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사 질문발화와 학생 반응에 대한 교사 피드백 발화

        이창덕 국어교과교육학회 2008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5 No.-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 수업 대화를 대상으로, 교수학습 과정 중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교사질문과 그 질문에 대응하는 학생 반응에 대한 교사의 평가와 피드백 양상을 분석하여, 수업 중 발화되는 교사 질문과 평가피드백의 유형과 특성, 구조를 밝힌 논문이다. 2장에서는 교사질문과 피드백의 개념과 중요성을 밝혔다. 일상 대화에서 질문의 기본적 기능과 형식을 설명한 후에 교사질문의 개념을 정의했다. 교사질문은 기본적으로 순수질문이 아니라 수사적 질문이며,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 교사가 의도적으로 의문을 설정하여 학생에게 대답을 요구하는 행위임을 밝히고 교실 상황에서 그 질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3장에서는 교실에서 일어나는 교사질문의 형식과 기능에 대해서 밝힌 후에 교사질문의 특성과 시작발화로서 교사 질문 후에 학생 반응과 교사 평가 /피드백으로 이어지는 전개구조의 다양한 양상을 밝혔다. 수업 대화에서는 기본적으로 교사시작-학생반응-교사평가와 피드백의 구조로 전개되지만 그 전개되는 양상은 대단히 상황 의존적이며, 다양한 변이 구조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았다. 4장에서는 수업 중 교사 질문과 평가 피드백의 교육적 함의와 중요성을 지적했다. 교사가 수업 과정에서 질문발화를 할 유의할 점과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사질문을 하기 위한 방법 등에 대해서 정리했다. 교사질문은 자신이 묻고 답하는 방식보다는 학습자 스스로 의문을 인식하고 해결하여 답을 찾도록 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는 사전에 수업내용과 목적에 알맞은 질문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가 기대하는 대답과 반응이 나오지 않더라도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기다리며, 질문 내용을 구체화하고 상세화하면서 학습자가 적절한 대답을 찾아가도록 안내하는 질문 방식을 연구하고, 수업에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 KCI등재

        중학교 영어수업에서의 교사의 질문유형에 대한 사례연구

        박은수 ( Eun Soo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2

        교사의 질문은 상호작용적인 교실 환경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주요 수단이 된다. 특히 외국어 학습자는 교사의 질문을 통해서 목표언어를 연습하기 때문에 교사질문의 유형은 학습자의 외국어 습득에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많은 선행연구에서 교사질문의 유형과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발화에 미친 영향이 연구되어져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대부분 초등영어수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영어교육의 목표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로 진행되는 중학교 영어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및 학습자의 외국어습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질문을 분석하였다. 교사의 질문은 질문목적에 따른 전시형 질문(display question)과 참조형 질문(referential question)으로 분류하여 그 빈도를 조사하였고 각 질문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응답 길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에 참여한 4명의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전시형 질문을 빈번하게 사용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생각이나 의견을 묻는 참조형 질문은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4명의 교사들이 사용한 총 질문은 310개였고 그 중에서 전시형 질문은 150개, 참조형 질문은 39개였다. 가장 많은 참조형 질문을 사용한 A교사(24개)를 제외한 나머지 B, C, D 교사는 각각 3개, 3개 그리고 9개의 참조형 질문만을 사용하였다. 질문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발화길이를 살펴보면, 전시형 질문의 경우 학습자의 발화길이는 평균 1.84 단어였고 참조형 질문의 경우는 평균 4.83 단어였다. 참조형 질문이 학습자의 발화에 좀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영어교사의 질문 전략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낮은 평균 발화길이는 중학교 영어수업이 여전히 교사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교사의 질문 유형 또한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보다는 학생들의 이해점검에만 머무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ssroom questioning, the skill of the elicitation method of teaching that is student-oriented and advocated today, gives an incentive to communicative activities in teaching English. Therefor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use of display and referential questions in classroom discourse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s and to study the quantity of the learner talk which occurred with these question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of questions asked by four English teachers teaching in four different middle schools. The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o see what questioning types each teacher employed and to obtain the number and percentage distribution of questioning types each teacher used. In addition, the mean lengths (in words) of students` responses to display and referential questions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students`` responses in terms of length between display and referential quest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display questions were used by teachers more frequently than referential questions. Also, it was found that referential questions could not create enough intera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eachers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training in developing their questioning techniques. Also, it would be helpful for teachers to use as many referential questions as possible in order to enhance learners`` engagement in communicative language use.

      • KCI등재

        유아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교수과정에서 나타난 질문 및 피드백 유형 비교

        김민진,유소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1

        This study aims to make comparison of questions and feedback types used in classes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promote continuity of desirable human environments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To this end, the classes of thre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ive-year-old children an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first graders were video/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Then, the teachers' questions and feedback were extracted from a total of 30 class sessions, consisting of equal number of class sessions l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extra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to define frequency of questions, types of question by forms, types of question by cognitive process, and types of feedback. The findings showed that questions were used heavily in both classes l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first grade teachers and that both groups used more closed questions than open questions. It was also found that both teacher groups used more of lower cognitive level questions than higher level questions for young children's divergent thinking. In terms of feedback type, explanation and repetition were most frequently used while recognition and praise were least used. This suggest that improvements needs to be made in the ways teachers use questions and feedback.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trainings designed to effectively support teachers' use of questions and feedback for the promotion of children's thinking ability and contribute to promoting high quality human environment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al settings.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가 수업에서 사용하는 질문 및 피드백을 분석하여 유·초 연계에 있어서 인적환경의 연계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유치원 만 5세 교사 3명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 3명의 수업을 녹화·녹음하여 전사하였으며, 그중에서 유아교사 15회, 초등교사 15회의 수업에서 교사의 질문과 피드백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자료는 각 분석기준에 따라 질문빈도, 형태별 질문유형, 인지과정별 질문유형, 피드백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의 질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개방형 질문보다 폐쇄형 질문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인지적으로 높은 수준의 질문 보다 낮은 수준의 질문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피드백은 설명과 반복의 반응이 가장 높았으며, 인정과 칭찬의 반응이 가장 낮았다. 이에 교사의 질문과 피드백 사용이 개선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사고를 촉진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교사의 질문과 피드백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교육이 개발 및 진행되고, 유•초 교육현장에서 양질의 인적환경이 연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어 교사의 질문 유형과 기능에 대한 연구 :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교육하는 교사의 발화를 중심으로

        朴仙玉 한국화법학회 2003 화법연구 Vol.5 No.-

        이 연구는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의 질문 유형과 기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실은 학습자의 목표어 사용 능력을 향상을 시키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는 만큼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반드시 있어야만 한다. 교사가 학습자의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은 다양한데,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반응유도 발화 가운데 口語的인 질문을 대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교사 언어’란 제2외국어를 가르치는 교사가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의사소통을 좀더 쉽고 빠르게 하기 위하여 목표어를 수정, 가공하여 사용하는 언어라고 하겠다. 그리고 의문문 형식을 취하고 문말 문장부호로 물음표를 붙일 수 있는, 형태적으로 의문문으로 간주하는 것을 질문으로 보고자 한다. 교사의 질문의 유형은 크게 ‘학습 내용 관련 질문’과 ‘학습 진행 관련 질문’으로 나눌 수 있다. ‘학습 내용 관련 질문’이란 수업 시간에 목표하는 한국어 학습의 내용적 측면에 관한 질문을 의미한다. 그리고 ‘학습 진행 관련 질문’이란 수업의 진행적 측면에서 주의를 환기시키고 도입을 하며 어떠한 것으로 학습을 진행해 가는지 절차와 관련된 질문을 의미한다. ‘학습 내용 관련 질문’은 다시 ‘반향적 질문(echoic question)’과 ‘지식적 질문(epistemic question)’으로 나눌 수 있다. 반향적 질문은 다시 ‘이해도 점검용’ 질문과 ‘설명 요구용’ 질문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진행 관련 질문’에는 ‘사회적 관계용’, ‘절차 진행용’, ‘주의 집중용’ 질문이 있다. 본 연구는 교사언어의 질문 유형 분석을 통해 현장의 한국어 교사언어의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find the pattern & function of questions spoken by a Korean language teacher who teaches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 Korean language class, as a foreign language course, mainly has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earners' use skill of the target language. So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is essential. A teacher can induce learners' response in a variety of ways. However, I use a colloquial question spoken by a teacher in inducing learner's responses in this study. In this study, 'a teacher's language' refers to a language modified and processed by a second language teacher in order to help a leaner understand the target language and communicate with it more easily and quickly. And only an interrogative sentence that can be morphologically regarded as such, and takes the form of it and can be applied with a question mark at the end of its sentence as a sentence symbol, is only viewed as a question. The pattern of teacher's question can be divided into 'a learning-contents-related question' and 'a learning-progress-related question' in general. A question that related to learning contents means such a question that is related to the aspects of learning contents of Korean language, a target language. And a question that related to learning progress means such one that is related to procedure with which a teacher calls a learner's attention to the aspects of learning progress, and introduce and carry out the learning. Again, the learning-contents-related question can be classified into an 'echoic question' and an 'epistemic question', And for the learning-progress-related question, there is 'a social relation question,' 'a procedure progressing question,' and 'an attention calling question.' Be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attern of questions of teacher's language, this study can provide a help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actual state of language and to carry out their teaching efficiently.

      • KCI등재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수 학습 분석

        李京和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6 No.-

        국어과 교육 분야에서도 최근 들어 창의성에 관심을 둔 연구들이 많이 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국어 사웅 현상과 국어 교육 현상 속 에서 창의성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구성 요인을 어느 정도 밝혔을 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 에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아직 그 논의 수준은 총론 수준에 머문 채, 구체적인 각론 수준으로는 나아가지 못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어교육의 본질 에서 창의성과의 관련성을 이끌어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국어과 창의성 프로그램이나 교수 학습 자료들만으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색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창의성 신장을 위해 개발된 자료와 국어과 교수 학습 과정 사이의 불일치라는 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해 연구자는 4개의 국어 수업을 교사의 질문, 교사의 반응, 수업 참여 구조의 기준에 따라 국어 교수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고 기술하였다. 교사의 질문 양상에서는 창의력을 돕는 질문보다 창의력을 저해하는 칠문 유형이 많았다. 창의력을 돕는 질문으로는 개방적 질문을 하는 경우, 판단 유보 과정을 부여하는 질문이 있었다. 창의력을 막는 질문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저해하는 질문, 독창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질문, 정교성을 제해하는 질문이 많았다. 교사의 반응 양상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돕는 교사의 반응은 극히 적었고, 창의력 신장을 저해하는 교사의 반응이 많았다. 창의력을 돕는 반응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촉진하는 반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교사의 적절하지 못한 반응으로 참의적인 언어 활동이 제대로 이투어지지 못했다. 예를 들면, 동기성과 판단유보가 결여된 반응, 동기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반응, 독창성을 방해하는 반응 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교사와 학생간의 수업 대화 구조를 살펴보면, 주로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학생의 질문이 매우 적었다. 주로 정답판을 가진 교사 주도 참여 구조나 비개방적인 교사 주도 참여 구조가 이와 같은 수업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반면에 참의적인 수업에서는 화제 선택권이 학생에게 개방되어 있고, 순서 교대도 학생에게 개방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보였다. 그것은 개방성을 지닌 학생 주도 참여 구조와 활동성과 융통성을 촉진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형성하였다. 창의성 교육은 무엇보다도 교사의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창의적인 수업을 하고자 하는 국어 교사는 창의성을 자극하는 철문 기법을 수업 상황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반응이 창의적인 쪽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이끌어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창의격인 교사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개성을 존중하고 개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춰 학생 주도의 수업 참여 구조를 통해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해야 할 것이다. Lately, there are also many researches on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researches shows us not only what creativity means and what it is composed of, in Korean language usage and education, but al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creativity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Creativity promoting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lay emphasis on factors which can increase the ability to think creatively in teaching process. But there is discordance between these materials and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o I monitor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s in 4 elementary schools. my check points in observation were the question of the teacher, the reaction of the teacher and talk interaction which occurred by the criteria of exchange of the topic and turn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hen I analyzed the questions of the teacher, those affected more often as obstacles rather than as incentives to promote the creativity. In the analysis of the reactions of the teacher, those also affected negatively in promoting the creativity. when I studied the content of the lecture, the teachers played the main role and the student's participations were rare. Creativity education should start in the creative and a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y the teacher. We should reflect ourselves in the aspects of promoting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rrect ourselv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사의 ‘질문하기’에 따른 학습자의 ‘응답하기’ 양상 분석 연구

        류승의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9 한국어문화교육 Vol.12 No.2

        한국어 교육은 교사의 발화에서부터 시작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교사 발화는 중요하다. 교사의 발화는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을 입력시키고 표현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수업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데 교사의 ‘질문하기’가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질문하기’에 따른 학습자의 ‘응답 하기’의 양상을 분석하여 상호작용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수업 대화를 전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질문 유형을 형태,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학습자의 대답을 형태, 적절성에 따라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질문하기 형태는 ‘네/아니오 의문문’, ‘무엇 의문문’ 등 순서였다. 목적은 열린 질문인 ‘참조형 질문’, ‘확인 점검 질문’, 교사가 대답을 알거나 추측 가능한 ‘나열형 질문’ 순서였다. 학습자의 응답 형태는 ‘개인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교사의 질문에 침묵하는 경우가 29%로 높았다. 그러나 응답 적절성은 ‘올바른 대답’이 81%로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있었다. 이렇게 한국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습자간 대화 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사 자료의 한계점과 교사와 학 습자의 상호작용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앞으로 교사 발화의 유형과 목적에 따른 학습자의 발화 유형, 효과 등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eachers’ statement is so importa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someone can say that teachers’s statement initiates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ers’ statement plays a role in providing korean language based contents for learners and inducing korean language learners’ statement. Through teachers’ statemen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 could be made. teachers’ ‘questioning’ statement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questioning’ statement is important, this study analyzed conversation transcription data which is done in korean language learning class. teachers’ questioning types are classified by forms and purposes. Following learner’s responses are analyzed based on forms and suitabilities. it has been found that forms of teachers’ questioning was composed of an alterative question, what-question, wh-question (except what-question) from highest to lowest. it has been found that purpose of teachers’ questioning was composed of from highest to lowest. it has been found that forms of students’ responses was mainly composed of individual responses compared to the 29% of no responses to teachers’ statement. About 81% of students show appropriate answers to teachers’ statement. By analyzing dialogu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identified. It seems that follow-up studies dealing with students’ statement types and effects affected by teachers’ statement types and purposes will be needed.

      • KCI등재

        수업 후 성찰을 통해 살펴 본 예비교사들의 교실영어에 관한 연구 : 게임설명을 중심으로

        이선(S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 수업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게임 활동을 영어로 설명하는데 있어서 예비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고자 9명의 예비교사들의 녹화된 모의수업 동영상, 이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모의수업 중 게임 설명 부분의 전사 자료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게임 설명 부분의 전사자료는 동영상을 다시 보면서 질문의 형태별, 기능별로 분석되었으며 이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는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예비교사들은 초등학생의 눈높이에서 가능한 짧고 간단한 문장을 사용하려고 노력하였다. 9명의 예비교사들은 평균 5.54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가장 긴 문장을 사용한 예비교사의 경우에는 학생과의 질문-대답을 통한 상호작용이 없이 게임 설명을 위한 긴 문장들을 일방적으로 전달하였으며, 이해점검을 위한 질문은 마지막에 한 번 사용하였다. 반면에 짧은 지시와 질문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적으로 게임설명을 한 예비교사들도 관찰되었다. 9명의 예비교사들은 발화의 10% ∼ 32% 정도를 질문에 할애하였다. 준비한 스크립트를 외운 대로만 전달한 예비교사의 경우, 질문의 사용이 적었다. 반면에 게임의 설명 단계별로 간단한 이해 점검을 위한 질문을 하며 상호작용적 게임설명을 한 예비교사들이 사용한 질문의 수는 상대적으로 많았다. 게임설명 부분에서 사용된 질문을 형태별로 분석한 결과 yes/no 질문이 44%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wh-의문문이 27.6%의 분포를 보였다. 기능별 분석에서는 절차적 질문이 63.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이해점검을 위한 질문이 27.0% 사용되었다.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발화상황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야하나 이들에게는 준비된 발화 외에 새로운 표현을 영어로 제공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대신할 다양한 칭찬의 표현을 피드백을 대신하여 제공하려 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의 발화에 제공하는 칭찬 외에도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지도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service primary teachers’ classroom English when they provide game instructions in their primary English classes. For the study, 9 pre-service teachers transcripts of their game instructions, their video taped microteaching,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The transcription data of the game instruction were analyzed by question types and functions while watching the recorded microteaching, and the reflection journal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re-service teachers tried to use the shortest and simplest sentence possible for primary students. Nine pre-service teachers used sentences with an average of 5.54 words, and the pre-service teacher using the longest sentence unilaterally delivered long sentences for explaining the game without interacting with the students. She used the question for understanding only once at the end.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who interactively explained the game using short instructions and questions were also observed. Nine pre-service teachers used about 10% to 32% of their speech to questions. The yes / no questions were the most used at 44%, followed by the wh-questions with 27.6%. Procedural questions were the most common at 63.8%, followed by comprehension check questions with 27.0%. Pre-service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appropriate feedback but it seems to be difficult for them to provide impromptu feedback to students in English.

      • KCI등재

        점심시간에 나타나는 유아 교사 질문의 내용 및 인지적 도전 정도

        이지현,최현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幼兒 敎育學論集 Vol.20 No.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nt and cognitively challenging type of teachers’ questions during lunch tim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 total of 49 teachers of 5-year-old classrooms in 17 kindergartens and 32 child care centers were observed, audiotaped during lunch time while they were interacting with children, and then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unit of analysis was a teacher’s question and a total of 1,074 teachers’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the cognitively challenging ty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contents of teachers’ questions were about ‘objects’, ‘personal opinion’, and ‘experiences’. Second, the most frequent type of teachers’ questions was moderately cognitive challenging and the type of teachers’ questio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 level and the institution type. Third, the content of teachers’ questions tended to show high frequency in a certain type of question, although each instance of content displayed various types of questions. This study showed the educational values of lunch time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question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provided very meaningful sources for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점심시간에 나타나는 교사 질문의 내용과 인지적 도전 정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만 5세반 담임교사 4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점심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녹취하여 전사한 후 분석하였다. 분석단위는 하나의 교사 질문이며 총 1,074개의 교사 질문에 대한 내용과 인지적 도전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 질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물', '개인의 의견이나 판단', '경험 및 계획'이 유사한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이 세 가지 내용이 교사 질문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교사 질문을 인지적 도전 정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중간 수준의 인지적 도전 질문과 높은 수준의 인지적 도전 질문이 많이 나타난 반면, 낮은 수준의 인지적 도전 질문, 관리적 질문, 가장 높은 수준의 인지적 도전 질문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람’, ‘의견 및 판단’, ‘상태 및 지금의 상황’에 대한 질문은 높은 수준의 인지적 도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에 대한 질문은 가장 높은 수준의 인지적 도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심시간의 교육적 가치와 교사 질문의 중요성을 밝히고 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등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질문 활용 양상 분석 - K대학교 국어교육과의 모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송정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secondar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questioning on simulated instru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that 1) How to use questions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simulated instruction, 2) What features of question used by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appeared in 3 sections(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Writing), Data sources were from observation of instructions, transcription of instructions, and interview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Questionnaires an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9 simulated instructions.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teachers’ questioning is determined to use Hindelang’s Question classification(1983). According this criteria, teachers’ questionings are inquir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1)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use questions for relationship frequently and employ more questions for exploring information than Question for suggesting opinion, and 2)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question that is suitable teaching method in Korea Language Art, however they don’t know how to use questions to accomplish the goal of instructional objective. 본 연구는 국어과 예비교사들의 수업 시연 중 질문 활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9개의 수업 시연 관찰과 수업 대화 분석을 통해 국어과 예비 교사들은 어떤 유형의 질문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는지, 영역에 따라 활용한 질문들의 유형과 양상은 어떤 특징들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국어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의 운영과 관련된 관계 중심적 질문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문제 중심적 질문 중 정보 탐구 질문을 의견 제시 질문보다 더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 교사들은 국어과 교수 방법으로 질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학습 목표에 따른 적합한 활용 방안은 알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국어과 예비 교사들은 수업 상황에 있어 다양한 유형의 질문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국어 교과와 세부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전략으로 질문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국어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국어 교과의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 수단으로써 질문에 대해 향후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