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학술원 20년 철학방면 연구성과 ― 유학과 경학 방면 연구를 중심으로

        李昤昊 ( Lee Young-ho ),金渡鎰 ( Kim Doi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동아시아학술원의 대표적 연구공간은 대동문화연구원, 유교문화연구소, 학술원 산하 인문한국연구소 등이다. 이 세 단위 연구기관에서 이루어진 철학 방면 연구는 주로 저술(저역서, 영인출판)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학술대회와 자료구축을 통해서도 그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유교문화연구소에서는 학술원 개원 이래 ‘유교문화번역총서’와 ‘유교문화연구총서’를 통해 유학의 현대화 문제에 천착하였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이루어진 학술대회에서도 ‘경학(유학)’의 현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비해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에서는 한국유학(경학)을 기반으로 하는 동아시아 고전철학의 모색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활동을 하였는데, 최근에 이르러서야 동아시아적 연대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대동문화연구원에서는 영인총서를 통하여 조선유학(경학)의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였는데, 이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매우 중요한 학술적 자산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한편 자료구축의 측면에서는 유교문화연구소의 ‘유경정본화사업’, 인문한국연구소의 ‘한국경학자료시스템’, ‘한국주자학용어시스템’을 거론할 수 있다. 이 세 사이트에서는 한국 유학, 특히 한국 경학에 관한 자료 구축의 전범을 보여주었다. 향후 한국고전철학연구에 있어 필수불가결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학술원은 지난 20년 동안 이룩한 고전철학 방면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연구의식의 심화와 자료구축의 확장을 도모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동아시아 고전철학연구에 대하여 비판적 관점을 견지하고, 새로운 문제의식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동아시아 혹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자생의 학술담론은 이러한 관점과 의식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Three representative research institutes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ar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and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Their philosophy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writing (publication of books, translated works, and photocopy editions) by these three and has been expanded its scope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and establishing database. Since its opening of the Academy,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has published Confucian Culture Translation Series and Confucian Culture Research Series to address the issue of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Also, academic conferences held since the 2000s focused on the modernization of the Confucian studies (Confucian Classics). In contrast, the research by the Humanities Korea Project Institute has been focused on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based on Korean Confucianism, and only recently has the foundation of East Asian solidarity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 publication of Classic Photocopy Series by th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Joseon Confucian classic, which has become a very important academic asset, both at home and abroad.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database establishment, the Institut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s 유경정본화사업 Project, the HK's Korean Confucian Classics Data System, and the Terminology Data System of Zhu Xi's Learning can be discussed. These three sites are good examples of the establishing database on Korean Confucianism, especially Korean Confucian Classics. This is indispensable database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philosophy. The Academy aims to deepen research awareness and expand its database archiving based on the achievements in classical philosophy over the past two decades. In this process, we will maintain a critical view of East Asian classical philosophy research so far and endeavor to identify problems. Based on this, we will ultimately seek out a self-sustaining academic discourse that is recognized in East Asia of globally.

      • KCI등재

        일반논문 : 근대적 시간체제 비판과 민속적 시간문화의 가치 재인식

        이영배 ( Young Bae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0 No.-

        한국의 세시풍속은 한국의 지형과 기후에 따른 한국인의 생활 양식이 계절적으로 혹은 관습적으로 되풀이되었던 종교적이고 사회적인 의례로서 전통사회의 시간인식과 그 주기성을 반영하고 있는 시간문화로 정의할 수 있다. 시간문화로서 세시풍속연구는 자본주의화한 시간문화에 대하여 근본적인 비판을 가하고 그 유용성을 다시 인식하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세시풍속의 원리와 의미 등을 재인식하고 그 가치를 다시 묻는 작업이기도 하며 그것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민속지식의 의의를 찾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근대적 시간체제는 화폐를 가치의 척도로 삼는 시간문화 체계이다. 이러한 시간체제 속에서는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시간의 배치가 이루어진다. 시간의 근대적 배치는 인간의 생산활동을 시장에 종속시키고 문화주체를 자기생산물로부터 분리시켜 가격에 따라 등급을 매기고, 그에 부합하지 않는 문화들을 배제·약화시켜왔다. 그 과정에서 문화주체는 소비적인 문화에 길들어지고 그들의 생활에서 자율적으로 소통되었던 생산적인 문화는 가치를 상실하여 왔다. 세시풍속이 일이나 생활을 주기로 반복되는 상징체계라고 할 때, 그 시간성의 본질은 그것이 노동과 자유의 유기적인 연합 속에서 문화를 형성·존속시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그러한 시간성의 바탕 위에서 개인이나 가족 혹은 공동체를 단위로 하는 의례나 축제와 같은 문화형식들이 가능했다. 시간문화로서 세시풍속은 자본의 시간 속에서 상품화될 수 없는 속성을 지녔다. 따라서 삶과 사회의 공통성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생산과 활동의 ‘옛 기억’으로서 세시풍속이 지닌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The Korean annual customs are religious and social rituals that Koreans life-style has been conventionally or seasonally repeated depending on its topography and climate, which can be defined as temporal culture resources reflecting the temporal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its periodicity. The research of annual customs, which are temporal resources, can be said to have the significance in that it gives basic criticism on the capitalized temporal culture and again recognizes its usefulness. It will be a work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and meanings of temporal customs and the asking again of their values through which the designing of society can be sought for. The modern temporal system is a temporal culture system making money into the measure of value. In this temporal system, the distribution of time can be achieved that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workforce leads to higher productivity. The modern time-distribution has been subordinating man`s production activities into markets and separating the cultural subject from its products to grade them by price, which resulted in the exclusion and extinction of the cultures which do not accord with it. In this process, the cultural subject has been habituated to a consumptive culture and accordingly the productive culture autonomously flowing in their lives has lost its value. If the annual customs are considered to be a symbolic system which is repeated in the cycle of life, the essence of its temporality must be the culture created in the organic union of labor and freedom. Based on that temporality, such cultural forms as rituals and festivals with the unit of an individual, a family or a community have been possible. Those annual customs as the resources of temporal culture have the property that they can not be commercialized in the time of capital.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renew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the annual customs which are old memories of social production and activity based on the commonality of life and society.

      • KCI등재

        ‘통속성’ 개념의 분화/분단과 문화평등주의

        李하나 ( Lee Ha-n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이 글은 식민지시기부터 해방후를 거쳐 1990년대에 이르는 시간 동안 문화예술 및 교양오락 분야에서 끊임없이 언급되고 재정의되었던 개념 중 하나인 ‘통속’과 ‘통속성’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감성의 분단사’라는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남북의 분단이 단지 국토의 분단, 체제의 분단일 뿐만 아니라 개념의 분단, 나아가 감성의 분단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식민지시기 ‘통속’의 개념은 처음엔 ‘보통’, ‘누구에게나 통하는’ 등의 일상개념으로 시작되었으나, 1930년대 중반 이후 예술 개념으로서의 ‘통속’은 현저하게 ‘저급’과 ‘저속’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일상 개념으로서의 ‘통속’과 예술개념으로서의 ‘통속’은 해방후 각각 북한과 남한으로 나뉘어 전개되었다. 북한에서는 ‘통속’의 긍정적 의미가 확대되어 문화예술에서도 ‘통속성’이 지향되었으나, 남한에서는 ‘통속’의 긍정적 의미가 사상되고 부정적 의미로만 사용되어 ‘통속성’은 지양되어야할 무엇으로 치부되었다. 북한에서 ‘통속성’은 ‘인민성’의 중요한 내용으로서 여겨진 반면, 남한에서는 ‘통속성’의 문제가 ‘대중성’과 함께 거론되어 ‘대중성’에 포함되어 이해되기도 하고 ‘대중성’의 하위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어느 쪽이든 ‘통속성’은 대중의 저급한 취향을 뜻하는 말로서 부정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20세기 초 평등의 관념이 한국사회에 들어오면서 대중 누구나 계몽과 각성을 통해 높은 수준의 문화를 향유할 수 있다는 문화평등주의가 대두하였는데, 당시 ‘통속교육’의 활성화는 이러한 시대 분위기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평등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처음엔 결과의 평등이 중시되었지만 점차 과정의 평등 쪽으로 강조점이 옮겨갔다. 일상개념으로서의 ‘통속’이 대중의 성장을 전제로 결과의 평등을 중시하는 평등주의 감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문화예술 개념으로서의 ‘통속’은 지식인과 대중 사이의 위계를 전제로 기회 균등이라는 과정의 평등을 중시하는 평등주의 감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남한은 후자를, 북한은 전자를 선택함으로써 남북은 두 개의 평등주의에 기반한 두 개의 ‘통속성’을 갖게 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t'ongsok'(popularity), one of the concepts that has been constantly mentioned and redefined in the field of culture, arts and entertainment during the period from colonial period to the 1990s through liberation. It aims to reveal that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is not only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he division of the system, but also the division of the concept, and further the division of affect. The concept of 't'ongsok'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itially began with the concept of life such as 'normal' and 'connected to everyone', but since the mid-1930s, 't'ongsok' as an art concept remarkably understood the meaning of 'low grade' and 'low taste'. 't'ongsok' as a concept of life and 't'ongsok' as an artistic concept were developed into North Korea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after liberation. In North Korea, the positive meaning of 't'ongsok' was expanded to the culture and arts, but in South Korea, the positive meaning of 't'ongsok' was thought and used only as a negative meaning, so 't'ongsok' was regarded as something to be avoided. In North Korea, 't'ongsok'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content of 'inminsŏng', whereas in South Korea, the issue of 't'ongsok' was discussed along with 'taejungsŏng' and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aejungsŏng' and understood as subordinate to 'taejungsŏng'. It also became, either way, 't'ongsok' has been used negatively as a term referring to the poor taste of the public. As the notion of equality entered Korean society in the early 20th century, cultural egalitarianism emerged, saying that anyone in the public could enjoy a high level culture through enlightenment and awakening, and the activation of 't'ongsok gyoyuk' at that time came from this atmosphere. From the point of view of equality, at first, equality of outcomes was emphasized, but the emphasis gradually shifted toward equality of process. While 't'ongsok' as a concept of life is based on an egalitarian sentiment that emphasizes equality of outcomes on the premise of the growth of the public, 't'ongsok' as a concept of culture and art is based on a process of equal opportunity on the premise of a hierarchy between intellectuals and the public. It was based on an egalitarian sensibility that values equality. By choosing the latter for South and the former for North Korea, the South and North have two concepts of 't'ongsok', or two kinds of egalitarianism.

      • KCI등재

        냉전텍스트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I Chose Freedom)』의 동아시아 번역과한국 수용의 특징

        이봉범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4 대동문화연구 Vol.128 No.-

        이 글은 소비에트 공산당원으로 1944년 미국으로 망명한 V·A 크라보첸코의 자서전적 망명수기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가 냉전의 맥락에서 세계-동아시아-한국으로 번역되는 양상과 그 수용의 특징을 문화냉전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주의 자체를 비판한 내용이 전혀 없는 反스탈린주의 텍스트가 어떻게 빠른 기간 안에 동시다발적으로 번역되어 전 지구적인 냉전텍스트로 변용되었는가에 대한 거시적인 탐문이다. 이 텍스트가 세계 냉전체제하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동아시아 및 한국적 변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각별한 냉전텍스트라는 전제 아래 세 가지 논점을 해명하는데 주력했다. 첫째,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가 냉전텍스트로 변용·재정위되는 과정을 파리재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문화냉전의 기원을 탐색한다. 러시아민중사의 자서전적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이 텍스트가 냉전텍스트로 변용된 데에는 反스탈린주의적인 내용에서 기인한 바 크나 1946년 1월 영어로 번역되어 뉴욕에서 출판된 사정과 이와 연관된 크라보첸코 소송사건, 즉 파리재판에서 동서 양 진영 상호 간 프로파간다 도구로 이용됨으로써 반공산주의텍스트서의 확고한 위상을 확보하는 동시에 문화냉전의 심리전 텍스트로서의 가치를 증폭시킨 것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CIA가 주도한 조직적인 세계적 문화냉전에 앞선 문화냉전의 징후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서구發 냉전텍스트가 어떻게 동아시아 지역에 동시대적으로 번역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고찰이다. 중국(대만)의 경우 초본 번역으로 노골적인 반공프로파간다보다는 공산주의 소련 이해의 텍스트로 수용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제2차 국공내전의 전황과 관련이 깊다. 다만 1949년 중국 분열 이후 대만의 정치상황을 고려할 때 반공사상전의 프로파간다 텍스트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일본의 번역에서 가장 큰 특징은 GHQ/SCAP 산하 민간정보교육국의 번역 허가 및 검열을 받았다는 사실과 파리재판을 중점적으로 다룬 점이다. 패전 후 일본의 정치적·사상적 혼란과 아메리카니즘을 부식하려는 미국의 정책적 의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산물로 볼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의 번역은 자유 동아시아 구축을 목표로 1950년대 본격화되는 미국의 도서프로그램 사업 이전의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전사로 볼 수 있다. 셋째, 한국에서의 번역 및 수용의 장기 지속성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 파악이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소련 이해의 지침서에서 반소반공 텍스트로의 극적 전환에는 열전의 직접 경험에다 반역과 전향의 사상 의제를 기축으로 한 내부냉전이 연관되어 있었으며 이로부터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는 반공서적의 대명사로 대공심리전에 최적화된 텍스트로 자리매김 되기에 이른다. 냉전-열전-분단의 연쇄 속에 반공-멸공-승공 프로파간다 심리전 텍스트로 변용·전유된 한국적 수용은 이 텍스트의 냉전정치성이 가장 극적이고 실질적으로 발휘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하나의 텍스트가 냉전 초기 지구를 횡단하며 각기 다르게 수용되는 냉전문화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를 가로지르며 음각된 냉전과 책의 운명 나아가 사람의 운명이 내포한 냉전의 폭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world-East Asia-Korea transla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ptance of V·A KRAVCHENKO, who defected to the United States in 1944, “I chose freedom.”It is a macroscopic inquiry into how an anti-Stalinist text, which has no criticism of socialism itself, was translated simultaneousl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ransformed into a global Cold War text. Under the premise that this text is a special Cold War text that can grasp the global chain of the world's cultural cold war and East Asian and Korean transformation at the same time, it focused on clarifying three points. First, “I chose freedom”and then reconstruct the process of being transformed and re-appointed into Cold War text, focusing on the Paris Tribunal, to explore the origin of the cultural Cold War. Second, it is a consideration of how the Cold War text from the West was simultaneously translated and accepted in East Asia. Third,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the long-term persistence of translation and acceptance in Korea.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the dramatic shift from the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the anti-Soviet Union and anti-communist texts was related to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war and the internal Cold War based on the ideological agenda of treason and conversion, and from this, “I chose freedom” is the epitome of anti-communism books and has become an optimized text for anti-communism psychological warfare. The Korean acceptance of the Cold War, which has been transformed and transferred into an anti-communist, extinct, and successful propaganda psychological warfare text in a series of Cold War-war divisions, suggests that the Cold War politics of this text were most dramatic and practical.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violence of the engraved Cold War, the fate of books, and the fate of people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Cold War culture, in which one text crosses the Earth in the early days of the Cold War and is accepted different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46년 성균관대 중건의 연속과 단절

        吳瑅淵 ( Oh Je-yeo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6 No.-

        해방 직후인 1946년 성균관대가 중건되었다. ‘공간’ 및 이에 속한 ‘시설’과 ‘학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의 역사를 바라보면 식민지기 명륜학원-명륜전문학원-명륜전문학교를 성균관대와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하지만 성균관대는 식민지기 명륜학원-명륜전문학원-명륜전문학교와 단절적인 성격이 더 강하다. 우선 식민지기 학교 관련자들이 해방 직후 명륜전문학교를 재건하려 했으나 이는 사실상 실패하고 말았다. 이 때문에 명륜전문학교는 조직적으로 성균관대 중건에 참여하지 못했다. 오히려 성균관대 중건의 주도권을 잡은 사람은 평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한 심산 김창숙이었다. 김창숙은 성균관대를 중건하면서 식민지기 명륜전문학교의 잔재를 최대한 청산하고자 했다. 성균관대가 전통시대 최고학부이자 관학이었던 성균관과 달리 사립대학으로 출발한 것 역시 관(국가)의 종속에 벗어나려 했던, 즉 식민지 경험의 청산, 극복, 단절의 결과였다. In 1946, after liber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was re-established. If we look at the history of Sungkyunkwan University with a focus on ‘space’, it is possible to connect Myeongryunhagwon(明倫學院)-Myeongryun Professional School(明倫專門學校), which functioned a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same spa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Sungkyunkwan University. But overall, Sungkyunkwan University has a strong disconnection from Myeongryunhagwon(明倫學院)-Myeongryun Professional School(明倫專門學校). The person who took the lead in the re-establishment of Sungkyunkwan University was Shimsan Kim Chang-sook, who devoted his life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When Kim Chang-sook re-established Sungkyunkwan University, he tried to liquidate as much as possible the remnants of Myeongryun Colleg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lso, Kim Chang-sook re-established Sungkyunkwan University as a private university in order to avoid government interference as in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특집논문 : 조선후기 부세수취 관행과"중간비용" ; 대동법(大同法) 시행 이후 중간비용의 처리양상과 과외별역(科外別役)의 문제

        최주희 ( Joo Hee C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17세기 후반부터 전국에 확대 시행된 대동법은 현물납에 따른 民役의 부담을 대폭 완화시켜준 조치였다. 각도 대동사목이 작성되는 과정에서 운송비[船馬價·태價]와 수수료[作紙·役價]의 일부가 大同儲置米(餘米)와 上納米내에 포함되었다. 문제는 선혜청이라는 대동세의 출납기구가 신설되고, 중앙의 공물조달체계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중간비용이 창출되었다는 점이다. 군현에서 대동세를 상납할 때 선혜청에 人情米를 바쳤으며, 공인들이 왕실과 정부각사에 공물을 진배할 때에도 人情·作紙를 별도로 납부하였다. 또 대동세 수취시 잉미[1,000석 당 20석]를 더 거두고 공인에게 공물가를 지급할 때에도 空石價[1석당 2승]를 추가로 징수하여 선혜청의 청사유지비와 관원의 인건비로 썼다. 특히 공인들에게는 무상의 과외별역이 부과되었는데, 이것은 18세기 이후 공인들이 조달시장을 이탈하는 배경이 되었다. 대동법 시행을 계기로 공인들이 시장에서 공물을 구매하여 왕실과 중앙각사에 진배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였다고 하더라도, 공물조달의 최종단계에 있는 왕실과 중앙각사는 조선전기와 마찬가지로 현물[공물·진상]을 진배 받는 구조를 계속 유지하였다. 이로 인해 궐내·외 각사에서 각종 수수료·잡비를 징수하는 관행이 계속 유지되었으며, 공인들에게 공물을 추가징수하고 과외별역에 동원하는 폐단이 18세기 이후 가시화되었다. 정부로서도 한정된 대동세입을 가지고 정부관서와 지방관아의 행정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았다. 여기에 양란 이후 왕실과 정부기구가 재편되고 관서행정에 필요한 각종 역을 고립해 쓰는 구조가 형성되면서 중앙의 재정규모는 긴축재정을 표방하는 정부의 정책과는 달리 늘어나는 추세에 있었다. 이에 중앙정부는 貢弊의 간행과 貢市人詢막을 통해 이러한 과외별역을 스스로 개선하려는 노력을 19세기까지 지속해갔다. 18세기 이후 정부의 대공시인정책이 ``詢막``의 형태로 전개된 것은 이처럼 정부재원을 조달시장에 충분히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인들이 겪는 과외별역의 폐단을 개선해줌으로써 공물조달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현실적인 타협책에 다름 아니었다. Existing transportation costs, fees, and labor costs linked to the collection of the Uniform Land Tax(Daedongse) were rolled into the Uniform Land Tax following the expansion of the related law(Daedongbeop) nationwide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he collection en bloc of various spot goods as well as military and corvee labor services under the Uniform Land Tax led to an easing of the abuses associated with the collection of surtaxes and miscellaneous expenses. However, the Joseon government found itself having to ru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ased solely on the amounts collected through the Uniform Land Tax.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sought to overcome the deficit in general expenses by assigning extra corvee labor to the tribute men who paid the costs of tribute products in conjunction with important national events. However, this extra corvee labor privately assigned by government officials on top of the official national corvee labor had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burden bore by tribute men.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organized consultative meetings that had as their objective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s faced by tribute men and merchants. It also published record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ribute men in a book called < Tribute Malpractice(gongpye) >. As such,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form Land Tax Law, the Joseon government continued to try to find ways to alleviate the exploitative nature of the extra corvee labor arbitrarily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bo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