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언어사회화가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남아출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아버지의 자녀를 중심으로-

        송채수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아시아문화연구 Vol.48 No.-

        The bilingual socializ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is defined as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encourage their children to speak the mother tong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1) the relationship among bilingual socialization,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ir paren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2) how bilingual socialization or bilingual education affects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Using government’s panel survey data, the data of 436 multicultural children, aged from 9 to 17, born to SE Asian immigrant women was analyzed. And the scientific control has conducted to find changes in the self-esteem after 6 month bilingual education for 30 multicultural children whose mothers are Vietnamese or Cambodian immigrant women. Results are as follows. Bilingual socialization affec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as well as higher parental satisfaction. A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also found. The experimental group of bilingual education showed higher self-esteem of multicultural children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ther tongu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is not simp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n important mediator of cultural identity and family cohes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focus on teaching the mother tong and supporting parent-led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한국인 아버지 등 가족이 협력해 외국 출신 어머니 모국어를 자녀에게 전수하고 사용하도록 격려·권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1)이중언어사회화, 자녀의 자존감, 부모자녀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역동을 밝히며, 2)이중언어교육 참여로 자존감의 변화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성가족부의 전국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 전국의 동남아출신 어머니 다문화가족중 만 9〜17세 자녀 43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기 성남시 거주 다문화자녀중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 어머니의 만 6〜14세 자녀 3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모국어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을 6개월간 실시, 교육받은 집단(실험군)과 받지 않은 집단(대조군)간 자존감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자녀의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를 매개로 자녀의 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와 자존감 사이에 매개효과를 보여 부모가 주도하는 이중언어교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넷째, 6개월간 교육받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국어는 단순한 소통수단이 아니며, 문화정체성과 가족응집력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따라서 주류언어 중심의 이중언어교육정책을 어머니 모국어 중심으로 전환하고, 다문화가정내에서 부모 주도의 이중언어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이 알코올 사용장애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미래결과고려성향의 조절효과

        송채수,이원재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8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19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mpulsiveness, distress tolerance, and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on alcohol use disorder,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of the four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92 adult workers (N=792) residing in 12 cities in Gyeonggi province such as Suwon and Seongnam.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Barratt Impulsiveness Scale, Distress Tolerance Scale, and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Scal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s,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nce,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Baron and Kenny method was used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Results: Impulsiven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alcohol use disorder. Analysis of 230 problem drinkers whose AUDIT score was 13 or higher indicated that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ness and alcohol use disord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isting alcoholism treatment programs, which tend to enhance the patient’s self-empowerment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s, should instead be directed toward fostering voluntary changes in behavior by improving the patient’s level of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 충동성과 고통감내력이 알코올 사용장애에 미치는 영향 - 미래결과고려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송채수,이원재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8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2

        [연구배경] 최근 청소년과 20대, 여성의 알코올 사용장애가 급격히 늘어 국내 정 신질환 평생유병률중 가장 높은 12%를 차지하고 있으나 장애에 대한 이해와 정보부족으로 치료시기를 놓치고 있다. 이에 정신의학과 간호 학, 심리학 등 분야의 알코올 사용장애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음 주유발과 음주자제에 관여하는 기질 및 성격특성들을 규명하고, 이들 요소간의 상호작용에 관해 가설검정을 실시한다. [연구목적] 충동성, 고통감내력, 미래결과고려성향 등 심리학의 기질 및 성격특성 들이 알코올 사용장애에 미치는 효과, 장애발생이나 방지와 관련하여 요소들간에 조절 및 매개변수로서 나타내는 효과를 규명한다. [연구방법] 음주자와 비음주자를 막론하고 성인 직장인 8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알코올사용장애 선 별검사와 충동성, 고통감내력, 미래결과고려성향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 상자의 일반적 특성가운데 독립변수의 수준(차원)에 따라 종속변수(알코올 사용장애)의 평균수준이 달라질 수 있는 성별, 흡연여부 등에 대해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다. 변수들간 상관관계는 피어슨상관분석을 시행하며, 관계역동에서 각 변수들이 종속변수인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상호간 매개 또는 조절변수로서 나타내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 해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충동성이 높을수록 알코올 사용장애 수준은 높아지고, 고통감내력 또는 미래결과고려성향이 높을수록 알코올 사용장애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 충동성과 고통감내력 상호간에는 매개효과(부분매개)가, 미래결과고려성향은 충동성과 알코올사용장애사이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중장년 근로자의 직무열의에 대한 과소직무요구, 직무자율성, 나이차별인식의 상호작용 효과

        조은정,한태영,송채수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work engagement of middle-aged workers by considering the phenomenon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of middle-aged workers is changing as Korean society becomes the aged society. In this study, the role of the deficiency of job demand, the job autonomy with which middle-aged workers have relatively more enjoyed than the younger generation, and perception of the age discrimination. Based on the interaction patterns suggested in the demand-control-support model, this study predicted the interaction patterns of middle-aged workers in underprivileged environments would be different, and teste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Data were collected from 394 middle-aged workers working in various jobs such as production and office wor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job demand on work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while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among three predictors existed. The lower the perception of age discrimination, the stronger interaction between job demands and job autonomy on work engagement was found; the less job demand, the less engaged, at the higher the job autonomy. 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job autonomy, the demand deficiency increased work engagement. However, when the age discrimination perception was high, only job autonom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고령사회가 되면서 중장년 근로자가 직면한 근로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장년 근로자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 근로자의 직무열의에 대한 선행변인으로서 직무의 질적 측면에서 역할이 축소된 측면으로 과소직무요구(deficiency of job demand)와, 직무자율성, 그리고 나이 때문에 승진, 교육, 평가 등에서 차별을 받는다고 지각하는 나이차별인식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직무요구-자원(job demand-resource) 모형에서 제시하는 상호작용 패턴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 근로자들이 직무요구가 과소한 상황과 지원적이지 못한 차별적 환경에서 상호작용 패턴은 다를 것으로 예측하고, 세 예측 변인들 간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생산직과 사무직 등 다양한 직무에 종사하는 중장년 근로자 394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열의에 대한 예측변인들의 주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세 예측변인 간 유의한 삼원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나이차별인식이 낮을수록 과소직무요구와 직무자율성의 상호작용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직무자율성이 높은 경우 직무요구가 적을수록(즉, 과소직무요구) 열의는 떨어진 반면, 직무자율성이 낮은 경우 직무요구가 과소하면 오히려 열의가 높아지는 패턴이 나타났다. 그러나 나이차별인식이 높은 경우에는 직무자율성만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A Study on Drinking Culture and Attitude by Gender and Grade among College Students

        Jee-Hyun Kim(김지현),Chai-Soo Song(송채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inking culture and attitude difference by gender and grade of Korean college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ful differences by two variables about drinking pattern, culture and related policies. The analysis showed that regardless of gender, far more students were against than in favor of prohibition on drinking within campus, whose legislation recently failed. Mean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 in victimization experience regarding drinking within the campus, and by gender in frequency, beverage type, volume, onset of drinking within schoo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based difference in response to experience of damage caused by drinking, but the research results of the related papers show that the female students are more dangerous and need special attention and care. Universities should implement a professional counseling program that is customized according to gender or level of education, and managed by group. Moreover, health authorities must seek a way to lead this move, such as providing incentives to the universities, which efficiently deal with students’ drinking problem. And the prohibition on drinking within campus, whose legislation recently failed should be re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