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일 대비 북한지역 자연재해 대응을 위한 자료 구축과 남북협력 방안 연구(Ⅰ)

        강택구 ( Taek Goo Kang ),장훈,이정석,박용하,추장민,함소현,정기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발생한 지난 15년간 자연재난 자료를 수집 및 구축하여 북한의 자연재난 현황을 정리하고 북한의 자연재난 대응과 관련한 주요 정책과 법체계 현황을 검토해 이에 기초하여 자연재난 대응을 위한 남북한 자연재난 협력방향과 추진사업을 제안하는 것이다. 각 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북한 자연재난과 관련한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북한 자연재난 발생 현황을 정리하는 데 유형의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선 남북한의 자연재난에 대한 정의와 유형을 살펴보았다. 북한은 재해와 재난에 대해 아직까지는 법률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기초하여 14가지의 자연재난과 향후 심각한 피해가 나타날 것으로 여겨지는 한파, 폭염 등 유형에 기초하여 북한에서 발생하는 자연재난을 유형화하였다. 제3장에서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정리한 북한 자연재난 발생현황을 시기별, 유형별, 지역별 등으로 분류하고 특징을 분석하는 한편, 북한에서 발간하고 있는 주요 학술지에서 자연재난과 관련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최근 15년간 가장 많이 발생한 자연재난은 지진, 호우, 황사 순이다. 지진은 규모 2~3으로 낮은 편이다. 한편, 수해를 유발하는 태풍, 호우, 홍수를 합하면 75건으로 전체 자연재난 중 약 28%를 차지하며, 매년 6월부터 9월사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자연재해와 관련한 연도별 북한의 논문 현황을 살펴보면 호우, 홍수, 병충해를 주제로 한 논문 수가 많은 편이며, 화산활동과 지진에 대한 관심이 적지 않다. 제4장에서는 북한의 자연재난 대응 및 환경보호 관리 정책 현황과 더불어 관련법과 정책 등 체계를 살펴보았다. 북한의 자연재난 및 환경정책은 문제 인식 단계인 제1기와 정책적 차원에서 환경과 자연재난에 대한 관심을 갖는 제2기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1995년 큰물피해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환경오염과 자연재난에 대응하고 있다. 북한은 자연재난 대응과 관련한 총괄적인 성격의 「재난 예방, 구호, 복구에 대한 법」을 2014년에 들어서야 제정하였다. 그 외 기상, 지진·화산, 수해 방지 등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법들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내각 산하에 `긴급재난관리 국가위원회`, `기상수문국`, `지진국`, `국토환경보호성`, `임업성`, `농업성`과 정부의 정식 기구는 아닌 `조선적십자회`가 있다. 한편, 북한에 주재하고 있는 6개 유엔기구, IFRC와 국제적십자위원회, 국제 NGO, 외국의 정부기구도 북한 자연재난으로 발생하는 식량문제, 보건 및 위생문제, 주거문제의 임시적 해결을 위한 긴급구호를 제공하고 있고 재난 대응 역량 강화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북한 자연재난 대응과 관련한 기존의 남북한 협력현황을 검토한 후 향후 남북한 협력을 위한 방향과 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자연재난 대응과 관련한 남북한 협력의 문제점은 북한의 자연재난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자료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 우리나라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로 인한 남북 관계 경색, 이로 인한 남북한 대화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채널의 단절, 북한의 관련 법제도와 기반이 미비한 실정을 들 수 있다. 향후 자연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남북한 협력 방향으로 남북한 상호이익에 기초한 접근, IT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한 융합적 접근, 민생밀착형 접근, 북한에 주재하고 있는 국제기구 활용 접근, 통일을 대비한 종합적인 자연재난과 피해 복구 대책을 고려한 종합적 접근이어야 한다. 이상의 접근 방식에 기초하여 남북한 통일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사업으로는 정보 교류와 공동 연구, 자연재난 자료 통합 시스템 구축, 자연재난 협력을 위한 법체계 토대 마련과 정비, 중장기 로드맵 마련을 위한 협력 사업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남북한 협력이 진척될 경우 북한의 자연재난 대응을 위한 남북 협력 시범지역 선정에 대비하여 공급자 관점과 수요자 관점에 기초하여 황남, 강원, 평북을 예비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지역의 경우 수해를 초래하는 자연재난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해 예방, 대응, 관리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국적 차원에서 황사 등 대기오염 저감, 한파 대응뿐 아니라 우리에게 중요한 임진강 수해방지 사업도 조속히 재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논의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다음 2가지의 성과를 갖는다. 첫째, 그간 정리가 미비 하였던 북한 자연재난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향후 남북 간 북한의 자연재난에 대응을 위한 협력 사업을 진행할 경우 참조할 수 있는 시범지역을 예비적으로나마 선정하였다. 향후 과제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과제에서는 북한 자연재난 자료 수집의 기간이 필요하다. 자료 기간의 축적은 북한 자연재난의 유형뿐 아니라 피해 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향후 과제에서는 북한 자연재난 피해현황 정리에 있어 시와 도 단위가 아닌 한 단계 낮은 행정구역인 동과 군 단위로 구체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집단지성을 활용한 북한 자연재난 자료의 수정과 축적을 도모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k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for natural disaster management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categorizes natural disasters that hit DPRK from 2001 to 2015 by analyzing the damages and frequencies, and offers suggestions to promote cooperation and implement projects between the two Koreas aimed at preventing and managing DPRK`s natural disasters. Each chapter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the second chapter, 17 types of disasters were studied, among which 14 types were based on the Republic of Korea`s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and three types including cold wave, heat wave, and landslide/falling rock were added. It also analyzed the collected records of 269 cases of natural disasters in DPRK from 2001 to 2015 to identify the frequencies and damages by year and province, and the studies of DPRK about natural disasters were reviewed in Chapter 3. In the next chapter, DPRK`s policies and legal systems for natural disasters were examined. In Chapter 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chapter, we suggested the direction for cooperation consisted of five different approaches and possible projects between the two Koreas for natural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such as exchange of information about meteorological disasters, a joint study on the eruption of Mt. Baekdu, and a joint project or research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is study made two major achievements: First, the data of natural disasters in DPRK from 2001 to 201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nder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DPRK. Second, for future Korean reunification, it suggested the directions and programs of South-North cooper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For the next phase of this study, we suggest the collection of more long-term data covering the last 30 years and smaller levels of DPRK`s administrative distric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After Breaking the Deadlock: Extending Cooperation with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rough Natural Disaster Management

        Taek Goo Kang(강택구),Giwoong Jung(정기웅),Soohwan Hwang(황수환)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9 국제관계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북한의 자연재해 관리 현황을 검토하고 북한을 국제사회로 초대하기 위한 가능한 협력의 방법들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세 가지에 집중하고 있다. 첫째, 2001년부터 2015년 사이에 북한에서 발생한 자연재해를 고찰하여 그 피해 정도와 발생의 빈도를 추적함으로써 범주화하였다. 둘째, 북한의 재해 관리 정책과 법체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앞의 두 가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과의 협력을 촉진하고 북한의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가능한 사업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북한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보 및 인적 교류를 포괄하는 IGO 및 NGO와의 적극적인 협력이 좋은 접근법이 될 수 있다. 북한에 대한 지원은 소규모 시범 사업에서 시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북한의 관련 전문가 및 정부 관리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져야 한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DPRK natural disaster management and suggest the possible ways of cooperation to invite DPRK into the global society. We focus on three objectives. First, we review and categorize the natural disasters that occurred in DPRK between 2001 and 2015. We trace the damages caused by them and frequency of occurrence. Second, we examine DPRK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and legal system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wo analyses, we suggest approaches to promote cooperation and possible projects to prevent and manage natural disasters in DPRK. To propel persistently the cooperation with DPRK, active cooperation with IGOs and INGOs might be a good approach, which encompasses information and personnel exchanges. The aid to DPRK should start from small-scale pilot project cases. We should also pursue to build network with DPRK experts and government officials as overriding concern.

      • KCI등재

        휴전과 국경 안정화: 중,인 국경 운용을 중심으로

        강택구 ( Taek Goo Kang ),김재한 ( Chae Han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8 No.3

        본 논문의 목적은 1962년 중국과 인도 간의 무력충돌로 촉발된 국경갈등이 어떻게 봉합되고 유지·관리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중국과 인도는 1976년 양국 간 외교관계를 회복하였고, 양국 정상들은 상호방문을 통해 국경문제 해결을 위한 기본적인 협정을 1993년, 1996년, 2005년 세 차례 마련하였으며, 2003년부터는 외교부 차관급 회담을 개최하고 있다. 양국은 양국 간의 실제통제선에 대한 다양한 군사적 신뢰구축방안을 실시하였고, 2006년 7월에는 접경지역인 나투라 무역로를 개방하기로 합의하였다. 중·인 국경은 전쟁을 종식시키는 평화협정 없이 휴전을 통해 경계선과 완충지대가 동시에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한반도 비무장지대와 공통점을 갖는다. 신뢰구축과 개방이라는 단계를 거쳐 국경선의 안정화를 보여주는 중-인 간 사례에 관한 본 연구는 최근 쏟아지고 있는 비무장지대 연구의 새로운 함의와 동시에 연구 영역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Sino-Indian cease-fire on border has been continued for almost half a century since 1962. Two factors are noted here. First, confidence-building-measures have enhanced the possibility of settling the India-China boundary question. China and India both have implemented many operational confidence-building-measures in the military field along the line of actual control in the China-India border areas. Second, it has enhanced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Sino-Indian confrontation to open the Nathu La border trade route in 2006. The Sino-Indian line of actual control and the Korean DMZ both have been established without any peace treaty or any official termination of the war. This study of the Sino-Indian cease-fire, with a focus on confidence-building-measures and opening, will contribute to new implications for managing the Korean DMZ.

      • KCI등재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와 섬유업의 대응 현황: 중국 주재 현지 및 한국 업체를 중심으로

        강택구 ( Taek Goo Kang ),조정원 ( Jung Won Cho ) 현대중국학회 2015 現代中國硏究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강화되고 있는 중국의 환경규제에 대해 중국에 주재하는 현지 로컬 기업들과 중국에 진출하고 있는 우리나라 섬유 업체들의 대응 현황과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중국에서 고용 효과를 높이는 주요 제조업 중의 하나인 방직업체들이 군집해 있는 저장과 장쑤성에서는 기준을 초과하는 오폐수의 배출로 강의 오염이 심각하다. 중국 업체들의 수질오염 방지에 필요한 자금과 기술이 부족하고 수질 오염 방지에 대한 노력의 소홀함으로 인하여 수질 오염 문제는 근본적으로 개선되지 않고 있다. 환경 악화를 막기 위해 시진핑 정부는 ‘생태문명’을 제기하면서 환경보호법 개정 뿐 아니라 수질 및 대기오염 관련법을 추가 제정하고 관련 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강화된 환경규제에 대해 중국 국내 현지 섬유업체의 대응은 평균적으로 그다지 높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세계 경제의 침체와 다른 개도국에 소재한 업체들의 저가 제품과의 경쟁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중국 로컬 업체와 우리 업체들 중에는 환경보호 관련 투자의 여력이 없는 곳들이 많다. 그로 인해 많은 업체들이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 내 타 지역이나 동남아로의 이전 또는 공장 폐업의 선택으로 내몰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와 중국의 일부 업체들은 친환경 기술을 통해 환경규제에 대응하면서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영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향후 중국의 환경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을 고려할 때 중국에 있는 섬유 업체들은 기업 차원에서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과 혁신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and Korean textile companies’ responses toward the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China since 2012. Due to the discharge of waste water exceeding the standards, the rivers in Zhejiang and Jiangsu that the textile companies are operating in concentration have been seriously polluted. The problem of continual water pollution has not been fundamentally rectified because of the lack of funds, skills, and efforts to prevent water pollution by the local Chinese textile industries. To prevent environmental degradation, Chinese president Xi proposed a policy titled “Ecological Civilization”, to amend the current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and establish supplementary laws on water and air pollution to strengthen the current standards. This study finds that the responses of many Chinese local and some Korean textile companies to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were not very successful. Also, many of them do not have funds to foste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regards to environment protection due to the international economic downturn and the lower cost of operating companies in other developing countries. For these reasons, some of the textile industries have chosen to relocate the factories to other regions in China or other developing countries in Southeast Asia. However,some Korean textile enterprises and local companies in mainland China have utilized eco-friendly technologies and techniques to respond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at the same time secured their products’ competitiveness in the current market. As the Chinese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being strengthened, the textile companies in mainland China are required to make consistent effort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to protect the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남북한 DMZ 교류협력 현황과 협력 방안

        강택구 ( Kang¸ Taek Goo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문화와 세계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DMZ를 둘러싼 교류협력에 관한 남북한 논의 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DMZ를 둘러싼 협력의 촉진을 위한 원칙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간 DMZ에 대한 교류와 협력의 특징은 길지 않은 교류협력의 역사, 불안정하고 지속적이지 않은 남북 교류협력, 중앙 정부의 주도와 지방정부 역할 미미이다. DMZ를 둘러싼 남북한 교류협력에 있어 주요 원칙은 한반도 평화 진척 및 공고화와 통일에 기여, 남북 교류협력의 안정적 지속성,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병행 추진, 당사자들간의 합의 가능한 이슈를 통한 프로젝트 추진, 국제사회가 합의한 지속가능발전 프레임에 기초한 지속가능한 환경 주류화이다. DMZ를 둘러싼 남북한 교류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긴밀한 협력에 기초하여 지방정부 자매우호도시간 협력체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자적 협력을 통해 국제적 외연을 확대한다. DMZ를 관할하고 있는 유엔사와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설득 및 협조를 진행한다. 신재생에너지 등을 활용한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과 탄소중립 달성 방안을 고민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urrounding the DMZ, and suggests principles and measures to promote cooperation surrounding the DMZ in the future. The past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DMZ by the two Koreas can be summarized as having short history, unstable and unsustainable policies and insignificant involvement by the local government rather the the central government. In order to foster active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consolidation for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stable and sustainable policies, concurrent promotion from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and implementation of consensus based projects, and mainstreaming sustainable environment policies. Suggestions for promot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ns around the DMZ are: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among local governments; expanding international outreach through multilateral cooperation; promoting smoo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UN Command in charge of the DMZ; seeking way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nd SDGs through the use of renewable energy.

      • KCI등재

        조선한문간찰(朝鮮漢文簡札)의 존경,겸하 표시 부호 연구

        임병권 ( Byeong Gwon Im ),강택구 ( Taek Goo Ka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大東文化硏究 Vol.94 No.-

        조선시대 漢文簡札에는 각종의 기호나 글자의 크기 또는 거리(빈칸) 등을 이용한 비문자 부호들이 사용되어 文義파악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들 비문자 부호들 중 시각효과의 방식으로 尊敬과 謙下를 표시하는 隔字, 擡頭, 側小字의 세가지 형식은 문맥 속 등장인물들의 관계와 행위의 주체 및 객체를 표시하는 문법적 표지의 역할을 한다. 존경표시는 존경대상에 속하는 실체인 명사.대사 이외에도 존경대상의 행위나 情態인 동사.형용사.부사 등에도 붙는다. 존경표시의 격자. 대두는 사실상 이인칭대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겸하표시는 거의가 화자 자신을 표시하는 실체사에 쓰이며, 화자의 행위를 표시하는 동사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문장 필사의 과정에서 隔字.擡頭등과 같은 존경 표시의 기본 형식이 누락된 경우에는, 교정부호를 사용하여 그것을 보충해 넣는다. 이러한 존경표시 添加부호의 사용은 朝鮮簡札에서 편지 수신자나 제삼자에 대한 尊敬표시가 얼마나 중요한 사항이었는가를 보여주는 예증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초서 簡札의 판독문에 존경 표시 부호를 반영하여 隔字는 존경의 공‘○’을, 擡頭는 화살표 ‘↑’를, 側小字는 세모 ‘△’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간찰의 작성자가 중요한 정보로 여겨서 그 표시에 매우 주의를 기울이며 교정까지 가한 존경표시의 부호 체계를 해서화한 판독문에 반영하는 것은 원 자료의 정보를 온전히 전달하는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There are several Marks of non-character Information that use symbols, alter the sige of character, or put a blank space in Chinese letters of Chos.n Dynasty. Relying on the visual-effects by three methods, i.e. blank space, raising, downscale, the marks of respect and modesty play the roles of grammatical sign which indicate the agent and object of the action. The mark of respect usually states in front of the noun and pronoun meaning the object of respect, and sometimes in front of the verb, adjective and adverb commenting the object of respect. The marks of blank space and raising therefore actually have the function of a second-person pronoun, namely the receiver of the letter. The mark of modesty almost appear on the substantive word, not on the predicative word. The gentry of Chos.n Dynasty strictly observed the role of respect and modesty, and if they committed an omission of respect mark, they necessarily have adjusted by correction marks. It shows the importance of these marks. Accordingly, we suggest that we should use three signs, i.e. 1) ``○`` for blank space, 2) ``↑`` for raising to the top of the lane, 3) ``△`` for downscaled and right-sided, in the course of deciphering and textualizing the Chinese letters.

      • KCI등재

        조선(朝鮮) 한문(漢文) 간찰(簡札)의 교정부호 등 비문자 정보 연구

        임병권 ( Byeong Gwon Im ),강택구 ( Taek Goo Kan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와 정보 사회 Vol.27 No.-

        There are three Marks of non-character Information in Chinese Letters of Choseon Dynasty: 1) mark of correction, 2) mark of respect, 3) mark of repetition. The mark of correction is written in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lines, and if it states on the side (right or left) of the Chinese character then it should be deleted, or moved to other location, or replaced by other character. If the mark or character states on the side of the space between characters, then there should be inserted a new character or mark. If the mark is a pressed flat dot like ``,`` or a small circle like ``.``, it will indicate the place of correction or the destination of transfer, and if the mark has a pointed end, it will indicate the direction of transfer. To express the respect, the gentry of Choseon Dynasty, like them of ancient China, raised or put a blank in front of the character which meant the opponent and nobleman to the top of line or the higher place. On the other hand, to express the modesty, wrote a small character which meant the writer himself on the right side of the lane. In other words, they equated the character with the referent, and the indirectness with the respect. To indicate the repetition of the character, they put single or double dot(s) in the lane. Sometimes the correspondence of the mark of repetition with the character is not so certain as of now.

      • KCI등재

        동아시아공동체 형성과 중국의 인식

        한석희(Sukhee HAN),강택구(Taek Goo KANG)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이 동아시아공동체라는 이슈를 어떻게 인식하고 또 어떤 형태의 동아시아공동체를 구상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후,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을 위해 2005년 이후 동아시아정상 회의(EAS)에서 중국이 취한 정책을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에 대한 중국의 의도를 파악해 보려는 데 있다. 중국이 인식하고 있는 동아시아란 아세안 10개 국가와 한ㆍ중ㆍ일 3개 국가이며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자신의 전략적 목표인 ‘조화세계’를 이룩하고 자국의 이미지를 제고하면서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05년 제1차 EAS 개최 이후 중국은 역내 자신의 영향력을 제고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EAS에 대한 기존의 적극적인 입장에서 소극적 입장으로 돌아섰다. 회의 내용 역시 에너지와 기후변화의 이슈를 논의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전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기본적인 외교정책이 ‘인접국가와의 선린 및 동반자관계’와 ‘중국위협론’ 완화라는 점에서 중국이 미국을 비롯한 관련 국가들과 마찰을 일으키는 정책을 주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다.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how China views the issue of East Asian community and what form of East Asian community China envisions, and then review policies that China has chosen to create an East Asian community after the 2005 East Asia Summit (EAS), which would reveal China’s intentions on the creation of a East Asian community. In China’s eyes, the concept of East Asia only includes the 10 ASEAN members and Korea, Japan and China, and China is actively pursuing the cre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its strategic goal of “Harmonious world,” improve its image and achiev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fter holding the first EAS in 2005, China consider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promote its influence in the region and shifted from an active to passive stance on the EAS. The topics of the meeting were also modified into discussing energy and climate change issues. Despite such changes, in the light that China’s basic foreign policy is to keep friendship and partnership relation with neighboring states and appeasing “China threat theory” it can be predicted that China will not push a policy that will lead to clashing with related states such as the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