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적 몸과 관계적 자아

        박연규(Park Yeoun-gyu) 한국양명학회 2011 陽明學 Vol.0 No.28

        이 글은 유가적 몸과 그에 관련한 관계적 자아의 개념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1절에서는 개인적 자아에서 사회적 자아로의 변화 과정에서 유교가 차지하는 의미를 환기하고 2절에서는 유가적 자아와 유가적 몸과 관련한 담론을 제시하였으며, 3절에서는 닫힌 몸에서 열린 몸으로의 전개 과정에서의 몸의 겹 구조의 특징을 설명하면서 경(敬)이 갖는 관계적 자아의 기능적인 면과 사회적면을 설명하였다. 4절에서는 앞의 유가적 몸과 관계적 자아에서 논의된 사항을 바탕으로 효의 사례를 가져와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유가적 자아의 특성에 대한 국내의 다양한 논의를 최대한 수렴하여 유가의 관계적 자아에 대표적으로 기능하는 인(仁)이나 서(恕)의 특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더해 경(敬)을 거리두기라는 맥락에서 관계적 특성인 인이나 서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유가적 자아를 몸의 문제와 관련시켜 유가적 몸 담론의 특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concepts of Confucian body and its relational self as well. In chapter 1, I called again the original Confucian meaning in relation to the process of individual self to social self. In chapter 2, a various discussion were presented for such Confucian self and body. For the chapter 3 I proposed the unique feature of multi-layered structure of one’s body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closed body to the open body, and then explained the func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al self in which the typical neo-Confucian concept Kyung (敬; Jing in Chinese) was newly interpreted. In chapter 4, the concept of filial piety would be reviewed as a meaningful example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of Confucian body and relational self. Although all my arguments of the proposal of the family are relatively important, I mainly attempted to construct the Confucian base. To do it I collected different views for the Confucian self and focused the concepts of In(仁; Ren in Chinese) and Seo(恕; shu in Chinese) which could be functioned in the process of the Confucian relational self. Then I drew the Kyung(敬) in the view of ‘distancing’ and re-interpreted the relational nature of In and Seo. Especially I disclosed the Confucian arguments of body in relation to the Confucian self.

      • KCI등재

        그림책 읽기를 통해서 본 유아교사의 관계적 자아

        고선주 한국인격교육학회 2018 인격교육 Vol.12 No.2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al self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nursery care workers through picturebook reading. Thirty-three participants were enrolled the in-service training course in a college in Seoul. With ven diagrams, their relationships were analyzed. They chose target books, and read, wrote and talked about them. Participants were known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riends, parents and certain colleagues, but had challenging ones with head teachers, vice head teachers and other colleagues. While reading the picturebooks alone, learning from the picturebooks were analyzed by the participants: finding the relational self, hope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relationships, desire of growing, and respect for differences. While reading in pairs,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revival of forgotten memories and talked about their dreams and reality.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the relational self were affected by the early years of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current and former experiences of work places with colleagues, seniors, children and parents, and the ideal images of good teachers. Implications were made on picturebook reading for relational self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본 연구는 그림책 읽기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관계적 자아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참여자는 서울시와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5개월에서 9년 사이 근무 경력이 있으며, 현재 서울 소재 대학 전공심화과정에 재학 중인 교사 33명이다. 위 교사들이 관계적 자아 분석을 위해 각각 한 권씩 직접 그림책을 선택하였다. 참여자가 꼽은 주요 타인은 긍정적 관계로 친구, 부모, 직장 동료 순이었으며, 부정적 관계로 직장 상사와 동료였다. 참여자는 그림책에서 관계적 자아 찾기, 관계개선의 희망, 성장에 대한 염원,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기 등의 관계적 자아 구축 방식을 읽어냈다. 참여자들은 직업으로 교사를 선택하게 된 동인으로 어린 시절의 가족 관계를 꼽았으며, 현 직장에서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교우관계, 직장에서 겪는 관계의 어려움, 지키고 싶은 자아상 등에 관해 토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관계적 자아의 지속성, 현실과 이상의 관계적 자아간 괴리 등의 관계적 자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관계적 자아이해와 확장을 위한 그림책 읽기와 이야기 나누기, 그리고 교사인성교육에의 적용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공익연계 마케팅에서 공익 선택이 소비자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자아관점, 성별과 관계적 질의 조절효과

        두정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6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field study, the average purchased amount of products in the condition of consumes’ cause choice option significantly more high than that of company choice. Rather than similar condition of the suggested causes, when the causes are different each other and diversified, consum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the cause related products. The main effects of cause diversity and construal were significant less than 1% level.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ve effects between diversity and construal. It is presumed that the needs for diversity of causes are exist unrelated with the type of respondents’ construals. The moderated effects of consumers’ construal in the evaluative process of cause choice have not been manifested. However, no matter what the diversity of the causes, the attitudes to the causes of independent construals were lower than that of inter-dependent ones. As the results of analysis of variance between relationship quality and gender, the attitudes of women to the char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 And, it was more high in attitude in the case of high relationship quality than low one. Even in the low relationship quality, the self-enhancements of women were more high than that of men, but when self-enhancements were elevated, the average of women’s self-enhancement dramatically rise than that of men. Also, no matter what the relationship quality, the women’s self-enhancements were more high than that of men. 본 연구의 현장실험 결과는, 소비자들이 그들의 구매로부터 혜택을 받을 자선을 스스로 선택하도록 한 소비자 선택 조건 하에서 구매액 평균이 리스트로부터 기증받을 자선을 스케이트장이 선정할 것임을 알린 기업선택 조건에서의 구매액 평균보다도 높았다. 제시된 공익이 서로 유사할 경우보다 서로 차이가 크고 다양할 경우 공익연계 캠페인에 연결된 제품에 대해 더욱 긍정적 반응을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ANOVA 분석모형은 유의적이며, 자선의 다양성과 자아관점의 주 효과도 유의적이었다. 그러나 다양성과 자아관점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자선의 선택과정에서 제시된 자선 단체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는 개인의 자아관점 유형에 관계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아관점은 공익선택의 평가에 대한 영향을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가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공익선택의 다양성에 관계없이 독립적 자아관의 소비자들이 상호의존적 자아관의 소비자들보다도 자선에 대한 태도가 더 낮았다. 관계적 질과 성별의 자선태도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여성의 자선에 대한 태도는 남성의 태도보다도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며, 관계적 질이 낮을 경우의 평균보다도 관계적 질이 높은 경우의 평균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관계적 질이 낮은 경우에도 여성의 자아향상성 평균은 남성의 평균보다 높았으나, 관계적 질이 높아지면 여성의 자아향상성 평균은 남성의 경우보다 크게 높아졌다. 또한 관계적 질 수준에 관계없이 여성의 자아향상성은 남성의 평균보다 더 높았다.

      • KCI등재

        관계적 인간으로서 만남을 통한 자아인식과 분별력: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를 중심으로

        신언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protagonist struggles with her burden and recognizes self-discernment regarding the matter of love affairs. Humans are brings who have to be accompanied by others. Self-consciousness is affected by the positive or negative viewpoints others have of me. Self-consciousness holds a significant role in a human’s life; therefore, it is considered essential for human beings.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protagonist requires the self recognition as a human being in order to alter their relationship nature of self-consciousness, self-determination and self-transcendence. By self, potential self and existing self can be differentiated. Potential self is responsible for keeping familiar relationships with others while existing self is revealed when the most heinous of situations arise. The narrator of this novel displays both potential self and existing self. The narrator's self-consciousness was deeply imprinted by the image of ‘the woman.'This was the case because the first person to actually understand the aspect of being told by the narrator was ‘the woman.’However, as the narrator desired to resemble ‘the woman' her heart also yearned for her inside image, but this was only one aspect. After her encounter with ‘the woman', the narrator realized distorted self and build a new form of self. The narrator declares it is not due to what others have suggested that she was able to recognize this new aspect of self but by the narrator's ability of ethical discernment. And she decided not to live like ‘the woman.'Finally, she was able to excel by giving up what she wished. Human beings recognize self as positive or negative through encounters with others. Although distorted self may exist, human beings can change themselves. This is ‘becoming.' 이 논문의 목적은 위기에 직면한 화자의 자아의식이 변화하여 올바른 결정을 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존재이다. 자아의식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보는 관점에 따라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자아의식은 삶의 모든 차원에서 크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 논문은 관계적 인간으로서 만남을 통한 자아의 의식 변화를 루이스 셰릴의 자아의식(self-consciousness),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 자아초월(self-transcendence)이라는 본질적 자아의 특성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자아는 가능적 자아와 실존적 자아로 구분한다. 가능적 자아는 타자와 친숙한 관계를 유지하는 책임적 존재이며, 실존적 자아는 이율배반적인 갈등 속에 처한 자아의 왜곡된 모습이다. 이 작품의 화자는 두 자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화자의 자아의식에는 ‘그 여자’가 크게 각인되어 있었다. 그 이유는 화자의 존재 자체를 알아주었던 첫 번째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다. 뿐만 아니라 화자에게 ‘그 여자’는 닮고 싶은 존재이며 동경의 대상이었기 때문이었다. 화자가 관계의 위기를 맞으면서 ‘그 여자’와의 만남에 의해서 잘못된 자아인식을 하였고, ‘그 여자’와 만남에 의한 또 다른 영향으로 왜곡된 자신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화자는 다른 사람의 충고 때문이 아니라 새로운 자아를 인식함으로써 윤리적 분별력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 여자’처럼 살지 않기로 결단하였다. 마침내 자신이 원하는 것을 포기하면서 자아를 초월하게 되었다.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만남에 의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자아를 인식하게 된다. 다른 사람과 만남에 의해서 왜곡된 된 자아(being)라 할지라도 변화해 갈 수 있는 존재화(becoming)인 것이다.

      • KCI등재

        자아해석 방식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명순,하정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2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Yang, Mung-sunHa, Jung-Hee攀 Chungbuk National University攀攀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independent self-construal,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on undergraduate. It was further to identif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s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ee-hundred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self-constru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depression, and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 was non significant with depression. Secondly, level of self-construal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 depress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ly, ambivalence over emotional mediated 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mediated relations betwee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limit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noted.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독립적 자아해석,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정서표현 갈등, 우울감,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표현 갈등이 독립적 자아해석 및 관계적 자아해석과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첫째, 독립적 자아해석은 심리적 안녕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표현갈등, 우울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관계적 자아해석은 표현갈등, 심리적 안녕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우울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독립적 자아해석과 관계적 자아해석의 수준에 따라 우울, 정서표현 갈등, 심리적 안녕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정서표현 갈등이 독립적 자아해석과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고, 관계적 자아해석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또한 매개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시사점,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선 유학의 가족 서사를 통한 관계적 자아의 정교화 : 송덕봉의 서간문에 나타난 부부서사를 중심으로

        김세서리아 한국여성철학회 2016 한국여성철학 Vol.25 No.-

        이 논문의 목적은 관계적 자아의 대표적인 전형으로 간주되는 유교적 자아를 여성주의 입장에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현대 사회가 주목하는 관계적 자아에 대한 논의를 정교화 하는 것이다. 논문에서 정교화의 작업은 두 개의 방향에서 이루어진다. 하나는 유가 철학의 관계적 자아에 대한 논의가 지나치게 관계성에 주목하거나 남성중심성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유교적 가족에 대한 여성주의 인식을 재고하는 것이다. 가족 안에서 관계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동아시아적 상황을 고려할 때, 여성주의의 가족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재고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논문에서 이러한 논의는 16세기 조선 여성의 서간문에 나타난 가족 서사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며, 그 안에서 유교적 (여성)자아의 구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층적이고 복잡한 차원을 드러낸다. 논문에서 관계적 자아에 대한 논의의 정교화는 다음과 같은 물음을 통해 접근된다. 첫째, 가족 관계를 중시하는 문화적 전통 안에서 개별적 자아는 발견될 수 있는가? 둘째, 관계 안에서 구성된 자아는 결코 관계 비판적일 수 없는 자아인가? 셋째, 가족을 관계망의 가장 중요한 기초로 설정하는 담론은 사적인 영역의 경험을 공적인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논의로 발전할 수 있는가?

      • KCI등재

        애착, 관계적 자아 및 도덕성 간의 관계: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김성희,방희정 한국여성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3 No.2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도덕성 발달에 애착 및 관계적 자아 특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애착 및 관계적 자아 검사의 하위 요인들이 도덕성과 어떤 관련이 있으며, 남녀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콜버그 이론에 근거한 도덕성 발달은 전반적으로 애착 및 관계적 자아 특성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애착의 경우, 전체적으로 아버지 및 어머니와의 애착이 모두 관련되었고, 세부적으로는 남학생 집단과는 달리 여학생 집단에서만 어머니 애착과 도덕성 발달 간에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관계적 자아의 경우도 전체적으로 타인의식, 관계적 긍정경험, 관계중시, 도구적 관계, 공감배려 순으로 도덕성과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남자의 경우는 관계중시만 도덕성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에서는 남학생과는 달리 여학생의 경우, 어머니 애착 및 관계적 자아의 특성 중 관계적 긍정경험이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결과들이 길리건의 배려의 도덕성과 관련지어 기술되었고, 그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거부민감성, 지위불안감의 역할: 집단적-,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승연,김세진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4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gender-specific role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tatus insecurity on relational aggression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ctive and relational-interpdependent self-construals. For this study, the self-report data of 183 7th-8th grade students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status insecurity predicted boys'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rejection sensitivity predicted girls' relational aggression. The relations between girl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was only significant among those with strong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truals. In other words, rejection sensitivity led to relational aggression only among girls whose self-definition is more strongly based on close relationships. Finall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were discussed to reduce relational aggression in each gender.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 지위불안감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집단적-,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의 조절효과가 남녀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2월 실시한 중학교 1, 2학년 재학생 183명(남 86명, 여 97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거부민감성은 소녀의 관계적 공격성, 지위불안감은 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소녀의 경우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간의 관계를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을 많이 하는 소녀의 경우에만 거부민감성의 증가가 관계적 공격성의 증가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적 공격성을 줄이기 위한 개입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여성노동자의 생애이야기에 나타난 ‘개인’의 인식

        신경아(Shin, Kyung-ah)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3 젠더와 문화 Vol.6 No.2

        이 연구는 20대부터 50대까지 41명의 여성노동자들의 구술생애사에 나타나는 생애단계별 자아 개념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중 ‘개인’으로서 자기 인식의 전형성을 보여주는 4명의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애사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여성의 자아 개념의 특징은 개인으로서의 자기인식 속에도 타인에 대한 책임과 돌봄, 인정이라는 관계적 자아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4명의 사례들은 원가족을 포함한 인간관계에서 상처받고 일을 통해 자아를 재구성해가고 있지만, 일 자체의 성취라기보다는 그 일을 통해 다른 사람을 돌보고 소통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개념까지 바꾸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여성의 ‘개인’ 인식, 타인과는 구분된 독립적 존재로서 자기 인식은 타인에 대한 책임을 포함한 개념이며, 관계적 자아와 개별적 자아의 상호공존을 지향하는 의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 남성노동자의 생애사가 일 중심적 자아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 여성노동자의 생애사는 일과 관계의 통합이라는 ‘일-관계 통합적자아’의 양상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 woman is going to recognize herself as an individual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woman"s self-concept by analyzing women workers" narratives. 41 female workers from 20s to 50s residing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our research as narrators and 4 of them showed distinct self-concept as an individual. In this paper, we throw lights on the epitome of self-awareness of all of the narrators and especially make an intensive analysis on 4 distinguished cases. As the result of the focused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woman"s ‘personal’ recognition as an independent existence distinct from others, is including the responsibility for others and the relational self concept.

      • KCI등재후보

        김여정 시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특성 연구

        양소영 ( Yang So Yo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1 漢城語文學 Vol.45 No.-

        이 글의 목적은 김여정 시에 나타난 여러 자연 이미지, 생명의 특성, 어머니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그녀의 시 세계를 풍요롭게 이해하는 데 있다. 초기시에 나타난 레몬의 생명력은 자연과 인간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이때 공감이라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자연과 인간의 공감은 긍정적인 자아 형성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초기시에서 시인은 레몬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상호 관계를 확인하는데 이는 소중한 여성적 가치를 얻게 하며 긍정적인 자아 형성을 하게 한다. 이것은 가부장제 속의 고립된 자아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중기시의 비상의 이미지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이끈다. 시인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와 합일 속에 ‘관계적 자아’를 형성하며 그 결과, 그녀는 자신을 둘러싼 여러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확장된 자아, 즉, 능동적 자아를 얻게 된다. 관계적 자아는 가부정적 질서에 대응해 여성의 위치를 평등하게 바라보고자 하는 의미를 지닌다. 게다가 시인은 새의 비상을 통해 자연과 인간 전체에 생명을 나누며 순환의 질서와 관계성의 원리를 경험하게 된다. 후기시에 나타난 어머니는 평범함 속에서도 극락조, 정자나무와 연결되며 여신의 면모를 지닌다. 즉, 어머니는 영적인 대상으로 가족과 모든 것을 포용할 수 있는 내밀한 가치를 지닌 영원한 존재이다. 어머니의 영적인 힘은 자아와 세계 등 이원적인 경계를 허물어 버린다. 어머니는 모든 것을 사랑할 수 있는 힘을 지녔고, 이런 사랑은 자연과 여성을 속박하는 가부장적 상황을 해체시킨다. 이런 점은 주체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natural images, the characteristics of life, and the mother to understand in Kim Yeo-jung’s poems and to reach a rich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her poetry. The vitality of lemons in early poems derives between nature and humans. In this case, empathy means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Empathy between nature and humans allows for positive self-formation. In early poetry, the poet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through lemons, which acts as a driving force to make the poet realize a person of positive and precious value and escape from the isolated self in an uneasy reality. The imagination of soaring in the mid-term period poetry leads to harmony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poet forms a “relational self” in harmony with nature and humans, resulting in an extended self, that is, an active self, that can proactively solve the problems surrounding herself. In addition, the poet experiences the circular order and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sharing life with nature and humans through a bird’s soaring The mother, who appeared in the late poetry, appears as a goddess by being connected to the a bird of paradise and shade tree. In other words, the mother is an eternal being who has an innate value to embrace her family and everything as a spiritual object. The spiritual power of a mother breaks down dualistic boundaries such as self and the world. The mother has the power to embrace everything, and this ability dissolves nature and the patriarchal situation that binds women. This shows proactive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