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입시미술 교육체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입시실기과목 교육체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황효순,박동식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연구 Vol.16 No.-
오늘날 미술대학 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이나 학부모들은 문제점과 논란이 많은 미술교육 실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미술대학들의 자율성, 국가의 미술대학 입시에 관한 제도적 변화, 사교육 기관의 교육 방향, 인재양성의 차질, 획일적 교육제도, 사교육 시장의 대형화, 학교 예능 선생님의 교권 실추 등 총체적 부실을 걱정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국가의 제도나 학교 교육은 학생들의 잠재되어 있는 개성이나 창의적인 능력을 신장 시키지 못하는 교육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21세기 문화 선진국들은 미술 산업 분야에 중요성을 빨리 인지하고 인재 육성과 더불어 디자인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 교육의 현실은 학교교육의 양적 성장에만 급급해 왔으며 따라서 교육의 질적 성장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미술교육은 미적 정서와 창조성을 기르기 위한 활동의 주체인 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의욕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성과 표현 의도를 존중하는 교사의 지도가 필수적이며 이와 함께 학생의 표현욕구 충족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국가의 총체적인 제도적 변화는 힘들겠지만 작은 제도적 변화부터 시작 한다는 의미로 미술대학 입시시험 제도에서 포트폴리오 평과를 다양화하여 미술대학 입학 수단으로서의 획일화되고 투명성 없는 포트폴리오가 아닌 제도의 변화로 인하여 학교에서 검증 받은 투명성 있는 개개인의 작가적 견해나 개성, 창조성등의 내용이 부여된 포트폴리오 방안이 필요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입시 위주의 학교교육 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현재의 체제속에서 공교육의 정상화를 이루기 위해 과거와 현제도는 어떠한지 알아보고 나타난 입시미술 교육체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해 알아보자. 미술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개성과 창의력을 발굴 할 수 있는 실기제도와 교육제도가 개발되고 실행 될 수 있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In recent times, students or their parents, who are preparing to enter the colleges of fine arts, have discussed the problems of fine art education. They worry about general problems such as the liberty of colleges,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the entrance examination, the educational line of private academies, the failure of talent development, the monolithic education system, the expansion of private academies, the fall of instructorship and otherwise. In case such problems will not be solved, the national system or school education will be useless to develop students’ latent abilities, personalities or creativities. In the 21st century, culturally advanced countries rapid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fine art industry, and have invested much in talent development and the design industry. Korea has focused on the quantitative growth of school education, but has disregarded qualitative growth.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in fine arts to value students’personalities and expressions so that they may artistic activities with interest and volition. In addition, it should preferentially satisfy students’ desires to express. In order to do so, the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 should be changed though the national system is difficult to be generally changed. In this context, students’portfolios should be evaluated through various methods in process of entrance examination. Actually, till now, their portfolios have been evaluated regimentally as well as exclusively. Now, personality and creativity need to be transparently evaluated the same as each school does. This study was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the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fine art education system, and to present developmental plans in order that public education may be normalized. In line with these objects, past and current education system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to develop a reasonable system so that the personalities and creativities of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enter the colleges of fine arts, can be ealistically developed.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1 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on their learning outcome. To analyze the data, statistics methods including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 Among variables of the adult learners' personal backgrounds, even though their gender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didn't mak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learning outcome, their age made meaningful differences.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learning outcom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nd as the study analyzed how differences of human capital according to participating time, period, purpose and areas affected learning outcome of social and human capital, the results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The more the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directly benefited learners' real life and work the higher their learning outcome became. In terms of subcategories, the participation affected private trust, recognition of norms and total social capital. So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had huge influence on forming social and human capital, showing especially high correlation with forming social capital.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원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생교육 참여 관련 요인을 추출하여 변수들을 참색하고, 대전지역 5개 대학 평생교육원에 등록한 성인학습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일원분산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학습자 개인 배경 변인별로 살펴보면 성별, 학력은 학습성과 인식에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연령은 학습성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참여 변인들과 학습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대학평생교육원 학습성과를 참여 시간, 기간, 목적, 참여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이들 요인들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유익성과 평생교육원 지원만족도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생학습의 유익성에 대한 인식, 평생교육원의 학습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학습성과로는 사적신뢰, 규범인식 등의 사회적 자본과 학습력, 삶의 질 등 인적자본의 학습성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평생교육원의 행정지원 여부는 사회적 자본, 인적자본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자본 형성과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평생교육기관의 행정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영주(Lee Young-Ju)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26 No.-
다양한 계층의 외국인들이 한국사회로 진입하게 되었고 그들의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필수가 되었다. 학습자들이 필요한 어휘를 알면 의사소통의 시작이 이루어지므로 한국어 교육은 어휘 교육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년에 시작된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2종)의 어휘를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과 『한국어교육 어휘내용 개발』에 비추어 검토해 보았다. 이들 교재에서는 이민자의 특성을 반영하는 어휘가 대체로 주제에 맞게 제시되고 있으나 그렇지 못한 어휘들도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재의 장단점을 바탕으로 ‘인사’주제에 적절한 어휘를 제시하여 단원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단원의 효과적인 어휘교육을 위한 단원 지도 방안을 구체적인 예를 통해 제시 하였다. Foreigners of various classes have entered the Korean societ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ir communication became essential. If the learners know the vocabulary they need, the beginning of communication will be done so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rts with the vocabular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2 kinds) used in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started in 2009. In addition to comparing the vocabulary with the individual textbooks, I have selected "International Standar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s", which are comparative standards, and compared with the textbooks. As a result, vocabular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s are usually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topic, but there are some vocabularies that do not. Based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study presented the appropriate vocabulary to the topic of the Greetings and organized a chapter on the subject of "Greetings" topic. And the unit guidance for effective vocabulary education is presented through specific examples.
Public educational system and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Bae, cheon-ung(배천웅)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18 No.2
한국은 국민의 높은 교육열과 정부의 노력에 의하여 1945년 일제에서 해방된 후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단기간에 공교육의 보편화와 대중화를 달성하였다. 대학교의 취학율도 2008년 현재 70% 이상을 달성하였다. 이렇듯 교육기회의 평등을 달성하였지만 교육경쟁은 오히려 더욱 심화되고 있는데 이는 이른바 일류 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경쟁이 초등학교 단계에서부터 시작되고 있기 때문이다. 입시 제도의 변경, 사교육 억제 등 입시경쟁의 해소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입시경쟁을 위한 사교육은 더욱 극심 해지고 있다. 사교육은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재정적 압박은 물론이고 심리적, 정신적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공교육에 대한 신뢰는 더욱 약화되고 있다. 우리나라 공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사교육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매우 기이한 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of the Korea is remarkable. In terms of the enrollment rate of the prim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Korea has achieved the stage of “the education of the all” from the early 1990s. With the expansion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competition for higher education became severe and the burden of competition was felt even more. One of the problems caused by the high entrance competition is the flourish of the private education. More and more students and parents are becoming to depend on the private education to get high score on entrance exam and their confidence to public education seems to decrease without limits. Private education, which has functioned to supplement to public education, has dominated and incapacitated the public education. Many policies were developed to lighten the burden of competition and to normalize the public eduction, but fail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We are in the situation that future of the public school are determined how the problems of private education is handled and solved.
학교선택제도 : 협약학교가 미국의 교육제도에 미친 영향
가신현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1 교육연구 Vol.19 No.1
Charter schools have played a prominent part in education reform, but the debate surrounding charter schools them has been unending since their conception. Since NCLB was signed, charter schools have been newly noticed with educational reform movements increasing parental educational choices. This article examines if charter schools improve education in the current organizational, economic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The article discusses the charter school movement's background that led the charter school revolution, how charter schools were put into legislation in a system, and the hopes and expectations placed upon charter schools.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proposes suggestions for policymakers seeking to enhance education through charter school legislation. 협약학교(charter schools)는 교육혁신을 이끌고 다양화를 통해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교육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인해 미국 공교육 부분에서 급속하게 팽창해 왔다. 특히, 협약학교는 2002년 아동낙오방지법(NCLB: No Child Left Behind)이 시행된 이후 교육혁신을 위한 대안으로 최근에 다시금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협약학교가 미국의 학교교육 개선 과정에 미친 영향과 이를 둘러싼 논쟁을 분석함으로써 협약학교제도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단일한 스펙트럼에 의지하기보다 조직론적,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관점을 적용한 다면적 분석틀에 입각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소비자의 학교선택과 학교 간 경쟁을 통한 교육발전을 이끌기 위해 협약학교의 자율성이 더욱 제고될 필요성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소수민족과 저소득층의 교육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지원방안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협약학교 정책이 공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특정 이익집단으로부터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정책의 입안과 실행의 전 과정에 걸쳐 정치적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대중에게 공표할 필요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The actual condition and policy agenda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Korean schooling system
Kim dong-seok(김동석)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양성평등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적 과제와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 있다. 실태 분석은 준거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과 학교운영계획서를 검토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의 결과는 양성을 균형 있게 다루는 경우, 불평등하게 다루는 경우, 여성에게 적극적 역할을 부여하는 경우, 소극적 역할기대를 하는 경우 등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학교운영 계획서 분석 결과는 양성평등교육을 학교경영의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경우, 부서의 업무분장으로 추진하는 경우, 진로상담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경우, 인성교육으로 대치하는 경우 등이 있었고, 학교운영계획에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학교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실태분석에 기초하여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양성평등 실현방안은 세 차원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는 국가수준의 거시적 접근 방안들을 설정하였고, 둘째는 사회구성원들의 행동변화 전략을 공식화하여 제시하였다. 셋째는 구체적인 수준에서, 학교 양성평등교육 개선 방안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and explore the policy agenda and improvemen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By establishing criteria,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I review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school management plan. Analysis results of textbook contents suggest categorization, including a case to treat both genders equally, a case to treat them inequally, a case to give female active roles, and a case to expect passive roles of female. Analysis results of the school management plan show different cases: a case to promote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a core of school management, a case to promote it as a division of work within a single department, a case to operate it by connecting to career counseling, a case to substitute it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a case not to contain it at all in the school management plan. Based on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I sugges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can be categorized by three dimensions. First, I set nationwide measures of macro approach. Second, I formulate and suggest strategies to change behaviors of society members. Third, at the concrete level, I suggest measures and agenda to improve the gender equality ducation in schools.
A․C․E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직업계고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신익수(Shin, Ig-Soo)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직업계고가 처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직업교육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바로 세우기 위해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학교경영 모델을 제시하여 직업계고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실제 학교경영 사례 중 효과성이 있는 사업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활동을 소개함으로써 어려움에 처한 직업계고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지역산업 맞춤형 교육 과정 운영으로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였다. 둘째, 교사들의 수업 혁신과 학생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생들이 창의성이 신장되고 기초학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인성․예절교육, 학생 자존감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의 인성이 함양되었다. 넷째, 스마트 교육환경 조성, 지역사회 학교 홍보활동 강화로 대전 직업계고 중에서 혁신의 아이콘으로 그 위상을 정립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ACE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직업계고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다각도로 제시한 것이 의의이며 위기에 처한 직업계고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 by presenting a creative and efficient school management model to overcome the crisis situation faced by vocational high school and correct its status as a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Among the actual school management cases,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introduced based on effective projects to find ways to develop vocational high school in ne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were nurtured throug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operation of customized curriculum for local industries. Second, through the operation of teachers" instructional innovation and student creativity enhancement programs, students" creativity was improved and basic education was improved. Third, student personality was cultivated through personality, etiquette education, and student self-esteem promotion programs. Fourth, by creating a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activities for local communities, it has established its status as an icon of innovation among vocational high schools in Daeje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 pla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CE curriculum from various angles and suggests a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crisis.
강연숙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1 교육연구 Vol.19 No.1
이 글에서는 비인간적이고 학생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간과하면서 교육의 본질을 상실한 오늘의 우리교육을 반성하고 그 대안적 의미로서 실존철학적 인격교육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실존적인 인간의 특징을 주체성, 지유선택·책임, 그리고 인격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실존적인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문제를 실존철학적 인격교육의 목적, 내용, 그리고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만남을 통한 인격교육의 문제, 즉 학교라는 교육의 장에서 하나의 인격체인 교사와 또 다른 인격체인 학생의 교육적인 만남을 통해 학생들이 비본래적인 나로부터 본래적인 나로 나아가도록 하는 단속적인 인격교육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또한 위기, 각성, 충고, 상담 등의 실존적 계기를 통한 인격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현대 교육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tial education of personality in our modern society and school causing the dehumanizing phenomenon in the student's subjectivity and autonomy which is cannot be ignored. To this end, first, I examined the existential characteristics of humans such as subjectivity, freedom, choice, responsibility, and personality. Second, I examined the existential education of humans, that is to say, the matter of the characteristic of existential knowledge or personal knowledge, and the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is knowledge which is existential awareness. Third, I examined the concept of encounter as existential instrument or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in school. And I explored some existential instruments such as crisis, counseling, advice, adventure, failure and frustration as 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The main substances of this paper to the existential education of personality are like this. First, human beings subjectively shape their life and personality based on individual freedom of choice and responsibility. That is to say, we should deal with human as personality having the existential characteristics such as subjectivity, freedom, choice, and responsibility. Second, to educate a unique and free personality of human, school must provide the existential experience of personal knowledge, in other words existential awareness. Hence, first of all, school education should teach to become the man with subjectivity and education to awaken personal subjectivity of pupil should be to teach personal knowledge. Third, educational encounter between the teacher and pupil in school is a good educational foundation to shape a pupil's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pupil should become the mutual respect relationship based on mutual inclusion. And existential instruments such as crisis, counseling, advice, adventure, failure and frustration have possibility as a good method of personality education. They are intermittent educational instruments of personality resulting qualitative changes of pupil's life and personality.
박진아(Park, Jin Ah)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21 No.-
이 논문의 목적은 허스트의‘사회적 실제’개념이 우리나라 학교 진로교육에 주는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사회와 패러다임의 변화는 새로운 진로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왜냐하면 전통적인 진로교육에서다루었던 방식으로는생애 전반에 걸쳐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허스트의 ‘사회적 실제’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은 이론적인 지식 대신 경험에 바탕을 둔 실제적 이성을 강조하여 이해보다 경험을 중시한다. 앞으로 진로교육은이해가아닌경험에서시작되어야하며, 그경험은단계별로체계적으로이루어져야한다. 또한진로교육은‘경험’만큼‘반성적사고’도함양할수 있는 방향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at Hirst’s thought suggest to the career education in Korea. Social changes and the new paradigms of career education have requested new career education. Because it is not possible that develop career empowerment through the traditional career educa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considers Hirst’s conception ‘social practice’that opposed to the rationalism, and tries to think which way career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according to the result. For this purpose, I would analyses about the Korea school career education curriculum and Hirst’s conception‘social practice’. On the basis of these analysis,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ⅰ) Career education need to start from not understanding but experience, ⅱ) experiences are implemented systematically ⅲ) experiences include ‘critical reflection’ as well as ‘do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