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동우량경보시설 경보발령기준 검토 연구 - 수위, 유출량, 강수량의 관계를 중심으로 -

        안재찬,이종설,최우정,이병주,Ahn. Jae-Chan,Lee. Jong-Seol,Chol. Woo-Chung,Lee. Byong-Ju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4

        자동우량경보시설은 산간계곡 집중호우시 상류지역의 강우상황을 관측, 하류지역 행락야영객에게 자동으로 경보를 발령하거나 안내방송을 실시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이 시설의 기존 발령 기준은 유역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관측강우량의 10분간의 이동합이 4 mm, 6 mm, 8 mm 이상인 경우에 각각 경계경보, 대피 1경보, 대피 2경보를 발령하였다. 이에 2003년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 단체에서는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수위, 한계유출량, 기준강우량 등의 분석을 통하여 경보발령기준을 재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보발령기준이 재설정된 지역중 실적 강우 취득이 가능한 경남 거창군 월성지구를 대상으로 기존 및 재설정된 발령기준을 위험수심, 한계유출량, 기준강우량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기존의 발령기준 우량, 개선된 발령기준 우량 및 금회분석을 통해 산정된 발령기준 우량을 상호비교하였다. 1분단위 변환 실적강우로 발령기준을 검토한 결과 기존안은 너무 많은 경보를 발령하게 된다. 개선안도 경보의 발령횟수 측면에서는 기준을 약간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경보기준우량의 상향조정은 안전측면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utomated rainfall warning system is a facility to prevent casualties who were recreating in the down stream region with operating lead broadcasting or signaling warning automatically when torrential rainfall occurs in mountainous area. But standard of conventional warning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basin, and warning signal. Evacuation signal 1 and evacuation signal 2 are uniformly signaled when the 10minute moving total of observed rainfall is higher than 4 mm, 6 mm, and 8 mm respectively.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nd relative agencies had re-established the standard of warning by analyzing the risk water level, critical discharge and reference rainfall, which a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asin. In this study the standard of conventional and re-established warning of weolseong basin, which is available to acquire a real rainfall. There are analyzed by considering the risk water level, critcal discharge and reference rainfall. Also this study compares rainfall of conventional and re-established warning standard and indentifies problems by analyzing adequacy of rainfall estimation for warning and proposes alternative. The standard of conventional warning which investigates with the converted rainfall(unit of a minute) issued too many alarm. The re-established standard upward has the necessity which will be regulated about the alarm announcement number of times. Considers the safety, upward regulation of alarm standard rainfall is a necessity which will be prudent.

      • KCI등재후보

        자동우량경보시설 경보발령기준 검토 연구 - 수위, 유출량, 강수량의 관계를 중심으로 -

        안재찬,이종설,최우정,이병주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08 No.04

        Automated rainfall warning system is a facility to prevent casualties who were recreating in the down stream region with operating lead broadcasting or signaling warning automatically when torrential rainfall occurs in mountainous area. But standard of conventional warning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basin, and warning signal. Evacuation signal 1 and evacuation signal 2 are uniformly signaled when the 10minute moving total of observed rainfall is higher than 4mm, 6mm, and 8mm respectively.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nd relative agencies had re-established the standard of warning by analyzing the risk water level, critical discharge and reference rainfall, which a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asin. In this study the standard of conventional and re-established warning of weolseong basin, which is available to acquire a real rainfall. There are analyzed by considering the risk water level, critcal discharge and reference rainfall. Also this study compares rainfall of conventional and re-established warning standard and indentifies problems by analyzing adequacy of rainfall estimation for warning and proposes alternative. The standard of conventional warning which investigates with the converted rainfall(unit of a minute) issued too many alarm. The re-established standard upward has the necessity which will be regulated about the alarm announcement number of times. Considers the safety, upward regulation of alarm standard rainfall is a necessity which will be prudent. 자동우량경보시설은 산간계곡 집중호우시 상류지역의 강우상황을 관측, 하류지역 행락․야영객에게 자동으로 경보를 발령하거나 안내방송을 실시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이 시설의 기존 발영 기준은 유역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관측강우량의 10분간의 이동합이 4mm, 6mm, 8mm 이상인 경우에 각각 경계경보, 대피 1경보, 대피 2경보를 발령하였다. 이에 2003년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 단체에서는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수위, 한계유출량, 기준강우량 등의 분석을 통하여 경보발령기준을 재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보발령기준이 재설정된 지역중 실적 강우 취득이 가능한 경남 거창군 월성지구를 대상으로 기존 및 재설정된 발령기준을 위험수심, 한계유출량, 기준강우량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기존의 발령기준 우량, 개선된 발령기준 우량 및 금회분석을 통해 산정된 발령기준 우량을 상호비교하였다. 1분단위 변환 실적강우로 발령기준을 검토한 결과 기존안은 너무 많은 경보를 발령하게 된다. 개선안도 경보의 발령횟수 측면에서는 기준을 약간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경보기준우량의 상향조정은 안전측면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철도강우자동경보시스템의 강우경보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정형일(Hyeongil Jeong),김대식(Daesik Kim),소진섭(Jinseop So),김진우(Jinwoo Kim),김주원(Joowon Kim),정연일(Yeonil Jeong),임정운(Jeongun Lim),박남성(Namseong Park) 한국철도학회 201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1

        우리나라의 철도노선은 산악지역이 많은 지역적 특성상 절취, 성토 등의 비탈사면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비가 많이 내렸을 경우에 비탈사면은 상재하중 증가에 따른 전단응력증대로 평형상태가 무너져 사면붕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러한 토사재해로 인한 열차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2004 년 철도강우자동경보시스템이 구축되었으나 경보신뢰성 부족에 따른 철도운영손실 증가로 인해 강우(强雨) 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철도강우자동경보시스템의 활용성 재고와 강우경보의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그 핵심요소인 강우경보기준 설정에 대해 방법론적으로 접근함으로 최적의 강우경보기준을 도출 및 적용함에 있다. In mountainous Korean railway lines, there are a lot of areas which have artificial slopes, such as cut-slopes and embankments. When it rains intensively in the artificial slope areas, it could fail the slopes and flow debris as the shearing stress caused by rised overburden loads increases. Although automatic rainfall alarming system was built in 2004 for the prevention of train accidents caused by the soil disaster, it is utilized as reference materials when it is raining intensively due to increasing train operation costs loss according to the lack of the alarming reliability. This study is aimed at the improvement of rainfall alert thresholds to reuse Automatic Rainfall Alarming System and to improve the alarming reliability.

      • KCI등재후보

        강우량을 이용한 고속도로 토석류 조기경보기준 제안 (2) : 기준의 조정 및 적용성 검토

        최재순(Jaesoon-Choi) 한국방재안전학회 2019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2 No.2

        선행연구에서는 강원지역을 대상으로 실제 고속도로 토석류가 발생한 지점의 시계열 강우정보와 강원지역의 강우정보를 이용하여 1 시간, 6시간, 3일 확률 강우량을 고속도로 토석류 평가등급에 따라 강우기준으로 사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 구를 통해서 선정된 3가지 강우기준의 적절한 조합과 토석류 평가등급에 따른 강우기준 조정을 통해 실제 고속도로 토석류 조기경보 기준을 제안하였다. 또한, 2013년 토석류가 발생한 5개 지점에 대해서는 강수량이 많았던 2010~2012년 시계열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모의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적절한 조합의 고속도로 토석류 조기경보를 위한 기준이 마련되었으며 등급별 기준조정의 경우에는 토석류 평가등급 C, D, E의 경우는 현실적인 점을 고려하여 B등급의 값으로 통일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니터링의 피로도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그 이상인 A 또는 S로 조정하는 것도 고속도로 토석류 발생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 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In the previous study, the rainfall data of 1 hour, 6 hours and 3 days were used as the rainfall criterion according to the grade to trigger the debris flow in the highway area, using the rainfall data of Gangwon area and the rainfall time-series data at the spot where the debris flow occurred.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arly warning criterion of the highway debris flow triggering through appropriate combination of three rainfall criteria sele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djustments of rainfall criterion in the highway debris flow triggering. In addition,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time-series rainfall data of 2010~2012, which had a large amount of precipitation for the five sites where debris flows occurred in 2013.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riteria for the early warning of highway unsteadiness on the highway were prepared. In case of the grade-based adjustment,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unified rating to the grade B. Also, if the fatigue of the monitoring is not a problem, adjusting it to A or S may be a way to positive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highway debris flow

      • KCI등재

        경보설비 비화재보와 관련 기준의 개선을 위한 연구

        차종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2

        경보설비 미작동에 대한 발화장소별 화재건수를 분석해 보면 주거시설 26%, 산업시설 23.5%, 생활서비스 16.7%의 순으로 미작동이 발생 하였다. 이는 주거시설, 산업시설, 생활서비스 장소에서 경보설비의 비화재보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를 비화재보라고 하며 본 연구에서는 감지기와 수신기, 기타로 나누어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원인별 대책과 관련 기준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경보설비의 비화재보를 줄이기 위해 감기지에서는 감도조절장치, 차동식 감지기 유리봉형 리크구멍의 막힘, 광전식 감지기 플라스틱 정전기 방지, 경년변화에 따른 적외선 LED와 포토다이오드와 포토셀의 기능 저하 방지 방안, PCB기판의 수분 함유방지, 감지기의 현장시험기 중 유증기로 하는 시험기 문제 등의 개선과 수신기에서는 수신기의 전원차단 및 경보중지 방지에 대한 개선과 자동화재탐지설비 성능유지를 위한 화재안전기준 개선방향으로 성능위주 설계의 필요성과 지금의 감지기에 추가적인 기능과 감지기의 생산기법의 변경하여야 한다. 경보설비의 관리부실, 설치장소 환경변화에도 기능 및 성능 유지가 가능하도록 화재감지 방법 및 시스템을 건축대상별 폐쇄성을 고려하여 감지기별로 주소를 부여하여 발화지점을 명확히 알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일정기준에 의한 보수 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이를 제도화하는 것을 제안하고 IoT 사물 인터넷 기반 경보설비관리 시스템의 연계에 따른 선행연구가 필요하다.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fire accident caused by non-operation of fire alarm system by the location of ignition showed the frequency of cause in the following order: residential facility 26%, industrial facility 23.5% and life service 16.7%. The result shows that fire alarm malfunc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residential facilities, industrial facilities and life service provider sites. This paper classified and analyzed fire alarm malfunction in three categories of detector, receiver and other equipment and proposed solutions by each cause as well as suggestions for enhancement of relevant standard. In terms of detection equipment, this paper suggested as solution an enhancement in the followings to reduce the frequency of fire alarm malfunction: sensor control device; automatic detector for detecting glass tube type leak holes; photoelectric detector to prevent electrical static; infrared LED according to age changes; prevention of photo-diode and photo-cell functions; preventing absorption of PCB board; and field site detector using oil mist. In terms of receiver equipment, there is a need for performance-oriented design to enhance electrical power-off of receiver and prevention of alarm stoppage; and fire safety standard to maintain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Also, additional functions and production techniques should be added for changes in current detector so that the functions and the performances can be maintained intact even after a change i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alarm facility and the location of maintenance office for alarm facility. Also, in terms of fir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an address must be assigned to detector equipment based on consideration for the security need of each building so that the location of ignition can be clearly identified. Also, the research proposed developing an institutional system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repair at a certain level and indicates a need for research in IoT Internet-based security facility management system.

      • 도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발령기준 강우량 선정 타당성 검토 연구

        송양호,송영석,박무종,이정호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소방방재청에서는 2011년 5월부터 5개년 계획에 걸쳐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체계 구축” 연구사업의 진행을 통해 위에서 언급한 중소하천에서의 홍수예경보와 관련된 연구 및 예경보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동대문구 내 위치한 정릉천 유역을 대상으로 도시유역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발령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때 예경보 발령기준을 선정하기 위한 수위상승에 따른 복잡한 발령기준 산정 방안의 경우 Song. et al., (2014)이 제시한 “상·하류 관측수위 기반 도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기준 강우량 산정기법”의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진행시 강우-유출 관계의 경우 HEC-HMS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유량-수위의 관계를 통한 분석은 HEC-RAS를 바탕으로 정릉천 유역을 구축함으로써 배수위 조건에 따른 경보발령 기준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결과는 최종적으로 정릉천 내 실시간 수위 관측기록과 비교함으로써 도시유역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발령기준의 타당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발령기준은 다양한 배수위 조건별 시나리오 기반에 의해 산정된 지속기간별 강우량을 통해 적정 예경보 발령 및 관련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즉, 실시간으로 변하는 본류수위의 영향을 다양한 배수위 조건별로 고려함으로써 주요 지점에서의 예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실제 방재관련 담당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GIS기법을 활용한 산악지역 자동우량경보시설 기준설정

        김영환(Kim Young hwan),탁원준(Tak Won jun),전계원(Jun Kye wo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1

        산지하천에서 발생하는 돌발홍수는 짧은 시간에 높은 수위의 홍수파를 형성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지역조건에 적합한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과 강우경보발령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강우-유출모형을 구축하고 산지하천에서 인명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0.50 m의 수심을 한계유출고로 결정하여 산지하천에서의 한계유량을 Manning공식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유역에서의 첨두유량은 산악지형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의 매개변수와 지형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유효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태백산 백천계곡의 한계유출고가 0.5 m일 때 한계유량은 제1경보국에서 10.9㎥/s, 제2경보국에서 10.2 ㎥/s로 나타났다. 이 때의 경보발령 우량은 제1경보국에서 13 ㎜ (경보발령), 14 ㎜(대피발령1), 15 ㎜(대피발령2)로 나타났고, 제2경보국에서 12 ㎜(경보발령), 13㎜(대피발령1), 14 ㎜(대피발령2)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Flash floods that occur near mountainous streams can cause huge losses of life they form high-level flood waves within a short period. Such areas are required to secure the systems for flash flood forecasting/warning and rainfall alert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ocal conditions. In this respect, the study built a rainfall-runoff model using GIS and used the Mannings equation to calculate the trigger runoff in the stream channel, where the runoff threshold depth that can cause losses of life at the mountainous stream area is determined as 0.5 m. Regarding the peak flow at the basin, the study calculated the available rainfall by using the area’s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IUH) parameter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areas well. In the study basin, the Baekcheon Valley at Mt. Tabaek, the trigger runoff was 10.9 ㎥/s and 10.2 ㎥/s, respectively, at Warning Station No. 1 and Warning Station No. 2, for 0.5 m of the runoff threshold depth. In this condition, the optimal estimation scale of rainfall depth for alert issue was 13 mm (warning), 14 mm (evacuation stage 1), and 15 mm (evacuation stage 2) at Warning Station No. 1, while 12 mm (warning), 13 mm (evacuation stage 1), and 14 mm (evacuation stage 2) at Warning Station No. 2.

      • KCI등재

        토석류 발생 예측을 위한 강우경보지수 산정

        남동호,이석호,김만일,김병식 대한지질공학회 2018 지질공학 Vol.28 No.1

        At present, there has been a wide range of studies on debris flow in Korea, more specifically, on rainfall characteristics that trigger debris flow including rainfall intensity, rainfall duration, and preceding rainfall. the prediction of landslide / debris flow relies on the criteria for landslide watch and warning by the Korea Forest Service (KFS, 2012). Despite this, it has been found that most incidents of debris flow were caused by rainfall above the level of landslide watch, maximum hourly rainfall, extensive damage was caused even under the watch level.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calculated a rainfall triggering index (RTI) using the main factors that trigger debris flow–rainfall, rainfall intensity, and cumulative rainfall–to design a more sophisticated watch / warning criteria than those by the KFS. The RTI was classified into attention, caution, alert, and evacuation, and was assess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wo debris flow incidents that occurred in Umyeon Mountain, Seoul, and Cheongju, Inje, causing serious damage and casualties. Moreover, we reviewed the feasibility of the RTI by comparing it with the KFS’s landslide watch / warning criteria (KFS, 2012). 우리나라의 토석류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강우강도 및 강우지속시간, 선행강우 등의 토석류를 유발하는 강우의 특성과 토석류 발생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현재 산사태 및 토석류 예보는 산림청에서 제시한 산사태 경보 및 주의보 기준(Korea forest service, 2012)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산림청의 예보기준만으로 볼 때, 대부분의 피해는 주의보 기준 이상의 강우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최대시강우량의 경우 주의보 이하의 강우에서도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Hwang et al.,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에서 제시한 산사태 경보기준 보다 더욱 세밀한 예 · 경보 기준을 산정하기위해 토석류 발생원인 인자인 강우량, 강우강도 및 누적강우량을 이용하여 강우경보지수(rainfall triggering index, 이하 RTI)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등급화 하여 관심, 주의, 경계, 대피로 구분하여 토석류 피해가 발생했던 서울시 우면산, 청주시, 인제군 피해사례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기존에 산림청에서 제시한 산사태 경보 및 주의보 기준과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rban flood alert criteria considering damage records and runoff characteristics

        Cho, Jeawoong,Kang, Hoseon,Bae, Changyeon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1

        최근 집중호우로 서울 강남구(’12), 부산(’13), 울산(’16), 인천, 부산(’17) 등 대도시 지역의 침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침수는 하천유역의 홍수 피해와는 달리 매우 짧은 시간에 피해가 발생하며, 시설물의 파괴보다는 주택, 차량, 상가 침수로 인한 재산 피해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호우에 대한 예 ․ 경보는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호우 주의보 및 경보에 의존하고 있지만, 기상청의 호우 주의보 및 경보는 전국공통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울산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별로 피해이력 기반의 한계강우량을 추정하였으며, 피해이력이 없어 한계강우량 추정이 불가능한 지역에 대해서는 유역특성이 반영된 Neuro-Fuzzy 모형을 통해 한계강우량을 예측하였다. 추정된 한계강우량을 통해 도시침수 위험기준을 설정하고 실제 침수사상에 적용한 결과 추정된 한계강우량은 실제 한계강우량과 1.8~20.4%의 오차를 보이고 있으며, 최소 28분에서 최대 70분의 대피시간을 확보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침수 예 ․ 경보를 위한 위험기준으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localized heavy rainfall has led to increasing flood damage in urban areas such as Gangnam, Seoul (’12), Busan (’13), Ulsan (’16) Incheon and Busan (’17) etc. Urban flooding occurs relatively rapidly compared to flood damage in river basin, and property damage including damage to houses, cars and shopping centers is more serious than facility damage to structures such as levees and small bridges. In Korea, heavy rain warnings are currently announced using the criteria set by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wever, these criteria do no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re not suitable to urban flood. So in this study, estimated the flooding limit rainfall amount based on the damage records for Seoul and Ulsan. And for regions that can not estimate the flooding limit rainfall since there is no damage records, we estimated the flooding limit rainfall using a Neuro-Fuzzy model with runoff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estimated flooding limit rainfall, the urban flood warning criteria was set. and applied to the actual flood ev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stimated flooding limit rainfall with the actual flooding limit rainfall, the error of 1.8~20.4% occurred. And evacuation time was analyzed from a minimum of 28 minutes to a maximum of 70 minutes.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warning criteria in the urban flood.

      • 선교 항해당직 경보시스템용 모션센서의 최적기능 확보에 관한 연구

        정태권,배동혁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추계

        해상 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선박들이 점차 대형화 되어 가고 있고 선박의 수 또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곧 해양사고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데 이 중 인적과실에 의한 해양사고가 대부분의 원인으로 밝혀져 있다. 인적과실 중 항해나 당직근무 중 졸음에 의한 사고가 빈번한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국제해사기구)에서는 선교 항해당직 경보시스템의 의무탑재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의 선교 항해당직 경보시스템은 재설정 방식에 따른 불편함 때문에 항해사들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소책으로 IMO에서는 모션센서를 선교 항해당직 경보시스템에 도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모션센서의 탐지기술이나 동작원리는 처음 육상용 화재경보시스템 혹은 보안시스템용으로 개발 및 제작되어진 것이므로 이를 특수한 조건인 선박의 항해당직에 적용할 때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나 고려사항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모션센서의 선교에서의 이상적인 구성, 필요한 기능, 적확한 작동여부, 모션센서와 압력센서나 음성인식센서와 같은 다른 수단과의 병용 등을 고려하여 모션센서의 최적기능 확보를 위한 성능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