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 바르트 신학의 연구동향을 통해 본 한국 신학의 지형 분석 -한국에서의 칼 바르트 연구 1세대를 중심으로

        박성규 ( Seoung Gyu Park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7 No.-

        한국의 신학사를 전체적으로 개관해보면 바르트의 신학은 교계와 신학계의“분열”과 동시에“일치”의 정점에 서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바르트 신학이 한국 신학계의“일치”의 정점에 서 있는 이유는 한국 신학자들 제1세대를 통틀어 적어도 신학자로 이름을 내놓은 이상 바르트의 신학에 관해 한 편의 논문이라도 쓰지 않은 신학자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아는 내로라하는 신학자라면 누구나 한 번이상 바르트의 신학에 관련된 논문을 당시에 발표하고 있다. 실제로 바르트 서거 1주기를 계기로‘한국 바르트 학회’가 주관하여 발행한 최초의 바르트 연구논문집이라 할 수 있는『바르트 신학 연구』에는 한국의 신학자로 윤성범, 박순경, 이종성, 박봉랑, 은준관, 전경연, 한철하, 변선환, 지동식, 윤성범이 기고하고 있다. 아무튼 조직신학자뿐만 아니라, 성서신학자, 선교신학자, 역사신학자를 포함하여 거의 모든 영역의 신학자들이 바르트 신학에 대한 소개, 해석, 비판에 참여하고 있음을 볼 수있다. 그러나 다른 한 편 바르트의 신학은 한국 교계의“분열”의 정점에 서 있다. 그 이유는 박형룡을 위시한 소위 자칭“정통주의자들”이바르트의 신학을‘신신학’또는 심지어‘자유주의 신학’으로 매도하여 교회 정치적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한국에서의 바르트 해석의 지형은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바르트 연구동향을 바르트 연구가들 제1세대를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고찰하면서 한국의 연구동향을 몇 가지로 범주화해보고, 그러한 범주들의 연구방법론과 내용적 독특성과 한국의 교회와 사회에 미친 영향들과 부정적인 한계 및 비판점들을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에서의 바르트 연구의 동향을 대략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범주로 우선 분류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분류가 절대적인 것이 될수는 없지만, 대략적인 분류를 통하여 한국에서의 바르트 연구의 동향이 자연스럽게 비교되면서 그 특성들이 드러나게 되리라는 기대해본다. 첫 번째 연구동향은 윙엘의 방식처럼 바르트의 신학에 대한 정통적인 연구방식이다. 이는 대부분 초창기의 한신대 소속 연구 학자들이었던박봉랑, 오영석으로 이어지는 계통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 동향은 앞서 소개한 베를린의 바르트 연구경향과 유사한 사회학적인 연구방식이다. 이는 주로 이대 소속 교수였던 박순경, 김애영(한신대) 교수로 이어지는 연구동향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연구동향은 토착화신학적인 접근방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감신대의 윤성범 교수를 필두로하여 감신대 신학이 주도하는 접근방식이다. 그리고 네 번째 연구동향으로는 바르트에 대한 근본주의적 접근 방식으로서 바르트 신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바르트 신학에 대한 왜곡과 오해를 조장한 대표적인 그룹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총신대 소속 교수였던 박형룡 박사를 필두로 하여 소위 말하는‘복음주의(evangelism)’ 계열의 신학자들이 속해 있다. 한국에서의 바르트 신학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이렇게 대별해 놓고 앞으로 이러한 연구동향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리고 그러한 신학의 흐름이 상호 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나아가 한국사회와 교회의 역사적 흐름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를 논의한다. 바르트 신학을 단순히 학문적으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한국의 교회와 사회 나아가 국가와 민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신학적 준거로 해석하고 작업하는 과제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는 비록 한국의바르트 연구 1세대의 공헌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바르트의 신학자체가 그러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후대 바르트 연구가들이 떠맡아야 할 중대한 신학적 과제라고 여겨진다. In diesem Aufsatz handelt es sich um eine Analyse der theologischen Lage in Korea in Hinblick auf die erste Generation der Forschung der Theologie Karl Barths. Wenn man die theologische Forschungsgeshichte in Korea uberblickt, ist es nicht schwer zu erkennen, dass die Theologie von Karl Barth in der zentralischen Stelle sowohl von der Einigkeit als auch von der Trennung der koreanischen Theologie steht. Der Grund dafur, dass die Theologie Karl Barths in der Spitze der theologischen Einigkeit in Korea steht, liegt in der Tatsache, dass fast alle von der ersten Generation der Theologen in Korea mindestens mehr als einmal die Theologie von Barth behandelt hat. Die bekannte Theologe der ersten Generation haben mindestens einmal einen Aufsatz von Karl Barth geschrieben, gleich ob biblische Theologe oder Geschichter, oder praktische Theologen, geschweige denn systematische Theologen. Aber andererseits steht die Theologie Karl Barths in der Spitze der Trennung oder Ausereinandersetzung der Theologie in Korea. Der Grund dafur liegt darin, dass die sogenannten Orthodoxen in Korea wie Hyung-Ryong Park die Theologie Barths einfach als lieberale Theologie nicht nur missverstanden, sondern auch kirchenpolitisch ausgenutzt haben. Noch schlimmer ist die Tatsache, dass diese Forschungsstimmung immer noch in Korea bleibt. In diesem Aufsatz sollte die Forschungslage uber die Theologie Barhts viermalig kategorisiert und danach die Verschiedenheit der Methodologie, die Eigenschaft der Forschung und kritische Pointe je nachdem durchstudiert werden. Dadurch wird die Forschungslage im Blick auf die Theologie in Korea vergleichenderweise klargemacht werden. Der erste Trend der Forschung der Theologie Barths in Korea ist als eine klassische Forschung zu nennen wie der Forschungstrend von E. Jungel in Deutschland. Dazu gehort Bong- Rang Park und Young-Seoug Oh aus Hanshin Univeritat. Ein anderer Forschungstrend ist als die soziologische Methode wie die in Berlin zu benennen. Zu diesem Kreis gehort Sun-Kyeong Park und Aeyoung Kim in Ewah-Universitat. Noch ein anderer Forschungstrend ist als die Adaptationsmetheode zu benennen. Zu diesem Kreis gehort Seoung-Bum Youn aus Kamsin-Universitat. Und der letzte Trend ist als Fundamentalismus von dem amerikanischen Typ zu benenen. Dieser Kreist hat meistens die Theologie Barths missverstanden und kirchenpolitisch ausgenutzt. Zu diesem Kreis gehort Hyung-Ryong Park aus Chongsin-Universitat. Aus diesem Hintergrund sollte es untersuchts werden, wie die Forschunskreise von der Theologie Barhs jeweils weiter entwickelt ist. Außer dem sollte die Frage, wie die vier Kreise miteinander oder gegeneinander Einfluss geubt haben, doch untersucht werden. Noch dazu sollte die Frage danach, wie diese Krese jeweils aus die koreanische Gesellschaft ausgewirkt haben, durchstudiert werden. Dabei sollte die Theologie K. Barhs nicht nur einfach wissenschaftlich beruhrt werden, sondern auch als ein theolischer Axiom fur die Losung der Wirklichkeitsploblem in Korea verstanden werden. Dieser Persepktiv ist nicht nur dank der ersten Generation der Barhtsforschung in Korea zu gewinnen, sondern als ein wesentlicher Teil von der Theologie K. Barths zu charkterisieren.

      • SCOPUSKCI등재

        Slide-Swing Plastyf를 利用한 皮膚缺損의 臨床治驗

        梁正熱,李勝遠,陽斗炳 大韓成形外科學會 198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12 No.1

        Slide-Swing Plasty often offers a favorable means of closing a skin defect. It is a combination of transposition and skin sliding in which the flap employed to close the defect and the defect itself are cut to a round shape. We have covered on 8 cases of secondary round and oblong skin defects resulting from primary excision of the skin lesions by the using fo Slide-Swing Plasty. We describe the experience of Slide-Swing Plasty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열역학적 관점에 근거한 구름발생 실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박동조,백성혜,강성주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1 No.1

        이 연구에서는 5차 교육과정과 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구름발생 실험 내용을 실험 방법 및 실험 기구 등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열역학적 관점에서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실험을 개발하여 교과서 실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서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ontents of cloud making experim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5th and 6th science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methods and apparatus. And we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experimental methods and apparatus based on the thermodynamic theories. A new experiment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and the effects of new experimen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periments in the textbooks.

      • 췌장염에 의한 가성낭종내에 생긴 가성동맥류 : 1례 보고

        오연희,이채경,김승현,이성우,양창현,이정호,이영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만성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동맥류는 드문질환으로, 반복적으로 다량의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사망율이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38세 남자 환자에서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낭종내에서 발생한 가성동맥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성 동맥류의 색혈류도플러상 낭종내에 양방향 흐름의 와류를 볼 수 있었다. Pancreatic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1 Cas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DongGuk University Yeon Hee OH M.D., Chae Kyeong Lee M.D., Seoung Hyeon Kim M.D., Sung Woo Lee M.D., Chang Heon Yang M.D., Jung Ho Lee M.D., Young Hyun Lee M.D. Pseudoaneurysm from pancreatitis is uncommon, but it can cause recurrent and massive hemorrhage. Because of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the pseudoaneurysm is needed. We report a case of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Color-flow Doppler sonography shows bidirectional flow and turbulent arterial flow, within anechoic mass.

      • KCI등재

        이중혈류유발 심폐소생술이 심정지를 유발한 개의 단기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황성오,조준휘,강구현,김성환,문중범,이강현,이승환,윤정한,최경훈,홍은석 대한응급의학회 2000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1 No.3

        Background and Objective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compared with standa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S-CPR), better hemodynamic effects could be achieved by simultaneous sterno-thorac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SST-CPR) in which we compressed the sternum and constricted the thorax circumferentially during the systolic period by using a devi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whether SST-CPR, compared with S-CPR,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dogs with cardiac arrest. Subjects and methods: Twenty-five mongrel dogs(19∼3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fter four minutes of ventricular fibrillation induced by an AC current, animals were randomized to resuscitate with either S-CPR(n=13) or SST-CPR(n=12). Epinephrine(1 ㎎) was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every three minutes after the beginning of CPR. Defibrillation was attempted after 6 minutes of CPR. Standard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was started if defibrillation was not successful. Results: SST-CPR resulted in significantly(p<0.001) higher systolic arterial pressure(91±47 vs 47±24 ㎜ Hg), diastolic pressure(43±24 vs 17±10 ㎜ Hg), coronary perfusion pressure(35±25 vs 13±9㎜ Hg), and end tidal CO2 tension(9±4 vs 3±2 ㎜ Hg). Two of 13 animals(15 %) resuscitated with S-CPR and six of 12 animals(50%) resuscitated with SST-CPR survived until 12 hours after cardiac arrest(p<0.05). Donclusion: SST-CPR, compared with S-CPR, improves the short-term survival rate in canine cardiac arrest.

      • 국내 상담자 교육 연구에 대한 小考 : 수퍼비젼을 중심으로

        성승연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009 학생생활상담 Vol.27 No.-

        본고에서는 국내 상담자 교육에 대해 수퍼비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수퍼비젼이 상담자 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 뿐 아니라 상담자 발달의 전 과정을 통해서도 지속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퍼비젼을 제도적인 측면에서, 상담수퍼비젼 연구 및 수퍼비젼의 주요한 내용인 사례개념화와 관련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퍼비젼은 제도권의 교육과정에서 담당해주지 못하고 있고, 실제 수펴비젼이 상담의 성과와 직접 관련된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하지 못했으며, 연구되어야 할 여러 변인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퍼비젼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여전히 상담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몇가지 제언을 통해 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필요성을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 모형의 효과 분석

        백성혜,김혜경,채우기,권균,노태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9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9 No.1

        선행연구에서 조사한 화학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선개념과 이를 근거로 개발한 개념변화 수업 지도안 및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 지도안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을 때,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따라 개념변화 수업 모형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의 흥미나 태도, 동기 등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의 개념변화 수업 모형들을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을 구분하고 수업 전 학습 동기를 조사하였다. 그 후에 ‘화학 변화’ 단원을 전통적인 수업과 개념변화 수업으로 지도하고 사후 학습 동기를 조사하였다. 학습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을 받은 집단, 학습자의 인지만을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을 받은 집단, 그리고 교과서에 의존한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집단 모두 수업을 받은 후에 학습 동기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을 학습자의 인지만을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이나 교과서에 의존한 전통적인 수업보다 학습 동기의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수업을 받기 전에 학습 동기가 낮았던 학생들에게 더욱 크게 나타났다. 수업에 따른 개념의 이해도 증진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세 종류의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모두 수업 후에 개념의 이해도가 증진된 것으로 타나났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학습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 집단과 학습자의 인지만을 고려한 개념 변화 수업 집단이 교과서에 의존한 전통적인 수업 집단(통제 집단)보다 사후 개념 이해도가 높았다. 특히 수업 전 학습동기가 높았던 학생들은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을 받았을 경우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인 수업을 받았을 경우보다 개념의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전 학습동기가 낮았던 학생들의 경우에는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을 받음으로써 학습동기가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three teaching models were compared in this research. One of those is concept change model, another is concept change model based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the other is traditional teaching method based on science textbook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8th grade students of Korean middle school.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ested learning motivations. All of the three groups improved their learning motivations and concept understanding by the classes. Especially, the group of concept change model based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represented most effective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s. The concept change teaching model and concept change teaching model based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are more effective in concept understanding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based on textbooks. The students who have high learning motivations improved their concept understanding by the classes of concept change model based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The students who have low learning motivations improved their learning motivations by the classes of concept change model based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also.

      • 敎育課程 構造化의 發達的 基調 (Ⅱ) : 範例方式을 中心으로 Chiefly on the Example Method

        金聖權 대구교육대학교 1971 論文集 Vol.7 No.-

        The curriculum reformation movement, which took place in 1950s, has been evolved into the curriculum structurealization theory, and also a daring attempt has been made to moderniz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the basic qualitative reformation against the traditional curriculum. In West Germany the example method, which is one of the methods in the movement, is being carried on as a test case together with the structuralization movement in America. This method originated from the Tubingen Resolution in 1951, and bacame a great movenment in pursuit of a new direction of the curriculum in West Germany. The West Germans such as M. Wagenschein and J. Derbolav, etc. projected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example conception and found out its method, suggesting lots of materials for research mainly on the problems of the theoretical profundity and on those of the practical embodiment as well. This research offers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suggestions to this field of study.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ways of improvement, I chiefly dealt with the following items as one of the tasks. (1) The developmental backgould of the example method, and the example conception (2) The teaching structure and stage of the example method (3) The trend and problems of the example method (4) To investigate and criticize the common points,the differences, and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curriculum structuralization movement in West Germany and U.S.A. The theory of the example method intending to modernize the West German education may not rise to the level enough to put it into practice yet, but we can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ample method intothree parts. They are as follows: (1) A principle of constructing the curriculum by the carefully selected collection and summing-up of the essential qualities in order to keep the teaching contents from exceeding (2) To be intended not only for the unity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but also for connecting the teaching with the instruction (3) To aim at combining the systematic quality of science with the subjective one of the learner by means of letting him learn the essence and worth of science and his ways of living simultaneously

      • 연료전지의 인산전해질 함유를 위한 Marix 제조에 관한 연구

        이승훈,설용건,이태희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2 논문집 Vol.24 No.2

        The matrix used for the electrolyte of fuel cell was fabricated by using the powder of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 SiC(Silicon Carbide). About the above fabricated matrix, the pore structure and acid absorbancy were measured, and the performance was finally tested at On-Cell. In making matrix, teflon was used as its binder, and in the case of adding 10w/o, matrix could be made in the form of the sheet of 0.2~0.3mm in width. As the result of having made matrix, in the case of 1μm of it, its porosity of 61% was highest; the smaller the size of its particle was, the more increasing pore volume became; the more increasing the content of teflon got, the more decreasing pore volume became. The acid absorbancy of matrix became saturated with acid after six hours, and in the case of 1 μm matrix its acid absorbancy was highest. The highest performance of the matrix with 1μm particle resulted from the measure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On-Cell also the current density of 75mA/cm2at 700m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