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혁신지향문화와 관계지향문화가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식경영전략 매개효과 중심으로 -

        김명수(Kim Myung S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지향문화(developmental culture), 관계지향문화(group culture)가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 지식경영전략 및 지식경영활동과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우선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전략간의 관계와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리고 지식경영전략과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알아보며, 마지막으로 지식경영전략이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 간의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학습조직이나 지식경영을 도입한 81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관계가 기업들의 지식경영에 어떠한 요소로 작용하는지를 실증분석 함으로써 지식경영을 진행하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전략에 있어서는 혁신지향문화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에서만 유의했고, 관계지향문화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codification strategy) 및 사람중심전략(personalization strategy)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에 있어서는 혁신지향문화는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서 유의했으며, 관계지향문화는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경영활동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지식경영전략과 지식경영활동에 있어서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과 사람중심전략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모두에 유의했다. 넷째, 지식경영전략의 매개역할에 대한 검정은 혁신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에 대해서 시스템중심전략 및 사람중심전략 모두 매개역할을 하며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나타났고, 혁신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서도 시스템중심전략 및 사람중심전략 모두 매개역할을 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에 대해서 시스템중심전략과 사람중심전략 모두 매개역할을 하며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서는 시스템중심전략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나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 사람중심전략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여 매개효과가 없었다. 혁신지향문화에서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이 유의하고,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이 유의함을 알 수 있고 시스템중심전략을 통해서는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활용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시스템중심전략은 혁신지향문화와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사람중심전략도 혁신지향문화와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관계지향문화에서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과 사람중심전략이 모두 유의하고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활용과도 모두 유의하였으며, 혁신지향문화보다는 관계지향문화가 지식경영전략이나 지식경영활동에 대한 유의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중심전략은 관계지향문화와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사람중심전략도 관계지향문화와 지식창출 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지만, 지식활용 간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시스템중심전략보다는 사람중심전략이 더 지식경영활동의 폭을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론적 시사점은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전략과의 관계,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 및 지식경영전략과 지식경영활동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하였고, 특히 지식경영전략이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 간의 매개역할에 대해서도 지식경영전략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기업의 수준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것이고, 실무적 시사점은 기업의 매출규모가 400억 미만의 중소기업과, 업력 10년 미만의 기업과 제조업에서는 혁신지향문화보다는 조직구성원들에게 대한 배려와 관심, 유대감과 친밀감 그리고 조직의 결속을 강조하는 관계지향문화가 지식경영을 진행하는 조직에 더 유연하고 합리적인 것으로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지식경영을 진행하는 기업에게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유의한 지식경영전략 및 지식경영활동의 관계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Developmental culture and group culture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then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Finally,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 empirical research and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81 companies that introduced learning organizations or knowledge management to determine whether this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play a mediating role. By empirically analyzing what kind of factor this relationship acts on the knowledge management of companies, important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companies conducting knowledge management. First, in the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Developmental culture was significant only in the codific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in the group culture,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ere significant. Second, i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Developmental culture paid attention to knowledge utiliz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group culture paid attention to both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ir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personaliz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paid attention to both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ourth,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showed that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ng role for the knowledge creation of the Developmental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Regarding utilization,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ng role, so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knowledge creation in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individualiza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ng role and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the knowledge utilization of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 codification strateg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group culture and knowledge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with respect to the use of knowledge in management activities, so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In the Developmental culture, it was found that the codific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as significant and the knowledge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was significant. However, the codification strateg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and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also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and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In group culture, both codification strategy and personalization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ere significant, and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were also significant. It can be seen that group culture has higher significance for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or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than Developmental cultur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 KCI등재

        이중언어사회화가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남아출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아버지의 자녀를 중심으로-

        송채수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아시아문화연구 Vol.48 No.-

        The bilingual socializ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is defined as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encourage their children to speak the mother tong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1) the relationship among bilingual socialization,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ir paren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2) how bilingual socialization or bilingual education affects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Using government’s panel survey data, the data of 436 multicultural children, aged from 9 to 17, born to SE Asian immigrant women was analyzed. And the scientific control has conducted to find changes in the self-esteem after 6 month bilingual education for 30 multicultural children whose mothers are Vietnamese or Cambodian immigrant women. Results are as follows. Bilingual socialization affec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as well as higher parental satisfaction. A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also found. The experimental group of bilingual education showed higher self-esteem of multicultural children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ther tongu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is not simp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n important mediator of cultural identity and family cohes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focus on teaching the mother tong and supporting parent-led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한국인 아버지 등 가족이 협력해 외국 출신 어머니 모국어를 자녀에게 전수하고 사용하도록 격려·권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1)이중언어사회화, 자녀의 자존감, 부모자녀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역동을 밝히며, 2)이중언어교육 참여로 자존감의 변화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성가족부의 전국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 전국의 동남아출신 어머니 다문화가족중 만 9〜17세 자녀 43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기 성남시 거주 다문화자녀중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 어머니의 만 6〜14세 자녀 3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모국어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을 6개월간 실시, 교육받은 집단(실험군)과 받지 않은 집단(대조군)간 자존감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자녀의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를 매개로 자녀의 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와 자존감 사이에 매개효과를 보여 부모가 주도하는 이중언어교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넷째, 6개월간 교육받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국어는 단순한 소통수단이 아니며, 문화정체성과 가족응집력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따라서 주류언어 중심의 이중언어교육정책을 어머니 모국어 중심으로 전환하고, 다문화가정내에서 부모 주도의 이중언어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의 관계중심 문화와 사회비용

        임반석(Yim Banseo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1 No.-

        이 글은 동아시아 사회가 서양보다 부정부패 정도가 심하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일부 조사연구 결과를 받아들이면서 동아시아 관계중심 문화와 부정부패의 친근성, 부정부패로 인한 사회비용 발생의 원인, 그리고 동아시아 사회에서 연줄망을 이용한 기회주의 행위가 사회자본인지 여부 문제에 대해 논하고 있다. 동아시아 사회에서는 관계망이 사회경제 질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일컬어져 왔다. 동아시아 사회를 포함한 어떤 사회에서든 특히 사적·주관적 관계망인 연줄망이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데서 멈춘다면, 한 사회의 좋은 문화적 특수성이자 전통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관계중심 사회에서 연줄망은 사회경제 질서 속에서 기회주의 행위를 낳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중요한 사회비용의 한 축이라 할 수 있는 부정부패와 매우 친근하다. 관계중심 사회에서 발생되는 부정부패는 본질적으로 '배제'를 생리로 하고 '독점'을 특성으로 한다. 따라서 관계중심 사회에서 관계의 핵심이 객관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 연결망이 아니라 사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한 연줄망이라면, 그 관계는 배제와 독점을 주 내용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회비용의 출발이며, 부정부패현상과 그에 대한 반감은 바로 그것이 사회 비용임을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관계중심 사회에서 부정부패의 원인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문화주의자나 제도주의자 또는 도덕윤리주의자들처럼 동아시아 사회의 부정부패의 원인을 단순히 문화, 제도 또는 윤리의식 어느 한 측면에서 찾으려 한다면, 이는 부정부패원인에 대한 일면을 보는 데 불과하다. 왜냐하면 표출되어 나오는 개인과 조직의 행위는 문화, 제도, 정신 모두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 받기 때문이다. 개인, 조직, 사회의 의식과 행태 및 행위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문화가 중요하다는 점에는 이의가 있을 수 없다. 하지만 문화는 변수라기보다는 한 사회에 존재하는 상수의 성격이 강하고, 장기간 매우 보수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어떤 변화를 예측을 하거나 그 자체에 대해 평가를 내릴 때는 조심스러울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문화가 상수이든 변수이든, 그리고 그 영향이 크든 작든 어떤 한 현상에 대한 영향에는 부정과 긍정이 함께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argues three main questions. They are as follows:Is there any affinity between network-based culture and corruptions? Is the network-based culture social costs or social capital? What is the cause of the network-based culture and corruptions? Transactions through yeonjul network(nepotistic human relations based on subjective and personal ties) in network-based societies prefer nonmarket exchanges to open and fair market in general. Nonmarket transactions are the very exchanges out of the market institutions, namely black market transactions. So the opportunistic behaviors have affinity to the corruptions in societies. Besides, transactions through yeonjul network have exclusive and monopolistic attributes in nature. Exclusive attribute of means exclusiveness to the outsiders. Monopolistic attribute of yeonjul network says monopoly on the resources including informations among insiders. Then, theoretically speaking, transactions through yeonjul network give the same social effects on societies as the monopolistic company in market. And asa results of transactions through yeonjul network invoke the external diseconomies, corruptions can be a kind of social pollutions. Arguing what is the cause of the network-based culture and corruptions in East-asian societies is very complicated tasks compared with above two questions. There are three main streams in explaining the cause of the network-based culture and corruptions in East-asian societies:culturalists, institutionalists, and moralists views. Of course, culture matters. But, in fact, culture is not variables but constants in explaining the behavior and 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person or organizations. And moralists views are out of our interests and abilities to argue. Several cases, esp. East-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Hong Kong, Taiwan, Singapore etc., teach us that the institutionalists views are much more persuasive among three.

      • KCI등재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이택호,이석영,한윤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1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second, third, and fourth wav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cohort (N=2,178) of the Korean Children-Youth Panel Survey (KCYPS). The dependent variable wa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The major longitudin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er relationships, teacher relationship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creased with time. Second, peer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ver time. Finally, the teacher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ver time. These results show differentiation with previous cross-sectional studi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본 연구는 교우관계와 다문화수용성, 그리고 교사관계와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데이터 중 2011~2013년에 조사한 중1패널 2차년도 데이터(중학교 2학년), 중1패널 3차년도 데이터(중학교 3학년), 중1패널 4차년도 데이터(고등학교 1학년)를 사용하였다(N=2,178). 종속변수를 다문화수용성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교우관계와 교사관계로 설정한 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다문화수용성의 수준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종단적 관계에서 교우관계는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친구와의 관계가 원활할수록 다문화수용성의 수준도 높아졌다. 셋째, 종단적 관계에서 교사관계는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교사와의 관계가 좋아질수록 다문화수용성의 수준도 높아졌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횡단적 분석이 주를 이뤘던 이전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었고, 다문화수용성의 함양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근접맥락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동진 ( Kim Dong-jin ),김태한 ( Taehan K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근접맥락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부모와의 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 지역사회구성원과의 관계)가 그들의 공동체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민주사회의 다양성이 생산적 갈등 및 합의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공동체의식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공동체의식이 특정 집단의 구성원을 넘어 보편적 사회구성원을 포괄하기 위해서는 나와 다른 사람, 특히 다문화사회로 급속하게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을 우리공동체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다문화수용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기존 논의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근접맥락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및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다문화수용성은 공동체의식의 독립변수로 기능할 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공동체의식을 매개하는 변수로도 기능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중학교 1학년 패널 6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는 공동체의식과 다문화수용성 모두와 긍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이웃과의 관계는 공동체의식과는 정(+)의 관계에 있었으나 다문화수용성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문화수용성은 공동체의식과 긍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는 부모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근접맥락에서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및 다문화수용성을 높임으로써 우리 사회의 건전한 통합과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경험하고 무엇보다도 다름에 대한 생산적 성찰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in proximal contexts (relationship with parents, relationship with peer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neighbors) on a sense of communit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hips and a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To this en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Findings show that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while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s was positively associated only with their sense of community.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and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efforts to provide adolescents with social relationship experience which promotes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 合作共贏時代背景下充実中韓関系的路徑思考

        禹潁子(우영자) 한국갈등관리학회 2014 한국갈등관리연구 Vol.1 No.1

        중국과 한국은 동북아의 중요한 두 나라로서 오랜 우호교류 역사를 갖고 있다. 1992년 수교 후 양국관계는 5년마다 단계별로 격상되어 현재 다방면에 걸쳐 호혜적 협력관계를 의미하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다. 즉, 1992년 선린우호 협력관계에서 시작한 양국관계는 1998년에 ‘21세기 협력동반자 관계’, 2003년에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 2008년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각각 격상함으로써 이는 양국관계의 정립에 있어서 가장 최상위 단계로 평가받고 있다. 경제관계에서 오늘날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과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였고 한국 역시 중국 제3위의 교역상대국으로 부상하였다. 인문교류에서도 양국 수교 이후 한류(韓流)와 중국바람(漢風)으로 대변되는 중한 간 문화적 관심과 교류의 열기가 고조되고 중한 양국 간 상호 방문자 수 역시 급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에는 교역 마찰, 민간 영역의 민족주의의 대두, 역사문제에 대한 부동한 해석, 양국 공유문화에 대한 종주권 논란이 불거지는 등 유교문화와 같은 쌍방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를 통해 수교 초기 가졌던 호감은 실망감으로 전이되거나, 갈등의 불씨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한국 이명박 정권 시기 남북관계 경색 국면과 탈북자 문제 등을 둘러싼 중한간의 이견이 양국 국민여론 악화로 연결되기도 하였다. 현실적으로 평가할 때 중한 전략적 협력파트너 관계는 내용(?涵)의 실현이 아닌 양측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목표로 되었다. 2013년 새롭게 출범한 중한 양국 지도부에게는 그동안 한미동맹의 강화 속에서 냉랭했던 양국관계를 재조정해야 하는 과제가 놓여있었다. 2013년 6월 박근혜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중한 정상은 <중한 미래비전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중한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신뢰에 기반 하여 내실화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①정치안보 분야 전략적 소통강화, ②경제사회 분야 협력 확대, ③인문유대강화 활동추진의 세 가지 방안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함으로써 양국 관계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중요한 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기초로 본고는 양국관계 내실화를 위한 일부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 중한 수교 20여 년 동안 양국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에서 이룩한 성과들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양국 관계발전에서 분쟁과 역사 문화 마찰이 가중되고 있는 현황 진단을 통해 교류 협력 증진 및 관리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2013년 중한 정상회담의 관련 주요결과를 정리하고 양국 간 협력 증진 및 관계 내실화를 위한 제안으로 1) 지역과 국제적 전략 사고로 다자간(多邊主義) 틀 속에서의 양자 간 협력 증진, 2) 동북아지역 경제일체화 추진을 통한 경제협력 강화, 3) 양국 간 문화 갈등 해소를 위한 인문교류의 중점영역인 교육협력, 청소년 교류, 언론교류, 학술교류 강화의 필요성과 방안들을 제시하고 양국 문화산업의 육성과 지방도시 간 인문교류 강화를 통한 인문유대 추진을 강조한다. 본고에 수록된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관점이며, 당 연구소의 공식 입장이 아님을 특별히 강조한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이 다문화수용에 미치는 영향

        박미혜(Park, Mee-hy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교사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으로 구분하여 지역사회관인 지역사회인식과 공동체의식을 매개변수로 다문화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가운데 2013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21.0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21.0를 활용하여 본 연구모형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생활 적응인 교사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은 지역사회인식과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사회관인 지역사회인식과 공동체의식은 공동체의식만 다문화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먼저 학생과 교사관계는 교사가 학생의 적응에 도움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학생지도나 상담가이드북, 프로그램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며, 교사양성시 인성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학교규칙을 잘 지키고, 학습활동에 만족을 한다는 것은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즉 어릴때부터 학교의 교과과정에서 다문화를 수용하도록 개입하고, 지역사회는 평생교육차원에서 공동체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공중매체를 통한 다문화수용의 성공사례나 프로그램과 행사 등을 소개로 다문화수용을 높여야 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research model is comprised of student-teacher relations, learning activities, and school regulations, with parameters of the community spirit and the sense of commun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in 2013, the SPSS 21.0 analyzes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d the AMOS 21.0 tests the hypothesis. The result shows that school life adaptation gives meaningful influences on both parameters, whereas only one parameter of the community spirit does on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us policy implications are to improve student-teacher relations. To this end, more efforts should be put on developing and supplying efficient advisory services, and counselling guide books or programs for student on one hand and reinforcing character education for teachers on the other. The good observance of school regulations as well as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learning activities could represent that the middle schoolers are confident in both self-control and self-esteem, where policy focus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 need for education to foster the community spirit is also magnified : not only the school should teach students to accept multiple cultures fromyoung age through the curriculum. but also the regional society should provide lifelong education systems to enhanc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best use of public broadcasting services is required to raise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y providing the general public with best practices, feature programs or events related withmulticultural society.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교사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으로 구분하여 지역사회관인 지역사회인식과 공동체의식을 매개변수로 다문화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가운데 2013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21.0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21.0를 활용하여 본 연구모형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생활 적응인 교사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은 지역사회인식과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사회관인 지역사회인식과 공동체의식은 공동체의식만 다문화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관계, 학교규칙, 학습활동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먼저 학생과 교사관계는 교사가 학생의 적응에 도움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학생지도나 상담가이드북, 프로그램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며, 교사양성시 인성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학교규칙을 잘 지키고, 학습활동에 만족을 한다는 것은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즉 어릴때부터 학교의 교과과정에서 다문화를 수용하도록 개입하고, 지역사회는 평생교육차원에서 공동체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공중매체를 통한 다문화수용의 성공사례나 프로그램과 행사 등을 소개로 다문화수용을 높여야 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research model is comprised of student-teacher relations, learning activities, and school regulations, with parameters of the community spirit and the sense of commun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in 2013, the SPSS 21.0 analyzes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d the AMOS 21.0 tests the hypothesis. The result shows that school life adaptation gives meaningful influences on both parameters, whereas only one parameter of the community spirit does on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us policy implications are to improve student-teacher relations. To this end, more efforts should be put on developing and supplying efficient advisory services, and counselling guide books or programs for student on one hand and reinforcing character education for teachers on the other. The good observance of school regulations as well as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learning activities could represent that the middle schoolers are confident in both self-control and self-esteem, where policy focus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 need for education to foster the community spirit is also magnified : not only the school should teach students to accept multiple cultures fromyoung age through the curriculum. but also the regional society should provide lifelong education systems to enhanc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best use of public broadcasting services is required to raise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y providing the general public with best practices, feature programs or events related withmulticultural society.

      • 다문화가정 부부관계가 유아의 또래관계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일반가정유아를 비교대상으로 -

        김진희,임지영 한국부모교육학회 2013 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에서의 부부관계가 유아의 또래관계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다문화유아와 일반유아 각각 60명씩 총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들의 어머니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부부간의 관계가 자녀의 또래관계 및 자녀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결혼만족도, 부부 갈등)가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가정의 경우 부부관계가 유아의 또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문화가정의 경우에는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유아 의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관계(결혼만족도, 부부갈등)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모두 부부갈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부갈등이 일반유아와 다문화유아의 정서지 능 하위변인별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일반유아만이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과 교사와의 관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의 경우에는 결혼만족 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지능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부관계 향상을 위 해서는 부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남편, 시부모 교육 프로그램,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 간의 상관성 연구

        김현정(Kim, Hyun-Kyoung),이상은(Lee, Sang-Eun),조윤아(Jo, You-Na)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서울과 경기 지역에 분포한 다문화가정 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자아개념은 유아의 성별과 다문화가정의 월평균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관계는 성별, 출생순위, 부학력, 모학력, 모취업, 월평균소득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유아 개인과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특별히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이 또래관계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유아 자신에 대한 지각과 인식이 또래관계에 투사되어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급격한 다문화현상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성장과 발달이 중요한 교육적과제인 현 시점에서 그들의 건강한 자아개념 형성과 사회관계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적 배려가 뒤따라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n research on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living in Seoul and Kyong-gi,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varied from children's gender and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multicultural family. Second,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varied from such as children's gender, birth order, fa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employment, an average monthly income, and mother's proficiency in Korea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se results show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Especially, close correlations betwee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ndicate that awareness and perception on themselves are reflected in peer relationships, and consequently, influence on social relationship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educational consider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o that they can build their healthy self-concept and improve social skills in that one of the current important educational goals i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ccording to the rapid multicultural phenomenon in our society.

      • KCI등재후보

        다문화청소년의 건강과 사회적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 건강 발달궤적과 사회적 관계 발달궤적을 중심으로

        권미영(Mi-young Kwon),박보영(Bo-young Park)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건강과 사회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우울뿐 아니라 주관적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까지 포괄하여 건강의 구성요인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종단적 분석을 위하여 건강 변화율과 사회적 관계 변화율을 파악하였고, 나아가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청소년들은 비(非)다문화청소년들과 달리 분절적 동화의 영향으로 학년이 올라가도 건강이 나빠지지 않았고, 중학생 때의 사회적 관계가 이후의 사회적 관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건강상태가 좋은 다문화청소년들은 사회적 관계가 좋았고, 사회적 관계가 좋은 다문화청소년들은 건강이 지속적으로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학생 때 사회적 관계가 취약했던 다문화청소년들은 처음엔 건강도 좋지 못했으나, 학년이 올라가면서 건강이 빠르게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사회적 관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관심과 지지를 받으면, 건강상태 역시 빠르게 좋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특히, 양질의 사회적 관계가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다문화청소년들의 사회적 관계 지원프로그램을 중학교 저학년 때부터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analysi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Unlike preexisting studies, this study expanded the components of health to include not only depression but also self-rated health and self-esteem. And, for longitudinal analysis, the rates of change in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multicultural adolescents, unlike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did not deteriorate in health even as they grew older due to the influence of ‘Segmented assimil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in middle school had continued to affect later social relationships.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good health had good social relationships,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good social relationships tended to continuously improve their health. On the other h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had poor social relationships in middle school had poor health at first, but their health tended to improve rapidly as they went up in grade. It shows that if adolescents receive a lot of attention and suppor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their health could also improve rapid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In particular,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high-quality social relationships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 this study argued that ‘social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uld be provided from the lower grades of middl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