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생태면적 적용 특성 분석 : 생태면적률, 생태면적 다양성, 생태면적 연계성을 중심으로

        안승빈,김찬호,이창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와 국내 생태면적 관련 제도의 평가지표 항목 차이를 고찰하고 분석지표를 도출한 후 준공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생태면적률이 전체 적용되기 전과 후, 최근 준공 공동주택단지의 생태면적 분석지표로 구분하여 생태면적 특성 적용 차이점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준공이 완료된 수도권과 비수도권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준공된 공동주택단지 36개소를 분석 대상지로 선정, 생태면적 기초자료를 구축 후 그 자료를 활용하여 생태면적률, 생태면적 다양성, 생태면적 연계성의 세가지 분석지표로 구분하여 수도권 지역, 비수도권 지역의 지역별, 분양주택단지・임대주택단지 등의 공동주택단지 유형별, 대규모・중규모・소규모의 단지 규모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면적률과 생태면적 공간유형 다양성은 비수도권 지역보다 수도권 지역이, 임대주택단지보다 분양주택단지가 더 높고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단지 규모가 소규모보다는 중규모, 대규모일 경우가 생태면적률이 더 높고 생태면적 다양성도 더 다양하게 반영되었다. 생태면적 연계성의 경우 수도권 지역이 비수도권 지역보다 생태면적 연계 개소와 연계 유형이 더 많고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생태면적률과 생태면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동주택단지 개발시 중규모, 대규모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생물다양성 향상을 위해 공동주택단지 내부와 외부의 생태면적 네트워크 연계가 필요하다. 향후 단지내부의 생태면적 네트워크 연계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inctions in evaluation index items between overseas and domestic ecological area-related systems, derive analytical indicators, and assess recently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overall ecological area ratios. The objective is to analyse variances in the application of ecological area characteristics, categorizing them into ecological area analysis indicators and presenting their implications. The spatial scope covers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Thirty-six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basic ecological area data were compiled. Subsequently, the data was utilized to categorize three analysis indicators—ecological area ratio, ecological area diversity, and ecological area connectivity—by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s well as by type of apartment complex (sale housing versus rental housing) and size (large-scale, medium-scale, and small-scal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higher ecological area ratios and greater diversity in ecological area spatial types in metropolitan areas compared to non-metropolitan areas, and in pre-sale housing complexes compared to rental housing complexes. Mediumand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exhibit higher ecological area ratios, with ecological area diversity being more pronounced. Ecological area connectivity reveals more numerous and varied connection points and types in metropolitan areas than in non-metropolitan are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arge-scale development should prioritize securing ecological area ratios and diversity in apartment complexes. Enhancing biodiversity necessitates establishing connections within and beyond the ecological area network of the complex.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linking the ecological area network within the complex.

      • KCI등재

        수도권 노후공동주택단지의 입지 특성 및 잠재력 분석

        이창효,이삼수 한국감정평가학회 2019 감정평가학논집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apply analytical methodologies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for urban regeneration of aged apartment complexes through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Seoul metropolitan apartment complexes. The detailed items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 consisted of the number of complexes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developed density, and those of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included rail availability, highway and urban motorway availability, additional development capacity, and potential demands related to residential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es for these items, aged apartment complexes over 30 years after construction were relatively better in the regeneration conditions such as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compared to the apartment complexes for less than 15 years. 본 논문은 수도권에 소재한 공동주택단지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필요한 주요 항목을 설정하고, 관련 자료의 수집ㆍ가공을 통해 구축한 공동주택단지 공간 데이터베이 스를 활용하여 공간적 분포와 입지 특성 및 잠재력에 대한 분석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주 요 분석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의 단지정보를 활용한 공동주택단지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둘째, 공동주택단지 의 분포 특성 분석 항목으로 단지 및 세대수 그리고 개발밀도(용적률)를 선정하였고, 입 지 및 잠재력 항목으로는 철도 이용성, 고속도로 및 도시고속도로 이용성, 개발가능용량, 주택 잠재수요 등을 선정하였다. 셋째, 공동주택단지의 입지 및 잠재력 항목의 구축 자료 는 노후공동주택단지 재생을 위한 사업성 검토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넷째, 분석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양호한 입지와 추가적인 개발가능용량을 갖 는 경과년수 30년 초과 노후공동주택단지에 비해, 경과년수 15년 이하의 공동주택단지 의 입지 특성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뿐만 아니라 현재의 개발밀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노후화에 따른 공동주택단지 재생에 있어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임을 확 인하였다.

      • KCI등재

        공동주택관리의 선진화와 주요 쟁점

        김주현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6 집합건물법학 Vol.17 No.-

        The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s is more important than apartment supply, these days. Because the number of aged apartment is increasing steadily as well as 70% of citizens live apartment houses. There is system, outstanding management of them, in Korea. This study reviews the system and the improvements. To manage it systematically,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law is issued. To ensure transparency, An audit is introduced and the rule of unreasonable interference exclusion to housing managers. Professional housing managers manage apartment as well as the organization of apartment managing support is made, for systematical housing managing. Although there is the advanced system, there are some improvements. There are some problems in social-mixed apartment and the guidelines of selecting outsourcing agents. Finally, there are big problems in small apartments because, they are no managements.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advanced housing management system and to solve the problems. 오늘날 국민의 70%이상이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고, 노후화된 공동주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공동주택의 유지 및 관리가 공동주택의 공급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공동주택 관리제도를 검토하고 개선해야 할 문제들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체계적인 공동주택관리를 위하여 공동주택관리법을 제정하였고, 관리 투명성 확보를 위해 외부회계감사, 관리사무소장에 대한 부당간섭 배제 규정을 신설했다. 또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주택관리사에 의한 관리를 하고 공동주택관리지원기구를 신설했다. 이러한 선진화된 공동주택관리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선 할 사항이 존재한다. 우선 혼합주택단지의 관리 문제가 있고,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지침의 문제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관리의 사각지대에 있는 비의무관리단지의 문제가 있다. 선진화된 제도는 더욱 발전시키고 개선할 점은 해결하려는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의 공간 특성이 단지내 전기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1,122개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임재빈,허익수,강명구 서울연구원 2019 서울도시연구 Vol.20 No.3

        The apartment complex can have big difference for electricity consumption factors from the individual houses. Not only does standardized multi-homes make one building, but electricity is also consumed in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spaces. Literatures have constructed electricity consumption models of individual houses, and the concept of apartment complex was seldom studied except the approach of microeconomic view. To expand the literatures results to population factor, the resident registration ledger was used in addition to the building ledger, applying the STIRPAT (Stochastic Impacts by Regression on Population, Affluence, and Technology). As a result, variables affecting the electricity consumption of the apartment complex are population, population density, BCR(building coverage ratio), number of floors, floor area per a house unit, the income level (house trade price per unit area), number of months used. In addition, the low BCR-High Rise type complexes showed less electricity consumption due to the increase of BCR and floors than the High BCR-Townhouse type complexe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electricity consumption due to the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than the form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estimation of loc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case of public housing districts. 공동주택 단지는 개별 주택과는 전혀 다른 전기소비 특성을 보일 수 있다. 표준화된 다수 주택들이 집합된 건물동 을 이룰 뿐 아니라, 공동시설과 공용공간에서도 전기가 소비된다. 기존 연구는 주로 개별 주택의 전기소비 모형을 구축 해왔으며, 단지 단위의 개념은 미기후 시각의 접근 외에는 활발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 단지의 공간 특성과 단지별 전기소비량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건축물장 외에 주민등록장을 연계하여 인구를 고려함으로써 기 존 연구 결과를 확장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특성요소를 연쇄구조로 구성하는 통계기법인 STIRPAT(Stochastic Impacts by Regression on Population, Affluence, and Technology) 모형을 응용하였다. 결과로, 공동주택 단지 의 전기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구 외에 인구밀도, 건폐율, 층수, 호당면적, 소득수준(단위면적당 주택거래가 격), 사용월수, 평균기온이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저건폐율-고층 단지가 고건폐율-저층 단지보다 건폐율과 층수 의 증가에 따른 전기소비증가는 덜하고, 인구밀도 증가에 의한 전기소비감소는 적음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공 주택지구 등 공동주택단지 공급시 국지적인 전기소비량 추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된다.

      • KCI등재

        공동주택 단지의 구성요소와 3차원 물리적 환경이지표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 340개 공동주택 단지를 중심으로

        문현빈,이수기 한국도시설계학회 2018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9 No.6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s of compositional factors and three-dimensional physical environments on surface temperature in the 340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Korea, using the satellite image data of Landsat8.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ositional and three-dimensional physical elements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surface temperatures in apartment complex. The lower building footprint, the higher proportion of green space, and more shadows were critical factors for the lower surface temperature. In addition, natural environment such as wind speeds, slope, hillshade, and building dire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urface temperatures. Regarding three- dimensional variables, layout variables of apartment complex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particular, apartment complexes with a closed layout we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surface temperatures than those with an open layout.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surrounding environments of apartment complex such as built area ratio and distance to green space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surface temperatures. The analysis results will be helpful to develop mitigation strategies for the lower surface temperature and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of residential apartment complexes. 본 연구는 Landsat8 고해상도 영상을 활용하여 서울시 340개 공동주택 단지의 구성요소와 3차원 물리적 환경이 공동주택 단지 내 지표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동주택 단지의 구성요소 및 3차원 물리적 환경이 공동주택 단지의 지표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선, 건폐율이 낮을수록, 녹지율과 지표면에 생기는 그림자 면적이 높을수록 지표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람, 경사, 표고, 향 등의 자연환경과 관련된 변수 역시 지표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3차원 물리적 환경 변수와 관련하여 공동주택 단지의 배치 형태가 중요하게 나타났고, 외부환경에 개방된 형태보다 폐쇄된 형태에 가까울수록 지표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동주택 단지의 내부요소뿐만 아니라 주변의 건물 비율, 녹지와의 거리 등도 지표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름철 공동주택 단지의 지표온도 저감과 열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공동주택단지의 외부공간에 대한 체크리스트 개발

        황윤정;윤원영;신경주 한양대학교 2006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show the design of the outdoor area of the apartment being divided into main and necessary spaces, and then being divided into smaller spaces ideally based on the first few. Through this project, we were able to see an example of how the apartment community functioned after the smaller spaces were placed. After seeing this example, we created a more specific and subjective checklist. In conclusion, the outdoor space of the multi-family housing was first divided into five spaces including a living room, a space where physical activity is possible, a space where people socialize, one for economic purposes and apartment security, and space for entertainment. Afterwards, the five spaces were broken down into several smaller areas into a total of 41 smaller spaces. A checklist was made from the five main spaces being broken down to a more specifically detailed 41 spaces. This checklist, which is pointed out while handling the contract, is a helpful key in the foundation in order to satisfy future residents of the apartment.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교통영향평가에 따른 단지계획 반영내 용 분석 및 시사점 연구

        배웅규(Bae, Woongkyoo),오성웅(Oh, Seong-Ung),조필규(Cho, Pil-Kyu)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교통영향평가가 각종도로 건설사업 및 대규모 개발 사업의 교통영향 및 개선대책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적용되었으나, 종합적인 주민 거주 및 생활공간으로서 성격이 강한 공동주택단지의 교통 관련내용이 도시계획 및 건축계획과 긴밀히 관련됨에 따라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단지계획관련 지침 및 기준과 경기도 교통영향평가 심의 의결서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심의의결 조건에 대한 반영내용을 검토함으로써 교통영향평가를 통해 공동주택단지계획이 어떻게 영향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로 및 교차로 유형에서는 단지외부교차로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여 단지 진ㆍ출입구를 개선하고 고원식 교차로를 도입한다. 보행 유형에서는 대중교통수단과 단지로의 보행로 개설로 단지의 보행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진ㆍ출입동선 유형에서는 진·출입구의 시거를 확보하고 교통량 분석을 통한 진·출입로의 적정위치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안전 유형에서는 다양한 교통안전시설 설치로 단지 내 안전강화, 주차장 항목에서는 기준을 철저히 준수하고 적절하게 배분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심의결과를 참고할 경우 공동주택단지 계획 시 대중교통 및 보행접근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와 거주민과 방문객에 대한 안정성을 감안할 필요가 있으며, 주변도로의 차량교통과 인접지의 보행체계 고려가 계획단계에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raffic impact assessment has been an effective means to assess and improve the traffic impact of various road construction projects and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But it has a limitation in application to multi-family housing sites, which are deeply related to people’s residences and living spaces. Thus, we analyzed how multi-family housing site planning is affected by traffic impact assessment through examining guidelines and standards related to site planning and the resolution of traffic impact assessment in Gyeonggi-do and analyzing specific contents reflected in the conditions of resolu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with regard to the type of streets and intersections, the access roads and entrances of housing sites were improved and raised intersections were introduced by analyzing intersection service outside the housing sites. With regard to the type of pedestrian passage, pedestrian accessibility to the sites was enhanced by making pedestrian passages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housing sites. With regard to the type of flow line of access roads and entrances, the sight distance of access roads and entrances was secured, and the adequate position of access roads and entrances was suggested through analysis of traffic volume.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type of traffic safety, safety was reinforced by installing various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with regard to parking lots, thorough observance of standards and appropriate allocation of parking lots were intended. Based on these results of deliber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further public transportation and pedestrian accessibility in multi-family housing site planning, to consider the safety of residents and visitors, and to give consideration to car traffic on nearby roads and pedestrian systems in adjacent areas in the planning stage.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내 이웃교류장소로서 공용공간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연구 - 일산 내 저층 및 고층 공동주택단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김슬기,이유미,이윤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5

        개인화되고 소외되어가는 공동주택의 현실 속에서 이웃 간 소통과 나눔으로 건강한 공동주택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산에 위치한 저층 및 고층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이웃교류장소로서 주동 내·외부 공용공간환경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주동 내·외부 공용공간환경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황분석은 총 10개의 공통적인 공용공간에 대해 이웃교류장소로서의 접근성, 연계성, 쾌적성, 활용성, 영역성, 개방성, 유지관리성 측면에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조사대상지 거주자를 대상으로 이웃교류장소로서 공용공간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물어보았다. 현황분석 및 설문조사 내용을 종합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동 내부 공간의 경우, 고층 공동주택단지는 면적이 넓고 채광과 시야의 개방성이 좋으며 공간을 이웃과 우연한 만남의 기회가 있도록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주동 외부 공간의 경우, 저층 공동주택단지는 단지 내 보행로에서 통과교통을 완전히 배제하여 보행전용도로가 뚜렷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보행로를 중심으로 다른 공용공간으로 연속된 동선을 확보하고 있어 대부분의 주동 외부 공용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interaction and solidarity among neighbors found in a traditional society is rapidly being dismant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nvironment of interior and exterior communal space in residential buildings as a place of interactions among neighborhood in multi-family housing, and based on them, to analyze the residents’ satisfaction of it. A field survey is conducted in respect of accessibility, connectivity, comfortability, utilization, territoriality, openness, maintainability in 10 common spaces and question survey is conducted to ask the satisfaction of communal spa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hen it comes to interior space, high-rise housing is spacious and well lighted. It also has an open view around the space.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environment of communal space of interior space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as it gives a chance to meet neighborhood accidently. When it comes to exterior space, low-rise housing form the pedestrian flow clearly along the pedestrian lanes in that it exclude the through traffic in footpaths.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rate of most exterior space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as it gives excellent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to communal space along with the continuous walking line focused on the footpaths.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놀이터 리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백기웅 ( Baek Ki-woong ),김면 ( Kim Myo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5 No.-

        많은 아이가 공동주택단지에 거주하고 있지만 지역사회의 놀이시설 중, 단지 내 어린이놀이터의 만족도는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건축법상 재건축 연한이 30년 이후임을 고려하면 놀이터의 노후화로 재조성할 시점이 10-15년 내에 찾아오고, 이때가 놀이터 리디자인을 통해 아이들에게 좋은 놀이 서비스를 제공할 기회이기도 하다. 하지만 최근 리디자인된 공동주택단지 놀이터의 현황을 살펴보면 단순히 시설과 바닥재를 교체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이와 대조적으로 세이브 더 칠드런의 ‘놀이터를 지켜라’ 리디자인 사례는 주위 아이들과 주민들에게 사랑받는 공간으로 탈바꿈하는데 성공했다. 두 사례의 프로세스를 추적한 결과, 공동주택단지의 프로세스는 공급자 중심인 반면에 ‘놀이터를 지켜라’ 프로젝트는 수요자 중심의 커뮤니티디 자인과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했다. 그러나 ‘놀이터를 지켜라’에 적용된 두 가지 디자인 방법론이 좋은 사례임에도 공동주택단지의 놀이터 리디자인을 위한 프로세스로 사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세스는 공동주택단지 맞춤형 프로세스로서, [단지 진단하기-커뮤니티와 소통하기-함께 디자인하기-함께 놀이터 만들기-약속하기]로 구성하였다. 제시한 적절한 리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단지를 통합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터치포인트를 발견할 수 있다. 한정된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놀이 서비스와 외부 주거환경의 만족도를 높이고, 참여 디자인으로 공동체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lot of children live in the apartment housing areas but they are just able to gain the lowest satisfaction level from the playgrounds in their apartment housing areas among the playgrounds in their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law in Korea, the apartments which are over 30 years old can be reconstructed in 10-15 years old and that time the apartments re-designing the aging playgrounds, the great playing services and experiences for the children can be provided. However, examining the recent playgrounds re-designing cases in the apartment housing areas, the playground equipment and the ground materials have been just replaced. On the other hands, Save the children's project of that "Save the playground" has succeeded in make the playground beloved by the children and the residents near the playground. The study for examining two cases, the process of re-designing the playgrounds in the apartment housing areas was the provider centered, while the community design and serviced design, which are customer centered, have applied to the process of “Save the playground” project. Even though, both the community design and the service design are the good methodologies when two methods applied to re-designing the aging playgrounds in the apartment housing areas, some problems have been found. For solve the problems, the process in this study is the process for in the apartment housing areas composed of the stages, that are, [Diagnosis of the area-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Design together-Construction of the playground together-Promise]. Through the appropriate re-design process, the areas can be diagnosed from the integrating viewpoint and touch points can be found. the limited budget can be used efficiently and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laying service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and to activate the community can be expected by the participating design.

      • 공동주택 관리비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규태,신종칠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7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1월부터 동년 12월까지의 서울시 소재 총 1,527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Super-SBM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개별 공동주택단지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특성들이 측정된 효율성에 미치는 상호연관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모형을 통하여 각각의 영향요인들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Super-SBM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일부의 공동주택단지만이 규모비용체감이 나타났을 뿐, 대다수의 공동주택단지에서는 규모비용체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 단지특성이 관리비의 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의 관리활동과 관련된 관리특성이 관리비의 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의 시설특성 및 설비특성이 관리비의 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efficiency by applying the Super-SBM to total 1,527 apartment complexes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5. We also used multiple regression model to analyze the effects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complex on the measured efficienc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Super-SBM showed that only a small number of apartment complexes have a scale efficiency of more than 1. Secondly, the results of this study find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complex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iciency. Thirdly, this study shows that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nagement activities of apartment complex have influence on the efficiency. Fourthl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facility and equipment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complex have impact on the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