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원 연수의 새로운 모델과 서울대학교 교육연수원

        윤여탁(Yoon, Yeotak)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2 교육연구와 실천 Vol.78 No.-

        이 연구는 교원 연수의 새로운 모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교육연수원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교원 연수의 개념이 교사의 교과 또는 직무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이라는 의미에서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평생 교육이라는 개념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고 있는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교사 연수 제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자기 개발을 위해 교사 스스로가 선택하는 국외 연수와 같은 특별 연수와 전문적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대학원 진학이나 자기 학습과 같은 연수가 활성화되고 장려되어야 함을 밝혔다. 아울러 새로운 시대의 교사 연수가 지향하고 있는 생애단계별 연수나 평생 교육으로서의 교사 연수 등은 자격 연수나 직무 연수보다는 특별연수나 자기 연수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방향의 교사 연수를 지향하는 한국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국립법인으로 전환된 서울대학교의 필요와 요구에 걸맞는 서울대학교 교육연수원의 미래상을 세워야 함을 밝혔다. 또 교사 연수를 넘어 교육 전반에 걸치는 연수, 공공기관 관련 연수, 교육 전문가를 위한 연수 등 다양한 교육 관련 연수를 적극적으로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direction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 In-service Training Center for Education using discussions on the new model of teacher training. Firs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tendency toward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eacher training, from mere training to foster teachers knowledge in the subject or administrative competency to lifelong education, was observed. Then, based on this observation, future-oriented teacher training system was examined. In the process, the need for revitalization and encouragement of special in-service training such as self-selecting overseas training for self-development of teachers and independent study such as pursuing a higher degree for enrichment of professional capacity is defined. Additionally,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teacher training of the new era including in-service training by life cycle or teacher training as lifelong education, etc. should be promoted as special in-service training or self in-service training rather than as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or on-the-job training. Based on discussions mentioned above, this study defines the necessity to establish visions for In-service Training Center for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at satisfies the demands of Korean society which seeks new directions in teacher training and also that which fulfills the needs and demand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ch was converted to national corporation. Going a step beyond teacher training, it also propos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training related to education such as training on education across-the-board, training related to public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training for professional educators, etc.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선택수능제’ 와 ‘교과편식’의 문제 - 최근 10년 사회탐구 과목의 선택현황을 중심으로

        김덕수(Deogsu KIM)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4 교육연구와 실천 Vol.80 No.-

        본 연구의 목표는 시행 20년을 맞이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선택수능제가 심화 확대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들을 최근 10여 년의 수능 사탐 과목 선택현황을 통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대학입시가 우리 교육, 특히 고등학교 교육을 좌지우지하는 상황에서 선택수능제는 국영수를 사실상 공통 필수로 하고, 대학의 인문계열 수험생에게는 과학탐구영역을 제외한 사회탐구영역 과목만을, 그것도 다수의 과목들(사탐 10과목, 과탐 8과목) 중에서 소수의 과목(2과목)만을 선택하도록 한 선택수능제는 인문계열 지망 학생은 과학 교과에, 자연계열 학생은 사회 교과에 무관심하게 만들고 수업에서 정상적인 교육이 진행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국영수 외에 탐구과목 중에서 일부 과목만을 개인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학생들의 ‘자율적 선택’에 맡기다보니 자신이 선택하지 않을 과목의 수업이 진행될 때 수업집중도가 심각할 정도로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고, 교사들도 수업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에 대해서 사실상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사탐이나 과탐의 선택과목의 수가 2014학년도부터 4과목에서 2과목으로 줄어들면서 더욱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 심각한 문제는 학생들의 수능 사탐 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교육적 중요성보다는 수능시험에서 얼마나 점수따기에 유리한지에 따른 비교육적 동기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대의 요구와 필요에 부응해서 꼭 필요한 과목들(예를 들면 세계사나 세계지리 등)조차 상대적으로 내용 요소가 많거나 어려워서 시험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다는 이유 때문에 학생들의 기피과목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목선택 범위를 줄이고 꼭 필요한 내용들을 학생들이 배울 수 있도록 선택수능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는 단대별로 또는 학과별로 꼭 필요한 과목조차 이수하지 않은 채 입학하는 학생들에게 EBS 수능과목이든지 혹은 일종의 ‘입학 전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보수교육’을 시행해서 기초학력을 보강하고 명실상부하게 ‘대학수학능력’을 갖추고 대학생활을 하도록 도와주어야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ate the problems of selective centered curriculum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ft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tudents could choose the 4 subjects in the areas of social studies’ 11 subjects, but the number was reduced to 2 subjects by 2014 CSAT. Many students want to learn only the ‘easy’ subjects (for example, Society and Culture, Korean Geography,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are reluctant to choose the World History or World Geography, because those subjects need many contents and much time to learn. On the other hand, they gave much time to study the ‘important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The ‘unbalanced selective subjects’ were and are very serious. At first we need to review and reform the selective centered curriculum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finally students can learn and not avoid the ‘really important subjects’. Secondly I propose that university authority provide the additional program to the fresh men who did not learn the world history or geography etc,.. We live o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t will continue to be a major force in the future. We need to educate the students to understand world history, culture, and geography,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m, and to contribute to the world peace and better international friendship.

      •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정 현황과 전망

        이옥선(Lee, Okseo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연구와 실천 Vol.7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개발과정과 실행에 관련된 쟁점을 탐색하여 이를 토대로 체육과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문서적인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체육과 교육과정은 스포츠교육학의 학문적 발전과 병행하여 문서체제, 목표, 내용에 있어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발전이 있었다. 교육과정 개발 측면에서는 총론과 각론 간의 소통, 교육과정 개발 주체 간의 소통, 학교 현장과의 소통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행 측면에서는 일률적인 실천에서 점차 자율적인 실천을 거쳐 혁신적인 실천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체육 교과의 본질을 반영하는 책임감 있는 교육과정, 현장 친화적인 교육과정, 소통이 있는 교육과정으로의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overview of past developments in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NCPE) and to explore the issues rela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a curriculum text level, the structure of curriculum document, objectives, and contents of NCPE have been revised in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discipline of sport pedagogy and changing needs of society. Regarding the issues of curriculum revision, three critical issues have been emerged: (a) aligning general guidelines of national curriculum wi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 reconciling opinions of diverse agent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c) overcoming the breach between school context and NCPE. The implementation of NCPE has been improved from passive transmission of NCPE toward more active re-organization of NCPE, thus encouraging more innovat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he school settings. Future NCPE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the essential nature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 and should be developed as teacher-friendly curriculum that can bridge the school contexts and NCPE.

      • 농업경영정보화 전문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규명

        강명희(Kang, Myung-hee),최형신(Choi, Hyung-sin),김민정(Kim, Min-jung)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연구와 실천 Vol.74 No.-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2008년 농업경영정보화 전문교육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25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학습자, 교수자, 교육운영, 교수-학습 프로그램, 교육환경 변인을 교육효과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학습자 만족도, 지각된 성취도, 학습전이 의지, 학습지속 의향을 효과성 측정을 위한 종속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습지원, 교수자의 학습자 존중,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수준, 교수전략, 학습자의 학습동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습지원, 학습동기,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학습목표 및 내용, 학습자의 사전지식, 교수자의 학습자 존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습지원,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학습목표 및 내용, 교수자의 학습자 존중, 교육기간 및 시간 변인이 학습자의 학습전이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자의 학습자 존중, 운영기관의 학습지원, 학습자의 학습동기 변인이 학습자의 학습 지속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 요인으로 운영기관의 학습지원, 교수자의 학습자 존중,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규명되어, 농업경영정보화 전문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환경 등의 물리적 요인이 아닌 인적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이와 같은 성인교육 프로그램은 우수한 교수자 및 운영자에 의한 학습 지원의 정도가 그 성공을 가늠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adult learning program.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on 250 participants who enrolled in J agricultural leaders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In this stud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variables related to learners, instructors, instructional management, program, environment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Learners satisfaction, perceived achievement, knowledge transfer, and future intention to enroll have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 support, respect to learners, the level of learning contents, instructional strategies, learner motiva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learners satisfaction in that order. Second, learner support, learner motivation,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prior knowledge, respect to learners were affecting learners perceived achievement in that order.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transfer were learner motivation, learner support,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respect to learners, and learning time and duration. Lastly, respect to learners, learner support, and learner motiva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learners future intention to enrol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mon variables affecting the effect of adult learning programs are learner support, respect to learners, and learner motivation. Th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the affecting variables to the effect of adult learning program are human factors but not the physical factors such as programs and instruc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at the operating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provide high-quality instructors and supporting staffs, and learner support for satisfactory and productive adult learning.

      • 한국의 외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사 및 발전 방향

        권오량(Oryang Kwo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연구와 실천 Vol.79 No.-

        이 논문은 한국의 중등학교의 외국어 교육과정의 역사를 제1차 교육과정부터 최근의 교육과정까지 검토한다. 검토는 각각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그 틀, 교과목, 어휘, 문법, 목표, 교수법, 그리고 평가를 분석한다. 1955년에 도입된 외국어 교육과정은 그간 총 8차의 개정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최근의 교육과정은 2011년에 공표되었다. 교육과정은 대체적으로 대부분의 측면에서 발전이 있었으나, 어휘만은 줄어들었는데, 이는 학습부담을 줄이려는 의도였다. 논문은 현재의 교육과정의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데, 지나치게 세분화된 교과목, 성취기준 진술의 애매성, 의사소통기능과 성취기준 사이의 연계의 부족, 개발 기간의 부족, 개발자들의 전문성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논문은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 있다. The present paper reviews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secondary schools for the past 57 years. The review discusses the framework, courses, vocabulary, grammar, objectives, teaching methodology, and testing embodied in the curriculums. Since its beginning in 1955, the foreign language curriculums have been revised eight times, with the latest one promulgated in 2011. In general, the curriculums have made progress in most aspects of curriculum, except vocabulary, which has kept shrinking in its size over the years for the alleged purpose to alleviate the students burden of studying. The paper addresses some problems of the current curriculum, such as overly diversified courses, ambiguity in achievement standards, lack of connection between communicative function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sufficient time for curriculum revision, and lack of expertise of the curriculum developers. The paper made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 총론 연구자의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문제와 개선 방향

        소경희(Kyunghee So)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연구와 실천 Vol.79 No.-

        이 글은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 과정에 참여한 필자의 체험을 바탕으로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총론은 그 개정에 대한 결정이 ‘위’로부터 내려오고, 소수의 교육과정 학자들만이 총론 개정 작업에 참여해 왔으며, 총론의 내용이 교과부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정되어 온 관례를 가지고 있다. 그 결과, 국가 교육과정 총론은 각계각층의 목소리와 중앙 정부의 정책에 의해 휘둘리고 각색되어 어느 누구도 책임을 질 수 없는 것이 되어가고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총론 개정의 기본 방향과 골격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교과교육자들과의 교감, 광범위한 교육과정 학자 그룹의 참여, 장기적 전망 속에서 총론 개정을 위한 일관된 철학과 논리 구축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blem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based on my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revision process of the general guideline of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which was done the most recently. According to this research, in Korea s national curriculum, decision for the revision has been come down from the top , only a few of scholars have taken part of it, and the content of the guideline has been finalized by Ministry of Education. As a result,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has a problem that nobody has been responsible for it because it has been swayed and edited by the voice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society and the government s policies. This article suggests several improvement directions which are communicating with subject matter educators when the direction and structure of the general guideline is formed; participation of a wide range of scholars; establishing consistent philosophy and logic for the general guideline revision in a long-term perspective.

      • 기후변화와 지속가능발전: 교육으로부터의 대응

        김종욱,김찬국,김남수,김이성,김희경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연구와 실천 Vol.74 No.-

        이 논문은 세계 12개국의 주요 사범대학들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세계선도사범대학회의(International Alliance for Leading Education Institute: IALEI)’에서 수행한 공동연구의 일부분이다. 지속가능발전과 기후변화와 관련한 교육계의 현황과 쟁점을 논의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에서 각 회원국은 자국에서 발행된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정책 문서나 연구문헌 등을 바탕으로 국가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중심으로 논의하면서 기후변화교육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틀 안에서 포함하였고, 연구의 범위에 있어 기본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한 학교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진행된 이 논문은 크게 다섯 주제 영역으로 구성된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 및 정체성,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기후변화교육의 관계,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학교 교육과정,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육 실천방식. 이 논문은 이러한 주제 영역에 대한 문헌 분석과 함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연구자들의 해석을 포함하고, 국제비교연구를 바탕으로 제시된 지속가능발전과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제언을 소개하고 있다.

      •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진단과 전망

        최원호(Choi, Won-Ho)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연구와 실천 Vol.79 No.-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조사한 특징을 바탕으로 새 교육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을 논의하였다. 논의한 내용은 과학 소양, 과학에 대한 흥미, 탐구 수업 방안, 과학 수업에서 핵심 역량, 교과군 및 학년군 설정, 과학에서 융합 수준, 교육과정과 평가의 일관성이었다.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은 과학 소양 함양을 위해 탐구를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지만, 구체적 내용은 과학 소양 함양을 위해 적절하지 않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과학 소양에 해당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좀 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view of some issues. We discussed some considerations of new science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example scientific literacy, interest in science, inquiry lesson plan, core competencies in the science lesson, subject group and grade group setting, the level of convergence in science, consistency of curriculum and assessment. Although Korean science curriculum has emphasized inquiry for scientific literacy, concrete contents are not proper for improvement of scientific literacy. We should study more about concrete contents that could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was scientific literacy emphasized in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조선시대 교육 관련 규정이 인성교육에 주는 함의

        이상무,신태섭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6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5 No.1

        The Promotion of Character Education Act took effect in 2015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still are many confusions as to what constitutes character education.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regulations pertinent to character education from Chosun Dynasty. In this study, we analyzed articles regarding character education from codes of law of Chosun Dynasty. In addition we analyzed school regulations regarding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selective schools. We found that both the national policy and school regulations provided clear guidelines for promoting character education at schools during Chosun Dynasty. This implies that even in Chosun Dynasty, schools were responsible for providing proper character to students.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개념과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전통교육에 대해서 보다 정확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인성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국가수준의 교육 관련 규정과 학교 현장에서 시행된 인성교육의 실제를 파악하기 위해 학교수준의 교육 관련 규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시대에도 국가 및 학교 수준에서 다양한 인성교육 노력을 기울여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통교육에서 인성교육이 주로 가정에서 이루어졌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공교육에서 인성교육이 강조되었음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한편, 인성교육 관련 규정의 분석 결과 최근 인성교육에서 강조되는 타인의 이해, 공감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역량 또한 인성교육의 중요한 일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과 양상 -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강대현(Dae-Hyun Kang),모경환(Kyung-Hwan Mo)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연구와 실천 Vol.79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2009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을 고찰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총 네 차례에 거쳐 개정 고시되었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세 차례에 걸쳐 개정 고시되었다. 본 연구는 2007, 2009 교육과정의 총 7회에 걸친 개정 과정을 검토하면서,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요인은 무엇이며 또한 각 개정의 쟁점과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보다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해방 후 미군정기에 일제강점기의 전체주의 유산을 단절하려는 민주주의 세력과 역사교육을 강조하는 민족주의 세력의 타협의 산물로 성립되었고, 초기의 갈등은 최근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마다 총론과 각론 사이의 갈등이 내재되어 있으며 교과 내부적으로는 사회과의 통합과 분과의 갈등이 존재해왔다. 이러한 교과 내부의 긴장, 교과 내부와 교과 외적 영향력 간의 갈등은 민주화 이후 교육과정 정치학의 공간을 확장시키면서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특징을 형성해왔다. 최근 교육과정의 개정은 무엇을 왜 가르치는가 하는 교육과정의 본질적인 이데올로기적 문제보다는 어느 영역이 더 많은 시수를 확보하는가 하는 영토분쟁의 문제로 발전하였다. 결과적으로 수요자를 무시하는 교육과정이 탄생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정성을 담보한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개정의 관행과 문화 또한 민주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vision processes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We reviewed the 2007 and 2009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a and analyzed the backgrounds and controversial issues of the revisions. The social studies was introduced to Korea by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as a way of removing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but it was a product of negotiation between the two conflicting powers: democracy forces and nationalistic forces. Also, there has been a conflict between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a. Within the social studies area, there exists a tension between proponents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discipline-based subjects. The politics of curriculum in Korean social studies shifted its focus from what and why we teach students to which area within the social studies takes up the most class hours in the school. This change has produced the curricula which neglect the learners. A revision proces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should be more democratic and have more fair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