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 훈련병의 스트레스,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과 자살사고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이동윤,이철순,박철수,손진욱,김봉조,차보석,이소진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7 No.2

        Objectives: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ADHD) symptoms on stress and suicide idea among 224 conscripts. Methods:Total number of subject is 224 conscripts. We evaluate symptoms of adult ADHD with Korean-Wender Utah rating scale(K-WURS) and Korean adul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cale(K-AADHDS), stress with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K(BEPSI-K), suicide idea with Scale for suicide ideation(SSI) after basic military training.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with backward stepwise selection is performed to evaluate risk factors of stres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tepwise selection is performed to evaluate association of suicide idea with adult ADHD symptoms. Results:Stres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K-WURS score, K-AADHDS score and SSI score(p<0.01, p<0.05, p<0.01). K-WURS score are significant risk factor of stress after basic military training(p<0.05, O.R : 1.034, 95% CI : 1.005-1.065). And K-WURS score influence suicide idea after basic military training(p<0.05, β : 0.031). Conclusion:The result suggests that K-WURS score might be a risk factor of stress and could affect suicide idea.

      • 14세 여환에서 쇄골에 발생한 동맥류성 골 낭종 : 증례보고

        김동수,김용민,최의성,손현철,박경진,조병기,홍경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0 忠北醫大學術誌 Vol.20 No.1

        동맥류성 골낭종(aneurysmal bone cyst)은 Jaffe와 Lichtenstein(1942)에 의해 처음 기술된 이래 많은 증례가 보고되었다. 동맥류성 골낭종은 주로 장관 골의 골간단과 척추에서 발생한다. 병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반응성 현상으로 생각되며, 원발성 또는 다른 병변과 동반될 수 있다. 쇄골 등 기타 골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우측 쇄골에서 동맥류성 골낭종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14세 여자환자가 우측 견갑부의 우연히 발견된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종괴에 대해 이학적 검사 및 혈액 검사상 측이한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 검사상, 쇄골 내측부에 골 용해성으로 팽윤된 병변이 관찰되었고, 동맥류성 골낭종, 단순 골낭종, 전이성 골종양 등의 의증 하에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종괴의 육안 소견상, 얇은피질 골로 쌓여 있으며, 노란색 액체로 차있는 4x5cm 종괴가 관찰되었고, 완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광학현미경상, 혈액으로 차있는 다양한 크기의 낭성 구조가 보였고, 여러 개의 거대세포가 격막을 이루고 있었다. 조직학적 소견과 MRI소견, 임상 소견을 종합하였을 때, 쇄골에서 원발성으로 발생한 동맥류성 골낭종을 진단할 수 있었다. Many cases of aneurysmal bone cyst(ABC) have been reported since Jaffe and Lichtenstein(1942) first reported. Aneurysmal bone cyst mostly occurs in metaphysis of the long bones and vertebral column. The reason for this disease has not be clearly explained yet, but it is estimated as reactive change and can be accompanied with primary lesion or another lesion. It rarely occurs in clavicle or other bones. We report one case of ABC in right clavicle. 14-year-old female patient who accidentally found palpable mass on right shoulder visited hospital. We did not find any specifics regarding this patient's mass after physical exam and blood test. Radiologic exam showed a large expansile mass with osteolytic lesi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s ABC, simple bone cyst, metastatic bone tumor, etc. Based on visual observation on excised 4×5 cm mass, it was covered by thin cortical bone and filled with yellow fluid, and complete excision was done. On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mass consist of various size of cystic structures. and several giant cells comprised septae. Based on histological examination, MRI, clinical examination, we made a diagnosis that it was primary anuerysmal bone cyst in clavicle

      • KCI등재

        燐酸腐蝕에 依한 乳齒象牙質의 變化 및 複合레진 浸透에 關한 走査電子顯徵鏡的 硏究

        金鍾喆,孫同銖 大韓小兒齒科學會 198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12 No.1

        To observe the etching patterns and peneration of composite resin to human deciduous dentin etched with 40% phosphoric aci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tching was performed for 0sec., 30sec., 60sec., 90sec. and 120sec. after preparing class Ⅴ cavities on the lavial surface of 51 extracted deciduous teeth. ㆍThe change of etched dentin surface were observed. ㆍClearfil resin was filled on the etched cavities and the penetration patterns of resin were observed. ㆍClearfil and Hipol resin surfaces after removal of tooth substance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learly visible dentinal tubule openings were seen on the dentin surface etched for 30 sec. Extension of etching time, increased the depth of tubule enlargement. 2. Rare resin tags were seen in the dentin etched for 30 sec. followed by resin filling. Many resin tags were seen in the dentin etched 60 sec., 90 sec., 120 sec. followed by resin filling. 3. Clearfil resin tags had hollow depressions at the ends, but Hipol resin tags shrank at the side and had tapered ends. 4. Proper time of etching deciduous dentin for adhesive resin was 60 sec. 5. Clearfil resin had more favorable properties than Hipol resin in sealing the dentinal tubules.

      • SCOPUSKCI등재

        파노라마방사선사진상의 이공에 관한 연구

        배용철,손정익,최갑식,김동윤 大韓口腔顎顔面 放射線學會 1997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27 No.1

        22세에서 25세의 남녀 각각 100명씩 200명을 대상으로 표준 위치에서 촬영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사에서 이공의 정상적 형태 및 위치를 분석하고, 다시 남녀 각각 50명씩 100명을 선별하여 두부를 10mm 전방 이동, 10mm 후방이동, 10˚하방 이동, 그리고 10˚상방 이동시킨 후 촬영된 각각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 피사체의 위치변화에 따른 이공의 형태 및 수평, 수직적 위치의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공의 형태는 elliptical형(43.3%), round 또는 oval형(42.5%), unidentified형(7.5%), diffuse형(6.7%)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2. 이공이 치아에 대한 수평적 위치는 제2소구치부위(54.2%)와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43.1%)에서 대부분 관찰되었으며,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2.7%)의 순으로 관찰되었고, 제1소구치 부위, 견치와 제1소구치 사이, 제2대구치 부위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이공의 수직적 위치는 치근단 하방(88.2%)에서 대부분 관찰되었으며, 치근단에 접하는 경우(9.7%), 치근단과 겹쳐 나타난 경우(1.9%), 치근단에 비해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0.2%)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4. 피사체 두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이공의 형태변화는 표준 위치에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표준 위치에서 두부를 10mm 전방 이동시킨 위치에서 unidentified 형(9.0%)이 증가하였고, 두부를 10mm 후방 이동시킨 위치와 피사체의 턱을 10˚상방 이동시킨 위치에서는 round 또는 oval형 (57.5%, 52.5%)이 각각 증가하였으며, 피사체의 턱을 10˚하방 이동시킨 위치에서는 diffuse형(3.5%)이 감소한 것외에는 표준위치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5. 피사체 두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이공의 수평적 위치의 변화는 표준 위치에서 두부를 10mm 전방 이동시킨 위치에서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에 위치한 경우(35.2%)가 감소한 반면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에 위치한 경우(8.8%)는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두부를 10mm 후방 이동시킨 위치와 피사체의 턱을 10˚상방 이동시킨 위치에서는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에 위치한 경우(6.1%, 7.5%)가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피사체의 턱을 10˚하방 이동시킨 위치에서는 표준 위치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6. 피사체 두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이공의 수직적 위치변화는 치근단에 비해 하방에 위치한 경우가 약 90%로 대부분이었으며, 치근단에 접하는 경우, 치근단과 겹쳐 나타난 경우의 순으로 관찰되었으며, 치근단에 비해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ition and shape of mental foramen in panoramic radiographs. For this study panoramic radiographs were obtained from the 200 adults and evaluated the position and shape of mental foramen. According to various positional changes in panoramic radiographs of the patients. the author also obtained panoramic radiographs from the 100 adults and then evaluated the positional and shape changes of mental foram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hapes of mental foramen were observed elliptical(43.3%), round or oval(42.5%), unidentified(7.5%) and diffuse(6.7%) type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2. Horizontal position of mental foramen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at the 2nd premolar area(54.2%), and area between the 1st premolar and 2nd premolar(43.1%), area between the 2nd premolar and 1st molar(2.7%)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3. Vertical position of mental foramen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at the inferior of apex(88.2%), and at apex(9.7%), overlap with apex(1.9%), superior of apex(0.2%)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4. According to various positional changes in panoramic radiographs of the patients shape changes of mental foramen were more obviously observed at the forward 10mm and chin down 10˚positioned panoramic radiographs. And changes of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were observed in similar to compared with normal positioned panoramic radiographs.

      • 부산지역 모 공단 및 인근지역 사업체의 산업보건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이동영,손혜숙,이채언,박형종,김대환,엄상화,최성용,유병철 인제대학교 1993 仁濟醫學 Vol.14 No.4

        부산지역 공단 및 인근지역 사업체의 산업보건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5개 사업체의 보건담당자를 대상으로 1990년도의 보건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내용을 일반사항, 보건관리실태에 관한 사항, 작업장 유해환경 및 보호구 지급사항, 건강관련 사항 및 근무조건에 관한 사항 등으로 대별하여 분석ㆍ관찰하였다. In order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and acceptable programs of public health manegement in an industrial complex, 205 health manager in the plants answered the questionaire of the status of industrial health during 1990. The questio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teristics, health care status, environmental problems, health problems, and others. 72.4% of 205 plants had less than 100 workers. Fabricated metal manufacture was 32.4%. Although Footwear manufacture was 6.4%, the percentage of workers was 33.1% of total workers. The percentage(56.2) of retired women was higher than that(38.2) of men. 51.9% of total plants has recieving group health care services. 85.4% of plants was exposed to noise, 66.5% was exposed to dust. Ear plug and mask were given to prevent noise and dust in 69.2% and 68.6%, respectively. Among 22,299 workers, 618(2.8%) were diagnosed as suspected non-occupatinal disease. 85.9% of them worked on continuously and had their disease treated. The cases suspected for occupational disease was 100 workers. 82.5% of them changed their post. 45% had the compensation for their occuaptional disease. The rate of working: accidents was 2.3%.

      • KCI등재

        약골 골절후 발생된 골수염의 처치의 치험례

        이철희,서정식,고말식,손동석,김성국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1995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17 No.3

        With the use of antibiotics and improved dental care, osteomyelitis of the jaw is less common these days. But sometimes the management of osteomyelitis is more difficult because of appearance of resistant organisms to antibiotics. Treatment of the steomyelitis are incision and drainage, closed catheter irrigations, sequestrectomy, saucerization, hyperbaric ocygen therapy, and resection with or without bone graft. We experienced advanced osteomyelitis due to delayed treatment of left mandibular angle fracture. He have medical history of pschysoprenia. We decided to treat the patient with open reduction and closed cather irrigation. We achived reconsolidation of mandibular fracture accompanied by osteomyelitis by complete removal of inflammatory tissues, rigid fixation with miniplate and closed catheter irrigation.

      • Heparin이 망내계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초미형태학적 연구

        이동철,김중길,임정교,손윤경,서인수,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1 慶北醫大誌 Vol.32 No.3

        저자들은 heparin 투여후 세망내피계의 초미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Sprague-Dawley계 숫쥐에 heparin과 endotoxin을 투여한 후 비장을 채취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군은 heparin 전처치군과 heparin 후처치군으로 나누었으며 비교군으로 heparin 단독투여군과 endotoxin 단독투여군을 설정하여 각각을 투약후 비장을 채취하여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적 검색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heparin 단독투여군은 대식세포, 형질세포양 림프아구 및 다핵백혈구가 증가되었고, 대식세포의 탐식능도 항진되었다. 그러나 대식세포자체의 소기관 발달은 현저하지 않았다. Endotoxin 단독투여군은 시간이 갈수록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저하되고, 파괴가 증가되어 수가 감소하였다. 미소혈전이 자주 관찰되었으며 기타세포들의 파괴가 관찰되었다. Heparin 전처치 및 후처치군은 공히 endotoxin군에 비해 대식세포 탐식능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heparin의 망내세포에 대한 영향은 주로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수의 증가로 생각되며 이는 정상 및 병적상태 모두에서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또한 ET 투여 전후 heparin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공히 대식세포 탐식능이 증가되었으므로 이는 ET shock 후 조직손상으로 분비되는 세망내피계 저하물질에 대해 heparin이 길항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heparin의 대식세포 탐식능항진에 대한 효과는 세포의 직접적인 자극이라기 보다는 탐식과정중 특히 oposonization에 효과를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uthors studied an ultrastructural changes of reticuloendothelial system after administration of heparin.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examined after administration of heparin and endotox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heparin pretreated groups and heparin posttreated groups. The control groups were divided into heparin-only groups and endotoxin-only groups. Each animals were sacrificed and spleens were extirpated and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Heparin-only groups showed proliferation of macrophages, lymphocytes and neutrophils.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rcophage is enhanced. The cytoplamic organellar change is not remarkable except increase of secondary lysosomes. Endotoxin-only groups showed decrease of phagocytic cells. The phagocytic activity is also depressed. Destruction of macrophages and other cells are noted. Microthrombi are frequently seen. Both heparin pretreated and heparin posttreated groups revealed relative enhancement of phagocytic activity compaired to endotoxin-only groups. From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study, it appears that the effect of heparin on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is enhancement of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s both in the coditions of normal and pathologic one. And it also suggests that heparin may act as an antagonizing factor to the reticuloendothelial depressing agent that may be derived from injured organ of endotoxin shock. And the effect of heparin to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 may be related to the process of phagocytosis such as opsonization or to the direct cellular stimulation.

      • 골격계의 원발성, 전이성 혈관외피세포종 : 증례 보고

        김동수,김용민,최의성,손현철,박경진,조병기,이형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忠北醫大學術誌 Vol.19 No.2

        혈관악성종양은 혈관내피종(hemangioendothelioma), 혈관육종(angiosarcoma), 혈관외피세포종(hemangio pericytoma) 및 카포지 육종(Kposi's sarcoma) 등이 있으며, 이 중 혈관외피세포종은 비전형적인 외피 세포가 증식된 경우를 말한다. 골의 혈관외피세포종은 드문 악성종양으로 문헌상 보고되어 있는 예들은 주로 성인의 대퇴골, 골반골에 발생된 경우이다. 이 경우 원발성은 드물며 주로 비골격계에서 기원하여 골로 전이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녀 발생 빈도는 거의 동일하며, 12세부터 90세까지 어느 연령층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호발 연령은 40대에서 50대 사이 이다. 대개 연부조직 종양으로 신체 어디에서도 일어날 수 있고, 하지 특히 서혜부 및 대퇴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후복막, 두경부 및 흉복부의 순으로 나타난다. 전이도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그 경로는 주로 혈행성으로, 발생부위는 폐와 골이 제일 많다. 저자들은 8년 전, 우측 아래턱의 원발성 혈관외피세포종으로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술후 3년 뒤, 우 경골 근위부에 원격 전이가 발생하여 절제술, 예방적 골수강내 금속정 삽입술 및 골시멘트 충전술을 시행하였다. 현재 2차 수술 후 5년여가 경과한 상태로 경골에 재발의 증거가 없어 만족할 결과를 가져다주었다고 판단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emangiopericytoma is a rare tumor of blood vessels, first described and named by Stout and Murray in 1942, arising from the contractile, elongated cells the pericytes of Zimmermann which surround capillaries. It can develop whereever there are capillaries and mostly in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human body. It can also develop in any age from 12 to 90 years, and the rate of metastasis and prognosis depend on its histologic grade. We report a case of hemangiopericytoma metastasized to the right proximal tibia from the right mandible, resected three years ago. The hemangiopericytoma is a extremely rare primary malignant tumor in the bone and bone to bone metastasis is never been found in the literature before. So, we report this case and also report the good result.

      • 접착제(본드)흡입이 간장의 기능 및 조직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인수,손동렬,신인철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4 環境科學論文集 Vol.5 No.-

        접착제의 흡입으로 일어날 수 있는 유해작용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그 유해작용은 접착제 제조에 사용된 유기용매의 종류와 순수성에 따라 좌우되므로 만성독성으로 인한 신경장애에 대한 작용이외에 많은 연구들이 일치된 견해가 없고 각 나라마다 자국산의 접착제에 대하여 철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우리나라에선 거의 연구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접착제의 흡입으로 일어날 수 있는 만성독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여 백서에 장기간 접착제를 흡입시켰을 때 특히 간 기능과 조직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접착제는 사용된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라 toluene과 acetone이 주 용매인 Gt와 hexane과 acetone이 주 용매인 Gh 2 종류로 구분하였으며 실험동물은 체중 180g 내외의 웅성 백서를 대조군, Gt 흡입군과 Gh 흡입군 3군으로 나누었다. 1) 접착제를 10분간 흡입시키는 동안에는 약간의 흥분작용 이외에 별다른 증상을 볼 수 없었으나 40일간의 흡입에서 부터 흥분작용이 증가되어 공격적이며 적의심을 나타냈다. 이러한 중추신경에 대한 영향은 Gt 흡입군에서 더욱 심화하였고 흡입이 중단된지 60일이 경과되어도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았다. 2) 혈청 GOT와 GPT는 10일에서 부터 증가되어 30∼40일에 최고의 증가치를 나타냈으나 흡입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감소되였다. 혈청 alkaline phosphatase 수준은 20일에서부터 증가하여 50 일까지 지속되었으나(59.2%∼73.1%) 60일에서는 감소되었다. 총 bilirubin은 전 실험기간에서 별 변동이 없었으며 혈청효소의 변동은 흡입이 중단된 후 20일에서는 거의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고 Gt와 Gh 흡입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간의 무게를 체중비로 나타낸 결과 20일에서 부터 25% 증가되었고 60일에서는 50%의 증가를 나타냈으나, 흡입이 중단된 후 50일이 경과되어서는 정상으로 회복되는듯 하였다.(Gt 12.2%, Gh 16.3%) 4) 간의 병리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20일에서 문맥주변부의 염증 세포 침윤, 충혈 및 간세포 종창이 관찰되었으나, 흡입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더 이상 약화되지 않고 60일간 같은 변화를 보였다. 흡입이 중단된 후 40 일에서는 정상 조직상태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조직변화는 Gt와 Gh 흡입군에서 별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접착제의 만성흡입은 내성의 출현으로 인하여 특정적인 심한 간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간 기능 손상은 조직변화에 선행되어 나타나고 간 기능 및 조직손상은 회복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접착제는 비교적 장기간 백서에 흡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접착제의 만성흡입은 특징적인 심한 간 손상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이는 내성의 출현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고 간 기능 손상은 조직 변화에 선행되어 나타나고 간 기능 및 조직 손상은 회복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the acute and chronic toxicities induced by continuing, heavy exposure to glue or its solvents. However the reports besides on the neuronal damage are still controversial, for the toxic actions probably depend on the kind and purity of the solvents used in glu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hronic exposure to the inhalation of glue on the functional and histological liver damages. 210 healthy Sprague-Dawely male rats weighing about 180g. were divided into 3 groups: 1)control group exposed to the inhalation of fresh air, 2) Gt group exposed to the inhalation of glue whose main solvents were toluene and acetone, 3) Gh group exposed to the inhalation of glue whose main solvents were hexane and aceton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During 10 minutes exposure to the inhalation of glue, slight excitement was observed in all rats and in 40 days exposure, excitement was more profound and aggressiveness and hostility were found in Gt group rather than Gh group. The excitement was not subsided even 60 days after stopping inhalation. 2) Serum GOT and GPT levels were elevated in 10 days exposure and reached to the highest level in 30∼40 days exposure followed by decrease to normal ranges. Serum alkaline phosphatase level remained raised from 20 days to 50 days exposure (59.2%∼73.1%) and returned to almost normal level in 60 days exposure. Total bilirubin level were within normal limits in all experimental period. The serum enzyme levels were recovered to normal ranges 20 days after being exposed to the final inhalation and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t and group. 3) The relative liver weights were increased by 25% in 20 days exposure, and by 50% in 60 days exposure but it seemed to be returned to normal weight 50 days after stopping inhalation (Gt 12.2%, Gh 16.3%). 4)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duced by 20 days exposure to the inhalation of glues Gt and Gh were mononuclear cell infiltration in periportal zone, congestion and cellular swelling on the liver and were not enhanced even by increase in exposure time. These findings were completely subsided 40 days after receiving the final exposure.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chronic inhalation of glues available in Korea fails to cause severe or characteristic liver disease, the functional damage is followed by the histological changes in liver and the functional and histological damages are reversible.

      • 파노라마방사선사진상의 이공에 관한 연구

        최갑식,배용철,김동윤,손정익 경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ition and shape of mental foramen in panoramic radiographs. For this study, panoramic radiographs were obtained from the 200 adults and evaluated the position and shape of mental foramen. According to various positional changes in panoramic radiographs of the patients, the author also obtained panoramic radiographs from the 100 adults and then evaluated the positional and shape changes of mental foram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hapes of metal foramen were observed elliptical(43.3%), round or oval(42.5%), unidentified(7.5%) and diffuse (6.7%) type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2. Horizontal position of mental foramen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at the 2nd premolar area(54.2%), and area between the 1st premolar and 2nd primolar(43.1%), area between the 2nd premolar and 1st molar(2.7%)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3. Vertical position of mental foramen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at the inferior of apex(88.2%), and at apex (9.7%), overlap with apex(1.9%), superior of apex(0.2%)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4. According to various positional changes in panoramic radiographs of the patients, shape changes of mental foramen were more obviously observed at the forward 10mm and chin down 10。 positioned panoramic radiographs. And changes of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were observed in similar to compared with normal positioned panoramic radiograp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