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환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 홀론(holon)의 관점에서 프랙탈 벡터(fractal vector)에 근거한 한국어 화법 분석

        노형남 ( Hyung Nam Nor ) 한국화법학회 2007 화법연구 Vol.11 No.-

        홀론의 관점에서 프랙탈 벡터에 기반한 한국어 화법 분석은 연역론과 경험방법을 적절하게 혼합한 절충방법론으로서 연역논리를 따르면서도 주어진 전체 체계를 고려함으로써 화법 유형의 변화와 언어기호의 창조적 창발성과 무한대 자기증식에 기인한 신조어의 출현을 규명하는 것이다. 언어 현상을 설명한 기존의 시각은 대부분 연역법과 귀납법의 양극화에 치우쳤지만 언어 현실은 인식론, 과학, 철학적 주관성에 의해 파악되어야 한다. 인식론의 갈등에서 제안하는 한국어 화법 분석은 비록 전통적 방법론을 완벽하게 대체하지는 못 하지만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 된다. 그렇지만 연역적 사고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하향식 연구설계가 문제시 된다. 변수 사이의 복잡한 상호관계나 매개변수는 체계에서 개념적으로 조작되었을 뿐 언어 현실과는 괴리된 것으로 투영될 가능성도 있다. 이미 발생한 언어의 통시적 사실만을 가지고 이론화를 추구한 기존의 합리주의나 실증주의 전통과는 달리 홀론의 관점에서 프랙탈 벡터에 기반한 논리적 언어 변화의 체계를 추론해 낼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는 소장문법학파와는 다른 차원에서 음운의 추이현상이 현실화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추론은 일회성의 언어통시성이 동일한 초기조건이 주어 지더라도 결코 동일하게 반복되지 않으며 그렇다고 직접 실험을 할 수도 없는 노릇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하지만 프랙탈 벡터는 인식론을 통해 이해와 진단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비록 정확한 추단과 예측이 불가능할지라도 특정한 변수와 조건, 규칙의 다양한 결합을 가상적으로 자기 조직화 해 봄으로써 언어 현실의 체계가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에 대한 중범위 이론의 전망을 할 수 있다. 제한된 합리성과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자생적으로 형성되는 프랙탈 벡터를 실현하기 위해 규칙을 강조하는 행위자를 기반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중요시 한다. 행위자기반 모형에서는 프랙탈 벡터의 관점에서 언어 공동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수의 개념적 조작이 없이도 언어 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정의한다. 향후 프랙탈 벡터를 바탕으로 하여 이와 같이 한국어 화법 분석이 개발된다면 언어정책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홀론의 관점에서 프랙탈 벡터와 한국어 화법 분석은 언어 분석에 필수적인 이론과 방법론의 절묘한 절충안을 형성할 것이다. 그것은 실제로 다양한 언어 현상은 상향식 과정을 통해 언어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함께 만들어 나가는 활동이자 작품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국어 화법 분석을 통해 자기 조직화 되는 현재와 미래의 언어 분석은 현실적인 문제의식을 충분히 자극하고도 남음이 있다. 프랙탈 벡터를 근간으로 하는 한국어 화법 분석은 보다 나은 한국어 화법을 구축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계몽적 역할과 기능을 충분히 가진다. 홀론의 관점에서 프랙탈 벡터가 한국어 화법 분석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바로 이것이다. 복잡한 상호의존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론을 근간으로 하여 자생적 프랙탈 벡터의 질서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언어정책과 제도를 설계할 수 있다. 그러한 설계가 반드시 완벽한 것이 아니며 또 그럴 필요도 없지만 언어의 통시성은 항상 불완전한 설계의 연속체였으며 앞으로도 별반 크게 다를 것이 없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불완전성 속에서 공진화의 가능성이 잠재되어 This study deals critically with the indispensible linkage between the endlessly creative emergence, infinite proliferating lineage structure that governs the linguistic disciplines and the relatively stable structure of inter-disciplines to understand this linkage reviewed with the entire theoretical argument to this point by arguing that knowledge in complexity science. These lineages ate generated by fractal vectors that tend to repeat within themselves both hierarchically at a given time and in descent systems over time after critical point during self-organizing process. Synchronically the index of these fractal vectors from the viewpoint of holon not only encapsulates systems of knowledge in compact form but also generates endless proliferation of coined-words. Diachronically such fractal vectors also give rise to the process of perpetual rediscovery to make explicit explanation about Korean speech-communication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holon.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s units of self-similar linguistic structures in virtue of co-evolution caused by co-relationship among agents of speech-communication may also be exchange systems like coined-words in Korean speech-communication made full use of jargon or humor. On analyzing the linguistic deviation and calling that into questions, this study proposes Korean speech-communication analysis based on fractal vector from the viewpoint of holon such as: the self-similarity, self-organizing dynamics, infinite proliferations of lexicons, uncertainty, non-linear logic, critical point, co-evolution, etc. All these examples remind us that self-similarity often coincides with hierarchies or differentiation of functions caused by agent-based fractal vector in Korean speech-communication analysis on the basis of complexity science.

      • KCI등재

        교사 양성대학 학생의 교수화법 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 과제

        이창덕 ( Chang Deok Lee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5

        이 글에서는 교사 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수화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교수화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교수화법의 하위 능력 범주를 설정한 후 교사 양성대학 학생과 교사들의 교수화법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논의했다. 교사가 교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말하게 되는 전반적인 화법을 넓은 의미의 교사화법으로 규정하고, 그 하위범주로 교사 사회화법, 교사 학교화법, 교사 교실화법으로 나누었다. 그 가운데 수업화법이 교사 양성기관 학생들이 길러야 할 핵심 화법임을 강조하고, 수업화법 능력 요소를 점검한후, 해결할 과제로 교사 수업 화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강화, 교사수업 화법 자료의 체계적 수집과 분석, 교사 양성과 연수 과정에서 교수화법 과목 개설과 함께 교수화법에 관한 이론과 실기 교육을 위한 체계적 지원 체계 확립을 주장했다. 교사 교육에서 교사들의 수업화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교사 양성 과정의 핵심 과제이고 또한 효과적으로 목표 달성이 가능한 과제이다. 교실 현장의 수업대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들에 대한 연수와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현재 교실 수업의 많은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업대화 분석을 통한 수업 평가와 분석은 그 신뢰도가 높고, 관찰과 분석의 층위에 따라 교사 수업 화법 능력을 미시적으로, 거시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가지고 교사들의 수업 화법의 문제를 점검하고 개선하게 하는 교육을 할 수 있다. 효과적인 교사화법 교육을 위해서는 각 교대와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교육연수원에 교사 수업화법 과목을 개설하고, 교육 내용과 방법, 교육 목적과 학습자 특성 등에 맞춘 맞춤형 교수화법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교실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업 대화를 분석한 결과를 체계적 교육 요소로 나누어 교실 수업 운영자로서 교사의 교실 상호작용을 다루는 교육이 이루어지면 현재보다 더 나은 교사 수업 운영 능력이 길러질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우리 사회의 교육 환경이 달라지고, 교육에 대한 인식과 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 탐구 중심, 협동 학습 등으로 달라지면서 수업대화 연구 또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고 또 그렇게 될 것이다. 수십년 동안 교실 대화를 연구한 선진국에서조차 교실 대화 분석은 이제 표면을 긁는 정도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앞으로 연구할 부분이 많고, 교실의 대화적 상호작용은 복잡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한국의 각 급학교의 교실 대화도 이제 본격적 자료 수집과 분석, 연구와 교육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고 본다. Recently research on the teachers` roles in classroom interaction has steadi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area of oral competency while teaching and managing the class. Much of the research stresses the importance of classroom interaction analysis and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cept of or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teachers and I systemize the competencies into three categories; epistemological, linguistic, and in social communicative ability. I emphasis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room oral interactions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ies in 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ing. For the most part of efficiency during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depends on the teacher`s mind to their students and on the teacher`s ability for their subject. Teachers` attitudes towards students and the language they use to communicate with them is critical to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I suggest that educational community needs to take steps to improv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y in the classroom. First, a strong awareness of the need for more extensive research in this critical area should be encouraged. Secondly, a systematic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relevant to classroom convers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hirdly, effective and reliable programs focusing on effective teacher communication should be offered in all colleges and institutions offer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Finally, a collaborative committee comprised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uthorities should be establish to review, research, and implement appropriate strategies for effective teacher communicative competenc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cent interest in teacher communicative ability in the classroom, a great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ery utterance and sequence in classroom interactions is beginning to be analyzed relevant to the learner centered approach. I expect that there will be a growing abundance of literature in this area in the very nea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화법의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

        이진경 한국화법학회 2003 화법연구 Vol.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화법 교육 내용을 미국ㆍ호주ㆍ일본의 화법 교육 내용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찾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 화법 교육 내용에서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첫째, 화법의 개념이 상호작용의 개념으로서 확립되지 않았다. 둘째, 화법 교육 내용이 단순히 듣기ㆍ말하기 내용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 언어 지식, 문학들과 통합적이지 못하다. 셋째, 우리나라 7차 국어과 교육 내용은 수준별 교육 과정을 지향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계열성이나 위계성이 부족하다. 넷째, 학년별로 제시되는 내용의 배열 순서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학년별 내용이 반복, 심화가 되지 않고 있다. 다섯째, 실제 언어 상황을 고려하고 언어 활동을 유도하는 내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새로운 화법 교육 내용을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제시한다. 우리나라의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ㆍ말하기 영역을 토대로 하고 미국 뉴욕 주 화법 교육 내용의 다양한 ‘학습 활동’ 내용과 호주의 ‘상황’과 ‘언어 지식’을 고려한 내용 체계를 바탕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미국ㆍ호주ㆍ일본의 ‘화법’의 대한 개념과 ‘통합적인 교육’의 방향성을 도입시킨다. 또한 화법의 교육 내용과 실제 언어 활동과 연결시키기 위해서 담화로 구성된 여러 가지 ‘학습 활동’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ㆍ호주ㆍ일본의 화법 교육 내용의 특징들을 비교 검토하여 개선된 우리나라의 화법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earch problems and gropes for improvement course comparing education contents of speech of Korea to the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of USA, Australia, and Japan. The rang of this study is secondary education and 'listening, speaking' contents from 7th grade to 10th of 'Text book of Korean' of Korea.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USA, Japan, and Australia I took the method of literature study. The contents of this study on the speech education are as follows. In second chapter, I examined the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of Korea, USA, Australia, and Japan. Comparing the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of each country, they are composed of the essence, principle and attitude though the contents system is different. The contents of Korean speech themselves are not behind other countries. The contents about the essence, principle, and attitude are more systematically managed than other countries. In third chapter, based on the comparison contents with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 pointed out the problem of speech education contents of Korea, and presented the new speech education contents for improvement course. The problems in Korean speech educatio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notion of speech is not established for the notion of mutual operation. Secondly, the speech education contents are not unified with merely listening, speaking also reading, writing, language knowledge, literature, etc. Thirdly the education contents of 7th Korean subject point to the curriculum at each level but are short of systematic order and rank. Fourthly, the arrangement order of contents presented at each grade is not systematic and the contents at each grade are not repeated and deepened. Fifthly, we need the contents that consider the real language situation and induce the language activity. For the improvement course about this problem I presented the new speech education contents as follows. Based on the sphere of listening, speaking of 7th Korean curriculum, I presented it based on the various 'studying activity'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of New York, USA and content system considered 'situation' and 'language knowledge'. And the notion of 'speech' of USA, Australia and Japan and the direction of 'unific education' are introduced. Also the newly presented speech content system unifies the separated sectors of listening and speaking for 'speech', divides into 'essence, principle', 'situation', 'attitude', 'language knowledge' and composes these having relation with 'the reality of speech'. Finally I present various 'study activity' composed with talk to link education content of speech to real language activity. In fourth chapter, I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Like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improved speech education content of Korea comparing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education content of USA, Australia, Japan, Japan, and Korea. In other words, grasping the speech education content of foreign countries it is significant that it prepared the groundwork for regarding objectively speech education content of Korea and presented new content.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한 화법 교육 내용 개발 방향 탐색

        서영진 ( Young Jin Seo ) 한국화법학회 2015 화법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하여 화법 교육 내용을 개발하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지 속적으로 강조해 온 화법 교육 내용 요소와 해외 여러 나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화법 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 하여 교집합을 이루는 핵심 내용들을 추출하고, 그 과정에서 포착된 화법 교육 내용 구성상의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화법 교육 내용에 대한 비교 연구를 위해 살핀 교육과정은 우리나 라 교육과정 중 제6차.제7차.2007 개정.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 정과 미국.호주.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이다. 분석 결과, 각 시기별· 국가별 교유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화법 교육 내용 요소 는 내용 이해를 질문하며 적극적으로 듣기, 비판적 듣기, 상황.목적 에 적절하게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말하기, 상대방과 협력적으로 상호교섭하며 생각 발전시키기, 반언어 및 비언어적 표현 활용하여 말 하기, 다중복합매체를 활용하여 이해하고 표현하기, 사회적 활용도 및 전이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담화 유형 익히기(발표하기, 토의하기, 토론하기)였다. 한편 각 교육과정을 고찰하면서, 담화 유형 중심 접근 법과 의사소통 일반 원리 중심 접근법의 의의, 화법 교육 내용 조직의 계속성과 계열성 구현 방안,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적절한 교육 내용 진술 방식,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구어 의사소통의 활용, 구어 의사소통의 상호교섭적 성격의 체계적 반영 등 과 관련한 시사점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제시한 화법 교육 내용 개발 방향은 세가지이다. 첫째, 국내.외 화법 교육 내용을 관통하는 요소를 참조하며 전이가가 높은 필수 핵심 내용을 엄선해야 한다. 핵심 내용을 엄선 할 때는 보편적.항존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되 변화지향적.특수적 요소도 고려하며 조화를 유지해야 한다. 둘째, 개별 담화 유형에 특화 된 내용을 우선하기보다 구어 의사소통 상황에 두루 적용되는 원리를 중심으로 심화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조직해야 한다. 셋째, 화법 교 육 내용 개발 방향 및 역량 기반 교육의 취지를 고려하여 내용 진술 수위를 조정해야 한다. 표준적인 필수 내용의 범위를 명확하게 제시하 되, 장기적으로는 간소화 방향을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화법 교육에서 핵심적인 교육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불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한 화법 교육과정 설계 논의를 풍성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 이다. This study explored directions of contents development in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would satisfy expectations of current national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ving focused on contents of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factors continuously stressed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s and commonly emphasized factors i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s from various foreign countries were analyzed and key factors in common were deducted accordingly. Furthermor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in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were evaluated for the study. Comparisons were made taking account of the 6th and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s of 2007 and 2009, English curriculums in the USA, Australia and the UK. Commonly stressed education contents between Korean curriculums and the foreign curriculums were found as follows: proactive listening while asking ques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critical listening, selecting and organizing proper things to speak, developing ideas by cooperative transaction with others, speaking with semi-verbal expression & nonverbal expression,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with the utilization of multi-media, studying discourse types of wide application. Some more crucial aspects were found to be :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focused types and general communication skills ineducation contents, guaranteed continuity and sequenc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proper statement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general capacity building of communication in cross-curriculums, systematic reflection of transactive nature in oral communication. This study resulted in three directions of developing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in an era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rstly, there should be quantity optimization of core contents selected proportionately based upon universal and perennial application, change oriented or unique contents. Secondly, there need to be systematic core and substantial contents with widespread application that can be studied repeatedly in depth. This would contribute to effectiv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general capacity in cross-curriculums. Lastly, more simplified education contents, not very substantive, with an overview or general guidelines, would need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in order to better implement goals and objectiv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lthough it is quite challenging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uld be able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regarding core education contents in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promote positive discussion 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ntent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CI등재

        김수현 가족 드라마에 나타난 상호주관적 화법 연구 - 무자식 상팔자의 부부 갈등 상황을 중심으로 -

        최성실,오미영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2

        The speech analysis of home drama provides the idea about the nature of interac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what the most desired communication for them to resolve conflicts and overcome crises. This study used the Korean home drama 'Real Happiness without Children' as text to analysis and observed the intersubjective speech styles among three couples' conflict situation dialogu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oldest male character has no intersubjectivity. He maintained ordering one way communication style to his wife when he confronted conflict situation. Mid-aged couple showed the postpone speech style as a strategy to reach the way of intersubjectivity. The youngest couple finally got the intersubjectivity and understood each other while they were going through crises. A research for the home drama is meaningful to introduce us various aspects of family conversations including couples' dialogues and let us know how they establish themselves toward an active subject. As the time passes the value of family relationship is also changing, but in the current home drama we can observe that the willingness of an each individual to interact and understand family members is still worthy. 가족 드라마의 화법 분석은 가족 간 상호작용의 특성이 무엇이고, 갈등을 해소하고 위기를 극복하는 가운데 진정으로 가족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을 제공하는 중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김수현의 최근작 가족 드라마인 <무자식 상팔자>를 텍스트로 삼되, 부부 갈등 상황의 대화를 중심으로 상호주관적 화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노년 부부에게서는 남성이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명령하는 화법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비(非)상호주관적 화법의 전형적인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중년 부부의 경우 상호주관적 화법의 대화 전략으로서 보류 화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젊은 부부에게서는 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상호주관적 화법의 형태가 나타났다. 드라마 <무자식 상팔자>의 부부 화법연구는 능동적인 주체로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가족의 태도와 대화 과정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족 간 관계성의 의미가 시대에 따라서 달라지고 있지만 대화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려는 인간 의지의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해준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 KCI등재

        2011 개정 ‘화법과 작문’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설득’ 범주 교육 내용의 재구성을 통한 대안 모색-

        서영진 한국화법학회 2011 화법연구 Vol.0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2011’s Revised ‘Speech & Writing’ Curriculum and to reconstitute the 2011’s Revised ‘Speech & Writing’ Curriculum as integrated curriculum. Especially, limited scope of discussion of this study is ‘Persuasion’ category curriculum contents. In order to reconstitute ‘Persuasion’ category curriculum contents, this study notes argumentation. Because argumentation is a core principle that runs through persuasive expression activity. Hence ‘Persuasion’ category curriculum contents is reconstituted based on argumentative transaction mechanism. The new reconstructed ‘Persuasion’ category curriculum contents enhanced consistency and validity as integrated curriculum. It is comprised of ‘essence of persuasion’, ‘skill of persuasion(composition and expression, context and transaction)’, ‘attitude of persuasion’. 본고의 목적은 2011 개정 ‘화법과 작문’ 교육과정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화법과 작문’ 교육과정이 통합형 교육과정으로서 정합성과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특히 ‘화법과 작문’ 교육과정의 ‘설득’ 범주 교육 내용을 관통할 수 있는 핵심 원리로서 논증에 주목하여, 논증적 상호 교섭의 기제를 바탕으로 ‘설득’ 범주 교육 내용을 재구성한다. 2011 개정 ‘화법과 작문’ 교육과정은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체계를 일원화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세부 내용에서는 ‘화법’과 ‘작문’이 여전히 이원화된 상태이며 언어활동 목적별 고유의 소통 원리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통합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화법 활동과 작문 활동을 관통하는 연결 고리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일례로서 ‘설득’ 범주 교육 내용을 ‘설득의 본질’, ‘설득의 기능(설득의 내용 구성 및 표현, 설득의 맥락과 상호 교섭)’, ‘설득의 태도’라는 내용 체계 아래, 설득 장르 고유의 소통 원리를 중심으로 세부 내용을 통합하여 재구성하였다.

      • KCI등재

        예수의 대인 화법 연구

        안인숙 한국화법학회 2003 화법연구 Vol.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경에 나타난 예수의 언어 연구를 통해 말을 통해 사람을 변화시키고 역사를 바꾸었던 예수의 대인 화법의 전개 과정과 그 유형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수만 명의 군중과의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십여 명의 제자들과의 관계와 군중 가운데 주목한 한두 사람과의 대화를 통한 대인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예수 화법의 일정한 전개 방식과 변화를 일으키는 화법의 기본 구조를 밝혀보고자 한다. 성경에서의 말은 의사 소통의 수단을 넘어서 세상을 존재하게 하는 것이며, 사람을 변화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통로이며, 진리가 선포되고 병자를 치료하는 도구이다. 또한 성경에서의 예수는 ‘말씀’이라고 표현되어 있다. 태초부터 존재하여 세상을 창조했던 말이라고 표현되어 있다. 그러므로 말은 성경에서 가장 상위에 위치한 의인화된 존재이다. 예수는 대화를 할 때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대화의 주체로서 임한다. 그리고 대화의 핵심을 잘 파악하고 있다. 자신의 대화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대가 무슨 의도를 가지고 대화에 임하는지를 알고 있다. 수많은 군중이 따랐지만 자신이 가장 공들이는 부분은 제자들의 전문화였다. 그래서 가르침 후에는 제자들과 지속적 피드백을 하고 이해가 부족한 부분은 재차 설명을 해 주었다. 예수의 생애는 가르치고, 선포하고, 치료하는 사역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대화를 통해 심리치료와 육체의 질병을 치료를 하는 대화법에 대해 그 규칙성을 제시한다. 예수는 수많은 군중 속에서도 대화를 할 때는 대화상대에 완전히 집중하였다. 상대와 대화하는 순간만큼은 그 사람이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존재로 인정하였다. 이는 사람을 천하보다 귀하게 여기는 예수의 사상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심리적이고 내적인 요소와 육체적이고 삶의 고통의 문제를 동시에 주목하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띄고 있다. 예수의 대화는 대화자체를 넘어서 서로 함께 공존하고 살아가는 삶의 영역을 다루며 그 당시 시대상황에서 민중들이 가장 고민하고 아파하던 문제들을 대화를 통해 해결하는 공생의 매개물이다. 본 연구는 예수의 대안 화법의 전개 과정과 유형 분석의 고찰을 통해 전반적인 ‘대인 화법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 and progress of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f jesus who changed the history of human being by word through the study of language of jesus in bible. In this study, I endeavored to clear the basic structure of communication which changed the human and the deploymen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focused on 2~3 person among the public and the disciple of jesus. The word in bible is the means of heal the weakness and declare the truth, the core passage to change the people and being maintenance the world beyond the device of thought flow. Jesus in bible is expressed as word which created the world from the eternity. then the word in bible is the humanized being situated at top class in the world of bible. Jesus stand as the chief in conversation knowing himself, and he knew the core meaning of interview and had the special knowledge of theme, and he knew the attitude of partner. Though a lot of people had followed jesus, his essential work is the specialization of the disciples. so he got the continually feedback and explain again, whenever they were sort of comprehense. The life of jesus is the course of the preach the gospel, teach the truth, and the clear the weakness. In this article, I introduce the regulation of the way of conversation in soul, mind and therapy of body. Jesus concentrated the one person who talk to among the public. At the pont of the time jesus talk to a person, he take him as the most important man in the world. It is concerned with the his thought; One person is the most important one than the whole world, and It is a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ased on both mental and internal factor and physical and pain of life. The conversation of jesus with people who suffering from mental anguish at that time is the agency of the part of real life and the solution of the most painful problem in their community.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general work of personal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f jesus.

      • KCI등재

        대학 교양 국어용 화법 교재의 분석과 개선 방안

        최석재 ( Suk Jae Choi ) 한국화법학회 2010 화법연구 Vol.0 No.16

        본고는 2000년 이후에 편찬된 대학의 교양 국어 교재 여섯 편을 분석하여 화법 교재 편찬 시 염두에 두어야 할 요소를 생각해 보았다. 각 대학의 교양 국어가 표현 능력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면서 화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화법에 대한 연구는 글쓰기에 비하여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군다나 대학에서 사용될 화법 교재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가까운 시기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교양 국어 교재의 개편을 생각할 때 이에 대한 연구는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 화법 교재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본 결과 향후 편찬될 화법 교재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우선 그 지면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말하기는 단순히 개념을 설명하는 것만으로는 실력이 늘지 않는다. 충분한 설명은 물론, 다양한 예, 적절한 연습문제를 제공해야 학습자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둘째, `토의’에 대한 비중은 지금보다 더욱 커져야 한다. 대학과 사회에서는 협업 능력이 중요하게 여겨지므로 다른 사람들과 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생각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토의에 대한 훈련이 지금보다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말하기의 전략적 측면에 대한 교육도 보강되어야 한다. 청자를 설득시켜야 하는 상황이 많은 말하기에서는 청자에 대한 분석과 대응 방안을 숙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대에 따라 같은 내용도 다르게 정리하여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호 교류하는 화법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듣기도 교육 영역에 포함시켜야 한다.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기만 하는 것은 올바른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없다. 주장을 하기 전에 자신의 말이 상대방의 말과 어떠한 관련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야 할 것이므로 듣는 연습도 반드시 필요하다. This paper studied about speech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universities. Recently, Korean universities revised its mother language textbooks to fit into practical use. But the main revision was on writing, and speech was not main concern. However speech is used more than writing in various situations, and the importance should be raised more than now. In addition, we expect mother language textbooks will be revised again in the near future. So the researches about speech cannot be delayed. This paper examined 6 speech textbooks` strong and weak points.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s next four things. First, the space for contents should be enough. Many speech textbooks` contents are mixed with writing. And it results in the shortage of explanations, examples and exercises. It makes difficult to become proficient for learners. Second, `discussion` part is also needed to be included in textbooks. Currently `presentation` and `debate` are considered as a main area in many textbooks, but when we think about student`s language environments we should put more importance on `discussion`. Third, new textbooks are needed to include speech strategies more than now. Speech meets active situations and to deal with it, speaker should be prepared for various situations with proper strategies at each. And finally, `listening` is also needed to be included in textbooks for cross-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화법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 방안 : 특집 ; 초,중,고교 듣기와 말하기 : 고교 화법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 방안

        이창덕 ( Chang Deok Lee ) 한국화법학회 2005 화법연구 Vol.8 No.-

        본고는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국어과 심화 선택 과목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화법`` 교육과정을 시행 절차나 방법이 아니라 이론과 체계 차원에서 개선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논의했다. 화법 이론이나 화법 교육 이론과 교육과정 체계(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드러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차원에서 화법 교육의 효용성과 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론 차원의 문제점은 국어과 교육과정에 모국어 교육 철학에 바탕을 둔 국어과 교육과정 이론의 부재를 지적했다. 학습자들의 적성과 진로를 위해 고교 심화 선택 과정에 개설된 ``화법`` 과목 특성에 맞는 이론을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데 그 이론이 없다는 문제를 지적했다. 또, 세계화, 정보화를 내세우고 개인 능력과 수준차이를 고려한 신자 유주의 경쟁 이론을 도입하여 국어과에도 수준별 편성(물론 단계별 수준 편성은 아니지만 심화·보충형 수준별 편성)을 강조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보다는 협동과 상호존중의 정신을 강조해야 하는 언어생활의 기본 도리를 생각할 때 말하기 듣기나 화법 영역에 수준별 교육을 강조하는 것은 잘못된 적용이라고 보았다. 모국어 화법 교육은 모든 기본 지식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학습시키기보다는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생활에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화법 교육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보았다. 화법 생활에서 모자라는 부분을 보강하고, 또 문제 요소들을 찾아 조정하고 해결해 나가도록 상위인지를 강화해주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화법``과목의 성격과 목표 영역의 문제점으로 ``화법 과목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국민 공통 교육 기간의 말하기·듣기영역의 교육 내용을 심화시키는 측면과 대학에서 교양 강좌를 배우기에 앞서 배우는 교양 강좌``라고 특성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학습자의 개인적 적성과 진로 차이``를 고려해서 개설한 심화 선택 과정인 ``화법``은 공통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교육과는 다른 성격 규정과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목표 설정도 지식과 기능의 이해와 숙달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 등에도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화법`` 내용 영역에서는 첫째, 본질, 원리, 태도, 그리고 실제로 구분된 내용 체계 설정 방식과 각 영역의 하위 범주 내용 설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용어 개념 규정이 모호하고, 하위 범주 내용과 설정 기준이 불분명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수준별 내용 체계를 강조하고 있는데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을 기초조사하지 않고 정한 수준 위계화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모국어 음성언어 교육이므로 학습자들이 이미 알고, 하고 있는 지식과 기능을 제외한 모르고, 하지 못하고 있는 영역, 문제되는 영역을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내용 재구성하도록 제안했다. 학습 요구가 높은 특정 유형의 화법으로 내용 범위를 좁히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임을 제안했다. 교수-학습 영역의 문제점은 그것들이 대부분 목표와 내용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음을 지적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의 12가지 지침과 교과서 개발과 심의 기준 제공 정도라면 오히려 학교나 교사수준에서 목표와 내용에 맞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도록 열어두고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 Aft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ut into operation, the demand to revise the curriculum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emergence of problems in enforcement the curriculum into every school and the change in educational situ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in the curriculum of ``Speech Education`` and makes a few proposal to improve the formation of ``the Speech Education Curriculum``. First, it is argued that there is no philosophical base for the education of spoken language as a mother tongue. I have insisted that native language education must be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ed a new way of establishing the purpose of spoken language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the cours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named as ``Education for Language Health Improvement`` that aims to improve every student``s daily life with their words checking their weak points and exercising to strengthen their health. Secondly, in establishing the character and the purpose of ``the Speech Education``, some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in terms of the prescription of the character of ``Speech Education`` as a module to deepen the content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the 10 years common curriculum and to prepare the study of speech in college course. It is argued that the purpose of ``Speech Education`` needs to be focused not only on the knowledge and functions of speaking and listening but on the way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and to reinforce the ability to form a close friendship. Thirdly, in the structure of the speech education contents, the concepts of the key words, ``substance``, ``principle``, ``manner`` and ``practice``, have been criticized. And it is pointed out that without practical data of the ability and needs of the students who will be taught with the curriculum, to systemize and to classify the contents of ``the Speech Education`` is impossible. I have insisted that practical conversation data classified by the student level should be taken into the speech education contents. Fourthly, I have suggested that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devised by the character of the purpose and contents. Restricted suggestions for the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could be obstacles for teachers, therefore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teachers to design a practical methods of ``Speech Education``. Finally, it is argued that for the better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peech Education``, all the course of the evaluation has to be changed not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but for the enhancement of ability to cooperate and get together with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