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성학(Lim Sung-hack) 한국정치정보학회 2010 정치정보연구 Vol.13 No.2
정치학의 양적인 확대와 다양성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한국정치학에 대한 내부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한국적 정치학을 정립하여 한국 정치 현실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실패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 한국적 정치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한국 정치학의 현실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분명한 자기위치를 알아야 나아가야할 좌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한국정치학회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의 현황을 파악했다. 공동저자 보다는 단독저자가 매우 많아 정치학 내부 혹은 타 학문과의 공동연구도 부족하다. 한국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한국문제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한국 연구를 통해 이론을 정립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미국식 정량적 연구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미국에 비해 정량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정치학 방법론의 다양성 확보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has self-criticized its failure in creating the Korean model and establishing its identity even though its diversity and size is growing rapidly. To know where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exactly is and is heading may be a first step to improve it. For this purpose,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the most prestigious journal, are reviewed in the respect of such as number of author, methodology, subject, case country, key word, and so on. Couples of problems have been found. First, multi-authorship are very rare even though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average number of authors in political science in other countries and other disciplines.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swim against the tide of broader disciplinary trends and co-workship within the political science. The growing and domination of Korean studies is reflective of the increasing concerns of Korean problems, but these studies have failed to developed more general theories or models. Finally, methodological diversity is needed becaus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should be mutually supplemented.
韓昇助 한국정치학회 1987 한국정치학회보 Vol.21 No.2
이 논문은 1976년부터 1987년 9월까지 韓國政治의 硏究現況을 개관하고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그 시기를 1976년부터로 잡은 것은 첫째, 본인이 78년 45년부터 75년까지를 평가하였기 때문이며 둘째, 70년대 후반부터 정치학자들간에 美國政治學의 직수입ㆍ모방의 경향을 반성하고 自主的이며 自我준거적인 학문연구의 경향이 증가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政治學界의 지배적인 관심과 문제의식이 지난 12년간 韓國政治硏究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정치학자의 자주의식은 韓國政治史와 政治思想史의 연구의 양직인 증가로 나타났다. 현대정치시상의 연구에서도 한국민족주의 연구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韓國民主主義의 연구가 증가한 것, 社會主義 연구도 그 뿌리를 한국에서 찾으려는 노력도 한국정치학자들의 自己認識과 問題認識의 高揚을 반영하는 것이다. 韓國政治體制論에 관한 수많은 著述과 論文이 있으나 그 동안의 연구경향의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1976년에 初版이 나온 金雲泰편저 「韓國政治論」과 1986년에 나온 韓國政治學會펀 「現代韓國政治論」이다. 前書가 近化化論的입장에서 현실수용적으로 서술된 데 비하여 後書는 보다 더 批判的이며 分析的인 짐 政治經濟學的 接近法의 영향이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정치발전의 연구도 보다 自我준거적인 면을 보여주는 한편 批判的 측면의 연구도 적지 않게 나왔다. 政治過程의 연구도 利益集團의 연구 이외에는 상대적으로 지조한 편이었다. 이것은 한국의 정치현실을 적절히 다룰 수 있는 이론적 파라다임을 갖지 못했기 때문이다. 정치문화연구는 차츰 정돈되어 가며 정치교육, 정치사회화에 대한 연구의 증가도 환영할 만한 경향이다. 公共政策과 社會福祉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으나 아직도 原論的 觀念論的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印象을 준다. 결론적으로 발전은 量的增加 質的向上 뚜렷한 學風의 형성으로 평가된다. 量的으로는 지난 12년간 그 긴 30년보다 많은 연구업적을 내었다. 質的으로도 世界學界의 발전을 따랐다는 점에서 向上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니 그동안 증가한 제 3세계적 시각이 제 1세계적 시각보다 우리의 자아준거성에 가깝다 하더라도 그것이 바로 우리의 視角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제 3세계적 시각의 批判的 克服을 통해서 우리의 主體的인 韓國的 파라다임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부남철(Pu Nam Chul)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 No.1
한국정치사상은 있는가? 그간 정치학계에서는 정치학의 현황과 과제를 논의할 때마다 한국정치사상 연구와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1970년대 이후 학자들의 개인적인 노력에 의해 한국정치사상 분야가 개척되었고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이후에는 한국정치사상을 전공하는 학자들이 급증했다. 이들에 의해 다수의 연구 논문이 각종 학술지에 게재되었고 전문 연구서도 활발하게 출판되었다. 현재 전문 학회가 설립되었을 정도로 한국정치사상 분야는 양적으로 성장했다. 그렇지만 그 연구대상이 주로 전통사상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아직도 한국정치사상 분야가 학문적으로 철학이나 역사학과 어떻게 다른지 그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심지어는 이런 연구가 정치학이냐는 질문을 받기도 한다. 문제는 결국 한국정치사상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것인데, 학계에서는 지금까지 개별적으로는 한국정치사상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되었지만 그런 성과를 학문적으로 의미 있게 통합하는 공동의 노력은 부족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정치사상사 전공학자들 사이에서 공유하는 연구 대상, 범위, 방법 등에 대한 인식 형성이 미약했다. 한국정치사상의 연구 본령과 방법이 고정된 것은 아니지만, 현단계에서 한국정치사상의 연구현황과 방법에 관해 논의했던 글에서 제기되었던 쟁점을 살펴보면서 한국정치사상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해본다.
박대권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
1994년 4월 2일은 한국교육정치학회가 창립된 날이다(김용일, 2013. p.31). 창립을 기념하여 그해 6월 17일 고려대학교 인촌기념관에서 창립기념 학술대회가 개최되어, 한국교육정치학의 태동을 알렸다. 안기성(1994a)은 창간사에서 1980년 이래 한국사회는 모든 영역에서 정치화의 경향이 두드러지게 확산되었다고 진단하여 교육도 예외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대학가의 학생운동, 교사들의 노조 구성, 교육개혁의 정치권 주도를 단순한 이념적 문제나 예외적 상황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교육정치학이라는 학문적 영역의 연구대상이라고 선언한 것이다. 학계에서 ‘교육’과 ‘정치’는 함께 할 수 없고 함께 해서도 안 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한국교육정치학회의 창립은 교육과 정치를 함께 언급하면 안 된다는 허구의 미신에 과학을 빛을 비춘 역사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나용우(Na, Yongwoo) 한국정치정보학회 2017 정치정보연구 Vol.20 No.2
한국 국제정치학에서 ‘에너지·환경’ 분야는 국제정치의 다른 분야들에 비해 비교적 최근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국제정치학계에서 행해진 에너지·환경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이 분야에서의 연구 현황을 검토 및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에너지·환경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에너지·환경분야에서 양적 혹은 질적으로 어떠한 연구성과들이 산출되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주제들이 주로 다루어졌는지 살펴봄으로써,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을 제시하고, 에너지·환경 분야 연구의 전망과 함께 향후 과제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동안 축적되어온 관련 논문들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시도한다. 국제정치학의 대표 학술지인 한국국제정치학회의 『국제정치논총』을 비롯해 한국정치학회의 『한국정치학회보』, 세종연구소의 『국가전략』,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의 『국가안보와 전략』(舊국제문제연구), 일민국제관계연구원의 『국제관계연구』에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게재논문 및 에너지·환경을 주제로 다룬 국내 박사학위논문을 그 대상으로 분석한다. The new research field of energy and environment politics was recently start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of Korea compared to other sub-field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its situation and the degree of process by analyzing the energy and environment politics papers. It is considered quantitative or qualitative research result was achieved, what kind of topic was argued and how its vision and subject pres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a critical thesis that analyze and assess the existing research comprehensively rather than positive and experiential on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from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National Strategy,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and Journal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analyze the related papers which have been publicized from 2000 to 2016.
이상환(Lee Sang-Hwan) 한국국제정치학회 2001 國際政治論叢 Vol.41 No.4
국제정치분야에서의 경험적인 연구는 정치학의 행태주의적인 접근이라는 과학화 운동과 함께 시작되어 현재까지 약 50년이 넘는 역사를 갖는다. 하지만, 국제정치분야에서의 분석의 대상이 인간으로서의 각 개인이 아닌 주행위자로서의 국가들이기 때문에 국가행태의 이해는 더욱 어렵다. 이렇듯 국제정치 연구의 본질에 관련되어 과학적인 이론의 형성과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다른 분야에 비해 경험적 연구의 발전 속도는 상당히 더딘 편이다. 이미 본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국제정치 연구 혹은 한국의 정치학 연구에 있어서 경험분석은 아직 외국에 비해 미흡한 단계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1963~1997년 사이에 발간된 「국제정치논총」과 1959~1997년 사이에 발간된 『한국정치학회보』에 한정시켜 볼 때, 경험분석이 전체 국제정치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4%(총 647편중 41편) 수준이며, 최근에 이르러 약간의 증가추세가 있을 뿐이다. 물론 1990년 이후로 발표된 논문의 절대수에 있어서나 혹은 사용기법의 측면에 있어서나 1980년대에 비해 경험분석이 약간 확대된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경향이 획기적으로 발전될 기미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정치학 분야 전반에 관련되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특히 국제정치 연구에서의 경험적인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경험적 자료의 수집에 있어서 새로운 방법이 이용되어져야 한다. 대부분의 기존 관련 연구들이 사용했던 양적인(quantitative) 자료인 집적통계자료 뿐만 아니라, 질적인(qualitative) 자료로서의 기록된 국제관련 사건들 또는 사례와 여론조사 등도 중요한 연구자료로 사용되어져야 한다. 둘째, 정치학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란 다른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분야로부터 직접 유입되어온 것들이며, 국제정치학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통계학적 방법이 바로 그런 추세를 보여주는 한 예가 되고 있다. 미시적인 분석과 거시적인 분석을 종합ㆍ조화시키는 맥락에서 다양한 고도의 방법을 시도하여야 한다. 연구 주제에 적합한 자료의 선택은 물론 자료의 성질에 적합한 연구방법을 선택함도 중요하지만, 연구가가 익숙한 방법만을 사용하려는 태도에서 벗어나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국제정치의 경험적 연구를 시도하는 학자들의 태도 또한 이 분야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연구에서의 풍부한 자료습득과 적합한 방법의 선택을 위해서는 연구가들의 꾸준한 학문적 관심과 열의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치학에서의 행태적인 연구의 시작이 인접 사회과학인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등과의 접목에서 비록된 점을 감안한다면, 학제간의 연구 역시 국제정치 분야에서의 경험적 연구 발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정치학에서의 성정치학(Gender Politics) 연구현황과 제언
강윤희(Yoonhee Kang),김경미(Kyungmi Kim),최정원(Jeongwon Choi) 한국정치학회 2004 한국정치학회보 Vol.38 No.3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성정치학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성정치학 연구의 발전을 위한 이정표를 제시하기 위해 『한국정치학회보』, 『국제정치논총』, 『아세아여성연구』, 『여성학논집』, 『여성연구』, 『한국여성학』 등 6개 간행물을 선정하여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한국에서의 성정치학 연구는 1980년대에 등장하여 1990년대 이후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치학계에서의 위상은 아직까지 낮은 편이며 여전히 정치학의 관심 영역에서 주변부에 속하고 있다. 기존의 성정치학 연구는 한국정치와 비교정치 분야 등의 특정 연구영역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정치과정ㆍ정치참여, 정치사회화, 여성운동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를 이룬다. 이는 여성의 정치적 저대표성를 해소하고 여성의 정치참여를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의 모색이라는 실천적 목적에서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반면, 정치이론과 국제정치 분야는 연구가 미흡한 분야이다. 정치이론 분야는 심도 있는 성정치학 연구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초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제한된 담론에 집중되어 있을 뿐 발전적 차원에서의 이론의 재구성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제정치 분야도 국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성인지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향후 성정치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방법론적 차원에서의 고민이 필요하다. 경험주의적 연구의 축적도 중요하지만 성정치학의 이론적 발전을 위해서는 경험주의적 연구의 틀을 넘어선 젠더 관점에서의 개념의 재구성 및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studies on gender politics in Korea by conducting a critical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on the subject. Articles concerning gender politics were selected from 6 journals listed as the following: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Asian Women’s Studies, Women’s Studies, Korean Women’s Studies, and The Journal of Women’s Studies. Research reveals that it was only in the 1990s that gender sensi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political science began to be carried out in earnest in Korea, although it first emerged in the 1980s. Despite the growth in volume, the study of gender politics is still but a marginal subject within the field of political science. Moreover, it is concentrated in the area of Korean politics and comparative politics that deals with issues such as political proces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women’s movements. undoubtedly these studies have done much to further promote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to overcome the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politics. By Contrast,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political the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a gender sensitive point of view. For further development in the study of gender politics, this unbalance should be redress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accumulate empirical data concerning women and gender relations, but also to reformulate existing concepts and theories according to gender sensitive perspectives and to look for new paradigms within that umbrella of information.
김만흠(Kim Man-Heum) 한국정치학회 1996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3
이 논문은 한국 정치갈등구조에 대한 문제의식 및 인식론적 기반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연구이다. 현실정치는 권력자원의 동원을 통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현실정치에 대한 비판적 실천이나 새로운 권력자원의 개발 및 동원도 현실사회의 역동적 권력자원에 기반할 때 성공할 수 있다. 그런데 그동안 한국정치에 대한 평가 및 진단에는 한국정치가 비정상적이고 파행적이라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가지를 지적할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한국의 현실 정치에 대한 서구이론의 피상적 적용」 및 「추상적 관념주의」를 비판하고 있다. 논의와 설명의 주요축은 여ㆍ야대립, 지역균열, 정책대결론, 계급정치론 등이다. 앞의 두 가지는 1공화국 이래 한국의 정부권력을 둘러싼 현실정치의 갈등축이며, 뒤의 두가지는 현실의 정치갈등에 대한 대안적 정치갈등 모델 또는 정치운동의 담론으로 제기되어 온 것이다. 현실정치의 갈등에 대한 진단에 있어서는 갈등현상 자체가 아니라 갈등현상의 무엇이 왜 문제인가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지적이다. 특히 최근 우리의 정치를 지배하고 있는 지역주의 문제에 대한 그동안의 진단을 보면, 통합론적 관점, 기능주의적 갈등론 관점, 변증법적 갈등론 관점 등 어느 시각과 이론에서도 충실하게 분석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한국 정치갈등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정책대결론은 비적대적이고 창조적인 갈등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정치갈등은 추상적 모델로 제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정치사회의 현실상황과 요구에 따라 형성된다는 점에서 한국사회의 정책대결론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또 이데올로기 정치운동으로 제기되어 온 계급정치론이 현실의 권력정치에서 실천성을 갖기 위해서는 기계적 관념론을 벗어나 적어도 한국 시민사회의 특성-연고주의적 개인, 지역주의적 시민, 민족주의적 시민-과 역동성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또한 한국의 청치갈등 구조가 단지 정당 및 정치세력에 의해 일방적으로 동원된 결과만은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정치갈등의 이해 및 진단에 있어 정당 및 정치세력 뿐 아니라 정치갈등의 자원이 되고 있는 시민사회도 주요한 분석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시민사회의 요구 및 이해관계가 일정하게 반영된 국민의 의사라는 관점에서 현실의 정치갈등 구조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정치갈등 구조에 대한 진단과 평가에서도 정당 및 정치세력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도 당연히 그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朴鍾晟(Chong-sung Park) 한국정치학회 1993 한국정치학회보 Vol.27 No.1
본 연구는 해방후 한국정치의 변화가 주로 정치파벌들에 의해 주도ㆍ결정되었다는 전제 아래 그 역사적 이합집산의 과정을 논의의 중심축으로 삼는다. 파벌과 파벌사이에 여전히 반복되고 있는 이합ㆍ집산의 역사적 모순은 해방 이후 현재까지, 특히 정권교체기나 충격적 정치 위기상황 속에서 더욱 심화되었다. 상대파벌에 대한 배타적 사고와 타 지역 파벌에 대한 폐쇄적 정치행태는 자파소속 구성원들의 맹목적 단결을 유도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파벌의 최고 수장이 누구인가’라는 변수, 즉 사람을 보고 무리짓게 만든 가장 중요한 배경이 된다. 유난히도 ‘무리짓기’를 선호하는 한국 직업정치인들은 ‘일시적ㆍ잠정적 이해득실’을 바탕으로 파벌의 보스와 중간보스를 구심점으로 삼아 편의에 따라 모이고 흩어지며, 흩어진 후 또 다시 모이는 일련의 과정을 거듭 반복한다. 결국 ‘누가 어디에서 어디로 누구와 함께 움직이는가?’라는 물음과 관련된 정치적 인간들의 행각을 추적해보지 않고서는 전환기 한국정치의 분석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바로 이 물음에 해답을 찾으려는 시도이다. 이 물음을 체계적으로 규명해 나가기 위해 여기서는 두가지 문제영역을 설정한다. 1. 한국정치는 정치파벌이 결정하며 파벌은 수장이 차지하는 정치적 비중과 그를 둘러싼 인맥을 중심으로 형성, 표류한다. 2. 한국정치의 발전 지체현상은 어느 한 사람을 정점으로 모인 정치적 인간들의 무리짓기에서 출발하며 그 무리의 해체와 재구성으로 끝난다. 시민사회의 힘은 한국의 파벌정치를 견제할 정도가 못된다. 이제까지 정치적 견제의 유일한 방법은 투표혁명이었다 시민혁명이 투표혁명을 대체할 수 없는 한, 표를 통한 정치파벌의 견제는 한국정치의 민주화를 예고하는 제한적 수단에 불과하다. 오늘의 한국정치파벌 뿌리는 해방후 1ㆍ2 공화국에서 배양되어 3 공화국 당시, ‘공화 - 신민’이란 정당외피 속에서 숙성되기 시작한다. 양김 파벌의 이합ㆍ집산은 6공 2기에 이르러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경험한다. 그러나 그 변화가 한국정치파벌의 근본적 해체를 예고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다만 이제까지 존속된 파벌들의 ‘표류문화’가 당분간 휴지(休止)기에 돌입함을 의미할 따름이다. 왜냐하면 파벌들의 이합집산이 종결되거나, 혹은 기존 파벌들의 완전해체를 반증할 만한 그 어떤 정치개혁의 조짐도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6공 2기의 정치적 전환기 속에서 한국의 파별정치는 또 다시 계기(繼起)화 될 수 있다. 이 때 파벌정치의 계기적 운용는 다음과 같은 상황속에서 또 다른 정치변화의 방향과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는 ‘이념형’적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l. 시민사회의 지속적인 민주화와 정치권의 순조로운 제도화 추진은 궁극적으로 정치의 ‘재문민화’를 완성시킬 수 있다. 2. 투표혁명에 의해 외형적인 문민화는 실현되었다 하더라도 시민사회 내부의 민주화 과정이 정상궤도를 이탈하거나 제도화의 과정 또한 낮은 수준으로 지속될 경우, 한국의 ‘민ㆍ군’은 기형적으로 다시 융합할 것이며 민간정치파벌과 정치군부파벌은 각기 과거의 권력부활을 위해 전략적으로 연합할 수 있다. 3. 군부의 정치적 중립을 보장할 수 없는 위기요인이 또 다시 발생할 경우, 군부의 동원은 재개될 수 있다. 4. 민주화를 향한 시민사회 내부의 의지는 강력하나 군부지배체제를 재문민화시킬 수 있을만한 새로운 지도자의 현실정치능력이 미약할 경우, 끝내 혁신적 체제전환에 실패함으로써 과거의 권력구도를 그대로 존속시킬 수 있다. 이때 민간파벌과 군부파벌은 생존을 위한 권력지분의 분배와 방어에서 균형을 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