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이 연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이경,안지윤,김현정,김지혜,유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김이경?박상 완?김성기, 2015).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교수-학습 활동으로 실현시키는 주체로서, 그들이 얼마나 새로운 교육과정의 취지를 이해하고 관심을 가지는지에 따라 교육과정 실행의 정 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김민환, 2009; 박한숙, 2011, 2013). 따라서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 하에 개발된 교육과정일지라도 교사들의 관심 수준이 낮으면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개혁은 교사들의 관심과 실천 의지를 제고시키기 위 한 연수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서도 학교 현장 적용을 앞두고 현직 교원들의 관 심 정도와 이해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교원연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이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이경,안지윤,김현정,김지혜,유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1

        Assuming that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ewly revised curriculum requires adequate teacher competency, which needs to be cultivated through in-service education,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s' interest in 2015 national curriculum on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responses of a total of 3,471 secondary school teachers across Korea, which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 utilizing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 find that teachers show relatively higher interest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e interest level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master teachers is higher than younger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In addition, teach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2015 curriculum related in-service education is considerably strong, while teachers with higher position and working at schools in rural area show higher response tendency. Finall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interest in the curriculum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interest in a newly revised curriculum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draw some policy recommendations to revitalize teachers’ interest as well a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본 연구는 개정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구현되려면 현직 교원들의 역량이 연수를 통해 함양될 필요가 있으며, 교원의 연수 참여는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이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조사 도구를 토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전국 중등학교 교원 총 3,471명의 응답자료를 기술통계, t검증,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실행 요구사항, 기존 교육과정과의 차이점 등 정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대체적으로 리더십 지위에 있는 교원들의 관심도가 높고, 교육과정 개정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과목을 담당하는 교원들이 개정 이후 자신이 가르칠 교과의 지위나 내용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높은 개인적 관심을 보였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개설될 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참여 의지는 상당히 높았으며, 특히 직위가 높은 교원과 읍면지역 소재 학교에 근무하는 교원들의 참여 의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교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그들의 연수 참여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적 특성이나 학교 특성에 비해 그 영향력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이 교수-학습 실천으로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이 필수불가결하다는 점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원의 관심도 제고 및 연수 참여 활성화를 겨냥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직 희망 동기에 대한 요인 분석 -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

        김이경,한신일 한국교육개발원 2006 한국교육 Vol.33 No.2

        Choosing Mathematics Teaching as a Career: An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Reasons to Become TeachersKim, Eegyeong(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Han, Shinil(Sungkyunkwan University)Teaching profession is characterized with those features that can be found in other professions, while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more often than not, distinguish its attractiveness from other profession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major reasons by which prospective teachers are attracted to teaching positions, as they provide implications for policy development aiming at screening effective pre-service teachers as well as enhancing satisfaction level of in-service teachers.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nrolled in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for their career choice. In order to analyze major reasons to become teachers and classify them into major categories, a total of 209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Michigan State University research team, in which they were asked to rate the importance of 30 factors in influencing their choice of teaching as a career. Data analysis showed that not only intrinsic reasons but also altruistic and extrinsic reasons played important roles in making decisions to becom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Factor analysis revealed five categories of reasons including preference towards mathematics, working conditions and pay, love of teaching pupils, seeking changes of pupils and society, and other benefits given by teaching certificate.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make the teaching career more an attractive choice for those who possess talents and ability to become effective teachers. 교직은 다른 직업과 한편으로는 유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분되는 특성과 도전을 지니고 있다. 예비교사들이 어떤 특성과 도전에 이끌려 교직을 선택하게 되는가를 탐색하는 연구는 교직 적성과 능력을 가진 인재를 교직으로 유인, 선발하고, 직무 만족감과 헌신도를 높이는 정책 개발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 중등 교원양성기관에서 수학교육을 전공하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교직 희망 동기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한편, 다양한 동기를 일관성 있는 몇 개의 범주로 구분하여 핵심 요인을 추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연구팀이 개발한 교사교육 예비조사 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서 기초 통계 분석 및 요인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직만이 제공할 수 있는 특별한 동기에 가장 강하게 반응하였으나, 보수나 직업 안정성 등 외재적 동기도 중요한 교직 희망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2단계에 걸친 요인 분석 결과, 수학이라는 학문 선호, 근무 여건과 안정적 수입, 학교와 가르침 선호, 학생과 사회의 변화 추구, 교원자격의 이차적 혜택 등,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타 직업 선택 동기와 비교분석하는 한편, 유능한 인재의 교직 진출을 활성화하고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여건 마련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몇 가지 정책 제언이 제시되었다.

      •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중등교원정책의 쟁점과 과제

        김이경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정책 변화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시작된다. 정책의 목적이 모두 달성되어 다음 정책으로 이동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바람직한 변화일 것이다. 또한, 환경이 급격하 게 바뀜으로 인해서 과거의 정책 내용이 더 이상 적절하지 않거나, 정책 수요자들 의 요구가 달라지는 등 외부와 내부 변화 또한 정책 변화의 동인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이경,김경현,민수빈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에서 분석함으로써 교사들이 적용하는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법과 학생의 창의성을 핵심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수준,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영향관계 등을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제6차년도 중학교 데이터 중 교사와 학생 각각 818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차이분석,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다양한 수업보조자료를 활용하고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자유로운 수업분위기를 조성하는 등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을 교사 개인의 배경이나 학교 특성에 관계없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창의성은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학생 개인의 문화자본이나 가정배경,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생의 창의성에는 부모의 월평균 가계소득과 같은 개인 배경이나 학교 규모와 같은 학교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쳤지만 교사들이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할 경우 창의성 증대에 일조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교사의 수업지도 방식 변화를 통해서 모든 학생의 창의성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교사의 전문적 역량 제고를 위한 교사연수 및 행·재정적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한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students’ creativity.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levels of the two variables, differences of perception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long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students’ creativity. Utilizing the survey data of 1,636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cross Seoul of South Korea extracted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administered by the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most teachers apply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their teaching activities in a higher level regardless of their personal backgrounds or schoo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level of students creativity differs depending upon personal backgrounds as well as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class size, although the average level of creativity is considerably high. Finall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pplication of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udents’ creativity.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eachers in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ity, and draw a few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teacher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 KCI등재

        자유학기제의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직무부담 분석

        김이경,민수빈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2

        이 연구는 새로운 교육정책의 도입이 현장에서 정책을 집행하는 교사들의 직무부담을 증가시키고 이는 목표 달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13년 중학교에 도입된 자유학기제 정책을 선택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 총 2,203명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자유학기제 정책으로 인한 교사의 직무부담 증가 여부, 직무 영역별 부담 수준,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 영역별 부담 수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t-검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정책으로 인하여 자신들의 직무부담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추가부담은 직무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행정업무를 가장 큰 부담으로 인식하였고, 대체적으로 연구학교 근무 교사들의 부담 수준이 희망학교 및 일반학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구학교 교사만을 대상으로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 영역별 부담 수준을 분석한 결과 여교사, 부장교사 및 담임교사,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직무부담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유학기제 정책의 전면적용을 앞둔 시점에서 정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Although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ew education policy requires teachers’ collaboration and dedication, such new education policies more often than not tend to increase the workload of teachers, which results in the failure of policy implementation. To investigate whether the new educational policy increase teachers’ workload or not, Free Learning Semester Policy(FLSP), which was started in 2013, is selected. A on-line survey was administerd to FLSP-adopting school teachers and non-adopting school teachers, and a total of 2,203 responses a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show that teachers highly agree that the FLSP increase their workload an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y school types. Teachers report that the heaviest workload is ‘administrative duty’ and the workloa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school types. Among teachers at pilot schools, female teachers, department heads and homeroom teachers, teachers with in-service education on FLSP perceive that their workload is heavier than their counterpart.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new education policy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