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박접목묘의 건조스트레스 범위 탐지를 위한 엽록소형광 지수의 적용

        신유경,김용현,이준구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quantify the drought stress in grafted watermelon seedlings non-destructively by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CF) imaging technique rather than the visual judgment. Six-day old watermelon seedlings were grown under uniform irrigation for 3 days, and then given drought stress. Afterward, the sensor for the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in plug tray cell unit was used to classify the drought-stress level into nine groups from D1 (53.0%, sufficient moisture state) to D9 (15.7%, extremely dry stress), and the 16 CF parameters were measured. In addition, re-irrigation was performed on the drought stressed seedlings(D5 - D9) to determine the growth and photosynthesis recovery level, which was not confirmed by visual judgment. The kinetic curve patterns of CF in three different drought stressed seedling group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the early detection of drought stress. All the 16 CF parameters decreased continuously with exposure to drought stress and drastically decreased from D5 (32.1%) where the visual judgment was possible. The fluorescence decline ratio (Rfd_Lss) started to decrease from the initial drought stress level (D5 - D6), and the Maximum PSII quantum yield (Fv/F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ater extreme drought stress range (D7 – D9) by re-irrigation recovery test. Thus, Rfd_Lss and Fv/Fm parameters were finally selected as potent indicators of growth and photosynthesis recovery in the initial and later stages of drought stress. Also, to the differences in the numerical values of the individual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the drought stress level was intuitively confirmed through the im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fd and Fv/Fm can be considered as potential CF parameters for the detection of low and extremely high drought stress, respectively. Furthermore, Fv/Fm can be considered as the best CF parameters for recovery at re-irrigation. 본 연구는 육안판단이 아닌 엽록소형광 이미지 측정기 법을 이용하여 비파괴적으로 수박접목묘 플러그트레이 단일 셀에 대해 건조스트레스를 정량화하고자 수행되었 다. 접목 후 6일차 수박접목묘를 3일동안 균일한 관수관 리 하에서 재배한 후 건조스트레스를 부여하였다. 이후 플러그트레이 단일 셀 형태의 수분함량센서를 이용하여 D1(53.0%, 충분한 수분상태)단계부터 D9(15.7%, 극심한 건조스트레스)단계까지 9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엽록소 형광을 측정하였다. 또한 건조스트레스에 영향을 받은 묘(D5-D9)에 재관수하여 육안판단으로 확인되지 않은 광합성 및 생육 회복 수준을 측정하였다. 3개의 건조스 트레스 단계의 엽록소형광 곡선 형태는 건조스트레스 조 기 탐지에 대해 다른 양상을 보였다. 총 16개의 엽록소 형광 지수는 건조스트레스에 노출되면서 지속적으로 감 소하였으며, 육안으로 판단 가능한 D5(32.1%)단계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형광감소율(Rfd_Lss)는 초기 건조스트 레스 수준(D5-D6)에서 명확하게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최대 광화학효율(Fv/Fm)은 극심한 건조스트레스 수준 (D7-D9)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Rfd_Lss 및 Fv/Fm 지수를 건조스트레스의 초기 및 이후 단계에서 생육 및 광합성 회복 평가를 위한 지표로 선정하였다. 개별 엽록소형광 지수의 수치값 차이와 엽록소형광 이미지를 통해 건조스트레스 수준이 직관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 한 결과는 Rfd_Lss와 Fv/Fm은 각각 초기 및 극심한 건 조스트레스를 탐지하지 위한 엽록소형광 지수로 활용될 수 있으며, Fv/Fm은 재관수시 회복 평가를 위한 최적의 엽록소형광 지수로 판단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Dry Eye and Dry Mouth in University Students

        Hye-Won Park,Tae-Hun Kim 대한시과학회 2020 대한시과학회지 Vol.22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안구 건조, 구강 건조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조사 연구이며, 대상자는 대학생 268명(남성 113명, 여성 155명)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질문, 스트레스 척도, 안구 건조 척도, 구강 건조 척도를 자기 기입식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분석방법 으로는 t-test, 분산분석, 상관분석, 공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 대학생에서 측정된 스트레스는 평균 64.61±18.00점이었고, 여성, 1일 카페인 3잔 이상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측정된 안구 건조는 평균 11.26±8.18점이었고, 8시간미만 수면, 1일 카페인 3잔 이상, 컴퓨터 3~5시간 사용하는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측정된 구강 건조는 평균 15.76±10.39점이었고, 컴퓨 터 3~5시간 사용하는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스트레스와 안구 건조, 구강 건조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안구 건조가 구강 건조에도 영향이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안구 건조는 수면 시간, 컴퓨터 사용 시간,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았으며, 구강 건조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 건조와 구강 건조가 함께 오랜 기간 지속될 경우 전문적 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dry eye, and dry mouth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A self-reported survey on general characteristics, stress scale, dry eye scale, and dry mouth was conducted that 268 university students(113 males and 155 females) took part. In order to analyze results,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co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 The stress score for all subjects was 64.61±18.00 in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of either female, the ones drinking more than 3 cups of caffeine per day. The dry eyes score was 11.26±8.18 in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less than 8 hours of sleeping time, more than 3 cups of caffeine per day and using computer for 3~5 hours per day. The dry mouth score was 15.76±10.39 in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 of using computers for 3~5 hours per day. Conclusion : It show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tress, dry eye and dry mouth. Dry eye seemed to be caused by sleep time, computer use time and stress, while the dry mouth is affected by one factor the stress. It is required to intervene when dry eye and dry mouth are accompanied and last a while.

      • KCI등재

        구강건조증 및 안구건조증의 자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현구,정유연 한국안광학회 2022 한국안광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ed for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system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style as influencing factors for dry mouth and dry eyes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Comparativ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factors affecting dry mouth and eyes, in 516 university students who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Results: Both dry mouth and dry eye discomfort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ress were higher in women.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de level dry mouth and saliva consistenc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oking amount, sleeping time, and gingival bleeding or pain. In addition, dry mouth and dry eyes were found to have a ver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en there was dry mouth, dry eyes were experienced 1.970 times more, and saliva consistency was felt 0.562 times higher, 0.841 times higher when drinking frequently, and 1.186 times higher with prolonged smartphone use. Dry mouth was experienced 1.947 times more when there was dry eye, and 1.224 times more when sleep time was short. Conclusions: Dry mouth and dry eyes are closely correlated, and this information can provide basic data to form a platform for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for integrated health promotion. 목적: 대학생들의 구강건조와 안구건조의 영향요인으로 스트레스와 생활습관과의 연관성을 알고 통합건강관리 시 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학생 516명을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구강건조와 안구건조에 영향을 주는 요인 비교 분석과 구강건조와 안구건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 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구강건조와 안구건조 불편감은 모두 여성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흡연량과 안구건조는 매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트레스는 학년, 구강건조, 타액 점조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흡연량, 수면시간, 치은 출혈 또는 통증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구강건조와 안구건 조는 매우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조를 느낄 때 안구건조를 1.970배 많이 느끼며, 타 액의 점조도를 0.562배 높게 느끼고 있으며, 음주를 자주 할때 0.841배 높게,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1.186배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안구건조가 있을 때 구강건조를 1.947배 더 많이 느끼며, 수면시간 짧을 때 1.224배 많이 느낀다. 결론: 구강건조와 안구건조는 동시에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요인으로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통합건 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을 위한 플랫폼을 이루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 KCI등재

        The Effect of Fatigue and Stress on Dry eye

        Hye-Won Park,Tae-Hun Kim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Vol.19 No.3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피로와 스트레스가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 19세 이상 성인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피로심 각도 척도, 스트레스 척도, 안구건조 척도를 자기 기입식으로 하였으며,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안구건조가 여성에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으며, 음주를 많이 할수록, 만성 질환이 있는 사 람에게서 안구건조가 높게 나타났다. 40세 이상, 흡연자, 수술한 눈에서 안구건조가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렌즈 착용한 그룹에서 안구건조가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고 피로 그룹일수록 안구건조정도가 높았으며, 스트레스 지수가 증가할수록 안구건조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피로가 높은 군에서 안구건조 위험도가 1.53배 높았으며, 콘택트렌즈 착용하는 군에서는 안구건조 위 험도가 3.87배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피로와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안구건조를 많이 느끼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eye by fatigue and stress. Methods: Using the survey data aimed at a total of 365 adults aged 19 and over, the subjec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Fatigue Severity Scale, Stress Scale,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were applied in a self-administering way, and th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Results: The dry eye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and the more the alcohol was drunk, the higher the dry eye appeared in those who had chronic diseases. The dry eye showed slightly higher in people aged 40 and over, smokers, and operated eyes,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the dry ey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act lens worn group. The higher the fatigue was in the group, the more serious the dry eye was, and as the stress level increased, the dry eye also increased. The dry eye appeared odds ratio 1.53 times higher in the high fatigue group, and odds ratio 3.87 times higher in the contact lens worn group. Conclusions: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gher the fatigue and stress was, the more the dry eye was felt much.

      • KCI등재

        관수주기 및 NaCl 농도에 따른 산오이풀의 생육과 생리적 반응

        김진우,정송이,권혁환,조원우 한국화훼학회 2023 화훼연구 Vol.31 No.4

        산오이풀(Sanguisorba hakusanensis)은 한국의 자생식물이며 정원소재로써 가치가 있지만, 생육 및 생리적 특성 및 정원 적응 여부에 대하여 알려진 정보가 많지 않아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생식물인 산오이풀의 관수주기 및 NaCl 농도에 따른 생장, Fv/Fm, NPQ, 성분 변화, 무기성분 변화를 조사하여 내건 및 내염성 보유 여부, 생육 한계 범위, 스트레스 환경에서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반응을 파악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NaCl 무처리구의 관수주기에 따른성분 분석에서 엽록소 함량의 감소를 제외하고 유의한 차이가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는 토양수분함량이 건조 스트레스를 유발할 정도로 감소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염 처리에서는 2주 이후 급격한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났고 3주차부터 고사하기 시작하여 6주차에 모든 개체가 최종 고사했다. 이러한결과는 2주까지 염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2가지 스트레스 중 초기에 나타나는 삼투 스트레스에는 저항하였으나 이후나타나는 NPQ의 감소 등 이온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광합성 기구 붕괴로 인해 정상적인 생육을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기이온 분석은 이온 스트레스에 저항하기 위한 메커니즘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상대적으로 염 농도가 낮을 때에는 세포내 Ca2+ 및 K+ 수준이높았는데, 이는 Ca2+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Na+ 를 세포 밖으로 방출시키는 단백질, Na+ 를 K+ 와 함께 수송하는 단백질이기능하여 Na+ 축적을 지연시키는 반응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NaCl을 고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이러한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산오이풀은 염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삼투 스트레스에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고 이온 독성을줄이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Na+ 세포내 축적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보이지만, 심한 염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나타나는 급격한 반응에서 이러한 메커니즘이 기능하지 못하고 이온독성에매우 취약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를 통해 자생식물인 산오이풀의 활용을 늘리는 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한국에서 수분수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로 인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 증대 효과

        이창석,이안나 한국생태학회 2003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6 No.3

        한국은 양적으로 강수량이 풍부하지만 강우현상이 편중되어 매년 일정기간의 가뭄기를 겪는다. 더구나 그 토양은 대부분 화강암에서 유래한 거친 입자의 것으로서 보수력이 낮다. 수 종의 참나무류와 소나무의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결과는 수분수지가 식생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몇몇 상록식물의 월동기간 중 내한성 기작에 기인한 탈수 정도는 자연상태에서 그들의 분포와 밀접하게 관계되었다. 수분스트레스 처리 실험 결과 소나무는 건조에 대해 강한 내성을 보였지만 그 유식물은 가뭄기에 높은 고사율을 나타내었다. 그 고사율은 지소의 토양수분함량에 비례하는 경향이었다. 가뭄이 심한 6월 중 삼림토양의 수분함량과 수분스트레스 처리 실험에서 소나무 유식물이 영구위조점에 도달한 시점에서 배지토양의 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가뭄기에 소나무 유식물의 높은 고사율이 수분부족에 기인함을 입증하였다. 대기오염물질 폭로실험 중 측정된 시료식물의 수분포텐셜은 시료식물에서 가시피해의 발생과 그 내성에 수분요인이 관계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야외 현장 조사와 실내실험 결과 둘 다에서 심한 대기오염에 노출된 식물은 그렇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수분소실이 빠르게 일어나는데, 그것은 오염물질에 의한 잎 표면의 손상 정도와 관계되었다. 산성 토양에서 높은 함유량을 보이는 알루미늄은 식물의 뿌리생장을 억 제하거나 비정상적 분포를 가져와 수분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대기오염과 토양 산성화에 기인한 이러한 수분스트레스 효과는 한국의 기후와 토양이 가지는 기존의 수분결핍효과에 덧붙여져 삼림쇠퇴를 유발하는 주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여 포장용수량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sludge는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 기존의 개량제 못지않은 효과를 보였고, 낙엽 추출물 또한 알루미늄에 의한 수분스트레스 효과를 완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에서 삼림쇠퇴를 유발할 수 있는 스트레스요인들의 잠재적 상호작용을 모식화하였다. 나아가 그것을 완화할 수 있는 복원방안을 토양개량과 식생복원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Korea has plentiful precipitation but rainfall events concentrate on several months of rainy season in her weather condition. Korea, therefore, experiences drought for a given period every year. Moreover the soil has usually low water holding capacity, as it is composed coarse particles originated from the granite. Response of several oaks and the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on water stress showed that water budget was significant factor determining vegetation distribution. In addition, dehydration level due to cold resistance mechanism of several evergreen plants during the winter season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distribution in natural condition. Experimental result under water stress showed that the Korean red pine was very tolerant to desiccation but the seedlings showed high mortality during the dry season. The mortality tended to proportionate to soil moisture content of each site. A comparison between soil moisture content during June when it is severe dry season and moisture content of the culture soil when the pine seedlings reached the permanent wilting point due to water withheld proved that high mortality during the dry season was due to water deficit. Water potential of sample plants measured during the exposure experiment to the air pollutant showed a probability that water related factors would dominate the occurrence of visible damage and the tolerance level of sample plants. In both field survey and laboratory experiment, plants exposed to air pollution showed more rapid transpiration than those grown in the unpolluted condition. The result would due to injury of leaf surface by air pollutants. Aluminum (Al/sup 3+/) increased in the acid soil not only inhibits root growth but also leads to abnormal distribution of root system and thereby caused water stress. The water stresses due to air pollution and soil acidification showed a possibility that they play dominating roles in inducing forest decline additionally to the existing water deficit due to weather and soil conditions in Korea. Sludge, which can contribute to improve field capacity, as it is almost composed of organic matter, showed an effect ameliorating the retarded growth of plant in the acidified soil. The effect was not less than that of dolomite known in widely as such a soil ameliorator. Litter extract contributed also to mitigate the water stress due to toxic Al/sup 3+/. We prepared a model showing the potential interaction of multiple stresses, which can cause forest decline in Korea by synthesizing those results. Furthermore, we suggested restoration plans, which can mitigate such forest decline in terms of soil amelioration and vegetation restoration.

      • KCI등재

        Glutamate 경엽처리가 케일(Brassica oleracea L.)의 건조스트레스 경감에 미치는 영향

        박창욱,이고은,박은정,이인중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의 노지 재배 시, 생육 초기에 노출될 수 있는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Glutamate (Glu)의 스트레스 경감 및 생육 회복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건조 조건(D)에 노출된 케일에 5㎛ Glu 용액을 경엽처리하였다(D+Glu). Glu 처리 전 및 처리 후 4, 8일 차(0, 4, 8DAT)의 생육과 엽록소 함량을 측정하고 식물 체내의 ABA와 Glu, Pro의 함량을 분석하여 정상 환경 및 D, D+Glu 처리구 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엽록소 함량의 경우, 8DAT에서 D+Glu 처리구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에, D처리구는 14% 감소하였다. 엽면적으로 대표되는 생장 또한 D+Glu 처리구가 D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4, 8일차의 ABA 함량이 D 처리구에서 D+Glu 처리구에 비해 44.13, 49.18% 높게 나타났으며, 체내 아미노산 대사 및 건조저항성 지표인 Glu, Pro 함량은 D 처리구에 비해 D+Glu 처리구에서 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Glu 처리에 의해 건조 스트레스가 경감되고 생육이 회복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lutamte (Glu) treatment under drought stress, which can be a serious problem in growth, during the field cultivation of Kale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5㎛ Glu solution was applied to the leaves of kale which exposed to dry conditions (D + Glu). The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measured at the 0, 4 and 8days after Glu treatment (0, 4, 8DAT)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ABA, Glu, and Proline (Pro) in the plant bodies to compare the well-watered, dry condition and dry condition with Glu treatments. In the case of chlorophyll content, D+Glu treatments remained constant at the 8DAT, while the only D treatments decreased by 14%. The leaf area as the growth indicator was also shown to be higher in D+Glu treatments than in D t reatments. In a ddition, ABA c ontents o f D treatments at t he 4DAT, 8DAT w ere 44.13, 4 9.18% higher than D +Glu t reatments. The contents of Glu and Pro as the amino acid metabolism and drought resistance indicators remained higher in D+Glu treatments. The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drought stress can be reduced and growth can be recovered by Glu treatments.

      • Turfgrass Responses to Water Deficit: A Review

        이준희,Lee, Joon-Hee Turfgrass Society of Korea 2011 한국잔디학회지 Vol.25 No.2

        Drought is a major limiting factor in turfgrass management. Turfgrass responses to water deficit depend on the amount and the rate of water loss as well as the duration of the stress condition. This review paper was designed to understand responses such as photosynthesis, canopy spectral reflectance, plant cell, root, hormone and protein alteration when turfgrass got drought stress. Furthermore, mechanisms to recover from drought conditions were reviewed in detail.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questions regarding plant adaptation to water deficit. It is not clear that the mechanism by which plants detect water deficit and transfer that signal into adaptive responses. Turfgrass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how to enhance the ability of self-defense mechanism through understanding plant responses by environmental stress. 잔디가 건조 스트레스를 받은 상태에서 잔디의 생리학적 메커니즘과 건조 상태에서 식물이 회복하는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증산작용과 Stomatal Conductance의 상호 관계로 인한 광합성량의 변화, 식물 세포 내부의 변화, 삼투압 조절능력의 변화, 호르몬의 변화, 단백질 변성 등의 생리학적 반응들을 이해하고 건조 스트레스 상태에서 회복하는데 세포내부의 적응 과정, 뿌리의 반응과 같은 생리학적인 측면에 대해 이해하고 건조 스트레스 상태에서 엽록소가 흡수하고 반사하는 Spectral Reflectance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한다. 하지만 건조스트레스로 인한 식물의 생리학적 메커니즘에는 아직 많은 의문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 후 외부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식물의 Self-defense 메커니즘을 더욱 깊게 이해하여 보다 수준 높은 관리기법들을 연구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 다분광 영상을 사용한 마늘의 건조스트레스 분석

        류진환 ( Jinhwan Ryu ),정환조 ( Hwanjo Chung ),위승한 ( Seunghwan W ),이훈수 ( Hoonso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마늘은 향신료 역할을 하는 채소로 2020년 기준 우리나라에서는 1인당 7.9kg의 마늘을 연간 소비하고 있다. 마늘은 9월에서 10월에 파종하고 5월에서 6월에 수확하며, 4~6월에 가뭄으로 수분이 부족하면 마늘구의 성장에 영향을 준다. 이번 연구에서는 스냅샷 다분광 영상장비를 사용해 마늘에 대한 건조 스트레스를 확인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마늘은 3단계의 토양 건조조건에서 재배되었다. 획득한 다분 광영상은 462nm에서 870nm까지의 파장 영역을 총 41장의 파장별 영상으로 저장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서로 다른 건조조건에서 재배된 마늘로부터 획득한 스펙트럼 영상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부분최소자승법(PLS-DA)을 사용하여 건조스트레스 판정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전체 데이터의 75%는 모델 개발에 사용하였고, 나머지 25%는 모델 성능평가에 활용하였다. 모델 개발에 사용한 데이터의 정확도는 94.6%, 모델 검증에 사용한 데이터의 정확도는 91.7%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마늘 작물의 건조스트레스에 의한 영향을 측정하는데 다분광영상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부 성인의 구강건조감, 구취와 스트레스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홍민희 ( Min Hee Hong ) 한국치위생학회 2015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5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behaviors by the degree od dry mouth related to stress, dry mouth and halitosis. Methods: The subjects were 400 adult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from August 1 to November 30, 201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eight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ne question of subjective stress symptom, six questions of dry mouth symptom, four questions of dry mouth behavior, and one question of halitosi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litosis and stress in patients having systemic diseases. Stres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der, income, drinking frequency and alcohol consumption. The degree of dry mouth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der and age. In dry mouth severity,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ge, education, and times and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Ag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igarette consump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ry mouth and dry mouth behavior. Cigarette consump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cohol consumption. Drinking frequ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cohol consumption, dry mouth, dry mouth behavior, halitosis and stress. Alcohol consump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ry mouth behavior, and dry mout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ry mouth behavior, halitosis and stress. Dry mouth 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alitosis and stress, while halito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Conclusions: Stress, dry mouth and halitosis were closely correlated. Since stress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stress relief will be the most effective measure to alleviate oral symptoms. Therefore, stress relief measures need to be devised for oral health management in adults having stressfu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