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학술원 20년 철학방면 연구성과 ― 유학과 경학 방면 연구를 중심으로

        李昤昊 ( Lee Young-ho ),金渡鎰 ( Kim Doi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동아시아학술원의 대표적 연구공간은 대동문화연구원, 유교문화연구소, 학술원 산하 인문한국연구소 등이다. 이 세 단위 연구기관에서 이루어진 철학 방면 연구는 주로 저술(저역서, 영인출판)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학술대회와 자료구축을 통해서도 그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유교문화연구소에서는 학술원 개원 이래 ‘유교문화번역총서’와 ‘유교문화연구총서’를 통해 유학의 현대화 문제에 천착하였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이루어진 학술대회에서도 ‘경학(유학)’의 현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비해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에서는 한국유학(경학)을 기반으로 하는 동아시아 고전철학의 모색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활동을 하였는데, 최근에 이르러서야 동아시아적 연대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대동문화연구원에서는 영인총서를 통하여 조선유학(경학)의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였는데, 이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매우 중요한 학술적 자산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한편 자료구축의 측면에서는 유교문화연구소의 ‘유경정본화사업’, 인문한국연구소의 ‘한국경학자료시스템’, ‘한국주자학용어시스템’을 거론할 수 있다. 이 세 사이트에서는 한국 유학, 특히 한국 경학에 관한 자료 구축의 전범을 보여주었다. 향후 한국고전철학연구에 있어 필수불가결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학술원은 지난 20년 동안 이룩한 고전철학 방면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연구의식의 심화와 자료구축의 확장을 도모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동아시아 고전철학연구에 대하여 비판적 관점을 견지하고, 새로운 문제의식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 혹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자생의 학술담론은 이러한 관점과 의식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Three representative research institutes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ar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and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Their philosophy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writing (publication of books, translated works, and photocopy editions) by these three and has been expanded its scope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and establishing database. Since its opening of the Academy,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has published Confucian Culture Translation Series and Confucian Culture Research Series to address the issue of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Also, academic conferences held since the 2000s focused on the modernization of the Confucian studies (Confucian Classics). In contrast, the research by the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has been focused on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based on Korean Confucianism, and only recently has the foundation of East Asian solidarity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 publication of Classic Photocopy Series by th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Joseon Confucian classic, which has become a very important academic asset, both at home and abroad.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database establishment,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유경정본화사업 Project, the HK's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System, and the Terminology Data System of Zhu Xi's Learning can be discussed. These three sites are good examples of the establishing database on Korean Confucianism, especially Korean Confucian Classics. This is indispensable database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philosophy. The Academy aims to deepen research awareness and expand its database archiving based on the achievements in classical philosophy over the past two decades. In this process, we will maintain a critical view of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research so far and endeavor to identify problems. Based on this, we will ultimately seek out a self-sustaining academic discourse that is recognized in East Asia of globally.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의 고문헌의 유통과 문물교류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서적의 사명은 인간에 의해서 다루어지고 유통되어 그 내용을 다음 시기와 다른 공간으로 전파하는 것이다. 특히 한중일 삼국을 대표로 하는 동아시아 서적 역사에서의 古文獻은 종종 그 서적의 수집 경위-어떤 경로로 수집했고 어떻게 계승했는가-에 의하여 상이하게 그 가치가 평가되었다. 고문헌은 단순한 진품이나 귀중품이 아니다. 황궁의 장서각에서 민간 장서가의 서재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지식인들에 의해 전개된 고문헌의 역사는 그 서적을 취급한 사람들의 가치관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고문헌이 소실·계승되고 다른 지역으로 보급되는 流動性은 단순한 서적의 유통이 아니라 그에 담겨져 있는 문화의 유통이자 교류인 것이다. 동아시아사회에서는 胛骨, 金文, 簡帛, 竹/木簡, 그리고 종이에 모든 인간의 행위들을 기록하여 계승하였다. 특히 종이의 보급과 인쇄술이 발달한 이래로 서적은 광범위하게 유통되었다. 서적의 유통이 지식이나 정보의 전달로 동아시아 사회의 문화 향상에 커다란 역할을 수행하였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동아시아 사회의 발전은 고문헌(서적)의 역사와 분리해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동아시아 사회에서 서적에 관한 연구는 예부터 목록학, 교감학, 판본학, 서지학, 문헌학 등의 이름으로 진행되었으며 하나의 학문 분야를 형성하여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화가 급속하게 진행하고 있는 21세기에는 누구라도 쉽게 고문헌의 열람이 가능하며 공개된 공통의 데이터를 공동으로 연구하는 새로운 학문 연구 방법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기와 인식하에서 본 학술회의의 주제를 동아시아에서의 고문헌의 유통과 문물교류 라고 정하여 동아시아 3국에서의 고문헌 연구와 문물교류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했다.

      • KCI등재

        쏘련을 향하여 배우라 ― 1945~1948년 조소문화협회(朝蘇文化協會)의 조직과 활동

        유기현 ( Ryu Kee-hy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1945년부터 1948년까지 조소문화협회의 조직 과정과 활동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문화 건설`의 측면에서 북한의 국가 건설 과정을 분석한다. 1945년 11월에 창립된 조소문화협회는 초기에는 지식인 중심의 `문화운동 전위단체`를 지향했다. 그러나 1946년 말~1947년 초, 냉전이 공식화되고 분단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북한 지도부는 건국을 위한 `사상개혁` 운동을 한층 강화했다. 북한은 `건국운동`의 성공을 위해서는 인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며, 소련의 `선진 문화`와 국가 건설 경험을 대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그러한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 인식했다. 이에 따라 북한 지도부는 1947년 초 대대적인 개편작업을 통해 노동자·농민 등 광범한 대중을 회원으로 포괄하는 `군중단체`로 협회의 면모를 새롭게 했다. 소련 `선진 문화`에 대한 학습이 전 인민적 실천운동의 지위를 부여받으면서 조소문화협회는 단기간 안에 농민·노동자 속에서 다수의 회원을 확보하고 중앙본부에서 조소반으로 이어지는 수직적인 조직체계를 완비했다. 조소문화협회는 북한이 국가 건설 과정에서 소련 문화를 매개로 인민들의 사상·의식을 환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북한 정권은 협회를 통해 수입한 소련 문화를 통해 자칫 모호해 질 수 있는 건국의 노선·방략을 명확히 하고자 했다. 전국적으로 구축된 조소문화협회의 조직을 통해 보급된 소련의 문화적 양식은 북한 문화의 기본적 틀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This paper analyzes North Korea`s state-building process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struction`, by studying Korea-Soviet Cutural Association(KSCA)`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from 1945 to 1948. Soviet Union`s culture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making of North Korea`s culture during the `state-building period`, and KSCA functioned as North Korea`s key channel to accept and study Soviet`s culture. This research examines KSCA`s overall organization and activities, analyzing the reason why North Korean regime tried to propagate Soviet`s culture and their experiences in socialistic nation building. KSCA started as a friendship organization between Soviet armed forces and Korean leaders right after Soviet`s occupation of north of the 38<sup>th</sup> parallel. KSCA changed its identity as a cultural exchange organization after `trusteeship crisis` of early 1946, setting up branch offices in North Korea`s major cities, publishing magazines,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 with Soviet`s All-Union Society for Cultural Relations with Foreign Countries (VOKS). At this time, KSCA aimed to be an intelligentsia-oriented group professionally researching and popularizing Soviet`s culture. However, KSCA`s character fundamentally changed due to North Korea`s political changes around late 1946 to early 1947. North Korean regime initiated `ovement for Mobilizing Nation-Founding Ideology (Kunguk Sasang Chongdongwon Woondong)` to promote the people`s reformation of thoughts. North Korean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was a key to succeed in these nation-building works, and propagating Soviet`s `advanced culture` and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would be a great impetus for the regime to motivate the people. As a result, North Korean regime transformed KSCA from intelligentsia-centered group to mass organization embracing hundred thousands of peasants and laborers as members. In conclusion, KSCA played a key role in ideology education of North Koreans by using Soviet culture. Most of socialist countries also had similar kinds of friendship associations with the Soviet Union, but their functions were limited in the field of cultural exchanges. On the other hand, KSCA actively collaborated with North Korea`s national tasks of liquidating colonial inheritance and constructing new culture, showing clear differences over the other socialist countries` friendship associations.

      • KCI등재

        일반논문 : 근대적 시간체제 비판과 민속적 시간문화의 가치 재인식

        이영배 ( Young Bae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0 No.-

        한국의 세시풍속은 한국의 지형과 기후에 따른 한국인의 생활 양식이 계절적으로 혹은 관습적으로 되풀이되었던 종교적이고 사회적인 의례로서 전통사회의 시간인식과 그 주기성을 반영하고 있는 시간문화로 정의할 수 있다. 시간문화로서 세시풍속연구는 자본주의화한 시간문화에 대하여 근본적인 비판을 가하고 그 유용성을 다시 인식하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세시풍속의 원리와 의미 등을 재인식하고 그 가치를 다시 묻는 작업이기도 하며 그것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민속지식의 의의를 찾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근대적 시간체제는 화폐를 가치의 척도로 삼는 시간문화 체계이다. 이러한 시간체제 속에서는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시간의 배치가 이루어진다. 시간의 근대적 배치는 인간의 생산활동을 시장에 종속시키고 문화주체를 자기생산물로부터 분리시켜 가격에 따라 등급을 매기고, 그에 부합하지 않는 문화들을 배제·약화시켜왔다. 그 과정에서 문화주체는 소비적인 문화에 길들어지고 그들의 생활에서 자율적으로 소통되었던 생산적인 문화는 가치를 상실하여 왔다. 세시풍속이 일이나 생활을 주기로 반복되는 상징체계라고 할 때, 그 시간성의 본질은 그것이 노동과 자유의 유기적인 연합 속에서 문화를 형성·존속시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그러한 시간성의 바탕 위에서 개인이나 가족 혹은 공동체를 단위로 하는 의례나 축제와 같은 문화형식들이 가능했다. 시간문화로서 세시풍속은 자본의 시간 속에서 상품화될 수 없는 속성을 지녔다. 따라서 삶과 사회의 공통성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생산과 활동의 ‘옛 기억’으로서 세시풍속이 지닌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The Korean annual customs are religious and social rituals that Koreans life-style has been conventionally or seasonally repeated depending on its topography and climate, which can be defined as temporal culture resources reflecting the temporal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its periodicity. The research of annual customs, which are temporal resources, can be said to have the significance in that it gives basic criticism on the capitalized temporal culture and again recognizes its usefulness. It will be a work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and meanings of temporal customs and the asking again of their values through which the designing of society can be sought for. The modern temporal system is a temporal culture system making money into the measure of value. In this temporal system, the distribution of time can be achieved that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workforce leads to higher productivity. The modern time-distribution has been subordinating man`s production activities into markets and separating the cultural subject from its products to grade them by price, which resulted in the exclusion and extinction of the cultures which do not accord with it. In this process, the cultural subject has been habituated to a consumptive culture and accordingly the productive culture autonomously flowing in their lives has lost its value. If the annual customs are considered to be a symbolic system which is repeated in the cycle of life, the essence of its temporality must be the culture created in the organic union of labor and freedom. Based on that temporality, such cultural forms as rituals and festivals with the unit of an individual, a family or a community have been possible. Those annual customs as the resources of temporal culture have the property that they can not be commercialized in the time of capital.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renew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the annual customs which are old memories of social production and activity based on the commonality of life and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냉전텍스트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의 한국 번역과 수용의 냉전 정치성

        李奉範 ( Lee Bong-beo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7 No.-

        이 글은 1949년 문화냉전이란 분명한 의도에 의해 기획·탄생한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이 한국에서 번역되는 맥락과 그 수용의 양상에 초점을 두고 『실패한 신』이 지닌 냉전텍스트로서의 위상과 그 영향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패한 신』은 공산당에 입당했거나 공산주의에 동조한 바 있는 스티븐 스펜더, 아서 쾨슬러, 이냐치오 실로네, 리처드 라이트, 루이스 피셔, 앙드레 지드 등 저명한 서구지식인들의 공산주의 가담, 체험, 환멸, 탈퇴의 과정을 상세히 고백한 공산주의체험 에세이집이자 공산주의 (재)전향의 기록이다. 이 전향텍스트의 특장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소비에트체제)/자유주의 이데올로기(자본주의체제)에 대한 동시적인 비판이라는데 있다. 그러나 『실패한 신』은 CIA의 문화냉전 전략에 의해 공산주의(체제) 실패를 입증해주는 결정적 증거로 의미화 되면서 문화냉전의 대표적인 심리전 텍스트로 활용되었다. 또한 문화자유회의를 비롯한 국제적 냉전문화기구를 매개로 세계적인 확산과 냉전텍스트로서의 권위와 영향력이 확대되기에 이른다. 따라서『실패한 신』은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냉전지식의 동아시아적 및 한국적 변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보기 드문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본고는 『실패한 신』의 한국 번역 및 수용의 양상을 연대기적으로 살피는 가운데 네 가지 지점을 해명하는데 주력했다. 첫째,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냉전지식의 한국적 변용에 대해 탐색이다. 국제적 냉전문화네트워크와의 연계하에 이루어진 한국에서의 번역메커니즘과 복수의 번역주체가 변용·전유한 냉전정 치성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냉전문화사의 특수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둘째, 『실패한 신』의 번역 실제에 대한 총체적 정리이다. 셋째, 전향 의제의 냉전정치성과 사상사적·문화사적 영향이다. 넷째,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기원에 대한 비교사적 고찰이다. 큰 시차 없이 한국 및 동아시아 국가들에 번역되는 특징에 주목하여 그 수용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사적으로 분석하여 냉전아시아 문화냉전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했다. 『실패한 신』의 한국 수용은 냉전분단체제의 거시적인 규율 속에 반공산주의의 정당성을 확증해주는 텍스트로, 체제옹호를 뒷받침해주는 대내외 심리전텍스트로 두루 활용되는 기조가 유지되었다. 좌익에 남아 있던 공산주의전력자의 증언으로만 구성한 『실패한 신』의 텍스트성과 그로 인해 출간 당시 『실패한 신』 및 저자들이 좌우 진영 모두로부터 의혹과 비판을 받은 바 있는 이 냉전텍스트가 한국에서는 반공산주의텍스트로 비교적 단일한 의미 변용을 거쳐 수용되었고, 그것이 오랫동안 지배적으로 관철된 특징이 있다. 포도레츠가 특히 경계했던 제3세계에서 이 텍스트의 반공주의 지식으로서의 불충분성과 반 소주의의 정치적 미흡함이 한국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실패한 신』의 기획 의도가 한국에서 가장 실질적으로 구현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것이 가능했던 원천은 냉전분단체제하 사상 전향이 내포한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구속성 때문이었다. 이 같은 수용은 지배 권력의 통치술로 확대 강화된 면이 컸으나 한국사회에 광범하게 정착된 냉전멘털리티가 이에 못지않게 작용했다는 판단이다. 특히 공산주의의 실제 체험은 『실패한 신』의 냉전텍스트성과 심리전 효과를 증폭시키는 주된 바탕이었다. 이는 동아시아국가들의 번역 수용과도 구별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실패한 신』은 문화냉전텍스트로 규정되어 전파되었으나 그 내용과 영향을 고려하면 러시아혁명 이후 20세기 세계사를 포괄한 지성사의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공산주의전력자들의 사상적 고뇌와 지적 유토피아니즘에 대한 복원이라는 관점에서 『실패한 신』의 재독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text in which 『The God That Failed』, which was planned with the clear intention of the Cultural Cold War in 1949, was translated in Korea and the aspect of its acceptance, and aims to investigate its status as a Cold War text and its influence. 『The God That Failed』 is a collection of essays on communism experience and a record of conversion to communism, which confessed in detail the process of joining, experiencing, disillusioning, and withdrawing from communism by prominent Western intellectuals who joined the Communist Party or sympathized with communism. The special feature of this conversion text is that it is a simultaneous critique of communist ideology(Soviet system)/liberal ideology(capitalist system). However, 『The God That Failed』 was used as a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warfare text of the Cultural Cold War as it was meant as decisive evidence to prove the failure of communism by the CIA’s Cultural Cold War strategy. In addition, through international Cold War cultur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ultural Freedom Council, it has spread worldwide and its authority and influence as a Cold War text have been expanded. Therefore, 『The God That Failed』 can be said to be a rare text that can simultaneously grasp the global chain of the Cultural Cold War and the East Asian and Korean acculturation of the Cold War knowledge. The acceptance of 『The God That Failed』 into Korea was maintained as a text that confirms the legitimacy of anti-communism in the macroscopic discipline of the Cold War system, and is widely used as a psychological warfare text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support the advocate system. In Korea, it was accepted as an anti-communist text through a relatively single meaning change, and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has been dominantly carried out for a long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insufficiency of this text as anti-communist knowledge and the political inadequacy of anti-Sovietism in the Third World, which Podhoretz was particularly wary of, did not exist in Korea. This shows that the planning intention of 『The God That Failed』 was most practically implemented in Korea.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strong ideological constraints implied by the ideological conversion under the Cold War system. This acceptance was largely strengthened by the ruling art of the ruling power, but it is judged that the Cold War mentality that was widely established in Korean society worked no less than this. In particular, the actual experience of communism was the main basis for amplifying the Cold War textuality and psychological warfare effect of 『The God That Failed』. This is also a point of distinction from the acceptance of translation by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특집논문 : 조선후기 부세수취 관행과"중간비용" ; 대동법(大同法) 시행 이후 중간비용의 처리양상과 과외별역(科外別役)의 문제

        최주희 ( Joo Hee C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17세기 후반부터 전국에 확대 시행된 대동법은 현물납에 따른 民役의 부담을 대폭 완화시켜준 조치였다. 각도 대동사목이 작성되는 과정에서 운송비[船馬價·태價]와 수수료[作紙·役價]의 일부가 大同儲置米(餘米)와 上納米내에 포함되었다. 문제는 선혜청이라는 대동세의 출납기구가 신설되고, 중앙의 공물조달체계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중간비용이 창출되었다는 점이다. 군현에서 대동세를 상납할 때 선혜청에 人情米를 바쳤으며, 공인들이 왕실과 정부각사에 공물을 진배할 때에도 人情·作紙를 별도로 납부하였다. 또 대동세 수취시 잉미[1,000석 당 20석]를 더 거두고 공인에게 공물가를 지급할 때에도 空石價[1석당 2승]를 추가로 징수하여 선혜청의 청사유지비와 관원의 인건비로 썼다. 특히 공인들에게는 무상의 과외별역이 부과되었는데, 이것은 18세기 이후 공인들이 조달시장을 이탈하는 배경이 되었다. 대동법 시행을 계기로 공인들이 시장에서 공물을 구매하여 왕실과 중앙각사에 진배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였다고 하더라도, 공물조달의 최종단계에 있는 왕실과 중앙각사는 조선전기와 마찬가지로 현물[공물·진상]을 진배 받는 구조를 계속 유지하였다. 이로 인해 궐내·외 각사에서 각종 수수료·잡비를 징수하는 관행이 계속 유지되었으며, 공인들에게 공물을 추가징수하고 과외별역에 동원하는 폐단이 18세기 이후 가시화되었다. 정부로서도 한정된 대동세입을 가지고 정부관서와 지방관아의 행정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았다. 여기에 양란 이후 왕실과 정부기구가 재편되고 관서행정에 필요한 각종 역을 고립해 쓰는 구조가 형성되면서 중앙의 재정규모는 긴축재정을 표방하는 정부의 정책과는 달리 늘어나는 추세에 있었다. 이에 중앙정부는 貢弊의 간행과 貢市人詢막을 통해 이러한 과외별역을 스스로 개선하려는 노력을 19세기까지 지속해갔다. 18세기 이후 정부의 대공시인정책이 ``詢막``의 형태로 전개된 것은 이처럼 정부재원을 조달시장에 충분히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인들이 겪는 과외별역의 폐단을 개선해줌으로써 공물조달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현실적인 타협책에 다름 아니었다. Existing transportation costs, fees, and labor costs linked to the collection of the Uniform Land Tax(Daedongse) were rolled into the Uniform Land Tax following the expansion of the related law(Daedongbeop) nationwide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he collection en bloc of various spot goods as well as military and corvee labor services under the Uniform Land Tax led to an easing of the abuses associated with the collection of surtax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However, the Joseon government found itself having to ru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ased solely on the amounts collected through the Uniform Land Tax.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sought to overcome the deficit in general expenses by assigning extra corvee labor to the tribute men who paid the costs of tribute products in conjunction with important national events. However, this extra corvee labor privately assigned by government officials on top of the official national corvee labor had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burden bore by tribute men.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organized consultative meetings that had as their objective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s faced by tribute men and merchants. It also published record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ribute men in a book called < Tribute Malpractice(gongpye) >. As such,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form Land Tax Law, the Joseon government continued to try to find ways to alleviate the exploitative nature of the extra corvee labor arbitrarily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bodies.

      • KCI등재

        1946년 성균관대 중건의 연속과 단절

        吳瑅淵 ( Oh Je-yeo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6 No.-

        해방 직후인 1946년 성균관대가 중건되었다. ‘공간’ 및 이에 속한 ‘시설’과 ‘학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의 역사를 바라보면 식민지기 명륜학원-명륜전문학원-명륜전문학교를 성균관대와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하지만 성균관대는 식민지기 명륜학원-명륜전문학원-명륜전문학교와 단절적인 성격이 더 강하다. 우선 식민지기 학교 관련자들이 해방 직후 명륜전문학교를 재건하려 했으나 이는 사실상 실패하고 말았다. 이 때문에 명륜전문학교는 조직적으로 성균관대 중건에 참여하지 못했다. 오히려 성균관대 중건의 주도권을 잡은 사람은 평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한 심산 김창숙이었다. 김창숙은 성균관대를 중건하면서 식민지기 명륜전문학교의 잔재를 최대한 청산하고자 했다. 성균관대가 전통시대 최고학부이자 관학이었던 성균관과 달리 사립대학으로 출발한 것 역시 관(국가)의 종속에 벗어나려 했던, 즉 식민지 경험의 청산, 극복, 단절의 결과였다. In 1946, after liber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was re-established. If we look at the history of Sungkyunkwan University with a focus on ‘space’, it is possible to connect Myeongryunhagwon(明倫學院)-Myeongryun Professional School(明倫專門學校), which functioned a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same spa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Sungkyunkwan University. But overall, Sungkyunkwan University has a strong disconnection from Myeongryunhagwon(明倫學院)-Myeongryun Professional School(明倫專門學校). The person who took the lead in the re-establishment of Sungkyunkwan University was Shimsan Kim Chang-sook, who devoted his life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When Kim Chang-sook re-established Sungkyunkwan University, he tried to liquidate as much as possible the remnants of Myeongryun Colleg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lso, Kim Chang-sook re-established Sungkyunkwan University as a private university in order to avoid government interference as in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