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수형,이찬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학논집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이수지 그림책에 나타난 주인공 유아의 놀이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그림책은 그림자 놀이, 파도야 놀자, 거울 속으로, 동물원의 네 작품을 선정하였고, 연구기간은 2023년 6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약 12개월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놀이관찰과 감성공학방법론을 적용하여 그림책의 내용과 색채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수지 그림책 속 주인공 유아는 놀이의 시작에서 현실세계 속 사물과 자발적 관계를 맺고, 놀이전개와 확장 단계에서 놀이를재구성하였다. 유아는 놀이 행위 주체자이며, 놀이 종결 이후에도 놀이의 영향력은 주인공 유아의 현실세계에 남았다. 둘째, 이수지 그림책은 현실세계와 유아의 놀이세계를 색으로 구분하며, 각 세계에 따라색채를 설명하는 감성언어가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의미는 유아의 놀이세계에 대한 해석이 그림책이라는 놀이 매체로 확대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부모와 교사들에게 그림책과 유아의 놀이세계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play for the protagonist children in Suzy Lee’s picture books. The selected books were Shadow, Wave, Mirror, and The Zoo, and the research period was approximately 12 months, from June 2023 to May 2024. The research method qualitatively analyzed the content and colors of picture books by applying play observation and emotional engineering. First, the protagonist children in Suzy Lee’s picture book establish voluntary relationships with real-world objects at the beginning of the play. This inevitably leads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play, and the process of play reconstruction becomes evident. The protagonist in the play world, the children, is the actant of the play. Even after the end of the play, the influence of play remains in the children’s real world. Second, Lee’s picture book is divided into the real world and playworld, and the emotional language that explains colors differs depending on the wor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interpretation of children’s play worlds can be expanded to include picture books as a play medium. Additionally,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parents and teachers to help them understand picture books and children’s playworlds more deeply.
Mental Map과 Space Syntax를 활용한 가로환경 과 공간인지의 연관성 분석 - 신촌, 홍대, 왕십리 대학가 지역을 중심으로
이수기,이호준,김단비,이재인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6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vin Lynch’s components of city image as well as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case study area and university stu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using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districts in Seoul, Korea. The analytical data were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field survey from university students. The primary methods included mental map, space syntax,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Kevin Lynch’s components of city image and spatial configuration of a case study area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Second, the brand shop density, which includes commercial land uses on streets,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effect of the brand shop on spatial cogni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ercial uses. Food and beverage and retail facilities, which had frequent visits compared to other commercial us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Finally, the total integration of a space syntax variable was significant in all models,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the case study areas in respondents’ spatial cognition on streets.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가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케빈 린치의 도시 이미지구성요소와 사례지역의 공간구조가 대학생들의 가로 공간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사례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현상조사를 통해 구득하였다. 분석방법은 멘탈맵, 공간구문론, 그리고 음이항 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빈 린치가 제시한 도시 이미지 구성 요소와 가로공간의 물리적 환경이 응답자들의 가로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로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상업시설인 브랜드 상점 밀도는 도시 이미지 구성 요소와 더불어 가로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업시설의 업종에 따라 응답자들의 공간인지에 미치는 영향이상이함을 확인하였다. 다른 업종에 비해 방문횟수가 잦은 식음료 및 소매 업종들이 가로 인지와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간구문론 변수인 전체 통합도는 모든 모형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가로 공간 인지에서 가로의 위상학적 구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신체활동을 유도하는 건강증진계단의 참여촉진 디자인 요소에 관한 실증분석-“서울시청 가야금 건강계단”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기,현은령,김수민,이윤성,유치선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현대인들은 신체활동의 부족으로 비만 및 만성질병에 대한 노출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신체활동 친화적인 물리적 환경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시민청 가야금건강계단 사례를 통해 신체활동을 유도하고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실제 사례대상지의 계단을 이용하고 있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조형요소 선호도를 분석하여 건강계단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건강계단 조성사업 전과 후 이용자의 행태변화를 분석하여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계단 디자인 요소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시 가야금건강계단 사업의 전과 후를 조사·분석한 결과, 건강계단 조성사업 후 계단 이용률은 평균 7.8%에서 17.9%로 증가하여 적용된 디자인 요소가 이용자의 참여촉진에 분명한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을 유도하는 건강증진계단의 참여촉진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실제사례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공적공간을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유도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수기,최용석,이보희,Lee, Su-Gi,Choi, Yong-Seok,Lee, Bo-Hui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4
Distances or dissimilarities among units are assumed to be symmetric in most cases of multidimensional scaling(MDS); consequently, it is not an easy task to deal with asymmetric distances. Current asymmetric MDS still face difficulties in the interpretation of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simpler asymmetric MDS that utilizes the order statistic of an asymmetric matrix. The proposed Web method demonstrates that some influences among objects are visualized by direction, size and shape of arrow to ease the interpretability of users.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증진 계단 디자인을 위한 사전방향성 연구-국내외 사례와 이용자 행태 및 디자인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기,김수민,김선아,이창관,현은령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현대인은 자동차 중심적인 생활과 신체활동 부족으로 비만과 이로 인한 각종 만성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적이며 자발적인 신체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공공 공간의 디자인이 중요하다. 지하철 및 공공 공간에 비치된 계단은 신체활동뿐만 아니라 건강증진과 공중보건 제고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건강증진 계단디자인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국내외 유사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공공 공간 계단디자인의 요인별 고려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증진 계단 조성을 위한 디자인 선호도 및 관찰 분석의 근거로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건강계단 디자인에 있어 시각적 자극을 유도하는 색채, 그래픽, 조명과 청각적 요소인 음악 등에 대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에서 걷는다는 의미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는 칼로리 표기나 걷기를 통해 연장되는 수명표기 등의 정보가 계단이용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단이용이 기부금 적립 등으로 연결되어 자긍심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사회 공헌적 적립 모듈 등과 연계될 때 계단이용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유도할 수 있는 건강계단 디자인 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우리나라에서 공공 공간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을 위한 액티브 디자인 운동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수기,성부용,하성규,Lee, Su-Gi,Seong, Bu-Yong,Ha, Seong-Gyu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3
The shape optimization is performed to minimize the judder of ventilated disc brake rotor that is induced by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disc.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is developed to analyze the coupled system of temperature and displacement field,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iffness matrices are simultaneously taken into account. To reduce computing time, an equivalent heat transfer rate is introduced approximating the heat transfer rate on the disc surface. A deformation factor is introduced to describe the thermal deformation causing the judder. The deformation factor is chosen as an objective function in the optimization process. Consequently an optimum design is then performed minimizing the deformation factor with the design variables of the shape of the disc. The optimum design procedure presented in this study is proven to be an effective method of minimizing the judder, and it reduces the thermal deformation by 23% of the initial geometry.
주정박 사일리지 제조시 인삼박의 혼합이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수기,이인덕,김용국,Lee, Soo-Kee,Lee, ln-Duk,Kim, Yong-Kook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1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28 No.1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ginseng meal to distillers feed on the silage quality, and feed intake and dry matter (DM) digestibility in goats. In Experiment I, three levels of ginseng meal (0.15, and 30%) were added to the distillers feed to make three types (treatment) of distillers feed silages (DFS), There were five replicates per treatment. Samples of 20 kg each were put into vinyl bag and vacuumed by an air compressor. Vinyl bags were kept at $20{\sim}25^{\circ}C$ for 30 days before being analyzed. In Experiment II, 12 male Korean native goat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DM intake and digestibility of silages from Experiment I. There were 4 replicates per treatment. Daily feed intakes and fecal excretion were measured. In Experiment I, the silage pH decreased and the lactic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ginseng meal (P<O.05). In Experiment II, the feed intake and DM digesti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ginseng meal. It appears that the quality of distillers feed silages could b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ginseng meal at the level of 15 to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