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재난안전분야 국제표준 동향분석 및 활성화 연구

        유병태(ByungTae Yoo),양재모(JaeMo Yang),오금호(KeumHo Oh)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2

        전 세계적으로 태풍, 쓰나미, 화학사고 등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국제표준화기구(ISO)내 재난안전분야에서는 재난관리 연속성 확보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제표준 제정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까지 총 4건의 국제표준이 제정되었으며 이중 우리나라는 2012년과 2013년에 걸쳐 2건(ISO22300, ISO22301)의 재난안전관 리 국제표준을 한국산업표준으로 제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분야의 국제표준 제정의 국제동향을 분석하고 국제표준제정에 따른 재난안전분야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국가표준기준기본계획을 분석하여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재난안전관 리 매뉴얼 개선의 필요성과 재난안전 산업육성을 위한 재난안전분야 인증체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후 본 연구를 활용 하여 좀 더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국제수준에 부합하는 재난안전관리 정책수립 및 연구개발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Major accidents such as typhoon, tsunami, and chemical accidents have been continuously occurred. In this environment, Technical Commitment (TC)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 part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concentrates their efforts to enact the business continuous management in emergency situation for international standard. As a result of TC223, four international standards are enacted in 2011, 2012. I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two international standard (ISO22300, ISO22301) out of four standards were enacted in 2012. This study analyzes a recent trend and proposes a method activating of international societal security standard for chemical accidents. Disaster certificate system for developing disaster safety industry is suggested. We hope each related organization could develop our disaster safety management policy and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재난안전 교육컨텐츠 관리와 공유 활성화를 위한 표준코드 연구

        남상훈(Sangwhun Nam),이영재(YoungJai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3

        본 연구는 재난관리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외 기관과 조직에서 교육 Contents인 교육과정, 교육과목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유의 활성화를 위하여 표준 Code 적용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소방방재청이 2004년 6월 개청되고, 2006년 3월 국립방재교육연구원으로 개원된 이 후에 재난관리 및 방재안전의 교육과 관련된 프로젝트 들이 진행 되어왔고, 교육 Contents가 개발 되어왔다. 기 개발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외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이 개정이 추진되어 2014년 2월 7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의 재난관리 교육 기관과 조 직 간의 Contents의 공유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외의 우수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의 정보공유와 선진재난관리 교육체계와 Contents를 기 개발 활용하고 있는 국가에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의 선진화를 추진하고 있는 국가, 사회에 자문, 지원 하는 것이 주요 사안이 되고 있다. 이에 국내, 외 교육기관과 조직간 교육과목, 교육과정의 분류와 교육 특성을 고려한 식별 용이성, 교육 서비스, 교육 환경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적용 유연성, 그리고 공공, 민간 부분 및 국내, 외의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적용 유연성을 기초로 표준Code 설계 결과를 소개한다. 그리고 국내의 경제적인 재난관리 및 방재안전의 교육정책, 기 획, 관리, 운영 등의 활동을 위해 교육Contents의 체계적인 관리와 개발 운영되는 교육Contents의 공유 활성화를 위한 재난관리 교육Contents의 표준Code 적용 사례를 통해 의 적용방안을 제시 한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ementation plan for standard code to efficiently manage curriculum information in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programs across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nd to encourage active information sharing. Projects regard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have been progressed and developed since the opening of NDMI on March 2006. Efficient management and systematic operation for the exist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are also required. It is essential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to share and utilize their educational contents each other prior to the effect of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starting from February 7th, 2014. As disaster gets more complex and diverse in its types and sizes, the share of information on advanced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system between each countries is becoming more necessary than they ever did before. Therefore, the standard code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urriculum is resulted based on the flexibility that accommodates the change of education environment and extended application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education institutions.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standard code will be a possible way to improve the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and help to set its correct definition.

      • KCI등재후보

        안전기준 분류에 따른 효과적 안전관리

        이현우(HyunWoo Lee),이영재(YoungJai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3

        본 연구는 다양한 안전사고와 관련된 법령들 간의 적용되고 있는 많은 안전기준을 분석하고 검토하여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게 안전관리를 체계화하는 것이다. 안전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안전기준체계를 일본, 미국, 독일 3개 국가 의 기준체계를 살펴보고 안전관리(KOSAM) 개체관계도를 도출하였다. 개체관계도는 안전기준범위, 안전관리법령, 안전관리기준, 안전관리대상, 안전사고원인, 안전사고요인, 안전관리조직 개체들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각 개체들의 코드를 부여하였고 끝으로 개체관계도들 토대로 KOSAM 안전관리 조건검색화면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안전기준 DB구축 및 안전관리 시스템개발 수행을 통해 안전기준 관리 및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atize safety management for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analysis and review of several safety standards currently in force among the statutes and rules regarding various safety accidents. Accordingly, the safety standard systems of Japan, US, and Germany were examined and a KOSAM entity relationship diagram (ERD) was drawn based on the ontology system. The ERD consists of the safety standard scope, safety management statute, safety management standard, safety management subjects, causes of safety accidents, and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 entities. Next, each entity was assigned a code and finally a KOSAM safety management condition search screen was designed based on the ER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an overall improvement in safety standard management and operation through safety standard DB construction and the execu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시민보호를 위한 생활안전 마을지도 설계에 관한 연구

        이태식(TaeShik Lee),석금철(GeumCheol Seok),조원철(WonCheo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3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tinuing the citizen safety, the contributing the local economy’s activation, and the improving the safe and the social walfare on the civil environment. Seoul metropolitan nominated the model village the Buggaja 2 dong of the Seodaemoon-gu for the making safe village in the 2013. It is designed the village map for the safe life, discovered the dangerous factor about the various and social facilities which is a road, a walking way, a school, a enjoy place for the children, a Thema place, the leasure place, facilities etc., and improved the model village for the incident’s and accident’s reduction education and training from 2011 to 2013. The results on the discovering and improving activities by the resilient safe monitoring activity, in the 2011 the village is reduced the 23 people from the 151 people to the 128 people in the dead number into the total citizen 34,000 during a year, is showed the excellent values, which the dead people reduced the 23 people in the village, which the safe-life result was over the 12.8% in the national average. For the making resilient city, for the supporting the visitors which it looks around the safe-life model village, the tracking road map is designed, and the tenth safe life factors is showed. 본 연구에서는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시민의 복지환경인 안전복지와 사회복지 환경을 개선 등을 이루기 위하여 마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시범마을로 서울시 서대문구 북가좌2동을 선정하고, 이 마을에서 2011년부터 사건사고와 재해재난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인 차도, 인도, 학교내, 놀이터, 공연장, 휴식장소, 건축물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 시설물에 대한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개선한 내용을 재해경감 교육과 훈련 목적으로 한 곳에 정리하여 생활안전 마을지도를 설계하였다. 3년간 지속적으로 안전모니터링에 의하여 위험요소 발굴 및 개선활동을 한 결과, 2011년부터 마을의 사망자가 2010년 시민 34,000여 명 중 151명 사망자에서 128명으로 23명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한국의 평균 사건사고 사망자 비율인 12.8%인 인구대비 18명으로부터 5명이 더 추가로 감소되었다. 재해에 강한 도시를 만들고, 안전모델 마을을 방문하기 원하는 사람들을 돕기 위하여 탐방로지도와 10대 생활안전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 어린이제품 및 안전교육을 위한 BCM기반 거버넌스(기관)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규진(Gyu Jin Lee),정종수(Chong Soo Cheung),채연희(Yeon Hee Chae),김회춘(Hoi Choon Kim) 한국방재안전학회 2016 한국방재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정부는 어린이가 사용하는 제품의 안전을 확보하여 어린이에게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제품으로 인한 어린이 사고를 예방하고, 어린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기여하고자 어린이 제품안전특별법을 제정, 공포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제품법의 내용은 최종 소비자인 어린이의 해당 제품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예방 및 제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어린이제품에 대한 안전교육사항이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법과 제도의 실행은 어린이제품 제조업 및 유통업 등 관련 산업 활동의 규제요인으로 작용되어 산업이 위축될 수 있는 민원발생의 여지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법과 제도의 취지를 살리는 한편, 관련 산업계의 활성화를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확보한 기관의 역할이 중요 하다. 본 연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거버넌스 기관의 역할과 필요성 및 해당 거버넌스 기관이 갖추어야할 요건과 사업연속성(BCM)을 기반으로 한 운영의 사항을 제시한다. 연구결과에 기반한 거버넌스 기관의 활동은 어린이제품법의 제정목적 달성과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 government enacted and proclaimed the law, Special Act for Safety of Children Product,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children’s health maintain and enhancement,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 caused by the product with regulating the basic article for safety environment of children resulted from securing children’s product safety. But, the contents of the law does not deal with educative subject including prevention of negligent accident on the way of using and safe use of the product. Additionally, implement of the law and regulation has fault to find with projecting civil complaint resulted in related industry shrinking attributable effect of regulation fac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ole of governance organization being capable for the medium to activate related industry and take performance of the law and regulation is very important.This study suggests the role, necessity and condition of eligibility of the governance organization to solve the problem and operation procedure based on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Activity of the governance based on this study will achieve the purpose of enact the law and anticipates activation of the related industry.

      • 시설물 안전관리체계 일원화 전략

        송창영(Song, changyoung),박상훈(Park, Sanghoon) 한국방재안전학회 2016 한국방재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정부정책 방향에 대응하여 이원화된 시설물 안전관리체계를 재정립하기 위해 국토부(1·2종시설물)와 국민안전처(특정관리대상시설)로 이원화된 시설물 안전관리체계를 국토부 주관으로 일원화하는 ‘시설물 안전 관리체계 일원화’가 추진됨에 따라 기존 [시설물의 안전에 관한 특별법]안전관리체계의 전면적인 개편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특정관리대상시설물 제도의 문제점 분석과 [시특법] 편입에 따른 장애 요소 파악 등을 통해 체계적이고 시설물 안전관리체계 일원화 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국내 시설물 안전관리체계를 현황을 파악하고, 선진 외국의 시설물 관리체계 분석을 통해 국내 시설물 안전관리체계의 일원화 논리를 제시하였다. 둘째, 특정관리대상시설 안전관리체 계의 문제점과 일원화시 고려사항을 분석하였다. 셋째, 안전관리주체, 점검주기 등 시설물 안전관리체계 일원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d the purpose to prepare a well-organized strategy to unify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present system for facilities subject to particular management, and identifying obstacle elements by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 To that end,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rough identification of the status of domestic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analysis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 advanced foreign countries, logic for unification of domestic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was proposed. Second the problems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ies subject to particular management, and considerations for unification were analyzed. Third, strategy for unification of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afety management subject and checking period etc was proposed.

      • 단지형 다세대주택신축공사의 안전경영모델 표준화 및 적용사례 연구

        김성수(Kim Sung Soo),유태경(Yoo Tae Gyeong),유진열(Yoo Jin Yeol),이태식(Lee Tae Sik) 한국방재안전학회 2016 한국방재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최근 산업재해의 전반적인 감소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은 증가추세이다. 사고의 대부분은 안전관리자가 선임되어있는 규모가 큰 공사현장보다 다세대주택, 리모델링, 근생시설 등 규모가 작은 공사현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실제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전체 재해의 81.6%, 대부분이 120억원미만 50인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됐다. 본 연구에서는 단지형 다세대주택을 특화한 소규모 주택업체의 안전관리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효시적으로 안전경영모델을 표준화시켜 적용했다. 본 연구는 소규모 주택업체가 표준화된 안전경영모델을 쉽게 이해하고 실천하여 무재해를 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Notwithstanding industrial accident decrease generally, Construction industry is on the rise recently. Most accident occurs in the small scale like as multiflex housing, remodeling, neighbourhood facility more than safety supervisor appointed large scale construction site. By the size of business place, 81.6% of total accident occurs mostly in small scale site that is bellow 120 billion won and 50 manpower. Safety Adminstration was adopted and applied firstly after investigating the operation condition of construction site safety control in small scale company specialized complex style multiflex housing construction. This paper aimed that small scale housing companies achieve a zero hazard understanding easily the safety adminstration standardard model.

      • KCI등재후보

        컨테이너 터미널의 위험성평가 및 산업안전 AI 챗봇기술 적용방안 연구

        강휘진(Hwi Jin Kang),한상준(Sang Jun Han) 한국방재안전학회 2022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5 No.4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항만 작업 중 숨지거나 다친 사람이 무려 2,800명에 달한다. 그중에서도 항만하역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빈도수가 높다. 컨테이너 터미널 사업자는 법령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합리적인 안전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법, 항만안전특별법에서 제시하는 위험성평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위험성평가방법 및 유해위험요인을 살펴본다. 이러한 안전사고 위험을 개선할 수 있는 ‘산업안전 AI 챗봇기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During the 10 years from 2011 to 2021, a whopping 2,800 people were killed or injured during port work. Among them,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t the port loading and unloading business is high.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must conduct risk assessments and establish reasonable safety measures in accordance with laws and regulations. As a research method, the contents of risk assessment presented in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and the Special Act on Port Safety a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isk assessment method and risk factors of container terminals. The purpose is to present ‘industrial safety AI chatbot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 KCI등재후보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이용한 생활안전 개선에 관한 연구

        이태식(Taeshik Lee),석금철(Gumcheul Seok),소유섭(Yooseb So),최병식(Byungshik Choi),김재권(Jaekwon Kim),조원철(Woncheo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6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9 No.2

        본 연구는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이용하여 환경을 개선하여, 생활안전 분야에서 자살, 감염병, 안전사고, 교 통사고, 범죄, 화재, 자연재해 등에서 발생하는 사망자를 줄이고, 칼라조명의 유연성을 활용하여, 건강과 환경과 안전을 향 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LED 조명사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조사된 내용으로는, 2016년 11월 3주간, 서울 북부지역에 거주하는 우울증 증세의 주민 10명(평균 거주기간 28.7년, 연령 67.5세)을 대상으로, 본인의 요청에 의하여 가정침실 혹은 거실에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설치하여 사용 후 조사한 바, 신체적, 정신적 안정감을 회복하는 기능에 대한 기대감 은 88%로 높게 나타났고, 이와 동일하게 1주와 3주 후의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대한 비교조사를 하여 본 결과, 1주차에는 84%에서 3주차 이후에는 90%로 우울증 해소효과가 높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증 환자의견을 종합하면, 잠도 잘자고 불안한 마음이 없어졌고, 안정감이 생기고, 숙면을 취할 때가 많아 졌으며, 너무 좋다 등의 효과를 보였다고 하였다. 방재안전 환경조명은, 자살자를 감소시키고, 감염병으로부터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며, 부주의로 인한 추락 안전사고를 예방 하여 주며, 교통사고 발생빈도가 높은 지점에 설치하여 대형차량의 안전운전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한 안전귀 가길의 안전기능을 향상시키고, 화재로 인한 소방관의 정신적 불안 증세를 완화시켜 주며, 자연재해로 인한 장기간 상황실 근무시 의사결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환경조성 등에 크게 개선하여, 시민을 덜 죽고, 덜 다치고, 안전한 지역사회 건설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shown the new method using LED Light, which the light environment is upgraded the natural LED light in the area of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PDSD), which the events of deaths is reduced on the Suicide, the Infectious diseases, the safety accidents, the Traffic Accident, the crime, the fire, the Nature Disaster, and which the health and the environment and the safety is implemented using the value of the color LED Light. Research findings include, during 3 weeks in the November 2016, in the ten residents (average living 28.7 years, age 67.5 years) with depressive symptoms in the northern part of Seou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he PDSD natural light LED lighting was installed in the home bedroom or the living room, expectations for the ability to restore physical and mental stability were high (88%), in the same way, after 1 week and 3 weeks, the physical and mental changes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84% in the first week and 90% in the third week and thereafter, the effect of relieving depression was high. We conclude that patients with depression have a good sleep, an uneasy feeling, a sense of security, a good night s sleep, and a good feeling. The PDSD LED Light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the various areas, which reduced the suicides, which give increased immunity from infectious diseases, which give a crash to reduce accidents caused by negligence, which improve the safe operation of heavy vehicles in which a traffics accident incidence installed on the highest point, which improve the safety function on the ‘safety way home’ for the safety of the community, which due to fire gives alleviate the emo-tional anxiety of firefighters, which improve the environment for long-term control room working during decision making caused by natural disasters.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재난 탄력적 대응 위한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신상민(Sangmin Shin),박희경(Heekyung Park) 한국방재안전학회 2015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8 No.2

        우리나라는 현재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나 구축과정에서의 시행착오와 재난관리의 미비점들로 인해 여전히 국내 재난안전관리에 대한 우려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재난 및 안전관리에 있어서 함께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레질리언스 개념을 고려하여 현재의 국가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성 및 레질리언스를 제고하기 위한 원칙들, 즉 다양성과 가외성, 상호연결성, 완속 변수/ 요소 제어, 시스템적 접근, 학습 및 피드백, 적극적 참여 등을 바탕으로 국내 통합 재난안전관리의 개선방향을 검토 및 논의 하였다. 이는 국가 통합재난안전관리 역량 및 체계를 강화하고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과 레질리언스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 및 정책, R&D를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is recently concerned due to incompletion and inadequacy in establishment of the system. In this regar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concept, which are recently considered i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o do this, the authors examined the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with representative principles to enhanc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 community based on diversity and redundancy, connectivity, slow variable, systematic approach, learning and feedback, and active particip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improvements and recommendations proposed by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principles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strategies, policies, and R&D for enhancing domestic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