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치, 조선 - 장률의 <망종>을 중심으로

        김영미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中國硏究 Vol.81 No.-

        Zhang Lv's [Grain In Ear] (2005) by Chinese-Korean Director Zhang Lv is a dramatic film that reflects the general reality of Chinese ethnic minorities in post-socialist China. The film [Grain In Ear] seems to retain the character of the reality report expressed by the existing Socialist Realism, but in fact it could be called a new type of film because the whole word 'Chinese-Korean' which is a group of symbolic things is brought out into the stories. The film composition of the director, Zhang Lv is not a narrative flow, but several symbolic objects form a paradigm, and these series are connected to the homonym, creating a syntagme outside the film. First of all, the object called “Kimchi” continues to travel in red as the source of Korean ethnic heritage. "Kimchi" is "Paocai" in Chinese, and its homonym "Pao" refers to the fact that the Koreans tried to flee to Korea from the post-Socialist Chinese capitalist reality in 2005. The second important object of the series is “Chicken”. The chicken is read as “ji” in Chinese, and is also affiliated with 'Courtesan (Ji)', which is an homonym. In addition, a Korean woman Soon-hee is placed side by side between the 'Courtesans- Chicken'. Here, Soon-hee is not a Korean-Chinese woman but rather a representative of Joseon(ethnic Koreans), the double abbreviation of Post-Socialist China. And this is where the Koreans are forced to sell their bodies to work. The central object of the third series is “wind”. The wind is read in Chinese as “Feng”, and in the film, it is combined with ‘Fan - Kite’. It is read in Chinese as a homonym, “Feng,” which in turn dictates a reality of people that they cannot live without going insane. The minority of life and identity of Koreans in the film [Grain in Ear] is difficult to explain in the diaspora of Korean people. They have a number of identities that move around Korea and China, and are either Chinese or Korean,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ir lives. Thus, the sign of the Chinese-Korean is not a single ethnic Korean demanded by Korea, but rather a minority worker not applicable to both China and Korea, and a special worker who can work in both China and Korea. 조선족 감독 장률(張律, Zhang Lv)의 [망종(芒種, Grain In Ear)](2005)은 포스트 사회주의( poet socialism) 중국에서 소수민족인 조선족으로서 맞이할 수 있는 일반적 현실을 반영한 극 영화이다. 영화 [망종]은 기존의 사회주의리얼리즘(Socialist Realism)이 표현하는 현실 보고의 성격을 유지하는 듯이 보이지만, 사실은 상징적인 것들이 뭉쳐져서 한 덩어리 ‘조선족’이라는 것을 가시화하고 이야기들을 끌어내는 새로운 방식의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한 장률감독의 영화구성법은 서사의 흐름이 아니라, 몇 가지 상징적인 오브제들이 계열화(Paradigme)를 이루고, 이 계열화들은 동음이의어(homonym)로 연결되면서 통합체(Syntagme)를 영화 바깥에서 이루어내고 있는 방식이다. 가장 먼저 ‘김치’라고 하는 오브제는 조선족 유산이 삶의 원천으로서 붉은색으로 계속 돌아다닌다. ‘김치’는 중국어로 ‘paocai’이고, 이것의 동음이의어인 ‘도망가다(Pao)’는 조선족들이 2005년 당시 포스트 사회주의 중국의 자본주의 현실을 피해 한국으로 도망가려 했던 사실들을 지시하게 된다. 두 번째 계열화를 이루는 중요한 오브제는 ‘닭’이다. 닭은 중국어로 ‘ji’로 읽히며, 역시 동음이의어인 ‘기녀(Ji)’와 계열화를 이룬다. 그리고 ‘기녀들- 닭’ 사이에 조선족 여성 순희가 나란히 배치된다. 순희는 여기서 하나의 조선족 여성이 아니라, 포스트 사회주의 중국의 더블 약자인 ‘조선’을 대표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조선족들이 몸을 팔아서 노동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지시하게 된다. 세 번째 계열화의 중심 오브제는 ‘바람’이다. 바람은 중국어로 ‘Feng’으로 읽히는데, 영화내에서는 ‘선풍기 - 연’등과 함께 계열화를 이룬다. 이것은 중국어로 동음이의어인 ‘미치다(Feng)'으로 읽히며 결국 미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는 현실을 지시하게 된다. 영화[망종]에서 보여준 이러한 조선족들의 마이너리티한 삶과 정체성은 한민족이라는 디아스포라안에서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그들은 한국과 중국을 떠돌며 움직이는 다수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으며, 삶의 조건에 따라 중국인이기도 하고 한국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조선족’이라는 기표는 한국이 요구하는 하나의 한민족으로서 ‘에스닉’이라기보다는 중국과 한국에 모두 적용할 수 없는 마이너리티 노동자이자 동시에 중국과 한국 모두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특수 노동자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의 신창타이(新常態) 시대의 노동시장정책 변화 분석 : 유연안정성 개념을 중심으로

        박선화,모리나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中國硏究 Vol.79 No.-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market policy and the Chinese flexicurity model by applying the concept of flexicurity to China 's labor market entering the New Normal-era. China is changing from a growth strategy that pursues balance and stability to a growth strategy that emphasizes efficiency and diligence amid slow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socio-economic structure. However, this is not a return to the neoliberal labor market, but a perspective of building a labor market that simultaneously guarantees flexibility and stability. Although China follows the flexicurity model strategy that started in the European Union, it presents the Chinese flexicurity model including the policy with the Chines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hina has pursued a flexicurity strategy that combines and balances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social security stability after entering the New Normal-era, suggesting that it is building a unique Chinese model. 본 연구는 유연안정성 개념을 적용하여 신창타이 시대에 진입한 중국의 노동시장정책과 유연안정성 모델을 분석한다. 경제성장 둔화와 사회경제구조의 변화 속에서 중국은 균형과 안정을 추구하는 성장전략에서 효율과 실리를 강조하는 성장전략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신자유주의적인 노동시장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유연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노동시장 구축이라는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 중국은 유럽연합에서 출발한 유연안정성 모델 전략을 따르고 있지만 중국적 특징을 지닌 정책을 포함한 중국식 유연안정성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창타이 시대 진입 이후 중국은 노동시장 유연성과 사회보장 안정성의 결합과 균형을 제시하는 유연안정성 전략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식 특유의 모델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 KCI등재

        1980-90년대 중국 시장화에 관한 정치경제 담론 비판

        하남석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0 中國硏究 Vol.82 No.-

        The widely-known view regarding China's economic transition is that unlike other socialist countries‘ shock therapy, China has succeeded in economic growth through gradual marketization without implementing radical privatization policies.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the economic transition in which China's 1980s and 1990s were on a continuous line and the market gradually developed. On the one hand, when the realm of markets without state intervention gradually expanded outside the state plan in the 1980s, the people's voluntary market activities have become active, which is believed to have resulted in explosive economic growth. But if we take a closer look at the actual phase of China's economic growth, we can question the above two common ideas and the narrative structures. In this paper, regardless of mainstream economics and non-mainstream economics, various studies are reviewed and the contents of the problem raised are summarized in two: First, China’s economic system and policies in the 1980s and 1990s could be said to have been qualitatively different systems, not quantitatively gradual expansion, and secondly, the marketization of China from the 1980s to the 1990s was not achieved voluntarily by the people but through the inducement and intervention of the state policies.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경제 체제 이행과 관련해 널리 알려져 있는 견해는 중국이 다른 사회주의 국가의 충격요법과는 달리 급진적인 사유화 정책을 실시하지 않고 점진적인 시장화를 통해 경제 성장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즉, 중국의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연속선상에 놓고 점차 시장이 심화 발전하는 체제 이행이 이뤄졌다고 판단하며, 한편으로 1980년대 들어 국가 계획 외부에서 국가의 개입이 없는 시장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자 인민들의 자발적인 시장 활동이 활발해져 폭발적인 경제 성장을 가져온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실제 중국의 경제 성장의 국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위의 두 가지 통념과 서사 구조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류 경제학과 비주류 경제학을 막론하고 여러 사례조사와 연구들을 검토하여 그 문제제기의 내용을 첫째, 1980년대와 1990년대 중국의 경제 체제와 정책은 시장이 양적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된 것이 아니라 질적으로 제도적으로 다른 체제였다고 할 수 있으며, 둘째,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 이르는 중국의 시장화는 국가의 규제가 사라지자 인민들이 자발적으로 이뤄낸 것이 아니라 국가의 정책 유도와 개입으로 이뤄졌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경제성장 거점 이동과 지역시장 구조 특징의 연관성 연구

        오승렬 ( Seung Yul Oh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3 中國硏究 Vol.58 No.-

        이 연구는 2011년도 통계자료에 근거하여 중국 각 지역의 6개 성 지역시장의 구조적 특징을 7개 영역 각각 3개의 측정 지표를 통해 평가했다. 이 연구는 중국 지역시장 구조의 특성 파악을 위한 가치중립적 분석틀 제시와 함께, 최근 중국경제 관련 분석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경제성장 거점 이동 문제와 관련된 함의를 도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최근에 관측되는 중서부지역으로의 중국경제 성장 거점의 이동은 중국 정부의 상명하달식 노동 및 소비정책 실행에 더해 투자주도형 고성장 기제의 유지를 위한 투자대상 지역 선택으로서 중서부 지역을 선택한 결과이며, 결코 중서부 지역시장의 구조의 시장 친화적 변화에 따른 것이 아니다.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최근 관측되고 있는 중국 중서부 지역의 경제성장 붐은 주로 중국 정부의 임기정책(臨機政策; ad hoc policies)에 의해 나타난 현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e article tried to provide an analytical frame for understanding some important features of China`s market structure at provincial level. Main finding is that the sources of recent movement of China`s economic growth pole to the western region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Chinese governments` - central and local - ad hoc economic strategy and policies rather than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regional market structure.

      • KCI등재
      • KCI등재

        韓、 中漢語使用者在"這―"、 "那―"使用上的異同点

        梁敬美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中國硏究所 2002 中國硏究 Vol.30 No.-

        본 논문은 2000년 3월 25일부터 2000년 12월 12일 사이의 3명의 20여명의 한국인과 중국인으로 구성된 7.3시간의 "현장 담화(situated discourse)"를 언어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말뭉치 언어학", "직시(deixis)이론", "담화표지(discourse markers)이론"등에 근거하여 그 속에 나타난 "這-(this-)"와 "那-(that-)" 표현 형식의 21가지 기능을 묘사하고 그 분포를 살펴보았다. 기초가 된 저자의 박사학위논문("這-"와 "那-"의 화용 및 담화기능 연구)" 에 의하면 채집한 담화 속에 나타난 "這-(this-)"와 "那-(that-)"의 기능은 모두 21가지로서 크게 "화용기능", "담화기능", "현장기능"으로 나뉘며, 화용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공간직시", "사물직시", 성질직시", "시간직시", "담화직시", "대용", "연결"등 7가지가 있고 담화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정황용", "화제 대비", "화제 도입", "화제전환", "말 뺏어오기", "말 유지하기"등 6가지가 있다. 현장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단어 찾기", "담화 찾기", "메꾸기"등 3가지 "일반 현장기능"과 "말더듬", "말실수", "인용", "말끊김", "모호"등 5가지 "특수 현장기능" 등이 있다. (단 통계의 경우 하나의 표현형식에 하나의 기능만을 부여함) 본 고의 목적은 한국인과 중국인인 중국어 사용자의 "這-"와 "那-" 사용상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중국인의 "這-"와 "那-"의 사용은 這-와 那-자체를 놓고 볼 때 대체로 비대칭적인 양상을 보여 어느 기능이 어느 단어를 사용하게 되는 독특한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또 한국인의 사용 분포와 다른 양상을 띈다. 외국어로 중국어를 말하는 사람(제2언어 습득자, 여기서는 한국인)의 중국어 사용이 모국어 화장의 언어사용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그들의 언어가 아직까지는 계속 변화 상태에 놓여 있는 이중언어의 특징을 반영하기 때문일 것인데, 본 고는 그 초보적 단계로 지사사의 담화표지까지에의 사용을 묘사, 분석하는 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한중 사용자의 "這-"와 "那-"사용상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미 담화표지로 볼 수 있는 "일반현장기능"에 속하는 "단어 찾기", "담화 찾기", "메꾸기"등 3가지 기능의 경우 중국인은 "這個"를 많이 사용하고 한국인은 "那個"를 많이 사용하는 데, 이의 원인으로 한국인의 입말에서 근칭에 해당하는 지시사 "이"가 담화표지로 많이 사용되지 않는 반면 중칭의 "그"와 원칭의 "저"는 담화표지로 자주 사용되는 현상이 중국어의 사용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았다. 그 밖에 우리는 한국인과 중국인의 "這-"와 "那-"가 사용 중 빈도수가 높은 단어 및 빈도수가 높은 기능을 대조하였는데, 이에서도 몇 가지 다른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21세기 중국의 천하주의와 미래담론

        강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0 中國硏究 Vol.82 No.-

        The author's China's world doctrine and future discourse discussed in this thesis are put forward in the context of the rise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After the Qing empire was defeated in the Opium War, China's thinking, which has been in a battered situation, gradually found out a Chinese-based thinking track after 2000. The future discourse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was re-proposed during the revision of these track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China’s world doctrine and future discourse are prominently projected, from the termination of the Chinese-Western thinking to the Western-style thinking, the weakening of the function of socialist ideology generated in the nation-state framework, and the governance experience of the Chinese Empire become an inspiration for China's future planning. Contemporary Chinese intellectuals are no longer focusing on the reflection of Chinese history or the use of Western ideas in China, but on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Chinese Empire to explore China's future design. 필자가 본 글에서 다루는 중국의 ‘천하주의’와 ‘미래담론’은 21세기 중국굴기의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청제국이 아편전쟁의 패배로 몰락한 이후 줄곧 수세로 내몰렸던 중국의 사유가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비로소 ‘중국본위(中國本位)’의 본래적 궤도에 안착하게 되었다. 21세기 중국의 미래담론은 이러한 궤도 수정과 사유 전환의 지평 위에서 새롭게 등장하였다. 중국에서 천하주의와 미래담론이 본격화한 사실은 중체서용에서 서체중용으로 이어진 이른바 서구-보편과 중국-특수의 결합이라는 사유가 그 수명을 다한 것을 의미하고, 민족국가의 틀 내에서 구사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가 더 이상 성공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경고의 신호이며, 근대시기 봉건잔재로 인식되었던 중화제국의 치리경험이 미래기획의 계시로 새롭게 대두될 수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 오늘날 중국 지식인들은 더 이상 중국역사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나 서구 이데올로기의 중국적 적용에만 몰두하지 않는다. 그들은 중화제국의 역사적 경험을 발굴하여 이로써 중국 미래의 재설계를 꾀하고 있다. 당대 중국에서 국가주의와 민수주의가 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미래를 설계하는 사상가들은 차분하고 냉철하게 G2의 위상으로 부상한 중국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