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ison of Recognition of Korea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Based on Certificate Acquisition Status

        Hee Joo,Jong Won Hong,Jongyun Kim 한국화훼학회 2021 화훼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 여부에 따른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 100명과 미취득자(일반인) 210명, 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화훼장식 자격증 선호도 조사에서는 화훼장식기사(3.27)와 화훼장식기능사(3.13)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격증 선호 이유로는 자격증이 주는 자신감(3.56)과 다양한 실무에서의 활용(3.43)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반면,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으며, 특히 자격증 취득자의 선호도가 미취득자에 비해 더 낮았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에 대한 만족도는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3.70)이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3.03)보다 높았으며, 특히 미국 화훼장식 민간자격증(4.03)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보유자는 많았으나 본 자격 증 만족도는 보통 이하로 낮은 수준이었다. 자격증 취득의 만족 이유로는 해당 자격증이 능력개발 및 전문성에 도움을 주며(3.61), 자격증이 주는 신뢰도(3.45), 실무에 도움(3.41)을 제공하기 때문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장식 자격증 별 신뢰도에서는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2.80)을 제외한 모든 자격증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국내 화훼장식기사(3.44)는 유럽, 일본과 한국의 민간자격증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발전 방향을 살펴본 결과,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취업과 실무와의 연계, 실기 심사에 대한 공정성, 시험 및 평가방식의 강화 등이 자격증 발전에 필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격증 취득 시험 출제 기준 및 자격증 취득 후 국가적 복지혜택에 대한 보완이 바람직한 화훼 장식 자격증 제도의 정착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cogni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usefulness of the certificates in Korea. The 310 survey respondents included 100 floral design certificate possessors and 210 non-possessors. Both sets of respondents preferred the engineer floral design (3.27) and craftsman floral design (3.13) the most, mostly due to the confidence provided by the certificates (3.56) and their usefulness in various practices (3.43). Compared to respondents without certificates, respondents who possessed certificates did not prefer domestic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s.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the international floral design certificates (3.70) was greater than that with domestic floral design certificates (3.03) (P < 0.001), with the highest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American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 (4.03). Although many certificate possessors had domestic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s, they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domestic private certificates. Factors contributing to respondents’ levels of satisfaction onwith the certificate include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ofessionalism (3.61), reliability given by certificates (3.45), and support for the practical work (3.41). According to respondents, all certificates except for the domestic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 (2.80) were trustworthy. In particular, respondents thought the credibility of domestic engineer floral design (3.44) was higher than that of European, Japanese, and Korean private floral design certificates. This survey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the usefulness of domestic floral design certificates, including improving their connection with employment and practical work, increasing fairness in the practical test evaluation, and strengthening testing and evaluation methods needed to be considered. The survey also indicated that the criteria for the certification test and the national welfare benefits after obtaining a certificate should be reconsidered for the proper establishment of the floral design certificate system.

      • KCI등재

        Current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Floral Decoration in Pop-up Style Weddings in Korea

        Chaewon Moon,Jong Won Hong,Jongyun Kim 한국화훼학회 2020 화훼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관한 인식과 선 호도 현황을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 남녀 431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하여 대부분 (74%)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웨딩에서의 화훼장식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응답자들 은 팝업 스타일 웨딩의 장점으로 하객과의 소통이 자유롭고 공간과 인원에 따라 맞춤 웨딩이 가능하며 예비부부가 주도하 는 개성 있는 웨딩으로 인식하였으며, 단점으로는 날씨에 따 른 변수(악천후, 땡볕, 습도 등)라고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공간으로는 실내공간보다 실외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외 공간에서 모두 현대적 스타일 건 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 훼장식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기존 웨딩의 화훼장식보다 공간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예비부부가 선호하는 화훼장식의 선 택이 가능하며, 화훼장식과 어우러지는 다양한 오브제(장식 품)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 요소로는 웨딩카를 제외한 모든 화훼장식 요소를 중 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특히 웨딩 꽃길, 신부 부케, 웨딩 꽃길 입구장식이 가장 돋보여야 할 부분이라고 인식하였고, 여성이 남성보다 화훼장식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에게 폭넓은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소비자의 요구에 알맞은 디자인을 제 공하는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으로 소비자들의 웨딩 화훼 장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surveyed 431 adults in Korea to investigate the current awareness and preference of floral decorations in pop-up style weddings. The majority of survey respondents (74%) considered the pop-up style wedding positively, along with expressing the importance and need for floral decorations at the wedding. Respondents reported a number of advantages of the pop-up style wedding,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open communication with guests, customized wedding planning depending on the space and number of guests, and the ability to individualize the wedding and make it unique. However, the respondents also recognized some disadvantages to this style of wedding, and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poor weather conditions (humidity, heat, wind, etc.) was considered the major disadvantage. Respondents preferred outdoor space more than indoor space for the pop-up style wedding space, and modern-style buildings were seen as the most favorable structure both for indoor and outdoor even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pondents preferred the floral decorations of pop-up style weddings because they felt they can emphasi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 personal options for a preferred floral decoration and various objects. Respondents considered all floral design components as important except for wedding car design. In particular, wedding aisles, the bridal bouquet, and wedding aisles entrance decorations were seen as the most important parts for the floral decorations in pop-up style weddings, and the female group considered floral decoration more important than did the male group. These initial results point to the need to collect more information on floral decorations for pop-up style weddings targeting consumers with personal wedding preferences, and that customized floral decorations for pop-up style weddings would enhance the consumers’ satisfaction.

      • KCI등재

        Recent Progress on Genetic Modification in Floriculture

        Chang Ho Ahn,Pue Hee Park,Pil Man Park,Hye Ryun An,Mummadireddy Ramya,Su Young Lee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4

        화훼작물의 새로운 품종 개발과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교잡 및 돌연변이 육종과 같은 기존 기술에서 유전자변형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육종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화훼류의 유전자변형기술은 화색변형, 화형 및 형태변형, 개화시기 조절, 꽃 수명연장, 내환경성, 내병성, 내충성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의 GM 화훼류 연구는 2000년대부터 진행되었고, 현재는 장미, 국화, 카네이션, 페튜니아 등을 대상으로 형질전환체를 개발하고 있다. 호주의 Florigene사에서 개발한 푸른 카네이션이 상업화되면서 일본 SUNTORY사 의 파란색 장미 그리고 호주 Florigene사의 시들지 않는 카네이션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더 많은 품종 개발과 판매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GM 화훼작물에 대한 연구성과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생명 공학 기술을 기반으로 형질이 우수하고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새로운 화훼 신품종 개발로 수출확대를 도모함으로써 농가 소득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보고에서는 국내외에 최근 보고된 GM 화훼작물의 형질전환체 연구개발 성공 사례들을 소개하고, 그 요인 분석을 통해 향후 더 성공적인 GM 화훼작물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Plant transformation technology (or genetic modification), along with breeding techniques such as cross-breeding and mutation breeding, has been widely used for breeding new varieties and enhancing the characteristics of floricultural plants. In particular, genetically modified (GM) floriculture has been developed for modified characteristics such as floral color, pigmentation, stress tolerance, disease resistance, and fragrance. In South Korea, studies on GM floriculture have been under progress since the 2000s, and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 projects involving GM floriculture. In the global flower market, a mauve-colored carnation called “MoondustTM” was first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by the Australian biotechnology company Florigene, and a blue rose called “APPLAUSETM” was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by the Japanese company SUNTORY. Furthermore, new varieties of GM floriculture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and international trade in ornamental plant materials has grown. Given the rapid increase of studies on GM floriculture and the growing global market for GM ornamental plants, biotechnology may be used to increase farm household income by developing new ornamental varieties that have superior characteristics and match consumer preferences. In t his review, we summarize t he r esearch on G M ornamental plants during the last four years. This information will help in establishing more successful strategies for developing GM floriculture. Moreover, this report will facilitate the breeding of new and improved varieties with modified growth rates and superior product quality, including changes in flower color, fragrance, and stress tolerance.

      • KCI등재

        GM 화훼작물의 최근 연구 동향

        안창호,박부희,안혜련,뮤라마디 레디 람야,이수영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4

        Plant transformation technology (or genetic modification), along with breeding techniques such as cross-breeding and mutation breeding, has been widely used for breeding new varieties and enhancing the characteristics of floricultural plants. In particular, genetically modified (GM) floriculture has been developed for modified characteristics such as floral color, pigmentation, stress tolerance, disease resistance, and fragrance. In South Korea, studies on GM floriculture have been under progress since the 2000s, and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 projects involving GM floriculture. In the global flower market, a mauve-colored carnation called “MoondustTM” was first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by the Australian biotechnology company Florigene, and a blue rose called “APPLAUSETM” was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by the Japanese company SUNTORY. Furthermore, new varieties of GM floriculture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and international trade in ornamental plant materials has grown. Given the rapid increase of studies on GM floriculture and the growing global market for GM ornamental plants, biotechnology may be used to increase farm household income by developing new ornamental varieties that have superior characteristics and match consumer preference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research on GM ornamental plants during the last four years. This information will help in establishing more successful strategies for developing GM floriculture. Moreover, this report will facilitate the breeding of new and improved varieties with modified growth rates and superior product quality, including changes in flower color, fragrance, and stress tolerance. 화훼작물의 새로운 품종 개발과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교잡 및 돌연변이 육종과 같은 기존 기술에서 유전자변형기술에 이 르기까지 다양한 육종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화훼류 의 유전자변형기술은 화색변형, 화형 및 형태변형, 개화시기 조절, 꽃 수명연장, 내환경성, 내병성, 내충성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의 GM 화훼류 연구는 2000년대부 터 진행되었고, 현재는 장미, 국화, 카네이션, 페튜니아 등을 대상으로 형질전환체를 개발하고 있다. 호주의 Florigene사에 서 개발한 푸른 카네이션이 상업화되면서 일본 SUNTORY사 의 파란색 장미 그리고 호주 Florigene사의 시들지 않는 카네 이션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더 많은 품종 개발과 판 매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GM 화훼작물에 대한 연구성과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생명 공학 기술을 기반으로 형질이 우수하고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 은 새로운 화훼 신품종 개발로 수출확대를 도모함으로써 농가 소득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보고에서는 국내외에 최근 보고된 GM 화훼작물의 형질전환체 연구개발 성공 사례들을 소개하고, 그 요인 분석을 통해 향후 더 성공적 인 GM 화훼작물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Flower Color and Scent: How to Regulate the Flower Color and Fragrance in Ornamentals?

        Eun-ah Joh,Ha-seung Pak,Geung-Joo Lee 한국화훼학회 2020 화훼연구 Vol.28 No.4

        화훼류 중 절화류의 화색과 향기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주 요한 육종 목표로써 인지되어 왔다. 최근 다양한 소비자 계층이 증가하면서 파란색 장미, 카네이션 등과 같은 특이화색이 라든지, 독특한 향기를 갖고 있거나 그 강도를 조절하고자 하 는 연구방향 또한 다양해졌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으로 수 행하고 있는 교배방식으로는 특정 목표형질을 가진 품종을 개 발하기란 쉽지가 않다. 그래서 화색과 향기와 관련한 형질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공학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다방면의 연구 가 진행되어 왔다. 이는 화색과 향기의 관련 식물 대사산물을 생산 하는 것을 비롯하여 유전공학적인 방법으로 조절하는 방 식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많은 예 중에 화훼작물의 화색 과 향기를 조절한 성공한 사례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우리 가 원하는 방향에 가까운 화색과 향기의 특정 형질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하였고, 이러한 것들은 잘 응용하여 추후 좀 더 많은 화색과 향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diverse ornamentals, flower color and fragrance traits have been recognized as major attractive elements in plant breeding purposes. Many consumers want more specific things such as blue rose and carnation in color and unique smell in fragrance. However, these are impossible to develop by traditional breeding tools without available genetic resources carrying these alleles. We studied broad technological methods that have been used to control the multiple traits with regards to flower color and fragrance production. Phytochemicals related to color and fragrance are produced by epigenetic regulation and various genetic factors in the biosynthesis pathways.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different knowledge about the components biosynthesis pathway and how to control them to make wide ranges of flower color or fragrance. More research outcomes for improving flower color or fragrance through various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future are thought to be reported.

      • KCI등재

        절화 화훼상품 사진 이미지 유형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 및 구매인식 - 이미지 기반 SNS(인스타그램)를 중심으로

        서상은,홍종원,김종윤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4

        This study surveyed 311 adult consumers in Korea to investigate their preferences and purchase perceptions of floral products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market. Th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favored purchasing a floral product via SNS mainly because the products were trendy in design, with a significantly high score among those in their 20s. Among the age groups, th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und the prices of floral products sold via SNS less reasonable than the consumers in their 40s. Those who were in their 50s or older showed lower confidence in the quality of floral products and freshness of flowers sold via SNS. The consumers said that the picture images of the floral products posted on SNS helped guide their choices, illustrating consumers’ positive views of the images of floral products on SNS. Although the consumers were aware that the floral product images were retouched, they tended to assume that the actual products would be similar to the posted picture images. As for the impact of image characteristics on the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of floral produc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pondents attached considerable importance to the overall atmosphere. The preferred backgrounds of the floral product images slightly varied between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 products. As for the composition preferences of images, most consumers preferred images that were taken from the front, for both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s. The consumers preferred bright images, with high chroma in color, whereas they disliked images with low brightness. Based on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consumers used favorable terms, such as abundant, refined, high-class, and elegant, to describe bright images, regardless of color saturation. In contrast, dark images were generally perceived more negatively. Although the consumers’ preferences and emotional responses to picture images of floral products vari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omposition, and retouching effects of the imag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responses among different genders, age brackets, and vocational groups. Overall, when marketing floral products through SNS, product information with images appealing to consumers’ preferences would support their purchase decisions.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화훼상품 구 매인식과 화훼상품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 녀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SNS를통해 화훼상품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을 판매하기 때문이며, 해당 항목에 대하여 20대가 가 장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20대와 30대의 응답자는 40대에 비해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가격이 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였으며, 50대 이상의 연령에서는 SNS 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품질과 꽃의 신선도에 대해 낮게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SNS에 게시된 화훼 상품의 이미지가 구매할 상품 선택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인 식하였으며, SNS상의 화훼상품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훼상품의 이미지가 보정효 과로 다듬어진 것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실제 상품과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훼상품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특성으로는 전체적인 분위기가 가장 중요하 다고 인식하였으며, 절화 화훼상품 이미지에서 꽃다발과 꽃바 구니 화훼상품에 따라 선호하는 배경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구도에 따른 선호도는 꽃다발과 꽃바구니 모두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이미지 보정에 대한 선 호도에서는 밝은 느낌의 채도가 높은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 보정효과에 대한 감성인식을 의미변별척 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따라 조사한 결과, 채도에상관없이 밝은 느낌의 이미지는 ‘풍부한’, ‘세련된’, ‘고급스러 운’, ‘기품 있는’과 같이 긍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의 배 경, 구도, 보정효과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와 감성반응에 차 이가 나타났으나, 소비자의 성별, 연령 및 직업 특성에 따른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 를 구축하여 SNS를 통한 화훼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들 의 구매상품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Consumer Preferences and Purchase Perceptions by the Picture Image Types of Floral Products - Focused on Image-Based SNS (Instagram)

        Sangeun Seo,Jong Won Hong,Jongyun Kim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화훼상품 구매인식과 화훼상품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SNS를 통해 화훼상품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을 판매하기 때문이며, 해당 항목에 대하여 20대가 가장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20대와 30대의 응답자는 40대에 비해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가격이 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였으며, 50대 이상의 연령에서는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품질과 꽃의 신선도에 대해 낮게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SNS에 게시된 화훼 상품의 이미지가 구매할 상품 선택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으며, SNS상의 화훼상품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훼상품의 이미지가 보정효과로 다듬어진 것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실제 상품과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훼상품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특성으로는 전체적인 분위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절화 화훼상품 이미지에서 꽃다발과 꽃바구니 화훼상품에 따라 선호하는 배경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구도에 따른 선호도는 꽃다발과 꽃바구니 모두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이미지 보정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밝은 느낌의 채도가 높은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 보정효과에 대한 감성인식을 의미변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따라 조사한 결과, 채도에 상관없이 밝은 느낌의 이미지는 ‘풍부한’, ‘세련된’, ‘고급스러운’, ‘기품 있는’과 같이 긍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의 배경, 구도, 보정효과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와 감성반응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소비자의 성별, 연령 및 직업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를 구축하여 SNS를 통한 화훼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구매상품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surveyed 311 adult consumers in Korea to investigate their preferences and purchase perceptions of floral products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market. Th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favored purchasing a floral product via SNS mainly because the products were trendy in design, with a significantly high score among those in t heir 20s. Among the a ge g roups, th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und the prices of floral products sold via SNS less reasonable than the consumers in their 40s. Those who were in their 50s or older showed lower confidence in the quality of floral products and freshness of flowers sold via SNS. The consumers said that the picture images of the floral products posted on SNS helped guide their choices, illustrating consumers’ positive views of the images of f loral products on SNS. Although the consumers were aware that the floral product images were retouched, they tended to assume that the actual products would be s imilar to the posted p icture images. As for the impact of image characteristics on the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of floral produc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pondents attached considerable importance to the overall atmosphere. The preferred backgrounds of the f loral product images slightly varied between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 products. As for the composition preferences of images, most consumers preferred images that were taken from the front, for both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s. The consumers preferred bright images, with high chroma in color, whereas they disliked images with low brightness. Based on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consumers used favorable terms, such as abundant, refined, high-class, and elegant, to describe bright images, regardless of color saturation. In contrast, dark images were generally perceived more negatively. Although the consumers’ preferences and emotional responses to picture images of floral products vari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omposition, and retouching effects of the imag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responses among different genders, age brackets, and vocational g roups. Overall, w hen marketing floral products through SNS, product information with images appealing to consumers’ preferences would support their purchase decisions.

      • KCI등재

        GM 화훼작물 연구의 최근 동향

        김소영,권오현,이혜진,유봉식,이수영 한국화훼학회 2015 화훼연구 Vol.23 No.3

        유전자변형기술은 어떤 생물이 가지고 있는 유용한 유전자를 다른 생물에 삽입하여 새로운 형질을 더하는 기술이다. 화훼작물에 있어서 기존 교잡육종 기술에 의해서 개발되기 어려운 형질의 도입이나 개발 후 부가가치창출이 큰 특성을 지닌 새로운 품종 개발을 목적으로 유전자변형기술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화훼작물에의 유전자변형에 관해서는 식품에의 유전자변형보다는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국내외에서 화색, 화형 및 형태변형, 왜화성, 콤팩트성, 개화시기, 꽃 수명연장, 환경정화, 내병성, 내충성, 내환경성등의 유전자 변형 화훼작물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화색은 화훼작물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주요화훼작물인 장미, 카네이션, 국화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체에서 화색을 변형시킨 유전자변형작물이 개발되고 있다. 호주의 Florigene사에서 개발한 푸른 카네이션 「문 더스트(Moon dust)」가 1997년부터 판매 개시된 이후 8품종이 2015년 현재 세계 각지에서 판매를 하고 있으며, 화색 변형 카네이션에 이어 2009년 11월에는 일본의SUNTORY사에서 블루 장미 형질전환 품종 ‘APPLAUSETM’를 상업화하였다. 2013년부터 국내 화훼작물 형질전환체 개발 연구 결과가 결실을 맺고 있는 즈음, 본 보고에서는 국내외에 최근보고된 GM화훼작물의 표현형 변화를 정리하여 새로운 형질전환식물의 개발의 가능성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Genetic engineering, also known as geneticmodification, refers to technologies such as molecularcloning of genes, gene transfer, genetic manipulation ofanimal, and plant embryo transfer. For last 20 years, manygenes of potential commercial interest have been identifiedand characterized. Techniques for plant transformation, suchas utiliz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and efficient method toselect transgenic plants have been used to develop manyfloriculture crops and ornamentals, and genetic modification isoffering unprecedented opportunities for increasing agriculturalproductivity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rough reducedagrochemical use in agriculture. In floricultural plants, flowercol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s. Themodification of flower color has been the most commonapplication of the tool of genetic modification in flower species.Australian biotechnology company Florigene has developed anew mauve colored carnation called “Moondust”, and a totalof eight varieties called Moon series have been successfullymarketed. Japanese company SUNTORY has succeeded increating blue roses by implanting gene that synthesizes bluepigment Delphinidin in pansies. Other features that havereceived attention are flower fragrance, flower and plantmorphology, senescence of flowers both on the plant andafter harvest, and postharvest disease-resistance. However,there still are many difficulties in efficiently transformingflower species, and further improvement in techniques isessential to obtain transgenic floricultural crops ofcommercial value. This paper provides a summary ofrecent reports on phenotypic modification achieved in GM floriculture crops, to aid commencement of novel genetic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transgenic plantsexpressing various phenotypes.

      • KCI등재

        GM 화훼작물 연구의 최근 동향

        김소영,권오현,이혜진,유봉식,이수영 한국화훼학회 2015 화훼연구 Vol.23 No.3

        Genetic engineering, also known as genetic modification, refers to technologies such as molecular cloning of genes, gene transfer, genetic manipulation of animal, and plant embryo transfer. For last 20 years, many genes of potential commercial interest have been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Techniques for plant transformation, such as utiliz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and efficient method to select transgenic plants have been used to develop many floriculture crops and ornamentals, and genetic modification is offering unprecedented opportunities for increas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rough reduced agrochemical use in agriculture. In floricultural plants, flower col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s. The modification of flower color has been the most common application of the tool of genetic modification in flower species. Australian biotechnology company Florigene has developed a new mauve colored carnation called “Moondust”, and a total of eight varieties called Moon series have been successfully marketed. Japanese company SUNTORY has succeeded in creating blue roses by implanting gene that synthesizes blue pigment Delphinidin in pansies. Other features that have received attention are flower fragrance, flower and plant morphology, senescence of flowers both on the plant and after harvest, and postharvest disease-resistance. However, there still are many difficulties in efficiently transforming flower species, and further improvement in techniques is essential to obtain transgenic floricultural crops of commercial value. This paper provides a summary of recent reports on phenotypic modification achieved in GM floriculture crops, to aid commencement of novel genetic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various phenotypes. 유전자변형기술은 어떤 생물이 가지고 있는 유용한 유전자를 다른 생물에 삽입하여 새로운 형질을 더하는 기술이다. 화훼작물에 있어서 기존 교잡육종 기술에 의해서 개발되기 어려운 형질의 도입이나 개발 후 부가가치 창출이 큰 특성을 지닌 새로운 품종 개발을 목적으로 유전자변형기술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화훼작물에의 유전자변형에 관해서는 식품에의 유전자변형보다는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국내외에서 화색, 화형 및 형태변형, 왜화성, 콤팩트성, 개화시기, 꽃 수명연장, 환경정화, 내병성, 내충성, 내환경성등의 유전자 변형 화훼작물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화색은 화훼작물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주요화훼작물인 장미, 카네이션, 국화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체에서 화색을 변형시킨 유전자변형작물이 개발되고 있다. 호주의 Florigene사에서 개발한 푸른 카네이션 「문 더스트(Moon dust)」가 1997년부터 판매 개시된 이후 8 품종이 2015년 현재 세계 각지에서 판매를 하고 있으며, 화색 변형 카네이션에 이어 2009년 11월에는 일본의SUNTORY사에서 블루 장미 형질전환 품종 ‘APPLAUSETM’ 를 상업화하였다. 2013년부터 국내 화훼작물 형질전환체 개발 연구 결과가 결실을 맺고 있는 즈음, 본 보고에서는 국내외에 최근보고된 GM화훼작물의 표현형 변화를 정리하여 새로운 형질전환식물의 개발의 가능성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