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플라스틱 기어의 피로수명 평가 및 수명 예측

        정태형,강성규,하영욱 한국공작기계학회 2005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

        Through the fatigue test of plastic gears using polyacetal polymer, this research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for not only specifying operation conditions of plastic gears, but also designing dimensions of plastic gears with giving fatigue life and the estimated equation of fatigue life of plastic gears. That is, from the fatigue life curves, the estimated equation of fatigue life of plastic gears is taken out. For the estimated equation of fatigue life of plastic gears, this research provides two test methods; one is preserving non-limited temperature of tooth flank, the other is preserving limited temperature of tooth flank. As results, how the temperature of tooth flank affects the fatigue life is shown. In addition, based on the endurance limit, the essential factors of the unit load and K-factor are determined, which are needed in the design of gear by bending strength and surface durability.

      • 정상 성인에서 등척성 운동과 등장성 운동이 신체대사에 미치는 효과

        안태순,정순열,정진상 건국대학교 1995 學術誌 Vol.39 No.2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effects of isometric and isotonic exercise on the plasma levels of creatine phosphokinase (CPK), total cholestrol (TC), triglyceride (TG),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low density lipoprotein (LDL), glucose, and cortisol and heart rate (HR) in twenty healthy adults. Prior to the exercise the baseline level was taken from blood sampling after resting for thirty minut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en ; one for isometric, the other for isotonic exercise. Physical exercise was performed by twenty minutes a day for 5 days. As compared with the baseline level, the plasma cortisol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sometric exercise and the plasma CPK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sotonic exercise (p<0.05).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evels of plasma TC, TG, HDL, LDL, and glucose after exorcise in both groups. Heart rate increased more rapidly in isometric exercise than in isotonic exercise (p<0.05). Key words : isometric exercise, isotonic exercise

      • KCI등재

        흰쥐에 Xylene 반복 투여가 Xylene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

        전태원,이혜자,윤종국,이상일,조현국 THE KOREAN SOCIETY FOR BIOMEDICAL LABORATORY SCIEN 1999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5 No.1

        실험동물에 xylene의 반복 투여가 이물질의 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m-xylene과 olive oil의 동량혼합액을 체중 100g당 0.25ml씩 2일 간격으로 1, 4, 8, 12 및 16회 복강으로 투여한 다음 마지막 투여 24시간 후에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요 중 m-methylhippuric acid 함량은 m-xylene 4회 투여군의 경우 1회 투여군에 비하여 약 56%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이후 12회 투여까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m-xylene 16회 투여시에는 xylene 1회 투여군 치와 유사한 치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간조직의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와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은 m-xylene 12회 투여시 까지는 대체적으로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이후 16회 투여시에는 12회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은 m-xylene 투여 회수에 비례해서 전 실험기간 동안 감소되었으며 특히 16회 투여군에서 본 효소활성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한편 본 실험조건에서 투여기간에 따른 진자현미경적 미세구조의 변화는 초기에 활면소포체의 증식이 보이다가 16회 투여군에서는 활면소포체가 감소되고 조면소포체가 증가되었다. 이상 실험결과는 흰쥐에 있어서 xylene 투여 회수에 따라서 요 중 m-methylhippuric acid의 농도 변동이 초래되며 이는 효소단백 유도에 따른 xylene 대사효소 활성 변동에 기인된 결과로 생각된다. To evaluate the effect of repeated treatment of xylene on its metabolism, m-xylene (0.25ml of 50% in olive oil/100 g body weight) has been intraperitoneally given to the rats 1, 4, 8, 12 and 16 times every other day. m-Xylene was once more administered to the animals after 24 hrs since last injection of it. And the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24 hrs. Four times xylene treated rats showed the significantly elevated urinary m-methylhippuric acid, compared to those treated with the singe dose of m-xylene with the continued similiar high levels of urinary m-methylhippuric acid up to the animals pretreated 12 times and then those treated 16 times defined the significantly decreased urinary m-methylhippuric acid compared to those treated 12 times. On the other hand, hepatic aniline hydroxylase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ies demonstrated a gradual increase from the first group to the 12 times xylene-treated animals, but those treated 16 times showed the significantly decreased value compared with the 12 times treated-group. And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ies in rats treated with m-xylene 8, 12 or 16 tim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pretreated one or four times. In the early stage of xylene administration, proliferation of SERs were seen whereas SERs were decreased and RERs were clearly increased in xylene-treated rats 16 tim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requency of xylene injection may influence upon the changes in xylene metabolite, m-methylhippuric acid and it may be due to induction of xylene metabolizing enzymes.

      • 地黃잎의 給與가 離乳仔兎의 發育에 미치는 效果

        姜奉泰,鄭鉉丞,郭鐘瀅 진주산업대학교 1968 論文集 Vol.2 No.-

        地黃잎을 Chinchilla 種 離乳仔兎에 10%, 20%, 30%生草와 代置하여 各各 4頭에 給與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增體量은 對照區에 比하여 10% 地黃잎 代置區는 有意的으로 우수하였으며, 20%, 30% 代置區는 不良하였다. 2.飼料利用性도 10% 地黃잎 代置區는 對照區보다 優良하였다. 3.嗜好性은 10% 地黃잎 代置區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20%, 30% 代置區는 對照區보다 不良하였다. 4.健康狀態는 모두 良好하였으며, 10% 地黃잎 代置區가 가장 활발하였다. 以上 本試驗의 結果로써 地黃잎 10% 代置가 仔兎의 成長에 有效함을 認定할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Jiwhang`s leaf on weanling rabbits. Heaf of Jiwhang substitude with 10%(T_1), 20%(T_2), 30%(T_3) for grass in ration was fed with basal r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In weight gain T_1 lot showed more gain (P.<0.05) than that in the control. T_2 lot, T_3 lot showed less gain than that in the control. 2)Feed efficiency of T_1 lot was also higher than that in any other lots. But T_2 lot, T_3 lot respectively showed less feed efficiency than that in the control. 3)T_1 lot was most palatable to rabbits. But T_2 lot, T_3 lot respectivly showed less palatability than that in the control. 4)All of the rabbits used in experimental period were in good health. T_1 lot was most vigorous. From the above mentioned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was estimated that the ration substituted with 10% of Jiwhang1s leaf was effective for rabbits.

      • KCI등재

        공기재생용 고온건식탈황제의 가압유동층 반응기에서의 사이클 성능실험

        조성호,이봉희,이중범,류청걸,진경태,이창근 한국화학공학회 200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0 No.2

        고온고압 기포유동층 반응기에서 분무건조기로 성형제조한 아연계 탈황제(ZAC C)에 대하여 총 6회 황화-재생 반복실험을 500℃, 5atm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1% H_2S를 포함한 석탄모사가스를 반응기에 주입하여 황화반응을 시킨 결과 배출가스 중 H_2S 농도는 10ppmv 이하로 유지되었다. ZAC C의 황흡수력은 6회 황화반응 동안 각각 11.1, 10.9, 11.1, 11.1, 10.9, 10.5g S/100g sorbent으로 유지되어 초기 황흡수력을 유지하였다. 공기를 이용한 500℃ 재생반응에서 배출되는 SO_2의 최대농도는 양론적으로 이론값과 일치하였다. 재생반응에서 탈황제 층의 온도는 발열반응에 의해 500℃에서 최대 750℃까지 상승하였다. 연속 70시간 동안 유동층 반응기내에서 실시된 ZAC C 탈황제의 비산되어 유출된 양은 1.07%이고, 실험 후 탈황제의 크기와 조직특성의 변화도 적었다. 고온고압반응기 multi-cyclone 실험결과 ZAC C 탈황제는 이론 황흡수력의 50% 이상을 유지하였고, 공기를 사용한 500℃의 재생반응이 원활하고 완전히 이루어졌고, 황산염생성과 같은 부반응이 없었다. Two desulfurization-regeneration experiments for a spray-dried zinc-based sorbent(ZAC C) were performed at 500℃ and 5 atm in a fluidized-bed reactor(ID 0.097㎜) facility. The H_S concentration after each desulfurization run was maintained below 10 ppmv from a simulated coal gas of 1% H_2S. The estimated sulfur absorption capacities of ZAC C sorbent were 11.1, 10.9, 11.1, 11.1, 10.9, 10.5 g S/100g sorbent, and the sorption capacity of sorbent was maintained in spite of six times sorption experiments. The maximum SO_2 concentration in regeneration effluent gas agreed with a stoichiometric value of 500℃(ca. 14vol%). In regeneration run, the peak temperature of sorbent bed in the reactor reached up to 750 due to the vigorous exothermicity of regeneration reaction with neat air. While entrainment rate for 70h continuous run in fluidized-bed reactor is 1.07%, the size and the textural properties of ZAC C sorbent also show a little change. Multi-cycle tests in fluidized-bed show that ZAC C sorbent maintains over 50% of its theoretical sorption capacity during 70h run and regeneration reaction undergoes smoothly and completely without side reactions such as sulfate formation.

      • 제조에 對한 文獻的 考察

        안태규,최병렬,송기철,이용연,유화승,서상훈,최우진,조정효,이연월,손창규,조종관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2001 惠和醫學 Vol.10 No.1

        In the literatual study on Holotrichia,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Holotrichia is larva of Holotrichia diomphalia Bates etc. powder or liquor of Holotrichia is used medically. 2. Appearance of Holotrichia is shape of kidney, yellowish color. 3. The oriental characters of Holotrichia is warm, toxicant, salty. 4. The significant efficancy of Holotrichia is breaking the stagnant blood. 5. Holotrichia can be applied to the diseases related to thrombosis, and recover the demage of liver. 6. Holotrichia avails Liver diseases such as Hepatitis, Liver cirrhosis, Hepatosplenomegaly, Hepatoma etc.

      • KCI등재

        Bromobenzene의 투여 횟수에 따른 간독성의 차이

        이상희,전태원,윤종국 대한의생명과학회 2000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6 No.1

        실험동물에 있어서 간조직의 손상 정도에 미치는 xenobiotics의 투여기간에 의한 영향을 검토할 목적으로 hepatotoxin의 일종인 bromobenzene의 투여 횟수에 의한 간손상 정도와 이의 기전을 구명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횐쥐에 1일 간격으로 bromobenzene (400 mg/kg)을 복강으로 1회, 3회 및 6회 투여 한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실험에서 혈청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의 확성 및 체중 당 간 무게는 bromobenzene을 1회 투여 한 1일째에는 대조군과 별다른 변동을 볼 수 없었으나 3회 투여 한 3일째에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이후 6일째 6회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체중 당 간 무게 및 혈청 ALT활성이 3일째 보다 현저히 감소되어 오히려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이와 같이 투여 횟수의 증가에 따른 간손상의 정도가 투여 횟수와 비례하지 않은 것이 어떠한 기전에 의해서 나타나는지를 구명하기 위해 bromobenzene 대사에 관여 하는 간조직 중 aniline hydroxyl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과 glutathione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 이들 대사효소 및 GSH이용률이 bromobenzene 6회 투여 군에서 1회 및 3회 투여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어떤 독성물질이 생체에 계속 폭로 시 어느 시점에서 중독현상이 경감되는 것은 이 독성물질의 대사율을 증가시켜 해독하려는 생리적응현상이 일어 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 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Effect of Injection Frequency on the Liver Damage in Ra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jection frequency of bromobenzene on the liver damage, bromobenzene (400 mg/kg, i.p.) was given daily to rats for six days. All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t 24 hours after the last injection.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liver were ob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Functional changes of the liver were evaluated by the measurement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To clarify the cause of discrepancy in liver damage, hepatic glutathione (GSH) content, glutathione S-transferase (GSI) and aniline hydroxylase (AH)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the experiments of daily bromobenzene treatments, the sacrificed animals at six day (6 time-injected animals) showed slighter liver damage than those sacrificed at 3 day (3 time-injected ones), based on the liver morphological or functional findings; the decreasing ratio of GSH content and increasing ratio of liver GST and AH activities in the 6 time-injecte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3 time-injected one.

      • KCI등재

        Cyclohexane에 의한 흰쥐의 폐독성

        전태원,이상일,윤종국 대한의생명과학회 2000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6 No.4

        Cyclohexane에 의한 생체장기의 독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휜쥐에 체중 kg당 1.56 g의cyclohexane을 복강으로 1일 1회 2일 간격으로 4회 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처치하여 각 장기 (간,신장, 비장, 심장, 소장, 위 및 폐)의 체중 당 장기무게 (%)와 조직세포중 glucose-6-phosphatase (G6Pase) 활성변동을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체중 당 폐무게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 (p<0,001)하였고 이와는 반대로 G6pase 활성은 유의한 (p<0.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폐를 제의한 장기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cyclohexane이 주로 폐조직에 독작용을 야기시킨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폐조직에서 malondialdehyde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p<0.05) 증가된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한편, cytochrome P450에 의해 나타나는 aniline hydroxylase활성은 폐조직이 간조직에 비하여 대단히 낮았으며, 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 역시 간조직 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cyclohexane투여로 인하여 ADH 활성은 간 및 폐조직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나 간조직에서 더욱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cyclohexane은 폐조직에 주로 독성을 나타 내며 이는 간조직에서 대사된 cyclohexane의 독성 중간대사산물인 cyclohexanone이 혈류를 통해 폐조직에 분포되어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search the target organ of cylclohexane toxicity, the rats were intraperitoneally treated with cyclohexane (1.56 g/kg of body wt.) four times every other day. In the increasing rate of organ weight per body weight (%) in cyclohexane-treated animals, the lung was highest among the liver, spleen small intestine, stomach, heart and kidney. And in the decreasing rate of glucose-6-phosphatase (G-6-Pase) activity in each organ that of lung was also highest among all organs. Lung MDA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y the cyclohexane treatment. On the other hand,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 activity in lung tissue both of control and cyclohexane-treated rats was greatly low as could be scarcely measured, but that in liver possessing high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cyclohexane-treated rat compared with control.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in lung was markedly higher than that of liver and the latter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by the cyclohexane treatment. In conclusion, cyclohexane treatment to the rats showed mainly lung toxicity and it may be responsible far cyclohexanon, cyclohexane metabolite, distributed from liver.

      • 급성하벽심근경색에서 전흉부유도 ST절 하강의 의의

        정병천,배호상,곽동훈,김영태,배용학,황종현,임현주,류재근,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전도상 흔히 동반되는 전흉부유도 ST절 하강의 의의를 알아보았다. 방법 : 심근경색후 24시간에서 48시간에 얻은 심전도를 기준으로 52명의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를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었으며 심도자, 관상동맥조영술, 심초음파도 및 방사성 핵종을 이용한 좌심구혈율 측정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좌심실확장기말압은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있는 경우에서 16.9±5.33mmHg로 없는 경우의 11.0±4.02mmHg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운동량 및 좌심구혈을은 흥부 유도상 ST절의 하강이 있는 경우 7.6±3.0 METs 및 53.9±9.1%로 없는 경우의 9.1±2.7 METs 및 54.6±9.5%보다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80, p=0.823). 2) 관상동맥조영술상 전흉부 ST절의 하강이 동반된 군에서는 유의한 좌전하행지나 좌회선지의 협착이 있는 경우가 60.9% 및 57.9%로 ST절의 하강이 없는 군에서의 34.5% 및 7.7%와 비교해 좌관상동맥에 협착이 동반된 경우가 많았다(p=0.050, p=0.001). 3) 관상동맥조영술상 세 혈관질환의 빈도는 흉부유도상 ST절의 하강을 보인 23예에서 10예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29예중 2예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고(P=0.007), 단 혈관질환의 빈도는 ST절의 하강을 보인 군에서 23예중 5예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29예중 17예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P=0.002). 두 혈관질환의 경우에는 각각 8예와 10예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흉부유도상 ST절 하강의 빈도는 단 혈관질환 22예 중 5예에서, 두 혈관질환 18예중 8예, 세 혈관질환 12예 중 10예에서 관찰되어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의 수가 많을수록 ST절의 하강이 나타나는 빈도가 많음을 보였다(p=0.00308). 그러나 흉부유도상 나타난 ST절의 하강을 모두 합하여 구한 ST절 하강의 합은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의 수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5) 심초음파도상 좌심실 하벽의 벽운동은 ST절 하강을 보인 군에서는 akinesia가 83.3%, hypokinesia가 11.1%, 정상 벽운동이 5.6%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군에서의 dyskinesia가 3.6%, akinesia가 39.3%, hypokinesia가 25.0%, 정상 벽운동이 32.1%와 비교하여 ST절의 하강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벽운동의 장애가 빈번함을 보였다(p=0.03891). 그러나 좌심실전벽, 측벽 및 중격부위에서는 유의한 벽운동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의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동반되는 경우 다혈관 질환의 가능성이 높으며 좌심실확장기말압이 상승되었고 운동능력은 감소되어 있었다. 또한 심초음파도상 좌심실하벽의 벽운동장애도 심하였다. 따라서 전흉부 ST절의 하강을 동반한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는 전흉부유도에 ST절 하강이 없는 경우보다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생각되며,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appearing during acute inferior myocardial infarction and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that with angiographic finding. 52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existe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 23 patients with ST segment depression and 29 patients without ST segment depression. The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stenosis (≥70%) in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showing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than in patients not showing them (p=0.050) and the result were similar in cases of left circumplex artery (p=0.001). On echocrdiographic examination of left ventricular (LV) wall motion, it showed more severely decreased inferior LV wall motion in patients showing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than in patients not showing them (p=0.03891) even though the other segment of LV wall motion didn't show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The other cardiac parameters such as LVEDP, exercise amount (METs) and ejection fraction were tend to showing bad profile in patients with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From the above results, we could deduce that patients with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have relatively large infarction or concomitant left coronary artery disease, so they need more caution and intensive the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