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한언어민 화자에 있어서 첫만남 대화의 특징 -화제개시부를 증심으로-

        쿠라모치카오루 ( Kaoru Kuramoc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7 No.1

        본 연구는 일.한 모국어 화자 수업의 첫 만남에서 일어난 대화 데이터를 일본인 남자 3조 6명, 한국인 남자 4조 8명 총14명을 수집해서 첫 만남의 화제 개시부에 초점을 맞춰서 화제도입의 패턴과 발화 기능을 관련시켜서 비교.분석한것이다. 그 결과 화제도입 패턴은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즉시적인 개시가 47%로서,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하거나 대화 상대의 도입 발화를 받아서 즉시 그 화제에 관련된 것을 구체적으로 말하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일본어 모국어 화자보다 화제의 전환이 빨랐고, 공통화제에 대해서 양쪽 의견이나 설명을 구체적으로 교환하기 위해서 화제 하나하나에 걸리는 시간이 길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관련 화제를 전환하면서 한쪽 사람이 말하기 또는 양쪽으로 의견을 말한다는 화제 전개 strategy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또한, 일본어 모국어 화자는 화제도입의 패턴은 점차적인 개시의 상호형이 70%를 차지해서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발화자 양쪽 모두 질문과 대답을 적절하게 하면서, 맞장구, 시간적인 사이 등 화자 교체를 빈번하게 하면서 회화를 진행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과 발화기능을 관련시켜보면 일본어 모국어 화자는 첫 만남 회화에 있어서 자신의 의견이나 상황을 구체적으로 말하기 보다는 자발적으로 나왔던 정보나 상태의 상황에 대해서 의견을 적극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소감을 말하고 상대를 칭찬하거나 상대와 비교해서 자신을 반성하는 등의 평가를 하는 것으로 서로의 거리를 좁히는 화제 전개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project examines the functions of speech and topic introduction patterns using the compiled data from conversations between native Japanese and Korean speakers.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showed four characteristics among Korean speakers: 1) the topic introduction patterns of native Korean speakers 47% of the time comprised immediate opening topics, 2) there was a tendency to speak about oneself and immediately enter into a conversation regarding a specific topic, following a leading expression by the conversational partner, 3) native Korean speakers changed topics sooner than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4) when topics were of common interest to both speaker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was spent to allow both speakers to share their opinions and explan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uring the course of conversation through related topics, the conversational strategy of native Korean speakers generally involves either a conversation by one speaker or the mutual sharing of opinions by both parties. Conversely, the topic introduction patterns of native Japanese speakers included a gradual and reciprocal style 70% of the time, which is a finding corroborated by prior research. Relating this finding to the functions of speech,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conversing at their first meeting,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ing conversation by sharing specific details about themselves, providing their opinions, or describing their circumstances are atypical. Instead, there is a tendency to develop conversation in a manner that bridge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peakers, not by proactively expressing opinions, but by simply sharing impressions, praising the other person, or reflecting on oneself in response to information that spontaneously arises during the course of conversation.

      • KCI등재

        담화화제에 있어서의 한일대조연구 - 화제선택과 도입 및 전개를 중심으로 -

        김은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학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첫 만남의 실제 대화를 대상으로담화화제의 선택 및 도입과 전개방식에 대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공손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담화화제 선택에 있어서는 한국어와 일본어 모두 학교와 학업에 대한화제 선택이 현저하게 많이 보였는데 이것은 적극적 공손전략 중 청자에게 관심을 강화하는 전략과 서로 일치점을 찾는 전략의 사용으로 볼수 있다. 그러나 프라이버시에 관한 화제의 선택에 대해서는 한국어대화에서는 적극적 공손전략의 사용이, 일본어대화에서는 소극적 공손전략이 사용되고 있었다. 담화화제의 도입에 대해서도 일본어대화에서 화제도입문의 화계(중도종료형발화)와 담화표지의 사용이 한국어대화보다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소극적 공손전략으로 볼 수 있다. 담화화제의 전개방식은 한국어(58%)와 일본어(84%) 모두 적극적 공손전략에 해당하는 상호형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한국어대화에서는 확인질문연쇄형과 일방형의 비율도 일본어대화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담화화제 선택과 도입 및 전개방식에대한 경향을 실제 대화에서 조사하여 폭넓은 구어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한국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study seeks to determine an applicable method in Korean education by reviewing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eness theory, how discourse topics in the natural conversations of both Koreans and Japanese are chosen and developed when they first meet. Topics such as university life and university major were mostly chosen in both cases, and these choices can be interpreted as indicative of a positive politeness strategy, that is “intensify interest to H” and “seek agreement”. However, when topics were related to privacy, Koreans tended to use a positive politeness strategy, that is “assert common ground”, while Japanese tended to use a negative politeness strategy, that is “minimize the imposition”. Additionally, it was shown that non marked utterances and dicourse marker in topic initiation were used more in Japanese conversation than Korean conversation. This could also be interpreted as a negative politeness strategy. When it comes to topic development, however, both Koreans and Japanese were shown to have a high rate of interactive type.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various natural spoken language materials and also provides evidence that contributes to Korean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selection,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discourse topics in the natural conversations of both Korean and Japanese.

      • KCI등재

        화제 첫머리에 분포하는 담화표지의 실제

        강소영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79 No.-

        본고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목적상 사용이 잦을 수밖에 없는 담화표지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화제의 첫머리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첫 마디는 순서교대만이 아니라 화제의 전개, 청자와의 호응 등 대화의 흐름을 유연하게 이어줄 수 있는 전략적 장소이며, 따라서 메시지의 원활한 전달을 의미기능으로 갖는 담화표지의 잦은 출현이 예상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예측한대로, 화제가 바뀌는 지점 212회 중에서 담화표지는 150회(71%)를 차지할 만큼 많이 등장하여,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화자의 태도가 대화 곳곳에 숨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담화표지의 분포를 살피기 위해, 우선 오락프로그램의 특성에 맞추어 화제의 구조를 '시작(재시작)-전개(심화, 일탈, 복귀)-종결(小화제의 마무리)'로 나누어, 각기 시작의 첫머리에 쓰인 담화표지의 사용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화제의 시작은 '자' '아니' '아'의 순서로 분포하였고, 화제심화는 '근데' '아' '아니'가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니 근데'와 '아니'는 화제일탈과 화제복귀에 주로 사용되어, '아니'의 [선행화제의 연속성 부정]의 의미기능이 이들의 사용에 지배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화제의 마무리는 '네'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프로그램의 종결은 별다른 표지 없이 진행되는 것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TV 오락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화제의 구조화를 시도하였고, 화제의 구조 속에서 갖는 담화표지의 기능을 점검하였다. 향후 다양한 자료를 대상으로 대화구조를 체계화하고 그 안에서 담화표지의 사용양상을 살펴, 이의 지배원리를 밝히는 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With focus on those discourse markers that are supposed to be frequently used for the sake of efficient communi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and analyzes how they are used in front of topics. A first utterance part is a strategic place in which not only alternation occurs but also the flow of the dialogue is smoothly continued including the unfolding of the topic and correspondence with the addressee, and hence frequent occurrence of discourse markers with smooth delivery of messages as their semantic function is expected. As is expected, discourse markers occur so frequently that of the 212 points of topic shift in total, 150 points have shown their occurrence (71%). In order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the discourse markers more specifically, I have investigated aspects of their use in front, with the structure of topic taken to consist of 'beginning (resuming) - unfolding (deepening, deviating, returning) - finishing (finish of a small topic)'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entertainment programs first of all. As a result, we can tell that ja, ani, and a have occurred in the beginnings of topics in that order, and geunde, a, and ani have been frequently used in topic deepening. Also, given the fact that ani geunde and ani have been used mainly in deviating and returning, we can tell that the semantic function of ani, [negation of the preceding topic's continuity] is prevailing in their usage. Lastly, topic finishing has been frequently expressed with ne, and it has been also observed that program ending is done without particular markers. It seems necessary in future to systemize dialogue structures with various data, and examine aspects of discourse markers' usages to explicate principles governing their use.

      • KCI등재

        화제 표지 ‘은/는’의 담화적 기능과 교육 방안

        서정숙(Seo, Jeong-suk)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6 No.-

        담화는 궁극적인 의미를 지향하는 여러 문장의 구조물로서 일정한 정보적 흐름을 이루며 결속된다. 담화를 이루는 문장들은 명제적인 의미 외에 일정한 정보 구조를 이루는데 화제는 문장의 정보 구조와 관련을 맺는다. 화제는 담화 맥락에 공유되어 기지 정보를 이루는 것으로서 발화자 및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적 판단에 의해 선정되며 전개될 담화의 영역을 설정할 뿐만 아니라 선행절과 후행절의 결속기제로도 기능한다. 국어에서 화제는 생략되기도 하고 실현되기도 하는데 화제가 실현될 때는 화제 표지 ‘은/는’이 동반된다. 화제 표지 ‘은/는’은 담화의 도입부에서 선행 명사구를 중심으로 담화가 전개될 때, 담화의 전개 과정에서 화제가 선행명사구로 전환될 때 실현되며 화제는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담화를 결속시키는 응집 장치로 기능한다. 담화 응집 장치로서의 화제 표지 ‘은/는’은 한국어 교육의 초기 단계에 학습이 이루어지지만 고급에 이르기까지 높은 오류율을 보이는데 화제 표지 ‘은/는’의 정확한 사용을 위해서는 화제의 개념과 화제의 전개 방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화제 표지 실현의 담화 조건에 대한 교수학습 및 다양한 연습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반복 및 확장을 통해 ‘은/는’의 통합적 기능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Discourse is a structure of several sentences comprising a regular informational stream and aiming for eventual significance. The sentences that comprise a discourse form a regular information structure besides having propositional significance; however, the topic becomes involved with the informational structure of the sentences. Topic forms the base information by being shared in the narrative context, which is selected by the intentional determination of the speaker and the text producer functioning to unite the precedent sentence and the following sentence besides selecting the area of discourse to be developed later. Topic is either omitted or embodied in Korean; when a topic is embodied, the topic marker “un/nun” accompanies the topic. Topic marker “un/nun” is embodied when the topic is transferred to the precedent noun phrase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when the discourse is developed mainly with the precedent noun phrase in the introduction of the discourse. Accordingly, the topic is developed to its various aspects and the topic marker functions as a cohesive device that consolidates the dis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use of topic marker “un/nun” as discourse-cohesive device is learnt in the initial stages; however, there is a high degree of error seen up to the level of advanced classes as the exact use of topic marker “un/nun” requires precedence of concept and condition of topic and an understanding of topic development. In addition, teaching and learning discourse conditions for topic marker embodiment and various practice activities are also required to understand its function thoroughly. Furthermore, learning the integrated functions of “un/nun” needs practice through repetition and extension.

      • KCI등재

        체코어의 좌향전위와 지시대명사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3

        체코어는 기본적으로 SVO라는 무표적 어순의 언어이지만, 화제-초점 분(Topic-Focus Articulation)이라는 담화 형상성(discourse configurational language)이 지배적인 언어이다: 문장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구조적 위치가 고유화제(proper topic), 대조화제(contrastive topic), 초점 (focus)이라는 특정한 담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체코어 어순의 지배적 원리로 잘 알려진 소위 ‘기능문장관점(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에 따르면 화제는 단순히 발화구조에서 초점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해석되는데 이러한 전통적인 이분법으로는 체코어 담화구조의 좌측에 나타나는 화제화를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본고는 체코어 담화의 좌측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언어 요소들의 화 제 자질을 점검하고자 [Spec, IP]을 전형적인 화제의 위치로 설정하고 전통적 개념의 화제를 세분화하여 좌측 가장자리가 화제만을 위한 절대적인 제약은 아니라는 주장을 하고자 한다. 본고는 또한 대용어 기능을 지닌 체코어의 지시대명사가 선행사와 지시적 결속관계의 유무에 따라 좌향전위 요소들의 화제성 자질 점검이 가능하며 동지시 관계에 있는 선행사는 절의화제가 될 수 없음을 밝힐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선형적 배열의 개념보다는 구조적 위치(Structural position)라는 다른 관점에서의 접근이 협의의 화제를 정의하는 데 유의미한 논의를 제공한다고 판단한다. Czech linguists have long argued that Czech is assumed to be sensitive to Topic-Focus Articulation. According to such a traditional dichotomy of discourse, topic has been defined as the rests that do not belong to Focus. This kind of approach, however, hardly explains Czech topicalization of the left periphery of the Czech discourse structure. This paper tries to work towards a narrower definition of Czech topic, subdividing the types of topic such as proper topic, continuing topic, contrastive topic and focus. Assuming that the preposed [Spec, IP] is the structural position typical for topics, I try to analyze the clos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topic and distributional constrai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paper certain diagnostics are necessary. Following Comrie(1997), I suggest that demonstrative pronouns in Czech require that their antecedents be non-topical and argue that elements which are not able to antecede a demonstrative pronoun in Czech are topical. Identifying the structural position of Czech topic, a disjunctive definition of topic can be proposed for Czech.

      • KCI등재

        논어 화제구의 해석과 교육(1) - ‘활동(DO)’ 사건의미 표시구의 예를 중심으로

        김종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中國硏究 Vol.79 No.-

        The Chinese language is a topic-prominent language and the ancient form of the language is not an exception. This literature examines the theta roles and cases of the arguments by setting sentence structures regarding ‘TopP’, which marks the eventuality meaning of ‘DO’,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1. Like the contemporary Chinese, ancient Chinese has two topic types; one is a base-generated topic(so called dangling topic) and the other is a topic generated by the interior movement in the TP. 2. The sentence structure of TopP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marks the eventuality meaning of ‘DO’ can b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which are: T+S+V+O’, ‘T+ES+V+EO’, ‘T+ES+V+EO’, ‘T+S+V+EC’, ‘T+ES+V+C’, ‘T+ES+V+O+C’, ‘T+S+V+EO+C’. 3. The predicate(V-v) of TopP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marks the eventuality meaning of ‘DO’ has a meaning characteristics of [+ will] and [+ progressive]. 4. The subject of TopP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marks the eventuality meaning of ‘DO’ is assigned a thematic role of an <agent>, and the object is assigned a thematic role of a <theme>. 5. The complement of TopP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marks the eventuality meaning of ‘DO’ is composed of overt preposition head and its complements, which receives diverse thematic roles from the preposition. However, it does not have a direct selective relationship but an indirect relationship with the main verb of the sentence. 6. Every argument, which is the subject, object, complement, and adverb, of TopP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marks the eventuality meaning of ‘DO’ can theoretically be moved in front of the subject and be topicalized. 7. The topic phrase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marks the eventuality meaning of ‘DO’ is derived in the order of predicate(V-v), object, complement, adjunct, subject, and topic, but when interpreting it in Korean it is in inverse order, which is in the order of topic, subject, adjunct, complement, object and predicate(V-v). 주지하듯 중국어는 화제가 두드러진 언어이다. 이는 상고중국어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본고는 생성문법 최소주의의 경동사 이론의 핵심인 ‘사건의미의 표현’이라는 관점에서, 특히 ‘활동(DO)’ 사건의미를 표시하는 『논어』 화제구(TopP)에 대해 일정한 문형을 설정하여 화제의 도출 양상과 그 때 논항들이 보이는 의미역(theta role)과 격(case)등을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대중국어와 마찬가지로 고대중국어 화제도 기저생성(base generated)된 것과 문장(TP)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생성된 두 종류가 있다. 2. ‘활동(DO)’ 사건의미를 표시하는 『논어』 화제구(TopP)의 문형은 ‘T+S+V+O’, ‘T+ES+V+EO’, ‘T+ES+V+EO’, ‘T+S+V+EC’, ‘T+ES+V+C’, ‘T+ES+V+O+C’, ‘T+S+V+EO+C’ 등 총 7개로 나눌 수 있다. 3. ‘활동(DO)’ 사건의미를 표시하는 『논어』 화제구(TopP)의 술어(V-v)는 [+ 의지]와 [+ 진행]의 의미특징을 가진다. 4. ‘활동(DO)’ 사건의미를 표시하는 『논어』 화제구의 주어는 <행위자(agent)> 의미역을, 목적어는 <대상자(theme)> 의미역을 할당받는다. 5. ‘활동(DO)’ 사건의미를 표시하는 『논어』 화제구의 보어(C)는 명시적인 전치사핵과 그 보충어로 구성되며, 전치사에 의해 다양한 의미역을 받는다. 그러나 문장의 본동사와는 직접적인 선택관계가 아닌 간접적인 관계를 가진다. 6. ‘활동(DO)’ 사건의미를 표시하는 『논어』 구의 모든 논항, 즉, 주어, 목적어, 보어, 부사어 속의 논항(argument)들은 이론상 모두 주어 앞으로 이동하여 화제화할 수 있다. 7. ‘활동(DO)’ 사건의미를 표시하는 『논어』 화제구 도출은 ‘술어(V-v)→목적어(O)→보어(C)→[부가어(Adjunct)]→주어(S)→화제(T)’의 순서이지만, 한국어로의 해석 순서는 그 역순, 즉 ‘화제→주어→[부가어]→보어→목적어→술어’순이다.

      • KCI등재

        본격적인 화제 전환을 위한 담화 표지 연구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를 중심으로-

        노은희 ( Eun Hee Noh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0

        본 연구는 대화의 국면 변화와 화제의 전환 지점에서 불완전한 결속을 보완하기 위해 참여자들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담화 표지 가운데,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를 중심으로 화제 전환 양상을 살펴보았다. 화제 전환을 위한 담화 표지는 화제 전환 지점을 중심으로 그 전후에서 발생한다. 화제 전환은 이전 화제를 마무리하거나 새로운 화제를 도입함을 표시함으로써 그 양상을 드러낼 수 있으며, 그것을 복합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화제 전환이 급격할수록, 화제 전환의 의도가 분명할수록 화자는 분명히 이를 상대에게 명시적으로 알려 주어야 한다. 이때 화자는 감탄사, 접속어, 간투사 같은 간단한 미시 표지보다 비교적 형식이 긴 전환 표지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그 동안 담화 표지로서 조명 받지 못한 ``다름 아니라``와 ``그건 그렇고``와 같이 구 형태의 거시 표지에 주목하였다.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는 여타 화제 전환의 담화 표지와 비교하여 그 쓰임에 있어서 차별적인 양상을 드러낸다. 이 두 담화 표지는 각각 화제의 마무리와 도입을 표시하지만 동시에 화제 전환에 공통적으로 기여하는데, 특징적으로 새로운 화제로의 전환 의도를 강력히 보여주면서 그 화제는 화자가 본격적으로 언급하고 싶어 하는 것임을 전달한다. 이와 함께 화자는 ``다름 아니라``를 통해 시간을 지연하여 다음 화제에 대한 청자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새로운 화제로 초점화하는 효과를 복합적으로 거둘 수 있는데, ``그건 그렇고``는 화제의 마무리를 강조하며 화제 전환을 유도하기 때문에 화제 도입을 통한 ``다름아니라`` 보다 청자와의 교섭적 양상이 잘 드러나지 않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밖에, 화제의 마무리를 표시하며 화제 전환을 이끄는 담화 표지로 ``각설하고``를 더불어 고찰하였다. 이러한 담화 표지의 전략적 사용에 대한 이해는 화법 교육에 유용한 이론적 자원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that ``tareumanira(다름 아니라)`` and ``keugeongeureuhko(그건 그렇고)`` function as discourse markers in conversation. Since discourse markers express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s and the intention of utterance, ``tareumanira`` and ``keugeongeureuhko`` play a role in reducing discord in conversation and letting listener know speaker`s intention. Especially they signal that speaker wants to change the topic and that a new topic is what speaker really wants to communicate with listener. When context shift and topic change are fast and sudden, speaker should let listener follow the conversation. At this time, ``tareumanira`` and ``keugeongeureuhko`` indicate context shift and topic change, playing a role in leading smooth conversations as discourse strategies. The discourse functions of these makers, including mitigation of losing face, focusing are examined along with examples in TV drama conversation. ``Kakseolhago(각설하고)`` is similar in the discourse func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course markers of topic change in convers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shall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specific and systematic education of discourse markers, which can be utilized in an actual field of speaking-listening education, and that research on this area will be done more vigorously in future.

      • KCI등재

        신HSK 4급~6급 기출문제의 중국관련 화제 분석

        박경송(Park Kyengsong),임춘영(Lim Ch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중국어 평가와 교수학습에서 다루어야 할 최신 중국관련 화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HSK考試大綱(2015)』의 ‘화제요목’을 기준으로 4급∼6급 기출문제에 보이는 중국 관련 정보와 지식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화제 요목’ 대부분의 범주에서 중국적 화제를 찾을 수 있었다. 이를 문항수의 비중을 기준으로 3순위까지 분류하면, 4급은 문화>일상생활>문학예술, 5급은 문학예술>일상생활>문화, 6급은 문화>문학예술>자연의 순으로 나타났다. 4급의 중국적 화제는 중국개황에서 일반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이었다. 5급의 중국적 화제는 다양하고 심도 있는 정보와 지식 위주로, 물질문화 외에 정신적 문화 내용이 많은 편이었다. 6급의 중국적 화제는 특정하고 전문적인 정보와 지식 위주로, 대학의 중국어 교과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다루지 않는 화제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준별 평가를 통해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과 교재편찬에 필요한 중국적 화제 범주와 항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d China-related topics that appeared in the questions from the New HSK level 4-6 tests based on the topic syllabus of 『New HSK Outline(2015)』 with the aim of identifying what Chinese culture should be addressed in the evalu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Chinese teaching. The sample questions of the past New HSK 4-6 tests have Chinese topics in most categories designated in topic syllabus . Thus, on the basis of the proportion of question numbers, the distribution rate hierarchy in descending order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level 4, the order is culture > daily life > literary arts, and when it comes to the level 5, there is literary arts > daily life > culture order, and finally, the level 6 showed the order of culture > literary arts > nature. In the sample questions of the past New HSK level 4-6 tests, China-related topics and items which the foreign learners should understand were much more extensive than those of general study textbooks and much more diverse and specific than the reference examples of topic syllabu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provided as the specific contents of Chinese culture required by level evaluation, teaching study and textbook compilation. Also, the contents of Chinese topics of level 4-6 can be suggested as the cultural item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Chinese listening and reading education.

      • KCI등재

        월전 장우성의 그림과 동일 화제의 반복적 사용을 통한 미적 기능의 실험

        최경환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30

        In this paper it is studied how Chang Woo-soung has differently used the same Chinese poems and prose writings on his paintings, to make a series of experiments on their aesthetic function, such as function of letter-characters' shapes. The methods used by Chang Woo-soung are as follows: (1) The method of varying the form in which shapes of letter-characters are arranged. (2) The method of varying both the form and the position in which shapes of letter-characters are arranged. The latter method is again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whether the aesthetic function of letter-characters' shapes is the same or different. 이 글은 월전이 화제의 미적 기능을 다각적으로 실험하기 위해 동일 화제들을 그림에 따라 어떻게 달리 사용하였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18종의 동일 화제가 각각 적혀진 2폭 또는 3폭의 그림들의 비교를 통해 월전이 두 번째 그림 또는 세 번째 그림에 동일 화제를 적어 넣을 때 첫 번째 그림에서와는 다르게 사용하였던 방식들을 추출하여 그것들을 유형화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동일 화제의 배열 형태만 달리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유형은 동일 화제의 배열 형태뿐만 아니라 배열 위치도 달리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 방식을 사용한 경우에는 일군의 문자 형상으로서 화제가 하는 기능이 그림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이에 비해 두 번째 방식을 사용한 경우에는 일군의 문자 형상으로서 화제가 하는 기능이 그림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고 또 달라지지 않기도 한다. 그러므로 두 번째 유형은 화제의 기능이 달라지느냐의 여부에 따라 다시 세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각 유형에 따라 동일 화제가 사용된 그림들을 비교 분석하여 동일 화제를 이루는 문자들의 배열 형태와 배열 위치 그리고 기능이 그림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구어 말뭉치에서 한중 화제 유형의 분포 양상

        노금의 ( Nu Jinyi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건지인문학 Vol.- No.34

        이 논문은 한중 구어 말뭉치를 이용하여 대조 화제와 논항식 화제로 분류하고 각 하위 부류들의 사용빈도 및 분포 양상을 통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어 대조 화제는 표지가 생략되지 않는 경향성이 있고 중국어 대조 화제는 ‘대칭적 구문(對稱句式)’에서 나타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였다. 둘째, 한중 화제화 구조(topicalization, TOP-話題化結構)의 사용빈도가 좌분리 구조(left-dislocation, LD-左失位結構)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어 주어 화제화는 목적어 화제화보다 더 많은 사용빈도를 나타내며 접근성계층론(NPAH)의 가설에 부합되는 반면에 한국어 주어 화제화의 사용빈도는 목적어 화제화보다 적은 것으로 접근성계층론의 가설에 부합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고 두 언어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은 어순과 목적어 화제화의 수단과 관계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article, topics are classified into contrastive topics and argumental topics by using colloquial corpus of Korean and Chinese, and the frequency of use as well as distribution patterns of subclassifications are statistically analyzed. Therefore, sev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marks tend not to be omitted in contrastive topics in Korean, while contrastive topics in Chinese tend to appear more in symmetrical structures. Second, the frequency of use of topicalization is statistically more than that in left branch structure in both Korean and Chinese. Topicalization of subjects shows more than that of objects in Chinese, which is consistent with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hypothesis(namely NPAH hypothesis). However, the situation in Korean shows differently that topicalization of objects appear more than that of subjects, which does not conform to the NPAH hypothesis. Furthermore,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main causes of the differences in the two languages are related to word order and the means of topicalization of the o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