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특수교사로의 성장과 관련된 요인 및 경험

        김정연,허유성,임장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이 연구는 특수교사들은 성장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좋은 특수교사로의 성장과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을 통해, 어떠한 경험들이 좋은 특수교사로 성장하는 데 기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의 문제에 따라 현상학적 접근을 사용하여 좋은 특수교사로 성장하는 것과 관련된 참여자들의 공통되고 공유된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 목적에 동의한 28명의 특수교사이며,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인터뷰 내용의 분석 결과, 특수교사들의 생애 경험들은 성장과 관련하여 다양한 경험들로 나타났다. 좋은 특수교사의 성장과정이라는 대주제는 특수교사의 시작, 전문성과 관련한 성장, 관계의 성장, 자기계발을 통한 성장, 내적 성장의 5가지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좋은 특수교사의 의미는 긍정적, 탄력적 사고, 의사소통과 관계성, 특수교육 전문가로서의 사명감의 3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그들 자신과 그들이 만난 학생들, 다양한 교직 경험을 하면서 교사라는 직업의 근본적인 의미와 가치에 대해 재발견하는 성장의 과정을 경험하였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취미 등의 자기계발을 통해 침체시기를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교사들은 교직에서의 좌절을 경험할 때에도 내적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growth of g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28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greed to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All of the interviews were audio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2 themes and 8 sub-themes by analysis of the transcribed interview contents were as follows. A process for the experienc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analyzed into the five types, 1) the induction in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2) growth of the professional, 3) growth of the relationship, 4) growth through self-development, 5) inner growth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meaning of g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analyzed into the three types, 1) the positive and resilience thinking, 2) th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3) the mission of the professionals for special educati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trying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ty in various ways. This consciousness stimulated the teachers’ achievement motivation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in various ways such as self-development and devotion. They tried to find an alternative way which enables them to enrich their teaching lives through various personal growth or hobbies to overcome the depression time. Some tried to overcome their frustration by developing their inner growth.

      • KCI등재

        코로나19와 교사의 성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Y-성장모델의 적용

        김수진,엄문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types of growth teachers have experienced while experiencing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what would be characteristics of those growths. As a means to this end, a qualitative case study has been conducted by selecting six teachers working at H elementary school belong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has been condu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for each teacher twice from April to October 2021, and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analyzed data has been likened to a ‘path’ which is an expression revealing continuous nature of growth, and has presented the growth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a path the teacher has followed,’ ‘a path no one has taken,’ and ‘a path to walk togeth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achers were accepting the COVID-19 pandemic as an opportunity for growth and were experiencing growth through classes and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and 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showed an aspect of voluntarily pursuing learning while going through the COVID-19 situation, and recognized the nature of growth that they should pursue in the future was not changed despite the wave of COVID-19 pandemic.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characteristics of growth in teachers’ experience during COVID-19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on ways to support teachers’ growth.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을 경험하면서 교사가 어떤 성장을 경험하였고, 그 성장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H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여섯 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4월에서 10월 사이에 교사별 각 두 차례의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성장의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속성을 드러내는 표현인 ‘길’에 비유하였으며, H초등학교 교사의 성장 경험을 크게 ‘교사가 걸어온 길’,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 ‘함께 걸어갈 길’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코로나19 상황을 성장의 계기로 받아들이고 있었고, 수업을 통해, 그리고 동료 교사 및 아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교사들은 자발적으로 배움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코로나19의 파고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교사가 추구해야 할 성장의 본질은 바뀌지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교사 성장의 특징을 논의하였고, 교사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로서의 폭력 피해를 경험한 교사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노출과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신영 ( Kim Sin Yeong ),오인수 ( Oh In S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학생으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 노출, 성장적 반추,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과 이를 통해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외상 후 성장을 돕는 상담적 개입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의 교사 404명을 대상으로 학생에게 당한 폭력 피해 경험, 사회적지지, 자기 노출, 외상 후 스트레스, 성장적 반추 그리고 외상 후 성장의 정도를 측정하여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장적 반추의 완전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으로부터 폭력 피해를 경험한 교사의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를 성장적 반추를 통해 재해석 할 경우 외상 후 성장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피해 교사를 상담할 경우 피해 교사가 의도적·건설적으로 피해 사건을 재해석 하도록 돕는다면 외상 후 성장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사회적 지지에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주변의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최근 교권침해사례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학생으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내적, 외적 보호요인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폭력 피해 교사를 상담할 경우 피해 교사의 성장적 반추를 촉진하는 인지적 상담 기법과 사회적 지지를 촉진하는 지지체계강화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rumin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from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counseling intervention to facilitate post-traumatic growth of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The subjects were 404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measuring severity of violence, social support, self-disclosure, post-traumatic stress,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ull mediation effect of rumination and the main effect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t-traumatic stress can be sublimated into post-traumatic growth if the teacher who experienced violence damage from the student re-conceptualizes the post-traumatic stress through rumination. If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receives counseling like facilitating themselves to confront and reinterpret the traumatic incident intentionally or constructively, it would be helpful for them to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which means rumination occur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not only it found which kind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re needed in converting post-traumatic stress to post-traumatic growth for teachers victimized by violence from student, but also it gives insight for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the teachers in terms of post-traumatic growth.

      • KCI등재

        베테랑 고교 일본어교사의 성장을 가로막는 것과 그 지원책의 제안 -발달적 워크리서치를 통해-

        최현필 ( Hyun Pil Cho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7 No.1

        본고는 일본어 교사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개입연구(intervention research)이다. 본고의 문제의식은 현재 한국의 후기중등교육에서 행해지고 있는 일본교육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의욕과 동기가 전무한 점, 그로 인해 일본어교사가 일본어 수업시간에 일본어를 가르치는 것에 극도의 곤란함을 느끼고 있다는 점에 있다.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성장해나가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암묵지(tacit knowledge)를 습득하나 현재 한국의 중등교육의 일본어교사들은 수업개선과 본인의 성장을 이루기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일본어교사의 신규채용이 전무함과 함께 중견교사들은 상치교사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하면 베테랑일본어교사들의 성장과 그를 위한 지원은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연구자로서의 필자와 1명의 베테랑 고교 일본어교사(나교사로 약칭), 1명의 대학 일본어강사(미래교사로약칭)가 협동하여 상호성장과 실천의 변화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엥게스트롬(Engestrom, Y)의 활동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는 ‘발달적 워크리서치 (Developmental Work Research)’를 7개월간 수행하였다. 결과, 나교사는 실천는 지금까지 자각하지 못 했던 자기자신의 ‘화석화’에 깨닫게 되는 영향을 받았음이 밝혀졌다. ‘화석화’에 대한 자각은 수업개선으로 이어지는 성과를 낳았다. 또한 나교사의 성장을 가로막던 것은 ‘교사의 자승자박적 심리상태’임이 밝혀졌는데, 이는 DWR의 수행에 있어서 매달 2주간 휴지기간이 있던 점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상기의 성과와 과제를 근거로 하여 베테랑일본어교사의 계속적 성장 지원을 위해 ‘성찰시트’와 ‘한국식 개입연구디자인’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이후의 과제로써 교육현장에 기반을 둔 연구자와 교사의 ‘계속성과 협동성’을 살린 개입연구가 절실히 필요함을 들었다 This paper has two purposes: (1)To examine what hinders a veteran Japanese language teacher (abbreviated as Mr. Na in this paper) in South Korea, and (2) To propose a support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veteran Japanese language teacher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the paper is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as enacted in the Developmental Work Research (DWR). As we have previously shown ‘the teachers`` subjective bias caused by restrictions’ hinders Mr. Na’s development and the re-framing of his practic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wo teacher support methods. One is the ‘reflection sheet’ made by the teachers themselves, the other is ‘the Korean Type intervention research design by a researcher’. DWR is a typical type of the intervention research implying a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a researcher. We expect that this support method for Japanese language teachers can bring about a change in their practices as well as in themselves and, furthermore,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교사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바라본 체육교사의 성장과 교육적 의미

        송호현,박종률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insight to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PE teacher as a researcher.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August in 201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concentrate on the conflict of roles between the researcher and teacher experienced by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As a researcher, the participant’s identity was classified into 'front-line researcher', 'reflective researcher', and 'practicing researcher'. Seco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as a researcher is classified into ‘the growth of teachers is aligned with the quality of education', ’fulfillment of existential desires', and 'teacher’s happiness cascades to student's happiness'.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critical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as a subj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as a researcher was directly connected with improvement of classroom and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as a researcher felt pleasure and a sense of achievement of learn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giving meaning to the inner growth as well as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activities that broaden the horizon of life and self growth. Third, the participants discovered their desire to help realize th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researchers, and to help the students to find happiness and experience the joy of growth through the physical activities. 이 연구는 현장에서 연구 활동을 열성적으로 수행하는 체육교사들을 선정하여 연구자로서의 정체성과 성장 경험을 탐색하여, 그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각자의 영역에서 열정적으로 현장 연구를 수행하는 5명의 체육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관찰 방법을 적용하여 체육교사 연구자가 경험하는 역할갈등 사례를 범주화하였다. 더불어 체육교사의 성장을 정체성 관점에서 분석하고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해 체육교사의 연구자로서 정체성은 ‘최전방 연구자’, ‘반성하는 연구자’, ‘실천하는 연구자’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체육교사의 연구를 통한 성장의 교육적 의미는 ‘교사의 성장은 교육의 질 성장’, ‘실존적 욕구 충족’, ‘교사의 행복은 학생의 행복’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체육교사들은 교육활동의 주체로서 교사의 성장은 곧 수업과 교육활동의 질적 향상으로 직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체육교사들은 연구 활동을 통해 배움의 즐거움과 성취감을 느끼고 삶의 지평 확대와 자아 성장에 가치를 두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체육의 가치를 깨닫고 학생들에게 체육활동을 통해서 행복을 느끼고 성장의 즐거움까지 안내하고픈 열망을 교육에 대한 진지한 태도로 실현하고 있었다.

      • KCI등재

        유아 교사로서의 성장의 의미 탐색

        박주현,권귀염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meanings of growth as early childhood teachers. Six teachers who had 6 to 17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ollect data, thre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As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the following findings emerg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dered their own growth as a process of continuing efforts to make positive changes. The nature of their growth was sequential as well as dynamic. In addition, when the teachers observed their classroom children's growth, they felt themselves grow too.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ir internal motivation wa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of their growth. However, external conditions such as performing specific roles or participating in special tasks were also valued, because such experiences made the results of the growth more visible. It seemed that they did not specify their final direction of their growth; the teachers only mentioned vague images of good or professional teachers as their final destinations.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academic and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made. 많은 교사들이 성장을 추구하고 다양한 성장의 방법이 논의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성장’ 자체의 의미와 양상들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경력 6-17년차 현직유아교사 6명과 이루어진 세 차례씩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참여교사들은 멈추지 않고 노력하는 과정이 성장이라고 여기고 있었으며, 유아들의 변화, 발전된 모습을 통해 자신들의 성장을 인식하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경력에 따른 성장의 순차성도 있지만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역동성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참여교사들이 생각하는 성장의 노력은 자기 관리가 바탕이 된 내적 동기로부터 시작되지만, 다양한 활동 참여나 역할 수행 등 외부적인 요소들 역시 성장을 촉진시키고 가시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 유아교사들은 자신들의 성장의 지향점에 대해 좋은 교사나 전문가로서의 교사 등 막연하고 추상적인 생각들을 가진 반면 구체적인 방향성에 대한 고민은 부족함을 드러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의 교육적 의미를 논하고, 유아교사들의 성장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음악을 전공한 특수교사의 자서전적 생애사 연구

        홍미선,곽승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음악교사에서 특수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 분석하여 삶의 실존적 의미를 찾아 교사로서의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자서전적 생애사 연구 방법을 통해 교사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생애 특정 구간의 연대기적 흐름에 따른 주요 사건 과정을1인칭 시점에서 고찰하여 삶의 실존적 의미를 찾아 교사의 내적 성장을 도모한다. 결과 즉각적인 행동 실천의 선천적 요소는 음악교사에서 특수교사가 되는 과정에 큰 도움이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쏟은 모든 노력과시간은 교사로서 성장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또한, 특수교사가 되는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극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연구자의 노력도 요인이 될 수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주변 환경적 요소가 뒷받침되어 있었기에 가능했으므로 항상 감사함과 겸손한태도를 유지하며 내면의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세 번째로는 누구나 인생에 찾아오는 위기를 피하지 않고 첫시작점으로 돌아가 직면하여 그 시기의 열정과 깨달음, 성장 과정을 기억함으로써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을 마련하는 것이중요함을 깨달았다. 네 번째는 학생 또한 가정의 귀한 구성원이다. 교사가 학생을 함부로 대할 권리는 없으므로 학생의 있는 모습그대로를 존중해야 하는 점을 다시금 기억할 수 있었다. 마지막은 음악은 특수교사로 살아갈 수 있는 동기를 유발하며 특수교사의과정과 삶은 교사로서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었다는 점에서 음악과 특수 사이에서의 정체성과 의미를 찾게 되었다. 결론 용기를 내 도전하고자 즉각적인 행동의 실천은 환경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목표를 달성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되었다. 둘째 특수학급에서의 근무 경험을 통해 특수교사의 진정한 역할과 책임, 보편적 교육관이 정립되었다. 셋째, 교사는 학생을함부로 대할 권리 따위는 없다. 넷째, 목표 달성을 위해 쏟은 모든 시간과 노력은 버릴 게 하나도 없이 모두 의미 있다. 다섯째, 교사도완벽한 존재가 아니므로 쉬어갈 수 있는 충전 시간이 필요하다. 실수했다는 사실보다 실수한 이후의 성장하느냐가 중요하다. 여섯째, 자아 성찰의 시간을 통해 내면 성장의 기회를 가지며 인생의 실존적 의미를 되찾아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and analyze the process from becoming a music teacher to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find the existential meaning of life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growth as a teacher. Methods Through the autobiographical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the course of major events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flow of a specific section of the teacher's life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acher's life is examined from a first-person perspective to find the existential meaning of life and promote the teacher's internal growth. Results The innate element of immediate action practice was a great help in the process of going from a music teacher to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all the effort and time invested in the process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growing as a teacher. In addition, the reason why I was able to overcome the trials and errors I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 may have been due to the researcher's effort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at I was able to overcome the trials and errors I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at I was able to overcome the trials and errors I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at I was able to overcome the trials and errors I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 I learned that I needed to pursue growth. Third, rather than avoiding crises that come in one's life, everyone must go back to the starting point and face them, remembering the passion, enlightenment, and growth process of that period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to overcome the crisis. Fourth, students are also valuable members of the family. She was able to remember once again that teachers have no right to treat students poorly, so they must respect students for who they are. Lastly, I came to find identity and meaning between music and special education in that music motivates me to live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 process and life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provide a foundation for me to grow to a higher level as a teacher. Conclusions Having the courage to take on a challenge and take immediate action became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us to achieve our goals and move forward despite environmental difficulties. Second, through experience working in special classes, the tru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 universal view of education were established. Third, teachers have no right to treat students poorly. Fourth, all the time and effort you put into achieving your goal is meaningful, with nothing left to waste. Fifth, teachers are not perfect, so they need time to rest and recharge. What is more important is whether you grow after making a mistake than the fact that you made a mistake. Sixth, we must have the opportunity for inner growth through time of self-reflection and regain the existential meaning of life.

      • KCI등재

        남자유아교사의 교사 성장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정병탁,하연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2 No.3

        This autoethnographic study followed a male, early childhood teacher over 13 years. The study aims to explore what kind of teacher growth has occurr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ience from a perspective of a man. 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pertinent information to pre-service and current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increased social interest in support measures for them, and the accumulation of in-depth research knowledge. Therefore, data were collected separately on teacher experience from 2006 to 2021 (from a preparatory to becoming a male early childhood teacher with 13 years of experience). The classified materials comprise the following data: self-reminiscence, self-reflec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ield, and autoethnographic colleague-teacher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mutually conn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method. Therefore, the experience of growing up as a mal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as follows: becoming, surviving, and living as a teacher. Consequently, First, for me, the academic process and the sincerity of play facilitated professional growth and the discovery of strengths. Second, continuous introspection and experience of difficulties led to the growth of learning. Third, the process of meeting became a mentor for exemplary growth. Thus, the establishment of a new teacher image as a sincere teacher for the play was proposed. 본 연구는 약 13년간 유아교사로서 지내 온 한 남자의 자서전적 이야기이다. 남자유아교사로서 유아교육현장 속 구성원이 되어 어떠한 교사 성장이 이루어졌는지 탐구함으로써 남자예비유아교사 및 현직 남자유아교사들에게 관련 정보의 제공, 지원방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 심화된 연구 지식의 축적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남자예비유아교사 시절인 2006년부터 13년 차 유아교사가 된 2021년까지의 교사 경험에 관한 자료를 자기회상자료, 자기성찰자료, 유아교육현장자료, 자문화기술자 동료 교사 면담자료로 구분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포괄적 분석 방법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자유아교사로서의 교사 성장 경험은 교사 되어가기, 교사 살아내기, 교사 살아가기로 나타났으며 그 의의는 첫째, 나에게 학업 과정과 놀이 진심은 전문적 성장과 강점 발견을 촉진하였다. 둘째, 지속적인 성찰과 어려움의 경험은 배움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셋째, 만남의 과정은 모범적 성장의 멘토가 되었다. 이와 함께 ‘놀이에 정성스러운 교사’라는 새로운 교사상의 정립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행정업무 경험과 직무만족에 관한 질적 연구

        정혜연(Hyeyon Chung),김진원(Jin Won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김진원과 정혜연(2020)의 후속연구로서, 적응기(5년 이하)와 성장·발전기(6~20년) 중학교 교사가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높다는 모순적인 결과에 대한 원인을 찾아보고자, 해당 발달단계의 중학교 교사들이 행정업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행정업무 경험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질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공립 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적응기 교사 2명과 성장·발전기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며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적응기 및 성장·발전기 중학교 교사들은 학생의 교육활동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는 업무 활동이 행정업무라고 정의하고 있었으나, 각자의 주관적 기준이 달라 ‘개념적 의미로서의 행정업무’와 ‘실질적 의미로서의 행정업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이 가지고 있는 행정업무의 개념에는 교육활동에 필요한 업무, 필요하지 않은 업무, 그리고 그 경계가 모호한 업무들이 모여 있는 회색 지대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행정업무 경험이 직무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를 탐색한 결과, 적응기 및 성장·발전기 교사들은 행정업무를 수행하면서 비록 스트레스를 받을지라도 성장할 수 있고, 인정받을 수 있으며, 자율성을 확대할 수 있어 직무에 만족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먼저 단위학교 차원에서 민주적 토론 및 토의를 통해 교사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행정업무 의미 사이의 간극을 줄여야 하며, 행정업무도 교사의 주요 직무 중 하나라는 통합적인 교사상 구축을 지원해야 한다는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n teacher job satisfaction following Kim and Chung (2020) to explore how middle school teachers in novice stage (less than 5 years) and advanced stage (6-20 years) define school administrative work, what experiences they have through administrative work, and how this can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novice stage teachers and three advanced stage teachers working in middle schools and related document data were also collected.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administrative work as a conceptual meaning’ and ‘administrative work as a practical meaning’ due to different subjective standards of the teachers. Second, positive experiences that teachers can build through administrative work were that they can have opportunities for inner (i.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xternal (i.e. promotion) growth, be recognized by school leaders (principles and vice principles), and enjoy higher level of autonomy.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suggestions are proposed so as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discuss and share their own definitions of the administrative work, and support teachers establish a more holistic image of themselves that includes administrative work as part of their main duties.

      • KCI등재

        성찰적 글쓰기 활동을 통한 예비 영어교사의 교육적 성장 과정

        신동일,김나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예비영어교사의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예비영어교사의 교육적 성장 과정과 그 가치를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연구 참여자의 대학원 교육경험을 성찰 일지로 수집하고 그 자료를 세 가지 사건(교생실습, 질적 연구 스터디 모임 참가, 석사논문 작업)의 범주로 나누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교생실습을 통해 이론과 현장의 차이를 체험했고 한국의 영어교육상황에 맞는 교수법과 한국인 학습자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아갔다. 또한 질적 연구 스터디모임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는 교사가 직접 자신의 수업을 관찰하고 문제를 파악한 후 해결점을 찾고 현장을 개선시키는 실행연구방법을 학습했다. 석사논문연구를 통해서는 저널쓰기의 교육적 유의미성을 다시 경험하게 되고 질문과 대답을 통한 자신의 교육적 성장을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성찰과 글쓰기는 한 예비교사를 교육적으로 당당하게 성장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영어교사의 성찰적 글쓰기 활동을 통한 교육적 성장은 한국의 영어교육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교육경험을 성찰하면서 건강한 직업 윤리관 그리고 정체성을 갖도록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예비영어교사를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 내부에 성찰과 글쓰기 과정을 보다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 예비교사 시절 교육경험에 관한 성찰은 교사의 전문적 성장으로 연결되고 이것은 글쓰기 활동을 통해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