할 필요, 세계화시대의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역할 재정립, 교육과정 총론에 의한 교과 교육과정 종합 비교 장치(도구/단계) 도입 등을 논하였다. 이들 네 가지는 국가교육과정기준의 크고 작은 변화를 통한 질 개선을 함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긴요한 일들이다.   How to make a nation"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NCS) including its basic framework and content is very critical in the nation which has a centralized curriculum governance because it makes an every effect on educational objectives, textbook content, instruction,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student"s learning, and evaluation all over the whole country. Almost all educational contents, activities and experiences come from and are based on the NCS.<BR>  This paper deals with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NCS improvement under the changed circumstances such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Korean NCS has overly regulated and controlled local and school curricula without leaving any room for their autonomy, however paid little attention on national and global educational problems and issues such as economic competitions among global markets, global understanding and transaction, cultural conflicts among civilizations, etc.<BR>  The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Korean NSC has heavily relied on the total and simultaneous revision of all elements and phases of the curriculum in every revision projects, which brought forth irrational framework, principles and guidelines. This paper discussed on the issues of legal regulations about curriculum revision and moderation and management of subject-matter curricula by the General Guidelines.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개인특성, 개정 실과 교육과정 및 실과교과에 대한 인식과 교육현장 혼란과의 관계

        김영은,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가 각 교실에서 충실히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한데,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 교사가 혼란스러움을 호소한다면 그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는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해 교육현장이 혼란스럽다고 인식한 교사와 인식하지 않은 교사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개인변인, 개정 실과교육과정관련 변인, 실과 교과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변인들의 경우, 교사의 성별, 교직 경력, 실과 연수 경험 등이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현장의 혼란스러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정 실과교육과정 관련 변인들의 경우, 교과명칭 변경 필요성,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교사 입장),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학생 입장),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학부모 입장), 개정 교육과정에서 내용 축소에 대한 인식, 개정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인식 정도 등이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현장의 혼란스러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과교과에 대한 인식이 수준이 낮은 교사일수록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에서 혼란스러움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p of teacher who realizes confuse the education field and realizes and teacher who doesn't by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The major discuss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factor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ex, teaching career, experience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practical arts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Second, In case of factors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importance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Content reduc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content reduc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general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Third, the lower level of perception of practical arts,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

        강대현(Kang, Daeh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이 해방 직후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동안 사회과는 도입 이래 여러 차례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왔고, 특히 7차 이후 수시 개정 체제로 바뀌면서 2007, 2009 개정 시기에는 잦은 변화를 겪어서 이에 대한 종합적인 성찰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각 개정 시기별로 어떻게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졌고 교과목 체제와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변화를 다루고,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전반적인 양상에 대해서 논의하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그동안의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을 살펴보면 크게 네 가지 양상이 나타난다. 첫째 국가 주도 하에서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 항상 국가주의 요소를 반영하는 것이 주요 개정 내용이 되어 왔다. 둘째 대체로 총론이 개정을 주도하는 상황이 전개되어 교과 편제 및 시수를 바꾸는 것이 우선되어 왔다. 셋째, 통합 대 분과의 대립 속에서 영역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분과 체제가 강화되어 왔다. 넷째, 현장과 괴리된 개정으로 초·중등 교육 및 대학 교원 양성 체제의 왜곡을 가져 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had been revised and changed from Syllabus period to the 2009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Until now,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had been revised from Syllabus period to Seventh curriculum as the periodic revision system and had been changed from 2007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the provisional revised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ystematically. First of all,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 of background and factors affected the relevant curriculum for each revision. In the process of analysis, this study deals with the overall flow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specific chang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odalities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 result, we have been looking over the revision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find the four modalities. First, curriculum was amended by the nation and to reflect the nationalist element was a major amendment. Second, educational theorists led the revision process and priority was to change the organization and hours of curriculum. Third, the conflict between the areas of social studies was intensified with the confro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vs. separated curriculum and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was weakened. The fourth, the revision was separated from field and the distor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teachers training system appear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과 교원 정책의 대응 : 중등 교원의 인식 분석

        김이경,안지윤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구현되려면 교원정책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추진되어야 함에도 교원들의 지지가 부족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에 필요한 교원정책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중등 교육과정 개편과 관련된 교원정책 5개 영역 8개 문항으로 구성된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전국 280개 중․고등학교 교원 3,571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기술통계 분석,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원정책 방안에 대해 교원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지만, 복수 자격증 취득 의무화나 임용 시 우대 등의 방안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원 수급의 탄력성 제고 측면에서 복수 교과 자격증 취득 요구가 증대되고 있기는 하지만 교원들의 지지도가 낮은 이러한 정책을 강행할 경우 교원의 저항과 반발이 예상된다. 둘째, 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한 교과의 신설이나 변경과 관련된 교원 정책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직위나 담당과목, 학교 설립유형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교육과정을 직접 수업에서 구현해야 하는 교사집단, 이번 개정으로 인한 교과의 신설이나 변경과 무관한 과목 담당 교사 집단, 그리고 국·공립학교 재직 교원들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이었다. 분석을 통하여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원정책에 대한 교원들의 지지도는 자신들이 처한 위치와 이해관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정 교육과정 실행에 필요한 교원은 확보하되 이해관계에 따른 교원들의 저항과 반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원정책의 선택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itia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closely linked with teacher policy in order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at classrooms. Nevertheless, teachers' support for teacher policy is still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er polici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in South Korea. The on-line survey questionnaire responses of 3,571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280 schools nationwid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The survey instrument was composed of 5 areas and 8 items covering teacher policies related to the securing of teachers of newly introduced or changed subjects due to the revision of curriculu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teacher policies related to the curriculum revision. However, they were rather negative about the mandatory acquisition of multiple certificates and preferential treatment of multiple certificate holders. Multiple certificates are useful alternatives allowing a more flexible supply of teachers. However, resistance of teachers is anticipated if the government enforce policies lacking teachers‘ support.. Second,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policies related to the creation or modification of subjects due to curriculum revi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position, teaching subject, and the type of school. Teachers who have to implement the curriculum in their own classes, teachers who are less influenced by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nd teachers who serves in the national and public schools are more negative about the changes in teacher policy. This analyses revealed that the teachers' support for the teacher policy related to the curriculum revision differs depending on their position and interests.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policy recommendations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eachers while securing the teachers needed to implement the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일본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절차에 관한 분석

        정영근 한국일본교육학회 2008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일본의 학습지도요령 개정 절차를 분석해 봄으로써 일본의 국가 교육과정 개 정 절차를 파악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절차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 개정의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나라는 교육과정 개 정의 일련의 절차를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과 유사한 일본의 경 우를 사례로 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절차에서 볼 수 있는 단계, 즉 교육과정 개정의 발의,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계획 수립 과정, 교육과정 개정의 기초 연 구, 교육과정 개정 심의, 교육과정 개정 연구, 교육과정 개정안의 의견 수렴, 교육과정 연 구학교 및 실험학교 운영, 교육과정 개정안의 최종 작성 및 고시의 단계를 설정하여 그 실태와 특징을 탐색하고 있다. 고찰 결과 개정의 발의와 교육과정 기초 연구, 교육과정 심의, 연구개발학교 운영 등에 서 시사하는 바가 컸으며, 우리나라가 개정 시안과 최종 확정 교육과정과의 괴리를 보완 하기 위해서는 일본과 같이 일관성이 유지될 수 있는 개정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 로 밝혀졌다.

      • 국가 수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 2023 교육학논총 Vol.44 No.0

        이 연구는 국가 수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1차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약 70년 동안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을 통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때 신설되어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별활동은 1차 교육과정 때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 50년 넘게 편제되었다. 특별활동의 목표는 2차 교육과정 때 처음 제시되었고, 4차 교육과정 때 총괄목표와 하위목표 체계가 정립되었다. 6차 교육과정 때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5대 체제가 정립되어 일부 용어 변경과 체제 통합을 거쳐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이어지고 있다. 시간 배당 기준도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 때 가장 많은 시간이 배정되었다. 안전한 생활 시수가 창의적 체험활동에 배당되었기 때문이다. 내용 체계는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로 가장 많은 변화를 겪었다.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자율활동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자율·자치활동으로 변경되었다. 개념상 자율과 자치를 굳이 병립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25년간 대영역에 편성되었던 봉사활동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동아리활동의 하위영역으로 편성되어 봉사활동의 위상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평가가 하나의 체제로 독립되지 않고 설계 및 운영의 하위 체제에 배치되어 평가의 역할이 위축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타당하고 합리적인 근거 없이 정부의 교육정책에 따라 임시방편적으로 개정된 측면이 없지 않다. 향후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개정 시 시대정신과 학계 및 일선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체계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the national curriculum. Extra-curricular activity was introduced in the 1<sup>st</sup>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07 curriculum.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was newly introduced in the 2009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22 curriculum. In the 6<sup>th</sup> curriculum, the system composed of characteristic, objective,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was established. In the 2015 curriculum, 6 core competences including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were introduced. In the 2022 curriculum, only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the 6 core competences was changed into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system of general objective and sub-objectives was established in the 4th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22 curriculum. The system of content has undergone the most changes. In the 2022 curriculum, the system of content was composed of autonomous·self-government activity, club activity, career activity. The merging of autonomous activity with self-government activity cannot be considered valid and rational. Service activity which was a large domain in the 2015 curriculum was placed in the sub-domain of club activity in the 2022 curriculum. So,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activity will be weakened in school.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sirable human character, core competence, general objective and sub-objectives,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are integrated more systematically. There is also a need for considering the spirit of the time as well as the voices of the academia and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future revisions of the curriculum.

      • 총론 연구자의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문제와 개선 방향

        소경희(Kyunghee So)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연구와 실천 Vol.79 No.-

        이 글은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 과정에 참여한 필자의 체험을 바탕으로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총론은 그 개정에 대한 결정이 ‘위’로부터 내려오고, 소수의 교육과정 학자들만이 총론 개정 작업에 참여해 왔으며, 총론의 내용이 교과부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정되어 온 관례를 가지고 있다. 그 결과, 국가 교육과정 총론은 각계각층의 목소리와 중앙 정부의 정책에 의해 휘둘리고 각색되어 어느 누구도 책임을 질 수 없는 것이 되어가고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총론 개정의 기본 방향과 골격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교과교육자들과의 교감, 광범위한 교육과정 학자 그룹의 참여, 장기적 전망 속에서 총론 개정을 위한 일관된 철학과 논리 구축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blem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based on my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revision process of the general guideline of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which was done the most recently. According to this research, in Korea s national curriculum, decision for the revision has been come down from the top , only a few of scholars have taken part of it, and the content of the guideline has been finalized by Ministry of Education. As a result,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has a problem that nobody has been responsible for it because it has been swayed and edited by the voice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society and the government s policies. This article suggests several improvement directions which are communicating with subject matter educators when the direction and structure of the general guideline is formed; participation of a wide range of scholars; establishing consistent philosophy and logic for the general guideline revision in a long-term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