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징적 복잡적응계로서의 사회적 실천

        조주현(CHO, Joo-hyu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1

        이 글은 상징적 복잡적응계로서의 사회적 실천을 다루는 실천이론이 여성학방법론과 페미니스트 정치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한다. 첫째, 사회적 실천은 공동체 내에서 사회구성원들의 행위와 그에 대한 구성원들의 상호주관적인 규범적 판단들을 통해 생성, 유지, 변화, 또는 소멸되는 일련의 행동 패턴들을 말한다. 이러한 사회적 실천을 다루는 ‘실천이론’은 사회적 실천이론, 철학적 실용주의, 그리고 복잡적응계 이론에 기반한다. 필자는 다양한 실천이론 유형들의 간략한 분류와 검토를 통해 이들 이론과 필자가 제안하는 ‘실천이론’과의 차이를 부각시킨다. 둘째, 여성학방법론의 실천적 전환이 서구에서 발전돼온 페미니스트 이론들의 수용과 그에 대한 탈식민적 비판들에 대해 어떤 함의를 갖는지 분석하며 여성학방법론의 실천적 전환이 그러한 수용과 비판에 대한 좋은 처방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셋째, 여성학방법론의 실천적 전환이 함의하는 바를 페미니스트 정치와 관련해서 검토한 후 지난 수십 년간 효율적이었던 젠더정치를 보완/확장할 수 있는 페미니스트 정치적 전략으로 아고니즘 정치를 도입할 것을 주장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practice theory of social practice as symbolic complex adaptation system in feminist methodology and feminist politics. I start by introducing practice theory, explaining social practices as a set of stable and evolving patterns of practices in a community maintained by intersubjective normative judgments performed by its agents on their acts and judgmental criteria. The three main components comprising this version of practice theory, called the theory of symbolic complex adaptive systems, are identified as social practice theory, philosophical pragmatism influenced by the tradition of German idealism and phenomenology and further modified by the recent developments in cognitive sciences a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finally theories of complex adaptive systems. Next I analyze the implications of the practice turn I am advocating on the problem of and criticisms on adopting feminist theories developed under western influences. I claim that the practice turn of feminist methodology will be the best prescription against such suspicion. Finally I advocate agonistic politics as feminist political strategies to supplant the gender politics that has been so effective during recent decades.

      • 여자 대학생의 체격 비만도 및 혈액지표, 조사연구 : 1999년과 2009년 비교

        김종규(Jong-Gyu Kim),김중순(Joong-Soon Kim)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09 젠더와 문화 Vol.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자 대학생의 체격, 비만도 및 혈액지표를 알아보고, 10년 동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1999년과 2009년에 각각 지방에 소재한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건강검진 자료를 조사 및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체격에 있어 신장 평균치와 체중 평균치는 10년 전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BMI 평균치는 두 연도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MI의 분포는 10년 전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1999년에 비해 2009년에는 저체중인 사람이 증가하고 비만인 사람이 1999년 22.8%에서 출현하였으며 비만 비율은 9.5%에 달하였다. 혈색소(헤모글로빈) 농도 평균치는 10년 전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1) 저비중인 사람이 1991년 22.8%에서 2009년에는 13.4%로 감소하였다. 혈청 GOT와 GPT는 10년 전에 비하여 모두 증가된 경향을 보였지만 모두 정상범위에 있었다. 수축기 혈압은 10년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이완기 혈압은 2009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결과로부터 10년 전에 비하여 여자 대학생의 체격이 좋아졌으며 빈혈은 감소하였으나, 동시에 저체중과 비만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인구집단에 대하여 이러한 특징적인 결과를 고려한 한 건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자 수가 적은 편이며 1개 대학의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이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여자 대학생에게 확대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같은 대학의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10년 동안의 변화를 비교 · 관찰하였으므로 지역 특성을 표방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que, BMI, blood pressure and hematic paramete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Korea. The study focuses on these changes over a decade; health examination was carried out at a large university campus in Korea in 1999 and in 2009. The data of the two populations were randomly selected in each year. Their height and weigh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from 1999 to 2009. The average of BMI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years. However, the percentage of underweight was increase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obesity was occurred and the percentage of obesity was 9.5% in 2009.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have lower hemoglobin concentration in 2009 was 13.4%, although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LT and AST value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years however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female students of 2009 have better physique than the students of 1999, and students who have anemia have decreased, however, under weighted and obese students have increased over a dec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a useful data of female university in this geographical area because this study monitored the changes in the same university over a decade, although the survey population of this study is not the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

      • KCI등재

        루만 체계이론의 여성학적 수용가능성에 대한 소고

        김미경(Kim, Mi-Kyo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본 논문은 그동안 진보학문으로서 중심적 역할을 해오던 여성학이 제도화 되면서 후속세대의 재생산에 어려움을 갖게 되고, 여성운동가를 더 이상 배출하기 힘든 현실 앞에서 여성학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숙고하는 가운데 루만을 여성학적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관심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동안 서구의 전통적 인식론에서 중요시했던 판단하는 주체의 관점이 아니라 루만의 ‘관찰자’ 개념으로 ‘체계가 환경에 접근하는 체계/환경–차이 이론적 방법론을 페미니즘 인식론에서 수용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에 대해 타진해 보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루만의 “페미니즘은 가부장제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비판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의 가부장제 이해에 있어 이데올로기성을 극복하고 그것이 재생산되는 후속소통 메카니즘을 밝힐 수 있어야 한다는 루만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고, 루만의 체계/환경–차이 이론의 인식론적 전제를 수용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Women’s studies which have played a central role as advanced studies got to difficult to be reproduced in the succeeding generation as it was more institutionalized than other areas. This paper tried to connect women’s studies to Luhmann’s system theory in the process that considers thing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it. It tries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that the methodology of system/environment-difference theory that systems approach environment can be accepted in epistemology of feminism by the observer concept of Luhmann, not the viewpoint of the judging main agents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Western traditional epistemology. In the process, it will review Luhmann’s criticism, “Feminism just stays at ideological criticism about patriarchy.”

      • KCI등재후보

        젠더관점에서 본 보육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연구

        이진숙(Lee, Jin Sook),이슬기(Lee, Seul Gi)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3 젠더와 문화 Vol.6 No.2

        보육정책은 시대별로, 정부별로 상이하게 다루어져 왔다. 우리나라 보육정책은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전통에서 특정한 방향성과 장기적인 계획 없이 만들어진 임시방편적 성격을 지닌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무상보육의 시행 이후부터 보육정책은 패러다임의 큰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정책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패러다임의 보편주의적 전환은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의 효과를 생각해 보면 이는 반드시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보육은 실질적으로는 여성의 사회진출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자녀양육을 위한 양질의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여성들과 직결되는 문제인데, 정책전환의 과정을 살펴보면 그에 대한 젠더관점에서의 논의나 사회적 합의, 혹은 장기적 계획 하에서 이것이 진행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고, 그로 인해 최근 정책의 변화가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면 정책의 효과가 크다고 보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젠더관점을 고려하여 6.25 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변화되어 온 보육정책의 패러다임을 통시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할 필요성을 인지하고, 국가정책으로써 보육이 정착되기 이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나타난 보육이슈와 보육패러다임의 변화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시에는 젠더관점을 통해 보육에 대한 사회적 이슈의 변화와 국가적 보육정책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보육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보육정책은 저소득 아동의 보호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일-가정 양립의 지지를 위한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었고, 최근에는 무상보육 패러다임으로 보편주의적 측면에서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과정은 주로 정치적 동기에 의해 주도되었기 때문에 향후에 젠더관점을 고려한 정책방향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Child care policy has been proceeded differently by periods and governments. Our child care services have been mostly stopgap measures due to patriarchal property of Korean society and male-dominated circumstance without any clear direction or a long term plan. However, after proceeding a free child care service, a paradigm has undergone a big change in child care policy. Even though its trial was positive in the beginning, various problems came up later on causing confusions in our society currently since discussion on gender perspective, social agreement and long term plan weren’t made in advance.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now acknowledge that it’s time to relook a child care policy paradigm which evolved since its beginning in a gender perspective and study how this policy has changed from time when child care service wasn’t established as national policy to present time in a gender perspective. Further studying the change of child care policy paradigm, we’ve found out it started as the protection of low-income children and changed to the support of “Work and Life” coexistence and currently has become a free child care paradigm.

      • KCI등재

        ‘청년 세대’ 담론의 젠더화를 위한 시론

        배은경(Bae, Eun-Ky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5 젠더와 문화 Vol.8 No.1

        이 글은 한국 청년 세대 담론이 가진 남성중심적 한계를 극복하고 오늘 /여기 청년기 인구집단이 가진 다층성과 이질성을 포착하기 위해, 남성성 연구의 성과를 활용하여 청년 세대 담론의 젠더화를 시도한다. 최근의 청년 세대 담론은 청년층을 몰젠더적인 남성인 것처럼 표상하고, 그들의 위기와 좌절을 젊은 남성들이 표준화된 근대적 남성 생애주기 과제를 달성하기 어려워진 것에서 찾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 정상가족의 표준이나 근대적 성별분업은 상당부분 이미 해체, 변형되고 있으며, 따라서 청년 세대에 대한 담론이 여전히 이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은 불합리하다. 생애가족임금을 전제로 하는 ‘1인 생계부양자’와 근대적 핵가족이 약화되는 가운데 일상문화의 소비주의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대체할 대안적 남성성은 등장하지 않고 있다. 최근 젊은 남성들 사이에 좌절과 불안, 분노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는 요인을 여기서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oretical tools for gendering the discourse on the ‘young generation’ in Korea, using the language of masculinity studies. Most of the existing ‘young generation’ discourse tends to represent this generation as young men who are failing to achieve the tasks set for them in the standard male life-cycle script of the modern family. Difficulties in securing a stable income and employment and the subsequent impossibility of holding the position of ‘the sole breadwinner’ in the family are considered as the main causes of young people’s frustrations and crises. However, the standards of the normal family and modern division of labor by gender have been weakening in Korea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 necessitating new visions for young people’s lives. However, as long as modern gender relations are reconstructed along the lines of the modern stereotype, while consumerist culture continues unchecked, no alternative masculinities that can replace the old hegemonic masculinity will appear. It is proposed that this is the main reason for the amplification of frustration and anxiety among young men in Korea today.

      • KCI등재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

        김종세(Jong-Se Kim)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0 젠더와 문화 Vol.3 No.2

        우리나라 현행 법률상 낙태금지는 낙태와 여성의 현실에 지극히 무관심했고, 이런 태도는 낙태를 방치하는데 일조해 왔다고 본다. 이런 견지에서 우선 모자보건법상 낙태의 허용사유를 현실화하여 낙태 허용사유에 사회경제적 사유를 포함해야 하고, 미혼여성과 10대 여성들의 재생산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수립 및 규범적 마련이 시급하다. 궁극적으로 형법은 여성의 자기 낙태를 처벌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경우에도 여성이 동의하지 않은 부동의 낙태가 규제되어야 하고, 기준을 충족치 않는 낙태시술에 대한 처벌규정이 필요하다. 여성의 낙태는 단지 낙태 금지 혹은 허용 원칙의 선택문제로 인식해서는 안 된다. 낙태를 허용한다고 해도 여성의 몸과 성에 대한 쾌락, 혹은 재생산의 도구화 등이 반복될 수도 있다. 낙태를 예방할 수있는 것은 단지 허용과 금지 원칙에 있지 않고 현실을 외면한 형식적 생명 존중에 있지도 않다. 낙태가 만연하는 이유는 생명존중사상의 부족이 아니라, 재생산활동을 하여 온 여성의 존엄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일 것이다. Abortion is a highly controversial subject. Abortion in today's society has become a very political issue. Society is too quick to judge these poor women who have no choice but to resort to abortion as murderers. Abortion can also be harmful for the mother who gets the abortion. Most people think, for example, that abortion is always morally problematic, and must never be undertaken except for good reason, but that it is nevertheless from time to time justified. Some think it justified only to save the life of the mother. Other overlapping but nonidentical groups think it justified in other circumstances as well: to protect the mother from non-life-threatening physical impairment, for example, or in cases of rape and incest, or in cases of serious fatal deformity. I am pro choice and I believe people have the right to chose. Once she decides to get an abortion, her choice must be respected. There are some groups who do not agree with abortion, but do accept that it happens or is sometimes the lesser of two evils, whether as the result of something like rape, the endangering of the woman's life, or sometimes because of a belief that the soul can be reborn into another body. Most religions disagree with abortion because they argue that it is killing an unborn child and that life is created and ended by God. However, many people feel that abortion should be available to women who choose to have it and their right to choose shouldn't be restricted by religious belief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이보그 앨리스를 성구분하기

        김소연(Kim, Sohyou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성차의 문제를 둘러싼 논쟁의 근본적 한계는 이원론에 입각해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자연/문화, 인간/기계, 감성/이성, 동성애/이성애 등으로 증식해가는 이항대립은 성차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역효과를 낳는다. 이글은 젠더 이후 세계를 상상했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론이 이러한 이원론을 극복하려는 노력임에, 또 라캉의 여성성 이론과 논리적으로 상동적임에 주목한다. 라캉에게 여자는 보편성과 예외의 이항대립적 구조를 넘어서는 비전체적 존재였다. 이 글은 해러웨이의 사이보그와 라캉의 여성성에 대한 사유를 교차시켜 〈그녀〉와 〈루시〉를 비평한다. 그리하여 여주인공들의 사라짐은 상징계 밖으로 벗어나는 게 아니라 상징계를 무한히 탈구시킬 실재의 위상을 띠게 되는 것이라고, 위협적이고 불길한 존재가 되는 것이라고 독해한다. Most disputes about sexual difference appear to be based on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binarism. However, the series of binary oppositions such as nature/culture, human/machine, sensibility/rationality, heterosexuality/homosexuality etc. tend to produce the ultimate side effect of reinforcing existent ideologies about sex and gender. This paper focuses not only on Donna Haraway’s attempt to conceptualize cyborg femininity while overcoming the binarisms, but also on Jacques Lacan’s theory of sexuation, since both concepts have an analogous logical structure. For Lacan, women refer to the sexual difference itself, rather than the man/woman binarism. Therefore, the femininity functions as ‘not-all’, bringing fissures into universality. In contrast, masculinity occupyies the position of exception, opposing universality. Women have the similar topological status with the cyborg, which pursues the after world of gender, or non-gender. The posthumanity in Her and Lucy can be read properly through Haraway’s cyborg ontology and Lacan’s feminine subjectivity. The disappearance of the heroines in those films does not mean escaping from the symbolic but discovering the topological position of the real, thus becoming threatening beings.

      • KCI등재

        이주여성들의 역설적 공간 : 억압과 저항의 매개체로서 공간성을 페미니스트 이주연구에 접목시키기

        정현주(Hyun-Joo J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2 젠더와 문화 Vol.5 No.1

        Recent feminist scholarship has extensively used various spatial terminologies. These terminologies as metaphors visualize or describe the way women are positioned in power relations. In this paper, questioning whether those spatial languages are useful only in a metaphorical sense, I argue that spatialities are not only useful as metaphors, but also actually utilized by the women in question for their micro-politics. Drawing on the feminist migration literature, I explore how spatial concepts can advance understanding of migrant women and help theorize them. Migrant women as reproductive labors, called as servants of globalization by Parreñas, are gendered subalterns in this globalizing era. In spite of their transnational mobility, they face multi-layered oppressions. They, however, negotiate their dislocations by constructing transnational social fields or alternative scales. This paper reviews several spatial concepts essential to migration research-scale, place, border, and mobility. Then, it examinestwo widely known frameworks that theorize migrant women from spatial perspectives-the gendered geographies of power' addressed by Mahler and Pessar and dislocations by Parreñas. Also, further applicability to other types of migrants, such as marriage migrants, is explored. 최근 페미니스트 연구에서는 거의 유행처럼 다양한 공간적 개념을 차용해 왔다. 이러한 개념들은 대부분 은유로서 여성들이 처한 특정한 상황을 시각화하거나 묘사해 왔다. 그러나 공간적 개념은 과연 은유로서만 유용한 것인가? 이 논문은 공간적 개념이 은유로서 뿐만 아니라 여성을 연구하는 개념적 틀로서, 그리고 무엇보다 연구대상인 여성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정치적 도구로서도 유용하다는 점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이주여성연구 분야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공간개념이 어떻게 이들 연구에 접목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주여성은 파레냐스의 표현에 의하면 "세계화의 하인"으로 이 시대 새롭게 등장하는 젠더화된 하위계층이다. 경계를 횡단하는 초국가적 이동성을 가졌지만 생존회로의 말단에서 다중적인 모순과 억압에 처한 이들은 초국가적 사회장을 형성하고 스케일의 정치를 구사함으로 자신의 탈구위치를 협상하는 존재들이다. 본 논문은 이주여성의 공간정치에서 중요하게 거론되는 스케일, 장소, 경계, 이동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주여성연구의 대표적인 분석틀인 말러(Mahler)와 페사(Pessar)의 '권력의 젠더지리'와 파레냐스의 '탈구위치'를 공간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이들 연구가 결혼이주여성 등 더욱 다양한 사례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